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251B1 -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 Google Patents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251B1
KR101080251B1 KR1020090098583A KR20090098583A KR101080251B1 KR 101080251 B1 KR101080251 B1 KR 101080251B1 KR 1020090098583 A KR1020090098583 A KR 1020090098583A KR 20090098583 A KR20090098583 A KR 20090098583A KR 101080251 B1 KR101080251 B1 KR 10108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ckaging container
molding
molding machin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653A (ko
Inventor
이호열
Original Assignee
이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열 filed Critical 이호열
Priority to KR102009009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2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40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cutt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7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 B29C2043/3422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3/5875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material feed to the moulds or mould parts, e.g. controlling feed flow, velocity, weight, d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특허등록 제781607호의 이용발명으로서,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장치의 선단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원단의 공급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며 성형기 내부로 진행되도록 별도의 원단공급 조절장치가 형성되어 장치의 운전 중에 원단이 찢기거나 끊김 또는 과공급 등으로 인한 장치오류 내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성형기의 후단에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부설하여 성형된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에 따라 정확하게 적층된 후 배열된 상태로 후발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에 있어서, 원단공급부(200)의 하부 일측에 원단공급조절장치(210)가 부설되어 원단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고, 원단커팅부(500)를 거쳐 배출된 포장용기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에 의해 설정된 수량에 따라 정렬된 후 컨베이어(70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 효 과 >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장치의 선단에 원단공급 조절장치를 부설하여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원단의 공급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며 성형기 내부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운전 중에 원단이 찢기거나 끊김 또는 과공급 등으로 인한 장치오류 내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성형기의 후단에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부설하여 성형된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에 따라 정확하게 적층된 후 배열된 상태로 후발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98583
포장용기, 원단공급조절장치, 자동 배열식 트레이, 컨베이어, 원단, 성형기

Description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Molding machine for packing instrument with feed regulator and auto tray}
본 발명은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장치의 선단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원단의 공급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며 성형기 내부로 진행되도록 별도의 원단공급 조절장치가 형성되어 장치의 운전 중에 원단이 찢기거나 끊김 또는 과공급 등으로 인한 장치오류 내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성형기의 후단에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부설하여 성형된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에 따라 정확하게 적층된 후 배열된 상태로 후발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를 가공하는 성형기는 롤링된 원단을 상,하로 분할된 금형 사이로 진행시키되 분할된 금형 사이 상측 또는 하측 면상에는 취사 선택되어 설계된 용기 형상의 성형홈을 구비하고 있는 바, 예열 또는 가열된 원단은 성형홈 의 형상대로 프레스되어 설계된 포장용기로 형성된 후 제어부에 의해 일 제품마다 절삭되어 마무리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781607호의 원천 발명자(상기 등록된 특허의 최초 출원인으로부터 해당 권리를 양도받아 현재 권리자로 등재되어 있음)로서, 종래 성형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자동화 방식의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를 착안한 바 있으며, 이에 상기 등록 특허는 종전 성형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 특허는 또 다른 문제점에 직면하였는 바, 이는 두루마리 형태의 원단이 공급되면서 점차 감김 상태의 원단이 풀려 중량이 감소되고, 이에 상기 감소되는 원단의 중량에 따라 그 공급이 성형기 내로 과공급되어 원단이 늘어나거나 울어서 양질의 제품을 성형(프레싱)하는데 적지 않은 관리가 필요하고, 과공급을 제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중량물을 두어 이를 방지하고 있으나, 이는 원단의 찢김 또는 끊김 등을 발생시켜 원활한 작업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등록 특허의 성형기는 최종 성형된 포장용기 제품이 단순히 보관함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것으로, 이는 정확한 수량의 파악이 곤란할 뿐더러 적층 수납 역시 정밀하지 별도의 작업자가 이를 다시 정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장치의 선단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원단의 공급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며 성형기 내부로 진행되도록 별도의 원단공급 조절장치가 형성되어 장치의 운전 중에 원단이 찢기거나 끊김 또는 과공급 등으로 인한 장치오류 내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성형기의 후단에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부설하여 성형된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에 