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551A -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551A
KR20160100551A KR1020150023107A KR20150023107A KR20160100551A KR 20160100551 A KR20160100551 A KR 20160100551A KR 1020150023107 A KR1020150023107 A KR 1020150023107A KR 20150023107 A KR20150023107 A KR 20150023107A KR 20160100551 A KR20160100551 A KR 2016010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ng
fusing members
members
wrapping paper
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5002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551A/ko
Publication of KR2016010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4Forming flat bags from webs
    • B65B43/06Forming flat bags from webs from more than on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실링장치는 포장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포장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포장지가 중첩되어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실링장치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 및 상기 지지대 상측에 상호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장지의 길이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가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A SEALING APPARATUS FOR AUTOMATIC MEDICINE DISTRIBUTING AND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융착부재의 교체 없이 약제가 내장된 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는 병원의 처방에 따라 여러 가지의 의약품들을 혼합하여 1회 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실링장치는 의약품을 연속적으로 포장용지상에 공급하여 포장용지의 소정부위를 가열 용융시켜 약제가 내장된 팩(pack)을 연속해서 제작한다.
이러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지(S)를 공급롤(R)로부터 권출하여 이송시키면서 프린터(P)에 의해 처방정보, 환자정보, 복약정보 등을 인쇄하고 삼각판(F)에 의해 그 폭이 반으로 접히면서 약제(M)가 투입되면 실링장치(A)에 의해 융착되어 약제(M)를 포장한다. 약제(M)는 다수의 카세트(C)에 각 종류별로 수용되고 처방전에 따라 해당 약제가 배출되어 호퍼(H)에 포집된 후 호퍼(H)를 개방시키는 셔터(T)가 개방되면서 포장지(S)로 투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실링장치(A)는 약제의 개수가 많거나 적거나 약포가 동일한 크기로 포장됨에 따라 약제의 개수가 많으면 약포가 불량상태로 포장되고, 약제의 개수가 적으면 포장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약제의 개수에 따라 약포의 크기를 조절하여 포장할 수 있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장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포장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포장지가 중첩되어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실링장치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 및 상기 지지대 상측에 상호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장지의 길이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가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3 융착부재는 가상의 제1 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제4 융착부재는 가상의 제2 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는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에 각각 결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의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에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일면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는 상기 각각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는 상기 각각의 일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수용홈은 상기 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는 각각,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으로 상기 포장지와 접촉하는 융착면; 및 상기 융착면을 따라 결합된 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는 각각,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포장지의 중첩된 두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는 융착면을 각각 포함하는 원형 융착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로부터 분리 시, 관성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회전방지부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로부터 분리 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에 결합된 기어의 일면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과의 마찰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로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동력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제어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를 각각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제어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축을 따라 왕복 구동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 동력을 인가하는 링크부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로 포장지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융착하는 융착부재들이 선택적으로 연동되거나 분리되도록 하여 약포의 폭방향 융착부의 융착간격을 조절하면서 처방된 약제의 부피에 맞게 약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방향 융착부재와 폭방향 융착부재가 연동되어 작동됨에 따라 그 구성이 간단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실링장치에서 포장지가 융착되는 과정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에서 도시된 제1 커터가 장착된 제1 융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에서 도시된 제2 융착부재와 제2 융착부재로부터 분리된 제2 커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에서 도시된 제3 융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2에서 도시된 제4 융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도시된 제1 융착부재와 결합하는 제3 융착부재의 일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장치에 의해 포장되는 약제 포장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내지 제4 융착부재가 가상의 제1 및 제2 축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서 도시된 회전방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융착부재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융착부재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서 도시된 링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실링장치에서 포장지가 융착되는 과정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10)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됨에 따라,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절취선(L)을 포함하는 포장지(S)의 폭방향 융착부(W)를 형성하고 제 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포장지의 길이방향 융착부(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링장치(10)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 피딩롤러(60), 동력제어부재(70) 및 지지대(80)를 포함한다.
