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208B1 -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208B1
KR102320208B1 KR1020190145426A KR20190145426A KR102320208B1 KR 102320208 B1 KR102320208 B1 KR 102320208B1 KR 1020190145426 A KR1020190145426 A KR 1020190145426A KR 20190145426 A KR20190145426 A KR 20190145426A KR 102320208 B1 KR102320208 B1 KR 10232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width direction
rollers
wrapping paper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226A (ko
Inventor
곽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텍
Priority to KR102019014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2겹이 되도록 접혀 공급되는 약제 포장지에 복수의 약제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 융착 영역과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약제 포장지를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폭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약제 포장지를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길이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전동 모터, 및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전동 모터를 구비한다.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는 가상의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는 제1 축선과 평행한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Apparatus for sealing medicine packing sheet}
본 발명은 다량 다종의 약제를 내부에 수용하고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씩 자동으로 포장하여 배출하는 약제 포장 장치에서, 약제가 1회 복용분식 투입된 약제 포장지를 자동으로 밀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제 포장 장치는 환자의 병환에 따라 처방된 약제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1회 복용분씩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대형 병원이나 약국에서 사용된다. 약제 포장 장치는 다수의 약제(tablet medicine)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카세트를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분배하여 1회분씩 공급하는 약제 공급부와, 약제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1회 복용분씩의 약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약제 포장부는 끊김 없이 이어져 공급되는 약제 포장지를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수용되는 공간씩 구분하여 밀봉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구비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0551호에 종래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하나의 전동 모터로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융착하는 융착 부재들이 선택적으로 연동되거나 분리되도록 하여 약제 포장지의 폭 방향 융착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약제 포장지를 폭 방향으로 융착하는 융착 부재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약제 포장지를 길이 방향으로 융착하는 융착 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 홈(hole)이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끼움 홈에 끼워지면 상기 폭 방향 융착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 융착 부재를 따라 함께 회전하여 약제 포장지가 폭 방향으로 융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돌기가 끼움 홈과 정렬되고 끼워지는데 시간 간격(interval)이 필요해서 약제 포장 작업의 속도가 지연되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를 끼움 홈과 정렬하고 끼워지게 하는 구성이 복잡하고, 작동 중에 에러(error)가 자주 발생할 수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0551호
본 발명은 약제 포장지의 폭 방향과 평행한 폭 방향 밀봉 영역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로서, 약제 포장지 밀봉 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 도중 에러 발생율이 저하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2겹이 되도록 접혀 공급되는 약제 포장지에 복수의 약제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 융착 영역과 상기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약제 포장지를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상기 약제 포장지를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상기 길이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전동 모터,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는 가상의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는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한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는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파여진 샤프트 수용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파여진 샤프트 수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는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샤프트 수용 홈에 끼워지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는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샤프트 수용 홈에 끼워지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는 각각,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약제 포장지를 접촉 가열하는 한 쌍의 폭 방향 융착면, 상기 약제 포장지에 접촉되지 않는 한 쌍의 비접촉면, 및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에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융착면에 설치된 한 쌍의 커터(cutter)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1 푸셔(pusher),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2 푸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상기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 융착 영역을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상기 약제 포장지를 그 진행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한 쌍의 풀링 롤러(pulling roll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풀링 롤러는 상기 제2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동 모터 및 제2 전동 모터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sensor),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이 형성된 약제 포장지를 절단하는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unit)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레이드(blade),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일 단부에 힌지(hinge)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의 각도가 최대가 되는 열림 자세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 겹쳐지는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하는 회동 블레이드, 상기 회동 블레이드가 상기 열림 자세와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3 전동 모터,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를 통과한 약제 포장지가 굽어지지 않고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약제 포장지를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guid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은, 상기 회동 블레이드가 상기 열림 자세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림 자세에서 상기 닫힘 자세로 회동하는 회동 블레이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상기 열림 자세로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상기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회동 블레이드가 역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열림 자세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3 전동 모터가 상기 회동 블레이드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는, 폭 방향 융착 롤러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가 동축(同軸) 회전하지만, 별개의 전동 모터에 각각 구동된다. 