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547B1 -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1547B1 KR101711547B1 KR1020160159692A KR20160159692A KR101711547B1 KR 101711547 B1 KR101711547 B1 KR 101711547B1 KR 1020160159692 A KR1020160159692 A KR 1020160159692A KR 20160159692 A KR20160159692 A KR 20160159692A KR 101711547 B1 KR101711547 B1 KR 1017115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roller
- guide
- main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6—Braked elements rotated by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6—Toothed gearings worm gea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는 메인원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를 포함하는 메인원단공급부; 코디원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를 포함하는 코디원단공급부; 상기 메인원단공급부와 코디원단공급부 사이에 형성된 솜공급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확포부(A) 및 제1확포부(A')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이 놓여지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10);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의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진행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0); 안내부에서 진행되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평편하게 당겨주는 제1확포장치(30A); 제1확포장치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장치(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포부(B) 및 제2확포부(B')는 제1확포부(A)(A')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제거하는 제1확포용롤러(50B); 제1확포용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51B); 제1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다시 한번 펴주는 제2확포용롤러(52B); 제2확포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평편하게 당겨주는 제2확포장치(53B);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포용롤러(50B)와 제1가이드롤러(51B) 및 제2확포용롤러(52B)가 고정되어 있는 제1프레임(60a)은 제2프레임(60b)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3확포부(C) 및 제3확포부(C')는 제2확포부(B)(B')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70C); 제2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펴주는 제3확포용롤러(71C); 제3확포용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72C); 제3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당겨주는 제3확포장치(73C);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70C)와 제3확포용롤러(71C) 및 제3가이드롤러(72C)가 고정되어 있는 제4프레임(75)은 제2프레임(60b)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 두 장의 원단과 그 사이에 구비되는 솜 또는 스펀지를 누비기계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원단이 권취롤러에 롤링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메인원단과 코디원단이 회전롤러와 확포용롤러 등에 의하여 주름이 없이 평편한 상태로 누비기계의 정방향으로 자동으로 공급되고, 원단이 한방향으로 치우치는 경우 원단의 공급방향을 센서에 의하여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누비기계란 중간에 스펀지나 솜 등을 게재시키고, 그 상부와 하부에 원단을 덮어 이들이 일체화되도록 박음질하여, 주로 이불이나, 요, 카페트 등의 침구류로 사용되는 누비원단을 생산하는 기계를 말한다.
종래에는 이송로울러로 원단을 일방향으로 이송하여 누비기계의 누비부에서 누비작업을 실시할 때 누비부분의 직물지에 미세한 주름이 생기거나 접혀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작업자가 지켜 서서 원단을 잡고 적당히 당겨, 일일이 주름이나 접혀진 부분을 펴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작업자가 단순히 눈대중으로 하는 것이어서, 누비기계의 정방향으로 일정하게 원단이 공급되지 않아, 수시로 작업을 중지하고 원단공급방향을 수정하여야 하므로, 누비작업의 능률이 상당히 저하되는 결점이 있어, 정확하고 확실한 누비작업을 실시할 수가 없었으며 인력의 낭비도 초래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누비기계로 원단을 공급할 때 원단을 권취롤러에 롤링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비기계에 공급되는 원단을 작업자가 잡아주지 않아도, 메인원단과 코디원단이 주름이 없이 평편한 상태로 누비기계의 정방향으로 자동으로 공급되어, 작업인원을 줄이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또한, 권취롤러의 사용을 생략하고, 누비기계로 공급되는 원단의 공급방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센서에 의하여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는 메인원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확포부, 제2확포부, 제3확포부를 포함하는 메인원단공급부; 코디원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확포부, 제2확포부, 제3확포부를 포함하는 코디원단공급부; 상기 메인원단공급부와 코디원단공급부 사이에 형성된 솜공급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확포부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이 놓여지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의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진행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 안내부에서 진행되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평편하게 당겨주는 제1확포장치; 제1확포장치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포부는 제1확포부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제거하는 제1확포용롤러; 제1확포용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 제1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다시 한번 펴주는 제2확포용롤러; 제2확포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평편하게 당겨주는 제2확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포용롤러와 제1가이드롤러 및 제2확포용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제1프레임은 제2프레임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3확포부는 