도 4a는 도 2에서 도시된 제1 커터(32a)가 장착된 제1 융착부재(30a)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2에서 도시된 제2 융착부재(30b)와 제2 융착부재(30b)로부터 분리된 제2 커터(32b)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융착부재(30a)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34a), 한 쌍의 제1 융착면(39a'), 포장지(S)와 접촉하지 않는 한 쌍의 제1 비접촉면(39a"), 한 쌍의 제1 커터(32a), 한 쌍의 제1 커터수용홈(31a), 제1 회전지지부(35a), 제1 결합축(I1), 제1 중공(H1) 및 히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34a)는 제1 융착부재(30a)의 일단으로부터 가상의 제1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면, 원통형 또는 원뿔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융착면(39a')은 제1 융착부재(30a)상에서 가상의 제1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융착면(39a')은 제1 융착부재(30a)가 회전 시 포장지(S)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비접촉면(39a")은 한 쌍의 제1 융착면(39a') 사이에 위치하며 포장지(S)와 접촉하지 않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비접촉면(39a")은 예를 들면,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제1 커터(32a)는 후술하게 될 한 쌍의 제1 커터수용홈(31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가로절취선형성부(32a')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커터수용홈(31a)은 한 쌍의 제1 융착면(39a')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로절취선형성부(32a')는 사용자가 팩을 분리하였을 때 팩을 가로방향으로 즉, 포장지(S)의 길이방향으로 절취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커터(32a)를 구성하는 커터날보다 큰 치형의 커터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커터(32a)는 절취선을 형성할 수 없도록 커터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지(S)에는 폭방향으로 커터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e)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절취선이 형성되지 않아 포장지(S)의 길이방향으로 작은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팩이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회전지지부(35a)는 제1 융착부재(30a)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지지부(35a)는 한 쌍의 제1 융착면(39a')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주를 포함하며, 하기에서 설명할 제2 회전지지부(35a)와 상호 맞닿은 채 회전할 수 있다.
제1 결합축(I1)은 제1 융착부재(30a)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제1 융착부재(30a)의 내부에 각각 가상의 제1 축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H1)내에 각각 위치하여 제1 융착부재(30a)를 가열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융착부재(30b)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34b), 한 쌍의 제2 융착면(39b'), 포장지(S)와 접촉하지 않는 한 쌍의 제2 비접촉면(39b"), 한 쌍의 제2 커터(32b), 한 쌍의 제2 커터수용홈(31b), 제2 회전지지부(35b), 제2 결합축(I2), 제2 중공(H2) 및 히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34b)는 제2 융착부재(30b)의 일단으로부터 가상의 제2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면, 원통형 또는 원뿔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융착면(39b')은 은 제2 융착부재(30a)상에서 가상의 제2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융착면(39b')은 제2 융착부재(30b)가 회전 시 포장지(S)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비접촉면(39b")은 한 쌍의 제2 융착면(39b') 사이에 위치하며 포장지(S)와 접촉하지 않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비접촉면(39b")은 예를 들면,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제2 커터(32b)는 후술하게 될 한 쌍의 제2 커터수용홈(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로절취선형성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커터수용홈(31b)은 한 쌍의 제2 융착면(39b')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로절취선형성부(32b')는 제1 가로절취선형성부(32a')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팩을 분리하였을 때 팩을 가로방향으로 한 쌍의 제1 커터(32a)를 구성하는 커터날보다 큰 치형의 커터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커터(32b)에는 제1 커터(32a)와 마찬가지로 절취선을 형성할 수 없도록 커터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지(S)의 길이방향으로 작은 장력이 작용하더라고 팩이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회전지지부(35b)는 제2 융착부재(30b)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부(35b)는 한 쌍의 제2 융착면(39b')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주를 포함하며, 상술한 제1 회전지지부(35b)와 상호 맞닿은 채 회전할 수 있다.
