KR20160101499A -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499A
KR20160101499A KR1020150024164A KR20150024164A KR20160101499A KR 20160101499 A KR20160101499 A KR 20160101499A KR 1020150024164 A KR1020150024164 A KR 1020150024164A KR 20150024164 A KR20150024164 A KR 20150024164A KR 20160101499 A KR20160101499 A KR 2016010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nit
sensor module
heartbea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수
이재길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499A/ko
Publication of KR2016010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측정된 심장박동 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Sudden cardiac death notice system compri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장병은 주요한 사인이며, 심장마비에 의한 돌연사는 취침 중에도 일어난다. 특히, 취침 중 돌연사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건강 관리와 복합적인 기능 구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심장 박동수를 관찰 및 감시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외부로 통지 및 경고할 수 있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으로서,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측정된 심장박동 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센서모듈로부터 심장박동 수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 통신부;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 및 전송된 심장박동 수를 감시하고,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위치 정보 및 경고 알람을 텍스트 메세지로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생성된 텍스트 메세지를 외부 서버 또는 또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도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부는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알람부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광신호는 광원을 통해 출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은 아두이노(arduino) 및 아두이노에 연결된 심장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은 측정된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이상값으로 설정한 후 심장박동 수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송된 이상값을 참조하여 심장박동 수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과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심장 박동수를 관찰 및 감시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외부로 통지 및 경고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 심장 활동에 대한 즉각적인 통지 및 경고가 가능하고,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돌연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취침 중 돌연사에 취약한 노인, 유아, 심장질환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연사 알림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전원공급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외부 서버)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및 위치정보 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GSM, CDMA, WCDM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 및 마이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12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음향 입력부라 함은 상기 마이크(122)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특히 영상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스피커(speaker)로 구성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으며, 햅틱 모듈(154)은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40)는 예를 들어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과 관련된다.
상기 돌연사 알림 시스템은 센서 모듈(200)과 휴대용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200)은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측정된 심장박동 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센서 모듈(200)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센서모듈(200)로부터 심장박동 수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 통신부(110)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1)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114)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전송된 심장박동 수를 감시하고,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경고 알람을 텍스트 메세지로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위치 정보와 경고 알람을 포함하는 문자 메세지를 생성한다. 상기 문자 메세지에는 현재 심장 박동 수 및 심장에 이상이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비정상적인 심장활동 하에서,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생성된 텍스트 메세지를 외부 서버(500) 또는 또 다른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500)는 병원과 같은 의료 기관 또는 소방서와 같은 응급 구호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153)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부(180)는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알람부(153)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광신호는 광원을 통해 출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예를 들어 LED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200)은 아두이노(arduino)(220) 및 아두이노(220)에 연결된 심장측정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장측정 센서(210)는 전술한 측정부를 구성하고, 전술한 무선 통신부는 아두이노(22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서모듈(200)은 측정된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이상값으로 설정한 후, 심장박동 수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200)은 심장박동 수와 함께, 심장박동 수가 정상값인지 이상 값인지에 대한 참조 값(또는 태그)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전송된 이상 값을 참조하여 심장박동 수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심장 박동 수와 함께 전송된 이상 값을 참조하여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센서 모듈(200)과 휴대용 단말기(100)는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400: 휴대용 단말기
200: 센서 모듈
500: 서버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으로서,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및 측정된 심장박동 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센서모듈로부터 심장박동 수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 통신부;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 및
    전송된 심장박동 수를 감시하고,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위치 정보 및 경고 알람을 텍스트 메세지로 생성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생성된 텍스트 메세지를 외부 서버 또는 또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부는 심장 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알람부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광신호는 광원을 통해 출력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 모듈은 아두이노(arduino) 및 아두이노에 연결된 심장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센서모듈은 측정된 심장박동 수가 심장박동 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이상값으로 설정한 후 심장박동 수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송된 이상값을 참조하여 심장박동 수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 모듈과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된 돌연사 알림 시스템.
KR1020150024164A 2015-02-17 2015-02-17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KR20160101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64A KR20160101499A (ko) 2015-02-17 2015-02-17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64A KR20160101499A (ko) 2015-02-17 2015-02-17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99A true KR20160101499A (ko) 2016-08-25

Family

ID=5688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64A KR20160101499A (ko) 2015-02-17 2015-02-17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4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4826B1 (en) Medical bracelet standard
JP5963881B2 (ja) 電力および医療装置近接度監視機能を有する遠隔監視システム用の無線中継モジュール
US20150070187A1 (en) Wireless Relay Module For Remote Monitoring Systems
JP6039453B2 (ja) 医療用モニタシステム
JP6069042B2 (ja) 医療用警報システムおよび医療警報用インジケータ
JP2016126440A (ja) 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097108A (ja) 医療用システム
JP2007228982A (ja) ナースコール装置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77911B2 (ja) ネットワークのステータスを監視するための無線中継モジュール
JP7071375B2 (ja) 少なくとも1人のユーザーの体調をモニター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ユーザーの体調をモニターする方法
KR20160101499A (ko)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돌연사 알림 시스템
JP2005237667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及びナースコール親機
KR20020024083A (ko) 무선 건강체크기 및 무선 건강체크 방법
JP6289328B2 (ja) 医療用システム
JP2018034235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2002009683A (ja) 無線移動端末の緊急連絡方法
KR20170095050A (ko) 응급상황 인지 및 알림 방법 및 시스템
JP2016091265A (ja) ウェアラブル端末
CA3072957C (en) Active care control method, electronic control device, central gateway device and server
JP2019141378A (ja) 医療従事者支援システム
JP2002261955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2099373B1 (ko)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US20240169818A1 (en) Emergency alert systems and methods based on motion detection
KR200271283Y1 (ko) 무선 건강체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