제2확포부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 제2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펴주는 제3확포용롤러; 제3확포용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 제3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당겨주는 제3확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와 제3확포용롤러 및 제3가이드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제4프레임은 제2프레임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확포장치와 제2확포장치 및 제3확포장치는 당김장치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당김장치는; 본체의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롤러와; 본체의 프레임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한 하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공급판;가이드부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내봉; 공급판의 아래로 돌출된 브라켓에 고정된 에어실린더 로드; 에어실린더 본체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와 연동하여 에어실린더가 공급판과 제1프레임 및 제4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확포용롤러, 제2확포용롤러, 제3확포용롤러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안내편이 구비되고; 상기 나선형안내편은 중앙부로부터 양단부 쪽으로 감겨진 형태를 하면서, 중앙부에서 양단부 쪽으로 경사진, 대칭적 경사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력장치는 제1장력봉과 제2장력봉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편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결합편에는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며, 각도조절장치는 핸들에 고정된 스핀들이 제1고정부에 내삽된 베어링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스핀들의 타단에는 웜이 형성되되; 상기 웜은 결합편에 돌출된 축의 끝단에 구비된 웜기어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단이 권취롤러에 롤링되어 있지 않고, 작업자가 원단을 잡아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메인원단과 코디원단이 평편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단의 공급방향도 신속하게 수정된 상태로 누비기계의 정방향으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메인원단거치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3은 안내부의 사시도
도4는 확포장치의 일측 사시도
도5은 장력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6는 제1확포용롤러의 사시도이다
도7은 가이드레일의 확대도
도8은 프레임과 가이드레일이 결합도
도9는 인출롤러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메인원단거치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3은 안내부의 사시도
도4는 확포장치의 일측 사시도
도5은 장력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6는 제1확포용롤러의 사시도이다
도7은 가이드레일의 확대도
도8은 프레임과 가이드레일이 결합도
도9는 인출롤러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는 프레임이 적층된 형상을 하고 있는데, 상기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는 메인원단공급부, 솜공급부, 코디원단공급부로 대별된다.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의 제일 위쪽에는 메인원단공급부가 구비되고, 제일 아래쪽에는 코디원단공급부가 구비되며, 메인원단공급부와 코디원단공급부 사이에는 솜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원단공급부에서 확포된 메인원단과 솜공급부에서 공급된 솜, 그리고 코디원단공급부에서 확포된 코디원단은 누비기계에서 합쳐서 누비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원단공급부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코디원단공급부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로 나누어져 있으며, 코디원단공급부의 각 확포부는 메인원단공급부의 각 확포부와 구성이 동일하다.
제1확포부(A)는 메인원단거치대(10), 안내부(20), 제1확포장치(30A), 장력장치(40)로 구별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메인원단거치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메인원단거치대(10)는 지지판(11)과, 지지판(11)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봉(12)이 구비되어 있어, 공급판(13)의 아래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15)가 안내봉(12)과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11)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실린더(14)의 로드(16)가 공급판(13)의 아래로 돌출된 브라켓(17)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14)는 제어부에 의하여 후술하는 제1확포장치(30A)의 당김장치(31)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S)와 연동한다.
상기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공급판(13)에 메인원단이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메인원단은 후술하는 안내부(20)로 공급되며, 안내부(20)를 통과한 메인원단은 제1확포장치(30A)로 진행되고, 제1확포장치(30A)에 형성된 센서(S)에서 메인원단의 공급방향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메인원단거치대(1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14)의 로드(16)를 밀거나 당겨서, 가이드부(15)를 안내봉(12) 위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서, 결국 가이드부(15)와 고정되어 있는 공급판(13)이 좌우로 이동되어 안내부(20)의 가이드롤러(21a)(21b)로 공급되는 원단의 공급방향을 수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3은 안내부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0)는 가이드롤러(21a)(21b)와 상기 가이드롤러(21a)(21b)의 중간 아래쪽에 형성된 안내바(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1a)(21b)는 메인원단거치대(10)의 공급판(13)에서 공급되는 메인원단을 안내하면서 메인원단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측면 브라켓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안내바(22)는 측면 브라켓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메인원단은 가이드롤러(21a)의 상면을 감고 돌아 안내봉(22)의 아래쪽을 감으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롤러(21b)에 감겨, 메인원단을 안내하면서, 메인원단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한다.