제2 결합축(I2)은 제2 융착부재(30b)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제2 융착부재(30b)의 내부에 가상의 제2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공(H2 )내에 각각 위치하여 제2 융착부재(30b)를 가열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에서 도시된 제3 융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2에서 도시된 제4 융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3 융착부재(50a)는 제3 융착면(51a), 복수의 제1 돌기수용홈(52a), 제3 결합축(I3), 중공(H3) 및 히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3 융착면(51a)은 제3 융착부재(50a)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융착면(51a)은 2중으로 중첩된 포장지(S)를 사이에 두고 하기에 설명할 제4 융착면(51b)을 가압하여 길이방향 융착부(E)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수용홈(52a)은 제3 융착부재(50a)의 일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융착부재(30a)와 제3 융착부재(50a)가 상호 결합시, 제1 융착부재(30a)의 일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34a)는 제3 융착부재(50a)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기수용홈(53a)의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3 결합축(I3)은 제3 융착부재(50a)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제3 융착부재(50a)의 내부에 가상의 제1 축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공(H3)내에 위치하며 제3 융착부재(50a)를 가열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4 융착부재(50b)는 제4 융착면(51b), 복수의 제2 돌기수용홈(52b), 제4 결합축(I4), 중공(H4) 및 히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4 융착면(51b)은 제4 융착부재(50b)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융착면(51b)은 2중으로 중첩된 포장지(S)를 사이에 두고 상술한 제3 융착면(51a)을 가압하여 길이방향 융착부(E)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돌기수용홈(52b)은 제4 융착부재(50b)의 일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융착부재(30b)와 제4 융착부재(50b)가 상호 결합시 제2 융착부재(30b)의 일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기(34b)는 제4 융착부재(50b)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수용홈(53b)의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4 결합축(I4)은 제4 융착부재(50b)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제4 융착부재(50a)의 내부에 가상의 제2 축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공 중공(H4)내에 위치하며 제4 융착부재(50b)를 가열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도시된 제1 융착부재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3 융착부재의 일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장치에 의해 포장되는 약제 포장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3 융착부재(50a)의 일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기수용홈(5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수용홈(52a)은 상기 일면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각도(θ)는 예를 들면 1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각도(θ)에 대응하는 제3 융착면(51a) 상의 길이(l)는 예를 들면, 5mm일 수 있으나 상기 길이(l)는 복수의 제1 돌기수용홈(52a)과 제3 융착면(51a)간의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4 융착부재(50b)의 일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수용홈(52b)은 제3 융착부재(50a)의 제1 돌기수용홈(52a)과 동일하게 형성 배열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지에 형성되는 포켓(pocket:K)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와 분리된 채 회전하는 각도가 180°인 경우, 포장지(S)의 폭방향 융착부(W)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6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하는 각도가 돌기수용홈(52a, 52b)간의 등간격 예를 들면, 미리 설정한 각도인 15°만큼 증가할 때마다 포장지(S)의 폭방향 융착부(W)간의 거리는 5mm씩 증가할 수 있다. 즉, 약제가 내장된 다양한 크기의 포켓(K1, K2)의 부피는 폭방향 융착부(W)간의 거리를 상기 길이(l)만큼씩 증감시켜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제1 내지 제4 융착부재가 가상의 제1 및 제2 축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융착부재(30a) 및 제3 융착부재(50a)는 가상의 제1 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융착부재(30b) 및 상기 제4 융착부재(50b)는 가상의 제2 축 상에 위치하며, 제1 축 및 제2 축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기어(36)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의 제1 및 제2 결합축(I1,I2)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기어(55)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의 제3 및 제4 결합축(I3, I4)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기어(36)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상호 지지한 채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기어(55)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상호 지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융착부재구동모터(미도시)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 중 한 쪽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경우 융착부재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한 쪽의 제4 융착부재(50b)는 한 쌍의 제2 기어(54)를 통해 다른 한 쪽의 제3 융착부재(50a)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3 융착부재(50a)는 제4 융착부재(50a, 50b)와 함께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서 도시된 회전방지부(8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방지부(84)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브라켓(84d)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84d)은 링크지지부재(82)의 일단에 결합하여 탄성부재의 일면을 지지하며, 탄성부재는 예를 들면 코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도 9에서와 같이 탄성부재(84a,84b,84c)는 실린더(84b), 실린더(84b)의 일면에 형성된 마찰면(84a),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에 연결된 로드(8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4a,84b,84c)는 완충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피스톤(미도시) 과 실린더(84b)사이의 공간이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분리되었을 때, 탄성부재(84a,84b,84c)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에 결합된 한 쌍의 기어(36)의 일면에 대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탄성부재(84a,84b,84c)는 한 쌍의 기어(36)의 일면에 마찰면(84a)이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2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하기에서 설명할 동력제어부재(70)에 의해 X 위치에서 Y 위치로 이동하여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에 결합하게 되는 경우,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는 회전력을 제1 및 제2 돌기(34a, 34b)를 통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함께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포장지(S)의 폭방향 융착부(W)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동력제어부재(70)에 의해 Y 위치에서 X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3 및 제4 융착부재로(50a, 50b)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는 회전력을 더 이상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에 전달하지 않으며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때,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와 분리된 후에도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폭방향 융착부(W)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 및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 각각의 일단부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 및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상호 결합시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의 일단부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의 일단부는 서로 다른 극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 및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상호 분리 시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의 일단부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의 일단부는 서로 동일한 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동력제어부재(70)는 수직부재(71), 수평부재(72), 링크부(73) 및 링크부구동모터(74)를 포함한다.