다시 말해, 폭 방향 융착 롤러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속도와 회전 각도가 서로 연동되지 않아서 약제 포장지의 폭 방향 융착 영역 사이의 간격, 즉 약제 포켓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자동 약제 포장 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폭 방향 융착 롤러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작동 에러(error)의 발생이 감소하여 약제 포장 작업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 블레이드가 빠르게 회동하지 않아도 약제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어서, 소음이 적어지고, 작업자의 손이 끼면 회동 블레이드가 멈추고 열림 자세로 복귀하게 되어 작업자의 사고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을 삭제하고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는 전방의 우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전방의 좌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통과하며 복수의 약제 포켓이 형성된 약제 포장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구비된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을 삭제하고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는 전방의 우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전방의 좌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를 통과하며 복수의 약제 포켓이 형성된 약제 포장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25, 45), 제1 및 제2 풀링 롤러(70, 72), 제1 전동 모터(23), 제2 전동 모터(24), 및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110)을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약제 포장지(4)는 제1 제2 롤러 조립체(25, 45) 사이로 진입하기 전에 폭 방향 양 측 모서리(5)가 마주하도록 2겹으로 접히고, 상기 제1 제2 롤러 조립체(25, 45)를 통과하면서 폭 방향 융착 영역(7)과 길이 방향 융착 영역(8)이 형성되어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포켓(6)이 밀봉 형성된다. 약제 포켓(6)이 밀봉 형성되기 직전, 다시 말해서 약제 포장지(4)가 제1 제2 롤러 조립체(25, 45) 사이로 진입하기 직전에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1, 2)가 상기 2겹으로 접힌 약제 포장지(4)에 자동으로 투입되어서, 약제 포켓(6)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1, 2)가 상기 약제 포켓(6)에 수용된다. 폭 방향 융착 영역에는 약제 포켓(6) 별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절취선(9)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약제 포장지(4)(도 5 참조)에 상기 길이 방향 융착 영역(8)(도 5 참조)과 폭 방향 융착 영역(7)(도 5 참조)을 형성하고,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7) 내에 절취선(9)(도 5 참조)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롤러 조립체(25)는 가상의 제1 축선(R1)을 따라 연결된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26)와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롤러 조립체(45)는 제1 축선(R1)과 평행한 가상의 제2 축선(R2)을 따라 연결된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46)와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5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는 약제 포장지(4)를 사이에 개재하고 밀착 회전하여 약제 포장지(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 융착 영역(7)을 형성한다. 인접한 폭 방향 융착 영역(7)은 약제 포장지(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 내부에는 전력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히터(heater)(미도시)가 내재된다.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는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는 약제 포장지(4)를 사이에 개재하고 밀착 회전하여 약제 포장지(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 융착 영역(8)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 내부에는 전력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히터(미도시)가 내재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는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및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2, 15)은 연결 프레임(11)의 양 단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는 각각, 약제 포장지(4)를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밀착되도록 디스크(disk) 형상으로 직경이 확장된 플랜지(flange)(37, 57)와,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을 관통하도록 제1 및 제2 축선(R1, R2)을 따라 연장된 프레임 관통 샤프트(40, 60)을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37, 57)를 통해 약제 포장지(4)에 전달된 열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 융착 영역(8)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가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대해 회전할 때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프레임 관통 샤프트(40, 60)에 베어링(41, 61)이 끼워진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를 대면(對面)하는 플랜지(37, 57)의 측면에는 제1 및 제2 축선(R1, R2)을 따라 파여진 샤프트 수용 홈(groove)(38, 58)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는 각각, 약제 포장지(4)를 사이에 개재하고 간헐적으로 서로 밀착되어 상기 약제 포장지(4)를 가열함으로써 폭 방향 융착 영역(7)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폭 방향 융착면(27, 47)과, 약제 포장지(4)에 접촉되지 않는 한 쌍의 비접촉면(28, 48)과, 상기 절취선(9)(도 5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융착면(27, 47)에 설치된 한 쌍의 커터(cutter)(30, 50)와, 약제 포장지(4)를 사이에 개재하지 않고 서로 밀착되도록 디스크 형상으로 직경이 확장된 가이드 플랜지(29, 49)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회전하는 동안 가이드 플랜지(29, 49)가 항상 밀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 사이의 간격과 상대적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반 바퀴 회전할 때마다 약제 포장지(4)에 폭 방향 융착 영역(7)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는 각각,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2)을 관통하도록 제1 및 제2 축선(R1, R2)을 따라 연장된 프레임 관통 샤프트(31, 51)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샤프트 수용 홈(38, 58)에 끼워지는 연결 샤프트(32, 52)를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2)에 대해 회전할 때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프레임 관통 샤프트(31, 51)에 베어링(33, 53)이 끼워진다. 또한,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고, 회전시에도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32, 52)에 베어링(34, 35, 54, 55)이 끼워진다.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2)에는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26)가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46)에 밀착되도록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26)를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46)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제1 푸셔(pusher)(6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푸셔(63)는 프레임 관통 샤프트(31)에 끼워진 베어링(33)의 외륜을 밀착 가압하며, 상기 베어링(33)의 외륜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오목한 곡면(64)을 구비한다. 제1 푸셔(63)를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65)은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2)에 마련된 스프링 홈(groove)(13)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 홈(13)은 상기 코일 스프링(65)이 삽입된 후에 폐쇄된다.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는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가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56)에 밀착되도록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를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56)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제2 푸셔(6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푸셔(66)는 프레임 관통 샤프트(40)에 끼워진 베어링(41)의 외륜을 밀착 가압하며, 상기 베어링(41)의 외륜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오목한 곡면(67)을 구비한다. 제2 푸셔(66)를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68)은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마련된 스프링 홈(16)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 홈(16)은 상기 코일 스프링(68)이 삽입된 후에 폐쇄된다.
