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680A - 직물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680A
KR20160100680A KR1020150023437A KR20150023437A KR20160100680A KR 20160100680 A KR20160100680 A KR 20160100680A KR 1020150023437 A KR1020150023437 A KR 1020150023437A KR 20150023437 A KR20150023437 A KR 20150023437A KR 20160100680 A KR20160100680 A KR 20160100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bric
feeding
pedal
fee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704B1 (ko
Inventor
신동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티스
Priority to KR102015002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7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물재 제조장치는, 직물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피딩부; 상기 제1피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피딩부를 통과한 직물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부를 통과한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피딩부; 상기 제1피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딩부를 구동시키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페달부의 조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페달부의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제2피딩부를 구동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재 제조장치에 의하면, 작업부를 기점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피딩부와 제2피딩부를 배치하여, 직물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피딩(Feedig)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직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더불어, 직물의 전방과 후방에 동일한 견인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직물(F)이 텐션력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어, 이송 중 구김을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재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TING TEXTILES}
본 발명은 직물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소정의 작업을 가하여 직물재를 제조하는 직물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구류, 커튼 및 식탁보와 같은 직물제품들은 직물을 권취된 형태로 구비하여, 상기 직물을 풀어내어 롤러의 회전과 이에 접하는 마찰에 의하여 이송시키며 여러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이러한 롤러는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도중 정렬 문제 등에 의하여 상기 직물을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직물이 롤러에 끼여 장치의 작동이 멈출 수 있으며, 직물에 가해지는 작업이 고르지 못하여 불량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권취된 직물을 일정하게 이송하기 위한 치우침 방지용 롤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안된 직물재 제조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5025(2012.07.05)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무한궤도 상으로 감기며 인쇄용 원단을 강제 이송하는 피딩벨트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고, 보강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각각에 가장자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봉부재; 상기 피딩벨트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용 원단에 접하며 공급되는 상기 인쇄용 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봉부재; 및 상기 텐션봉부재를 자동으로 승하강 조작하는 자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프린터의 원단 장력 조절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원단 장력 조절장치는 프린터의 전방에 텐션봉을 배치하여 프린터에 진입하는 원단은 피딩(Feeding)하지만, 프린터로부터 취출되는 원단의 부위는 피딩(Feeding)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프린터로부터 취출되는 부위, 즉 원단의 전방은 한 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또한 원단의 전방과 후방의 이동속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구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직물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직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직물의 불균일한 이동에 따른 구겨짐을 방지하여, 직물재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직물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물재 제조장치는, 직물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피딩부; 상기 제1피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피딩부를 통과한 직물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부를 통과한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피딩부; 상기 제1피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딩부를 구동시키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페달부의 조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페달부의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제2피딩부를 구동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직물재 제조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상면이 상기 적재부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부는 재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페달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재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작업부를 기점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피딩부와 제2피딩부를 배치하여, 직물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피딩(Feedig)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직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둘째, 직물의 전방과 후방에 동일한 견인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직물이 텐션력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어, 이송 중 구김을 방지 할 수 있다.
셋째, 직물의 이송경로를 따라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직물이 이송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재 제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직물재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직물재 제조장치의 작업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재 제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직물재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직물재 제조장치의 작업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재 제조장치는 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적재부(100), 제1피딩부(200), 작업부(300), 제2피딩부(400), 페달부(500), 센서부(600), 연동제어부(700) 및 가이드부(8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직물재(T)는, 침구, 커튼, 의료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재부(100)는 권취된 직물(F)을 펼쳐 적재하는 곳으로, 기다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직물재 제조장치(10)가 책상 및 탁자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적재부(100)는 따로 구비되지 않고, 책상과 및 탁자의 상면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딩부(200)는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직물(F)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피딩부(200)는 상기 직물(F)과 접촉하여 롤러에 접하는 마찰에 의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10)와, 상기 이송롤러(210)와 벨트로 연결되며, 후술(後術)할 페달부(500)로부터 구동되면서 상기 이송롤러(210)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부(300)는 상기 제1피딩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피딩부(200)를 통과한 직물(F)에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딩부(200)와 후술(後術)할 제2피딩부의 사이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작업부(3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재봉기(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재봉기(310)는 제1피딩부(200)를 통과한 직물(F)과, 상기 직물(F)과 이격되어 마련된 부착물(L)을 공급받아, 상기 직물(F)의 상면에 부착물(L)을 재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작업부(3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은 재봉, 함침, 코팅 및 융착으로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피딩부(400)는 상기 작업부(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부(300)를 통과한 직물(F)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제2피딩부(4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롤러로 구비되는, 쌍롤(Roll-to-roll)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달부(500)는 상기 제1피딩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딩부(20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페달부(500)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 조작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발로 밟기에 용의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페달부(500)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페달부(500)에 조작력을 가하는 시점을 파악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페달부(500)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페달부(500)를 밟아 하강시키면, 상기 센서부(600)에 접촉되게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제어부(700)는 상기 센서부(600)로부터 상기 페달부(500)의 조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페달부(500)의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제2피딩부(400)를 구동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페달부(500)를 밟아 조작력을 가하면, 상기 제1피딩부(200)와 제2피딩부(400)도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피딩부(200,400)가 연동 작동함에 따라, 직물(F)의 전방과 후방에 동일한 견인력이 제공되어, 상기 직물(F)은 일정한 텐션력을 가지며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재 제조장치(10)는 상기 적재부(10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800)는 그 상면이 상기 적재부(100)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부(800)를 상기 적재부(100)의 양측 부분구간에만 구비토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부(800)는 상기 적재부(100)의 양측 전구간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직물재 제조장치(1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작업부(300)를 기점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피딩부(200)와 제2피딩부(400)를 배치하여, 직물(F)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피딩(Feedig)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직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둘째, 직물의 전방과 후방에 동일한 견인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직물(F)이 텐션력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어, 이송 중 구김을 방지 할 수 있다.
셋째, 직물(F)이 이송경로를 따라 가이드부(800)를 구비하여 직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 : 직물재 F : 직물
L : 부착물 100 : 적재부
200 : 제1피딩부 210 : 이송롤러
220 : 구동롤러 300 : 작업부
400 : 제2피딩부 500 : 페달부
600 : 센서부 700 : 연동제어부
800 : 가이드부