수직부재(71)는 제1 및 제2 결합축(I1, I2)상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부(38a, 38b)를 통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평부재(72)는 수직부재(71)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수평부재(72)는 일단이 링크부(7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도 2에서 도시된 링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링크부(73)는 제1 링크부재(731), 제2 링크부재(734) 및 회전축 기어(738)가 설치된 구동축(737)을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731)는 기어가 형성된 원호면(732)을 구비하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링크축(733)을 통해 수평부재(7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734)는 일단이 제3 링크축(736)을 통해 수평부재(7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타 단이 제2 링크축(735)을 통해 제1 링크부재(7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737)은 링크부구동모터(74)와 연결되며, 구동축(737)에 설치된 회전축 기어(738)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 기어(738)는 제1 링크부재(731)의 원호면에 형성된 기어(732)와 맞물려를 회전할 수 있다. 링크부구동모터(74)는 구동축(737)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제3 또는 제4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면서 제1 링크부재(73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축(737)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대(80)는 제3 및 제4 결합축((I3, I4))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부(53a, 53b)를 통해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80)는 수평부재(72)의 하부에서 수평부재(7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대(80)는 수평부재(72)에 고정된 이동플레이트(81)를 통해 수평부재(72)가 이동플레이트(81)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수평부재(72)에 고정된 이동플레이트(81)는 지지대(80)에 고정된 가이드부재(8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이동플레이트(81)는 지지대(80)에 고정되어 수평부재(72)에 고정된 가이드부재(83)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85)는 지지대(80) 및 수평부재(7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수평부재(72)와 지지대(8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피딩롤러(60)는 다시 도 2을 참조하면, 상호 지지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며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융착이 완료된 포장지(S)는 피딩롤러(60)의 회전마찰력에 의해 실링장치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링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포장지(S)를 실링장치(10)에 물려준 상태에서 실링장치(10)를 포함하는 포장기를 작동시키면, 융착부재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된다.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 중 융착부재구동모터와 연결된 융착부재 예를 들어 제4 융착부재(50b)는 융착부재구동모터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한 쌍의 제2 기어(54)를 통해 제3 융착부재(50a)에 전달한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3 융착부재(50a)는 제4 융착부재(50b)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하나의 융착부재구동모터에 의해 실링장치가 작동되므로 본 발명은 구성이 복잡하지 않으며 저렴한 실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융착부재구동모터의 작동과 동시에 포장지(S)는 삼각판(미도시)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힌 채로 실링장치에 들어간다. 포장지(S)는 회전하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의 제3 및 제4 융착면(51a, 51b)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포장지(S)는 제3 및 제4 융착면(51a, 51b)의 마찰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2중으로 중첩된 두 가장자리부가 제3 및 제4 융착면(51a, 51b)과 접촉하여 가열 융착된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링크부구동모터(74)가 구동축(737)을 제3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시킨다. 구동축(737)에 설치된 회전축기어(738)와 맞물린 제1 링크부재(731)가 제1 링크축(733)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링크부재(731) 및 제2 링크부재가(734)가 이루는 각도는 증가한다.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단 제2링크축(735)을 통하여 제2 링크부재가(734)와 연결된 수평부재(72)는 도 10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X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부구동모터(74)는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 동안 작동하지 않는다.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 동안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는 회전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2중으로 중첩된 포장지(S)가 제3 및 제4 융착면(51a, 51b)사이를 통과하면서 길이방향 융착부(E)가 형성된다.