상기 제1 전동 모터(23)는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제1 모터 지지 프레임(18)에 지지된다. 상기 제2 전동 모터(24)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제1 모터 지지 프레임(18)과 이격된 제2 모터 지지 프레임(21)에 지지된다.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제1 모터 지지 프레임(18)과 제2 모터 지지 프레임(21)이 일 측면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11)이 반대 측면에 고정 지지되는 판(plate) 형상의 프레임(frame)(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동 모터(23)의 동력은 치합된 복수의 기어(gear)(76, 77, 78, 79, 80)에 의해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동 모터(23)의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동축(同軸) 연결된 기어(76)가 제1 모터 지지 프레임(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기어(77)에 치합되고,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기어(78)는 제1 모터 지지 프레임(18)의 중간 기어(77)에 치합되고,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46)의 프레임 관통 샤프트(51)에 동축 연결된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79)는 상기 중간 기어(78)에 치합되고,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26)의 프레임 관통 샤프트(31)에 동축 연결된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80)는 상기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79)에 치합된다.
제2 전동 모터(24)의 동력은 치합된 복수의 기어(83, 84, 85, 86, 87)에 의해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전동 모터(24)의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동축(同軸) 연결된 기어(83)가 제2 모터 지지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기어(84)에 치합되고,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기어(85)는 제2 모터 지지 프레임(21)의 중간 기어(84)에 치합되고,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56)의 프레임 관통 샤프트(60)에 동축 연결된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86)는 상기 중간 기어(85)에 치합되고,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의 프레임 관통 샤프트(40)에 동축 연결된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87)는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86)에 치합된다.
제1 전동 모터(23)와 제2 전동 모터(24)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일 수 있다. BLDC 모터는 회전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AC 모터보다 감전 위험이 적다. 이에 따라,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가 서로 연동되지 않게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가 부드럽고 정확하게 회전하면서 폭 방향 융착 영역(7), 절취선(9), 및 길이 방향 융착 영역(8)이 깨끗하게 형성된다. 또한, 폭 방향 융착 영역(7) 사이의 간격, 즉 약제 포켓(6)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을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에 연계하는 기계적인 구조가 불필요하여, 즉 구조가 단순하여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작동 에러가 감소하여 약제 포장 작업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25, 45)를 통과한 약제 포장지(4)의 길이 방향 융착 영역(8)을 사이에 개재하고 밀착 회전하여 약제 포장지(4)를 그 진행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제1 및 제2 풀링 롤러(pulling roller)(70, 7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풀링 롤러(70, 72)의 외주면은 약제 포장지(4)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즉 슬립(slip)이 억제되도록 예컨대,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와 같은 소재로 코팅(coating)된다. 제1 풀링 롤러(70)는 동축 연결된 제1 풀링 롤러 샤프트(71)에 의해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풀링 롤러(72)는 동축 연결된 제2 풀링 롤러 샤프트(73)에 의해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및 제2 풀링 롤러(70, 72)는 제2 전동 모터(24)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를 관통하며 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링 롤러 구동 샤프트(74)에는 프레임 외측 기어(89)와 프레임 내측 기어(9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 외측 기어(89)는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86)에 치합된다. 상기 프레임 내측 기어(90)는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풀링 롤러 샤프트(73)에 고정 결합된 제2 풀링 롤러 구동 기어(91)에 치합된다. 제1 풀링 롤러 샤프트(71)에 고정 결합된 제1 풀링 롤러 구동 기어(92)는 상기 제2 풀링 롤러 구동 기어(91)에 치합된다. 따라서, 제2 전동 모터(24)의 동력에 의해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구동 기어(86)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풀링 롤러(70, 72)가 밀착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전동 모터(23, 24)의 동력을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와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에 전달하고, 풀링 롤러(70, 72)에 전달하는 기어들(76 내지 80, 83 내지 87, 89 내지 92)가 모두 평기어(plain gear)이기 때문에,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의 작동 중에 소음(noise) 발생이 저감되고, 진동으로 인한 약제 포장지(4)의 사선 진행(skew)이나 틀어짐이 억제된다.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sensor)(93, 95)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100, 102)를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sensor)(93, 95)는 제1 모터 지지 프레임(18)에 고정된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9)에 지지되고,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100, 102)는 제2 모터 지지 프레임(21)에 고정된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2)에 고정된다.