따라 정확하게 적층된 후 배열된 상태로 후발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조와 베드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기본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롤링된 합성수지 원단을 다수개의 회전롤러(220)로 이송시키는 원단공급부(200)와; 상기 원단공급부(200)로부터 진행된 합성수지 원단을 임의 형태의 포장용기로 성형하도록 히터부(310)와 에어금형부(320)가 구비되는 성형부(300)와; 상기 성형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단이 포장용기로 성형되도록 일방향 진행을 도모하는 구동장치(410) 및 다수개의 이송롤러(420)가 부설되는 원단이송부(400)와; 상기 원단이송부(400)를 통해 원단에서 포장용기(성형원단)로 진행된 일 제품마다 절삭하여 수납함에 적재시키도록 형성되는 원단커팅부(500)와; 상기 성형부(300), 원단이송부(400), 원단커팅부(500)를 운영하고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8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하부 일측에 원단공급조절장치(210)가 부설되고, 원단커팅부(500)를 거쳐 배출된 포장용기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에 의해 설정된 수량에 따라 정렬된 후 컨베이어(70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원단공급조절장치(210)는 힌지(211-1)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며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211)와; 상기 스토퍼(211)의 일측 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스토퍼의 단락에 따라 접지 유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212)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로드(213-1)가 전후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213)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결합되어 스토퍼의 단락 유무에 따라 원단(10)에 밀착되어 공급되는 원단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링크(214) 및 브레이크(215)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는 복수의 받침판(610)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출된 포장용기를 안착한 후 하향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업다운스크류(620) 및 받침판(630)과; 상기 받침판에 적층된 포장용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로 적층되면 개폐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개폐도어(640) 및 개폐실린더(650)가; 구성되 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장치의 선단에 원단공급 조절장치를 부설하여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원단의 공급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며 성형기 내부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운전 중에 원단이 찢기거나 끊김 또는 과공급 등으로 인한 장치오류 내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성형기의 후단에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부설하여 성형된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에 따라 정확하게 적층된 후 배열된 상태로 후발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의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나타낸 요구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부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5 도 4의 타측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원단이 성형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포장용기를 성형하는 수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의 선단에 원단공급 조절장치를 부설하고, 후단에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부설하여 원활한 원단 공급과 함께 최종 성형된 포장용기 제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골조와 베드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기본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롤링된 합성수지 원단을 다수개의 회전롤러(220)로 이송시키는 원단공급부(200)와; 상기 원단공급부(200)로부터 진행된 합성수지 원단을 임의 형태의 포장용기로 성형하도록 히터부(310)와 에어금형부(320)가 구비되는 성형부(300)와; 상기 성형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단이 포장용기로 성형되도록 일방향 진행을 도모하는 구동장치(410) 및 다수개의 이송롤러(420)가 부설되는 원단이송부(400)와; 상기 원단이송부(400)를 통해 원단에서 포장용기(성형원단)로 진행된 일 제품마다 절삭하여 수납함에 적재시키도록 형성되는 원단커팅부(500)와; 상기 성형부(300), 원단이송부(400), 원단커팅부(500)를 운영하고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8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원단공급부(200)는 하부 일측에 원단공급조절장치(210)가 부설되고, 원단커팅부(500)를 거쳐 배출된 포장용기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에 의해 설정된 수량에 따라 정렬된 후 컨베이어(70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원단공급조절장치(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11-1)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며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211)와; 상기 스토퍼(211)의 일측 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스토퍼의 단락에 따라 접지 유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212)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로드(213-1)가 전후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213)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결합되어 스토퍼의 단락 유무에 따라 원단(10)에 밀착되어 공급되는 원단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링크(214) 및 브레이크(215)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최초 원단의 자유단이 스토퍼의 외측 선단을 아래에서 위로 감으면서 회전롤러에 끼워진 후 진행되도록 준비된다.
이후, 상기 원단은 성형기 내로 진행을 시작하면서 두루마리가 풀리게 되는데, 많이 감겨 있는 경우 그 진행 속도가 너무 빨라 원단의 공급 속도가 동시에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힌지를 기준으로 들어올려지면 감지센서와 맞닿게 되는데, 이때 감지센서는 접지 신호를 발생시켜 전기적으로 연결된 실린더에 해당 신호를 보내 로드를 당기도록 형성된다.