다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 동안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180°회전하는 경우, 포장지(S)의 포켓(pocket:K)의 일측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융착부(E)의 길이는 예를 들면, 60mm로 형성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을 증가시켜서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15°만큼 회전을 더 하는 경우, 길이방향 융착부(E)의 길이는 5mm가 증가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을 증가시켜서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가 15°만큼씩 회전을 더 하게 하는 경우 길이방향 융착부(E)의 길이는 5mm씩 증가하게 된다.
포장지(S)에 형성되는 포켓(K)은 내장되는 약제의 양에 따라 예를 들면, 70mm에 해당하는 일정한 길이의 폭방향 융착부(W)를 가지며, 폭방향 융착부(W)간의 거리는 60mm, 65mmm, 70mmm, 75mmm, 80mm 및 85mm 등 일 수 있다. 즉,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의 길이에 따라 포켓(K)의 일측을 이루는 길이방향 융착부(E)의 크기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포켓(K)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대기시간이 경과 하면, 도 11에서와 같이 링크부구동모터(74)가 구동축(737)을 제4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시킨다. 구동축(737)에 설치된 회전축기어(738)와 맞물린 제1 링크부재(731)가 제1 링크축(7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링크부재(731) 및 제2 링크부재(733)가 이루는 각도가 감소한다.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2링크축(735)을 통하여 제2 링크부재가(734)와 연결된 수평부재(72)는 도 10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도 11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X위치에서 Y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Y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로부터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결합을 유지한 채 예를 들면, 180°만큼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180°만큼 회전하는 동안 제1 및 제2 융착면(39a', 39b')에 의해 폭방향 융착부분(W)이 형성된다. 이 경우 폭방향 융착부분(W)상의 절취선(L)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결합한 채 회전함에 따라, 제1 내지 제4 융착부재(30a, 30b, 50a, 50b)는 모두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각 제1 내지 제4 융착부재(30a, 30b, 50a, 50b)가 동일하게 회전을 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종래의 제어 정밀도가 낮은 실링장치에서 융착부재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회전속도차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포장지(S) 상의 주름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결합을 유지한 채 예를 들면, 180°만큼 회전한 후, 다시 Y위치에서 X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부구동모터(74)는 상기의 약제포장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의 동작을 계속해서 반복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포장지(S)의 폭방향 융착부(W)를 형성하며,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는 상호 가압한 채 회전을 계속하여 포장지(S)의 길이방향 융착부(E)를 형성한다.