즉 가이드롤러(21a)(21b)와 안내바(22)를 메인원단이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적절한 장력이 부여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바(22)에는 안내펀(23)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메인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진행되도록 안내한다.
도4는 제1확포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다.
제1확포장치(30A)는 당김장치(31)와 센서(S)로 구별된다.
당김장치는 각각 본체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일측단에 형성된 당김장치(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롤러(32a)와 본체의 프레임에 힌지(33)로 결합되어 힌지(33)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한 하부롤러(32b)로 형성되고,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 일측 끝단에 형성된 축 사이는 스프링(34)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는 메인원단의 진행방향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의 당김장치(31)와 동일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체 프레임의 양단에 당김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롤러(32a)는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고, 하부롤러(32b)는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S)는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가 결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메인원단은 안내부(20)의 가이드롤러(21a)(21b)를 통과한 후 제1확포장치(30A)의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는 메인원단의 진행방향과 예각을 형성하고 있어, 메인원단을 폭방향으로 당겨주는 장력을 가하여 긴장감을 주는 것이어서, 메인원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주름을 평편하게 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인원단이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의 일측 방향으로 벗어나 치우치게 되면, 센서(S)에 감지되고, 제어부는 감지된 신호와 연동하여 메인원단거치대(1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14)의 로드(16)를 작동시켜, 공급판(13)을 메인원단이 치우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공급판(13)에서 가이드롤러(21a)(21b)로 공급되는 메인원단의 공급방향이 수정되어, 메인원단이 제1확포장치(30A)의 상부롤러(32a)와 하부롤러(32b)의 일측 방향으로 벗어난 것을 원래의 진행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수정한다.
도5은 장력장치(4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장치(40)는 제1장력봉(41)과 제2장력봉(4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제1장력봉(41)과 제2장력봉(42)은 간격을 두고 결합편(43)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43)은 후술하는 각도조절장치(44)에 형성된 축(44e)과 고정되어 있어, 각도조절장치(44)에 의하여 제1장력봉(41)과 제2장력봉(42)이 형성하는 각도를 가변시킨다.
각도조절장치(44)는 핸들(44a)에 고정된 스핀들(44c)이 제1고정부(44b)에 내삽된 베어링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스핀들(44c)의 타단에는 웜(44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43)에는 축(44e)이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축(44e)은 제2고정부(44f)에 내삽된 베어링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축(44e)의 끝단에는 웜기어(45d)가 구비되어 상기 웜(44g)와 치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제1장력봉(41)과 제2장력봉(42)에 감겨져 있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장력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야 하는데, 제1,2장력봉(41)(42)을 일정한 각도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각도조절장치(44)의 핸들(44a)을 돌리면 핸들(44a)에 고정되어 있는 스핀들(44c)이 회전하고, 스핀들(44c)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웜(44g)과 치합되어 있는 웜기어(45d)가 스핀들(44c)의 회전운동을 직각방향으로 변환시켜 결합편(43)을 회전시키는 것이어서, 결국 결합편(43)에 고정된 제1장력봉(41)과 제2장력봉(42)의 각도가 변환되어 원단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2확포부(B)는 제1확포용롤러(50B), 제1가이드롤러(51B), 제2확포용롤러(52B), 제2확포장치(53B)로 구별된다.
도6는 제1확포용롤러(50B)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확포용롤러(50B)는 원주외면에 나선형 안내편(50a)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M)로 구동된다.
상기 나선형 안내편(50a)은 중앙부로부터 양단부 쪽으로 감겨진 형태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에서 양단부 쪽으로 경사진, 대칭적 경사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제1확포용롤러(50B)는 제1확포용롤러(50B)를 감으면서 진행하는 메인원단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가면서 경사구조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편(50a)은 메인원단을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밀어내는 기능을 하여 주름진 원단을 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1B)는 상기 제1확포부(A)의 가이드롤러(21a)(21b)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제1가이드롤러(51B)는 측면 브라켓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며,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메인원단을 안내하면서 메인원단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제2확포용롤러(52B)는 상기 제1확포용롤러(50B)와 구성이 동일하고, 제2확포장치(53B)는 제1확포부(A)의 제1확포장치(30A)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를 생략한다.