이때, 실린더 로드가 당겨지면 링크 역시 힌지에 의해 회전하면서 브레이크가 상향 회동하면서 원단의 하부에 밀착되어 과공급 즉,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원단 공급이 적정한 속도를 유지하게 되면 회전롤러측 원단이 아래로 쳐지게 되면서 스토퍼가 감지센서로부터 단락되도록 형성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는 복수의 받침판(610)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출된 포장용기를 안착한 후 하향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업다운스크류(620) 및 받침판(630)과; 상기 받침판에 적층된 포장용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로 적층되면 개폐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개폐도어(640) 및 개폐실린더(65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자동 배열식 트레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포장용기가 받침판에 놓여지고, 이와 동시에 배출된 포장용기는 별도의 체크 센서에 의해 설정된 수량 만큼 감지되면 업다운스크류를 통해 받침판이 하향 이송되며, 이때, 개폐도어는 힌지에 의해 개방되어 개구된 타측으로 포장용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 등록 제... 호의 이용발명으로서, 다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의 설명은 기 등록된 명세서 내용과 동일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성형부의 히터부(310)는 원단공급부(200)의 후발공정으로 형성되되 원단이 진행되는 방향 양단부 내측에 냉각수라인(311-1)이 형성되는 진행보조판(311)과; 상기 진행보조판(311)의 상방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소폭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진행되는 원단을 상부에서 1차가열하도록 가열판(312)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성형부의 에어금형부(320)는 상기 히터부(310)의 후발공정으로 형성되되 판 형태의 몸체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성형분사공(321-1)과, 상기 성형분사공(321-1)과 연통되도록 측벽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공급라인(321-2)이 구비되는 에어공급판(321)과; 상기 에어공급판(321)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하 이송되며 성형분사공(321-1)으로 하여금 임의 선택된 포장용기의 형태로 가공되도록 몸판 저면에 형성되는 성형홈(322-1)과, 상기 성형홈(322-1)과 대향되는 상면에 형성되어 원단을 2차가열하도록 형성되는 히터라인(322-2)과, 상기 몸판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이격용 통공(322-3)과, 상기 이격용 통공(322-3)의 저면에 형성되어 몸판 내측으로 단턱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홈(322-4)이 부설되는 주성형판(322)과; 상기 주성형판(322)의 가이드홈(322-4)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내부홈(323-1)과, 이격용 통공(322-3)과 동일 수직 선상으로 위치되어 가열 및 에어공급에 의해 성형된 원단이 주성형판(322)과 원활하게 이형되도록 체결공(323-2)이 구비되는 보조플레이트(323)와; 상기 주성형판의 이격용 통공(322-3)을 관통하며 보조플레이트의 체결공(323-2)에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형성되는 체결나사(324-1)와, 상기 체결나사(324-1)의 타측단에 걸림부(324-2)가 구비되는 가이드핀(324)과; 상기 주성형판의 이격용 통공(322-3) 하부와 보조플레이트의 체결공(324-2) 상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가이드핀(324)을 내측에 수용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텐션을 갖는 텐션스프링(325)과; 상기 주성형판(3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어부(800)로 하여금 설정된 압력으로 에어공급판(321)과 밀착되도록 프레스(326)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용기를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성형하도록 히터부(310)와 에어공급부(320)가 구비되는 성형부(300)를 본 발명 성형기에 부설하여 양질의 포장용기를 제작 성형하도록 크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 성형기는 베이스(100)와, 원단공급부(200)와, 성형부(300)와, 원단이송부(400)와, 원단커팅부(500), 제어부(8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는 골조와 베드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로써, 베드 상단에는 상술한 원단공급부(200), 성형부(300), 원단이송부(400) 및 원단커팅부(500)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일방향 성형라인을 이루도록 지지 몸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베이스(10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롤링된 합성수지 원단을 다수개의 회전롤러(220)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후술되는 원단이송부(400)에 의해 일방향 이송되는 원단을 평평하게 펼치도록 형성되어 성형부(300)에서 제품 성형시 원단이 울거나 굽혀지지 않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에, 상기 성형부(300)는 원단공급부(200)로부터 진행된 합성수지 원단을 임의 형태의 포장용기로 성형하도록 히터부(310)와 에어금형부(320)로 분할하여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히터부(310)는 진행보조판(311)과 가열판(31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진행보조판(311)은 원단공급부(200)의 후발공정으로 형성되되 원단이 진행되는 방향 양단부 내측에 냉각수라인(311-1)이 형성되어 상기 진행 중인 원단의 양단부가 가열에 의해 울지 않고 평평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판(312)은 진행보조판(311)의 상방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소폭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진행되는 원단을 상부에서 1차가열하도록 형성된다.