한편,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로부터 분리되어 Y 위치로부터 X 위치로 이동할 때 더 이상 관성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에 결합된 한 쌍의 기어(36)의 일면이 회전방지부(84)의 마찰면(84a)에 접촉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가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로부터 분리 시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50a, 50b)와 결합시 제1 및 제2 돌기(34a, 34b)가 제1 및 제2 돌기수용홈(53a, 53b)에 수용되도록 정확히 제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융착부재(30a, 30b, 50a, 50b)에 의해 융착이 완료된 포장지(S)는 피딩롤러(60)에 회전마찰력에 의해 실링장치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환자에 따라 처방되는 약제의 종류 및 부피는 다르며, 약제부피에 따라 형성되는 팩의 부피도 달라진다. 2중으로 중첩된 포장지(S)의 폭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팩의 부피는 2중으로 중첩된 포장지(S)의 폭방향 융착(W)부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된다. 즉, 제1 및 제2 융착부재(30a, 30b)에 대한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길수록 폭방향 융착부(W)간의 거리도 길어지게 되어 팩의 부피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융착부재를 별도로 교체하지 않고서도 포장지(S)의 팩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실링장치 30a: 제1 융착부재
30b: 제2 융착부재 34a: 제1 돌기
34b: 제2 돌기 35a: 제1 회전지지부
35b: 제2 회전지지부 50a: 제3 융착부재
50b: 제4 융착부재 52a: 제1 돌기수용홈
52b: 제2 돌기수용홈 60: 피딩롤러
70: 동력제어부재 71: 수직부재
72: 수평부재 73: 링크부
74: 링크부구동모터 80:지지대
81: 이동플레이트 82:링크지지부재
83: 가이드부재 84:회전방지부
85: 탄성부재

Claims (11)

  1. 포장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포장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포장지가 중첩되어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실링장치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융착부재; 및
    상기 지지대 상측에 상호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장지의 길이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3 및 제4 융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가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융착부재는 가상의 제1 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제4 융착부재는 가상의 제2 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는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에 각각 결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의 각각의 일 단이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에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일 면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는 상기 각각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는 상기 각각의 일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수용홈은 상기 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는 각각,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으로 상기 포장지와 접촉하는 융착면; 및
    상기 융착면을 따라 결합된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는 각각,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포장지의 중첩된 두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는 융착면을 포함하는 원형 융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로부터 분리 시, 관성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가 상기 제3 및 제4 융착부재로부터 분리 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에 결합된 기어의 일면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로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동력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제어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를 각각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어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융착부재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축을 따라 왕복 구동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로 동력을 인가하는 링크부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장치.
KR1020150023107A 2015-02-16 2015-02-16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KR20160100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07A KR20160100551A (ko) 2015-02-16 2015-02-16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07A KR20160100551A (ko) 2015-02-16 2015-02-16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551A true KR20160100551A (ko) 2016-08-24

Family

ID=5688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07A KR20160100551A (ko) 2015-02-16 2015-02-16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5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476A (ko) 2016-12-27 2018-08-02 김태유 약 조제 장치 및 방법
KR20180117932A (ko) * 2017-04-20 2018-10-30 (주)제이브이엠 약제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제포장방법
KR20210058226A (ko)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유림텍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476A (ko) 2016-12-27 2018-08-02 김태유 약 조제 장치 및 방법
KR20180117932A (ko) * 2017-04-20 2018-10-30 (주)제이브이엠 약제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제포장방법
KR20210058226A (ko)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유림텍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636B2 (ja) 薬剤分包装置
US7171795B2 (en) Transverse sealing mechanism for bag-manufacturing and packaging machine and bag-packaging machine equipped therewith
US5722215A (en) Sealing device
US8015783B2 (en) Form-fill-seal machine
KR20160100551A (ko)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WO2013176170A1 (ja) 薬剤分包装置
KR100544956B1 (ko) 파우치 포장장치
ES2532973T3 (es) Montaje de envasado
KR20200132094A (ko) 사이드 실링형 스틱 포장장치
JP4435487B2 (ja) ヒートシールユニット及び薬剤分包装置
JP2011084325A (ja) 多列自動包装機の包装フィルム搬送調整装置
JP4420449B2 (ja) 薬剤分包装置
JP4296057B2 (ja) 縦型多列四方シール自動充填包装機における縦シール機構
KR102320208B1 (ko)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KR101792730B1 (ko) 스크류 공급방식을 이용한 충진부를 구비한 포장용기용 자동 포장장치
KR101529581B1 (ko) 포장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50094343A (ko) 자동포장기의 포장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70092060A (ko)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JP4518545B2 (ja) 薬剤分包装置
KR101460506B1 (ko) 약제포장장치의 포장모듈
JP2022067355A (ja) 四方シール包装体製造装置
JP2018158733A (ja) 背貼りシール形の被包装物充填包装体の製造方法および充填包装機
JP5081407B2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における連包タイプのカッター装置
JP2008230656A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のサイドシールに組み込んだノッチ機構
JP2001031003A (ja) 薬剤包装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