도7은 가이드레일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예인 상기 제2확포부(B)에서 특징이 되는 구성은 제1확포용롤러(50B), 제1가이드롤러(51B), 제2확포용롤러(52B)가 제1프레임(60a)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프레임(60a)의 하단에는 가이드부(62a)가 형성되어 있어, 제2프레임(60b)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1a)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프레임(60a)은 에어실린더(도시를 생략함)와 연동되어 있어, 에어실린더의 로드로 제1프레임(60a)을 밀거나 당겨서 제1프레임(60a)을 제2프레임(60b)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2확포장치(53B)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와 연동한다.
상기 제2확포장치(53B)는 제1확포부(A)에 있는 제1확포장치(30A)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제1확포부(A)에서 진행되는 메인원단은 제1확포용롤러(50B)에서 주름이 펴지면서, 제2확포부(B)의 제1가이드롤러(51B)를 거쳐 제2확포용롤러(52B)에서 다시 주름이 펴지게 되고, 제2확포장치(53B)로 진행되어, 메인원단을 폭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는데, 이때 메인원단이 제2확포장치(53B)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일측 방향으로 벗어나 치우치게 되면, 제2확포장치(53B)에 구비된 센서(S)에 감지되고, 제어부는 감지된 신호와 연동하여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작동시켜, 제1프레임(60a)를 밀거나 당겨서 메인원단이 제1,2확포용롤러(50A)(52B) 및 가이드롤러(51B)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수정하는 것이다.
즉 제1프레임(60a)에 고정되어 있는 제1확포용롤러(50B), 제1가이드롤러(51B), 제2확포용롤러(52B)가 일체로 좌,우로 이동되어 메인원단의 진행방향을 수정한다.
제3확포부(C)는 제2가이드롤러(70C), 제3확포용롤러(71C), 제3가이드롤러(72C) 제3확포장치(73C)로 구별된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70C)와 제3가이드롤러(72C)는 제1가이드롤러(51B)와 구성이 동일하고, 제3확포용롤러(71C)는 제2확포용롤러(52B)와 구성이 동일하며, 제3확포장치(73C)도 제2확포장치(53B)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도8은 프레임과 가이드레일이 결합도이다.
본 실시 예인 제3확포부(C)에서 특징이 되는 구성은 제2가이드롤러(70C), 제3확포용롤러(71C), 제3가이드롤러(72C)가 모두 제4프레임(75)에 고정되어 있고, 제4프레임(75)의 하측 양단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어, 제2프레임(60b)의 상단에 형성된 제3,4가이드레일(74C)(74C')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4프레임(75)은 에어실린더(도시를 생략함)와 연동되어 있어, 에어실린더의 로드로 제4프레임(75)을 밀거나 당겨서 제4프레임(75)을 제2프레임(60b)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3확포장치(73C)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와 연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제2확포부(B)에서 진행되는 메인원단은 제3확포부(C)의 제2가이드롤러(70C)를 거쳐 제3확포용롤러(71C)에서 다시 주름이 펴지게 되고, 제3가이드롤러(72C)로 진행된다.
이때 메인원단이 제3확포장치(73C)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일측 방향으로 벗어나 치우치게 되면, 센서(S)에 감지되고, 제어부는 감지된 신호와 연동하여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작동시켜, 제4프레임(75)을 밀거나 당겨서 메인원단이 제2가이드롤러(70C), 제3확포용롤러(71C),제3가이드롤러(72C)의 일측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수정하게 된다.
즉 제4프레임(75)에 고정되어 있는 제2가이드롤러(70C), 제3확포용롤러(71C), 제3가이드롤러(72C)가 일체로 좌,우로 이동되어 메인원단의 진행방향을 수정한다.
도9은 인출롤러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롤러(80)는 상부인출롤러(80a)와 하부인출롤러(80b)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인출롤러(80a)와 하부인출롤러(80b)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부인출롤러(80a)와 하부인출롤러(80b)의 사이로 진행되는 메인원단을 누비기계로 공급한다.