즉, 성형을 위해 진행되는 원단이 차츰 점진적으로 가열되도록 형성되어 후발공정인 에어금형부(320)에서는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소성 변형하도록 조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금형부(320)는 에어공급판(321)과, 주성형판(322)과, 보조플레이트(323)와, 가이드핀(324)과, 텐션스프링(325)과, 프레스(326)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에어공급판(321)은 판 형태의 몸체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성형분사공(321-1)과, 상기 성형분사공(321-1)과 연통되도록 측벽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공급라인(321-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판(321)은 에어라인이 흡기부와 배기부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흡기부는 에어공급판과 주성형판 및 보조플레이트가 밀착시 개방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동시에 배기부가 닫히도록 형성되고, 이후 설정된 시간동안 제품이 성형되면 에어공급판과 주성형판 및 보조플레이트가 분리되기 직전에 흡기부는 닫히고 배기부가 개방되어 에어가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성형판(322)은 에어공급판(321)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하 이송되며 성형분사공(321-1)으로 하여금 임의 선택된 포장용기의 형태로 가공되도록 몸판 저면에 형성되는 성형홈(322-1)과, 상기 성형홈(322-1)과 대향되는 상면에 형성되어 원단을 2차가열하도록 형성되는 히터라인(322-2)과, 상기 몸판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이격용 통공(322-3)과, 상기 이격용 통공(322-3)의 저면에 형성되어 몸판 내측으로 단턱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홈(322-4)이 부설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플레이트(323)은 주성형판(322)의 가이드홈(322-4)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내부홈(323-1)과, 이격용 통공(322-3)과 동일 수직 선상으로 위치되어 가열 및 에어공급에 의해 성형된 원단이 주성형판(322)과 원활하게 이형되도록 체결공(323-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가이드핀(324)는 주성형판의 이격용 통공(322-3)을 관통하며 보조플레이트의 체결공(323-2)에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형성되는 체결나사(324-1)와, 상기 체결나사(324-1)의 타측단에 걸림부(324-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텐션스프링(325)은 주성형판의 이격용 통공(322-3) 하부와 보조플레이트의 체결공(324-2) 상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가이드핀(324)을 내측에 수용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텐션을 갖게 된다.
이에, 상기 프레스(326)은 주성형판(3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어부(800)로 하여금 설정된 압력으로 에어공급판(321)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원단이송부(400)는 성형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단이 포장용기로 성형되도록 일방향 진행을 도모하는 구동장치(410) 및 다수개의 이송롤 러(42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는 양단부에 설치되되 원단을 상하방향에서 물리도록 형성된 이송롤러는 일측단에만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단순히 하부에서 지지보조만 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원단의 틀어짐 없이 일방향 진행을 보다 정밀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원단커팅부(600)는 원단이송부(400)를 통해 원단에서 포장용기(성형원단)로 진행된 일 제품마다 절삭하여 수납함에 적재시키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0)는 성형부(300), 원단이송부(400), 원단커팅부(500)를 운전하고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800)는 성형부의 히터부에 있어서, 가열온도 조절 및 에어금형부의 에어공급라인에 압력을 조절하고 원단이송부의 이송롤러의 속도를 제어하는 한편, 원단커팅부의 절삭 속도를 유기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의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나타낸 요구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부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5 도 4의 타측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원단이 성형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포장용기를 성형하는 수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베이스 200 ... 원단공급부
210 ... 회전롤러 300 ... 성형부
310 ... 히터부 311 ... 진행보조판
311-1 ... 냉각수라인 312 ... 가열판
320 ... 에어금형부 321 ... 에어공급판
321-1 ... 성형분사공 312-2 ... 에어공급라인
322 ... 주성형판 322-1 ... 성형홈
322-2 ... 히터라인 322-3 ... 이격용 통공
322-4 ... 가이드홈 323 ... 보조플레이트
323-1 ... 내부홈 323-2 ... 체결공
324 ... 가이드핀 324-1 ... 체결나사
324-2 ... 걸림부 325 ... 텐션스프링
326 ... 프레스 400 ... 원단이송부
410 ... 구동장치 420 ... 이송롤러
500 ... 원단커팅부 800 ... 제어부

Claims (3)

  1. 삭제
  2. 골조와 베드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기본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롤링된 합성수지 원단을 다수개의 회전롤러(220)로 이송시키는 원단공급부(200)와; 상기 원단공급부(200)로부터 진행된 합성수지 원단을 임의 형태의 포장용기로 성형하도록 히터부(310)와 에어금형부(320)가 구비되는 성형부(300)와; 상기 성형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단이 포장용기로 성형되도록 일방향 진행을 도모하는 구동장치(410) 및 다수개의 이송롤러(420)가 부설되는 원단이송부(400)와; 상기 원단이송부(400)를 통해 원단에서 포장용기(성형원단)로 진행된 일 제품마다 절삭하여 수납함에 적재시키도록 형성되는 원단커팅부(500)와; 상기 성형부(300), 원단이송부(400), 원단커팅부(500)를 운영하고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8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하부 일측에 원단공급조절장치(210)가 부설되고, 원단커팅부(500)를 거쳐 배출된 포장용기는 별도의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에 의해 설정된 수량에 따라 정렬된 후 컨베이어(700)에 의해 후발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원단공급조절장치(210)는 힌지(211-1)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며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211)와; 상기 스토퍼(211)의 일측 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스토퍼의 단락에 따라 접지 유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212)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로드(213-1)가 전후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213)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결합되어 스토퍼의 단락 유무에 따라 원단(10)에 밀착되어 공급되는 원단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링크(214) 및 브레이크(215)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배열식 트레이(600)는