Claims (4)

  1. 직물(F)을 적재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직물(F)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피딩부(200);
    상기 제1피딩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피딩부(200)를 통과한 직물(F)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300);
    상기 작업부(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부(300)를 통과한 직물(F)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피딩부(400);
    상기 제1피딩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딩부(200)를 구동시키는 페달부(500);
    상기 페달부(500)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600); 및
    상기 센서부(600)로부터 상기 페달부(500)의 조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페달부(500)의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제2피딩부(400)를 구동하는 연동제어부(700)를 포함하는 직물재 제조장치(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상면이 상기 적재부(10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가이드부(800)를 더 포함하는 직물재 제조장치(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300)는 재봉기(310)를 포함하는 직물재 제조장치(1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페달부(5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재 제조장치(10).

KR1020150023437A 2015-02-16 2015-02-16 직물재 제조장치 KR10165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37A KR101656704B1 (ko) 2015-02-16 2015-02-16 직물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37A KR101656704B1 (ko) 2015-02-16 2015-02-16 직물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680A true KR20160100680A (ko) 2016-08-24
KR101656704B1 KR101656704B1 (ko) 2016-09-12

Family

ID=5688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437A KR101656704B1 (ko) 2015-02-16 2015-02-16 직물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263B1 (ko) 2020-06-29 2022-03-07 육영주 직물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809B1 (ko) * 1987-05-02 1989-11-27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퀼팅 머시인(Quilting Machine)에 있어서의 직물 이송장치
KR101057332B1 (ko) * 2011-05-23 2011-08-17 (주)로이포스 원단 공급장치
KR101080251B1 (ko) * 2009-10-16 2011-11-08 이호열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KR20120045557A (ko) * 2010-10-29 2012-05-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의 투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809B1 (ko) * 1987-05-02 1989-11-27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퀼팅 머시인(Quilting Machine)에 있어서의 직물 이송장치
KR101080251B1 (ko) * 2009-10-16 2011-11-08 이호열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KR20120045557A (ko) * 2010-10-29 2012-05-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의 투공장치
KR101057332B1 (ko) * 2011-05-23 2011-08-17 (주)로이포스 원단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704B1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71280A (ja) 生地片をスライドファスナーチェーンに縫着する装置
KR20100106094A (ko) 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변부 마감용 봉제장치
JPH02286190A (ja) ミシン用布送り装置
KR20130082402A (ko)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JP2015061743A (ja) 高周波ミシン
KR101859120B1 (ko) 밴드 장력 자동 조절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드 봉제 방법
JP2011125706A (ja) 洗濯物をマングルあるいはこれと類似のも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797656A (en) Sew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656704B1 (ko) 직물재 제조장치
JPH067568A (ja) 縫製装置
KR101711547B1 (ko)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JP2013079455A (ja) 裁断方法及び裁断装置
US1883177A (en) Machine for stitching wire fabrics
US3486470A (en) Fabric folding unit
JP2009268571A (ja) 布類展張搬送機
WO2012081119A1 (ja) フライ供給装置
KR101823242B1 (ko) 피륙 공급장치
EP2473073B1 (en) A device for welding fabrics
US2004080A (en) Textile hemstitching machine
US5259421A (en) Weaving machine feeding apparatus with oscillating dancer roll
CN210916551U (zh) 一种独立送带机
KR102068191B1 (ko) 롤원단 권출기구를 갖춘 전사기
JP2006255205A (ja) 布類投入機における布類整形装置
KR200383192Y1 (ko) 밴드 실리콘 인쇄기의 컨베이어벨트
KR20160007288A (ko) 자수 공정이 가능한 복합 누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