상기 인출롤러(80)는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코디원단공급부는 메인원단공급부와 위치만 상이할 뿐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즉 코디원단공급부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로 나누어져 있으며, 코디원단공급부의 각 확포부는 메인원단공급부의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러한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는 원단을 누비기계로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원단을 권취롤러에 롤링을 하지 않아도 원단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동으로 누비기계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어서, 누비원단을 작업자가 잡아줄 필요가 없어, 인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비원단이 이어 붙여 있어도, 누비원단의 공급방향이 자동으로 수정되어, 누비기계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정방향으로 공급되어, 누비기계에서의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A,A'; 제1확포부 B,B'; 제2확포부 C,C'; 제3확포부 10; 메인원단거치대 12; 안내봉 13; 공급판 14; 에어실린더 15; 가이드부 20; 안내부 30A; 제1확포장치, 31; 당김장치 32a; 상부롤러 32b; 하부롤러 40; 장력장치 41; 제1장력봉 42; 제2장력봉 43; 결합편 44; 각도조절장치 44a; 핸들 44b; 제1고정부 44c: 스핀들 44g; 웜 45d; 웜기어 50B; 제1확포용롤러 50a; 나선형안내편 51B; 제1가이드롤러 53B; 제2확포장치 60a; 제1프레임 60b; 제2프레임 70C;제2가이드롤러 71C; 제3확포용롤러 72C; 제3가이드롤러 73C; 제3확포장치 80; 인출롤러 S; 센서
Claims (5)
- 메인원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를 포함하는 메인원단공급부;
코디원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확포부(A'), 제2확포부(B'), 제3확포부(C')를 포함하는 코디원단공급부;
상기 메인원단공급부와 코디원단공급부 사이에 형성된 솜공급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확포부(A) 및 제1확포부(A')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이 놓여지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10);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의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진행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0);
안내부에서 진행되는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평편하게 당겨주는 제1확포장치(30A);
제1확포장치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장치(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포부(B) 및 제2확포부(B')는
제1확포부(A)(A')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제거하는 제1확포용롤러(50B);
제1확포용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51B);
제1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다시 한번 펴주는 제2확포용롤러(52B);
제2확포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평편하게 당겨주는 제2확포장치(53B);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포용롤러(50B)와 제1가이드롤러(51B) 및 제2확포용롤러(52B)가 고정되어 있는 제1프레임(60a)은 제2프레임(60b)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3확포부(C) 및 제3확포부(C')는
제2확포부(B)(B')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70C);
제2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의 주름을 펴주는 제3확포용롤러(71C);
제3확포용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72C);
제3가이드롤러에서 진행된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을 당겨주는 제3확포장치(73C);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70C)와 제3확포용롤러(71C) 및 제3가이드롤러(72C)가 고정되어 있는 제4프레임(75)은 제2프레임(60b)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포장치(30A)와 제2확포장치(53B) 및 제3확포장치(73C)는 당김장치(31)와 센서(S)를 포함하되;
상기 당김장치(31)는;
본체의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롤러(32a)와;
본체의 프레임에 힌지(33)로 결합되어 힌지(33)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한 하부롤러(32b)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s)는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원단 및 코디원단거치대(10)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된 공급판(13);
가이드부(15)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내봉(12);
공급판(13)의 아래로 돌출된 브라켓(17)에 고정된 에어실린더(14) 로드;
에어실린더(14) 본체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S)에서 감지된 신호와 연동하여 에어실린더가 공급판(13)과 제1프레임(60a) 및 제4프레임(75)을 밀거나 당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포용롤러(50B), 제2확포용롤러(52B), 제3확포용롤러(71C)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안내편(50a)이 구비되고;
상기 나선형안내편(50a)은 중앙부로부터 양단부 쪽으로 감겨진 형태를 하면서, 중앙부에서 양단부 쪽으로 경사진, 대칭적 경사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장치(40)는 제1장력봉(41)과 제2장력봉(4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편(43)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결합편(43)에는 각도조절장치(4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44)는