    복수의 받침판(610)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출된 포장용기를 안착한 후 하향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업다운스크류(620) 및 받침판(630)과;
    상기 받침판에 적층된 포장용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포장용기가 설정된 개수로 적층되면 개폐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개폐도어(640) 및 개폐실린더(65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KR1020090098583A 2009-10-16 2009-10-16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KR10108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83A KR101080251B1 (ko) 2009-10-16 2009-10-16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83A KR101080251B1 (ko) 2009-10-16 2009-10-16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53A KR20110041653A (ko) 2011-04-22
KR101080251B1 true KR101080251B1 (ko) 2011-11-08

Family

ID=4404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583A KR101080251B1 (ko) 2009-10-16 2009-10-16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2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34B1 (ko) * 2013-07-12 2015-01-27 주식회사 큐도테크 제품보호용 포장 봉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0680A (ko) *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젠티스 직물재 제조장치
KR101974181B1 (ko) * 2018-10-17 2019-04-30 정만 일회용 플라스틱 컵 제조장치
KR102559742B1 (ko) * 2022-02-10 2023-07-26 에이스팩(주) 친환경 상품 포장용 트레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4671A (zh) * 2021-05-19 2021-09-03 烟台吉兴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后搁板生产线上的自动铺面料机构
KR102638558B1 (ko) * 2021-10-18 2024-02-20 주식회사 아이테크 홀로그램 연출이 가능한 광원반사체 원단의 제조장치
KR102377004B1 (ko) *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청하머그리드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리드가공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07B1 (ko) * 2007-07-02 2007-12-03 박수구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07B1 (ko) * 2007-07-02 2007-12-03 박수구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34B1 (ko) * 2013-07-12 2015-01-27 주식회사 큐도테크 제품보호용 포장 봉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0680A (ko) *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젠티스 직물재 제조장치
KR101656704B1 (ko) * 2015-02-16 2016-09-12 주식회사 젠티스 직물재 제조장치
KR101974181B1 (ko) * 2018-10-17 2019-04-30 정만 일회용 플라스틱 컵 제조장치
KR102559742B1 (ko) * 2022-02-10 2023-07-26 에이스팩(주) 친환경 상품 포장용 트레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53A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251B1 (ko) 원단공급 조절장치와 자동 배열식 트레이를 갖는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CN105966691B (zh) 一种自动化药盒包装线
CN107848131A (zh) 用于执行印刷产品的敞开的开本缘边的切割作业的机构以及方法
CN107323777A (zh) 一种自动上料贴标装置
US20130078334A1 (en) Plate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lastic material flanged hollow article
NO831172L (no) Apparat og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ovnbearbeidbare papirplateartikler
KR101662248B1 (ko)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ATE398075T1 (de)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gegenständen in schachteln
KR100781607B1 (ko) 포장용기 가공용 성형기
DE602006015425D1 (de) Maschine zum füllen kastenartiger behälter mit nebeneinander und vertikal angeordneten artikeln
JP2005138438A (ja) 成形機その他加工機における成形品取出し装置
US2009828A (en) Process of opening cases from the flat, and apparatus therefor
JP4236736B2 (ja) 箱詰め方法及び箱詰め装置
CN204280019U (zh) 泛用包装机
US20100126901A1 (en) Thermofrom a tray insitu with an article
JP2002249225A (ja) ワークの段積み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段積み方法
KR20100006509A (ko) 약병의 비닐삽입장치
KR100189467B1 (ko) 포장용 브리스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5572985U (zh) 一种塑料瓶自动成型液体灌装机
CN1058221C (zh) 专用于由热成型片材得到的中空制品的弯边装置
CN214821282U (zh) 一种瓦楞纸箱快速订合装置
CN219155697U (zh) 一种保健食品生产用高速自动理瓶机
KR20100135512A (ko) 골판지의 급지장치
EP2380811B1 (en) Packaging machine
CN208375782U (zh) 一种与注塑机联机生产的自动供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