핸들(44a)에 고정된 스핀들(44c)이 제1고정부(44b)에 내삽된 베어링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스핀들(44c)의 타단에는 웜(44g)이 형성되되;
상기 웜(44g)은 결합편(43)에 돌출된 축(44e)의 끝단에 구비된 웜기어(45d)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692A KR101711547B1 (ko) | 2016-11-28 | 2016-11-28 |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692A KR101711547B1 (ko) | 2016-11-28 | 2016-11-28 |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1547B1 true KR101711547B1 (ko) | 2017-03-02 |
Family
ID=5842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692A KR101711547B1 (ko) | 2016-11-28 | 2016-11-28 |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154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9723A (ko) * | 2018-04-13 | 2019-10-23 | 손평우 | 개별 장력 조절기능을 갖는 치간 칫솔용 나일론 원사 공급장치 |
KR102296401B1 (ko) * | 2021-03-10 | 2021-09-01 | 한주연 | 누비기용 원단 자동정렬 공급장치 |
KR102387453B1 (ko) * | 2021-07-26 | 2022-04-14 | 김명환 | 누빔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3430B1 (ko) | 2007-02-22 | 2007-08-31 | 한정철 | 기능성 누비침구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누비침구 |
KR101274776B1 (ko) * | 2013-01-21 | 2013-06-21 | (주)유니크라미 | 섬유원단의 주름 방지용 확포장치 |
KR101535953B1 (ko) * | 2013-12-19 | 2015-07-10 | 이태형 | Led를 이용한 컵 양초 및 그 제조방법 |
KR101554909B1 (ko) * | 2015-03-13 | 2015-09-22 | 이상원 | 필름 부착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는 장치 |
-
2016
- 2016-11-28 KR KR1020160159692A patent/KR1017115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3430B1 (ko) | 2007-02-22 | 2007-08-31 | 한정철 | 기능성 누비침구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누비침구 |
KR101274776B1 (ko) * | 2013-01-21 | 2013-06-21 | (주)유니크라미 | 섬유원단의 주름 방지용 확포장치 |
KR101535953B1 (ko) * | 2013-12-19 | 2015-07-10 | 이태형 | Led를 이용한 컵 양초 및 그 제조방법 |
KR101554909B1 (ko) * | 2015-03-13 | 2015-09-22 | 이상원 | 필름 부착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는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9723A (ko) * | 2018-04-13 | 2019-10-23 | 손평우 | 개별 장력 조절기능을 갖는 치간 칫솔용 나일론 원사 공급장치 |
KR102095637B1 (ko) * | 2018-04-13 | 2020-03-31 | 손평우 | 개별 장력 조절기능을 갖는 치간 칫솔용 나일론 원사 공급장치 |
KR102296401B1 (ko) * | 2021-03-10 | 2021-09-01 | 한주연 | 누비기용 원단 자동정렬 공급장치 |
KR102387453B1 (ko) * | 2021-07-26 | 2022-04-14 | 김명환 | 누빔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0473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extile material webs, particularly for manufacturing quilts and the like | |
US6196147B1 (en) | Folding and sewing apparatus | |
KR101711547B1 (ko) |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 |
US5383410A (en) | Automatic apparatus for hemming a tubular workpiece | |
US7984682B2 (en) |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large-area sewing material | |
US2001002043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raperies | |
US5775191A (en) | Folding and sewing apparatus | |
CN114808289B (zh) | 一种床上用品绗缝机 | |
US4893574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illowcases | |
US232101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abrics | |
US2198345A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fasteners | |
JPH0428653A (ja) | 自動裁断装置等における布地供給機構 | |
US5704304A (en) | Level lining apparatus and method | |
US6209469B1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pillow shams | |
CA2712927C (en) | Panel quilt machine with feeder providing reduced downtime | |
US2339179A (en) | Apparatus for making corded-edged textiles | |
US6732669B2 (en) | Machine and method for closing and stitching final edge of filled quilt cover | |
KR101656704B1 (ko) | 직물재 제조장치 | |
CN220283044U (zh) | 输送机构及输送系统 | |
CN220335438U (zh) | 拉布机构及用于物料缝合装置的拉布系统 | |
CN220335439U (zh) | 缝合装置 | |
JP2001341905A (ja) | シート巻取装置 | |
JP2734158B2 (ja) | ミシンのためのテープ送り装置 | |
JPS59111785A (ja) | 羽毛布団用団袋のキルティング縫製装置 | |
EP0839615B1 (en) | Apparatus for making preset-size fabric cloth articles, without generating structural stress in the fabric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