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93)는 엔코더(encoder)일 수 있다. 상기 엔코더(93)를 관통하는 엔코더 샤프트(94)에 고정 결합된 기어(81)는 제1 롤러 지지 프레임(18)에 지지된 중간 기어(77)에 치합된다. 이에 따라, 제1 전동 모터(23)의 회전 샤프트(미도시)가 회전할 때 상기 엔코더 샤프트(94)도 회전하여서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93)에 의해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가 측정된다.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93)에 의해 측정된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게 되도록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의 콘트롤러(controller)(미도시)가 상기 제1 전동 모터(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2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은 상기 제2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반 바퀴 회전하고 잠시 멈추는 동작을 반복하며 회전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95)는 포토 센서(photo sensor)로서,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 바퀴 수를 계수하고,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회전이 의도하지 않게 정지된 때,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역회전하여 복귀하는 원점 각도를 알려주는 센서이다. 부연하면, 엔코더 샤프트(94)에는 원판 형태의 감지 디스크(disk)(98)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엔코더 샤프트(94)가 회전함에 따라 동축 회전한다. 감지 디스크(98)의 일 측 외주 모서리에는 중심 측으로 파여진 덴트(dent)(99)가 형성된다. 포토 센서(95)는 광(光)을 투사하는 발광부(發光部)(96)과, 상기 발광부(96)에서 투사된 광을 수광(受光)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97)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96)와 수광부(97) 사이에 상기 감지 디스크(98)의 외주부가 개재된다.
제1 전동 모터(23)의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여 감지 디스크(98)가 회전하면, 감지 디스크(98)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덴트(99)를 통해 발광부(96)에서 투사된 광이 수광부(97)에서 수광되어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감지 디스크(98)가 몇 바퀴 회전할 때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한 바퀴 회전하는지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광부(97)에서 생성된 감지 신호를 계수(count)하여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몇 바퀴 회전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몇 바퀴 회전하였는지 파악되면 몇 개의 약제 포켓(6)(도 5 참조)이 형성되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96)와 수광부(97) 사이에 덴트(99)가 위치하여 수광부(97)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될 때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의 각도가 원점 각도가 된다. 만약, 제1 전동 모터(23)의 작동을 의도적으로 정지시키지 않았음에도 수광부(97)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 다음 번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콘트롤러는 약제(1, 2)(도 5 참조) 끼임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가 원점 각도로 복귀할 복귀할 때까지 제1 전동 모터(23)의 회전 샤프트를 역회전시킨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로서 엔코더(93)와 포토 센서(95)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둘 중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100)는 엔코더(encoder)일 수 있다. 상기 엔코더(100)를 관통하는 엔코더 샤프트(101)에 고정 결합된 기어(88)는 제1 롤러 지지 프레임(21)에 지지된 중간 기어(84)에 치합된다. 이에 따라, 제2 전동 모터(24)의 회전 샤프트(미도시)가 회전할 때 상기 엔코더 샤프트(101)도 회전하여서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100)에 의해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가 측정된다.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게 되도록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의 콘트롤러(미도시)가 상기 제2 전동 모터(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102)는 포토 센서(photo sensor)로서,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 바퀴 수를 계수하고,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회전이 의도하지 않게 정지된 때,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가 역회전하여 복귀하는 원점 각도를 알려주는 센서이다. 부연하면, 엔코더 샤프트(101)에는 원판 형태의 감지 디스크(disk)(105)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엔코더 샤프트(101)가 회전함에 따라 동축 회전한다. 감지 디스크(105)의 일 측 외주 모서리에는 중심 측으로 파여진 덴트(dent)(106)가 형성된다. 포토 센서(102)는 광(光)을 투사하는 발광부(發光部)(103)과, 상기 발광부(103)에서 투사된 광을 수광(受光)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104)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103)와 수광부(104) 사이에 상기 감지 디스크(105)의 외주부가 개재된다.
제2 전동 모터(24)의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여 감지 디스크(105)가 회전하면, 감지 디스크(105)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덴트(106)를 통해 발광부(103)에서 투사된 광이 수광부(104)에서 수광되어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감지 디스크(105)가 몇 바퀴 회전할 때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가 한 바퀴 회전하는지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광부(104)에서 생성된 감지 신호를 계수(count)하여 제1 및 제2 길이방향 융착 롤러(36, 56)가 몇 바퀴 회전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3)와 수광부(104) 사이에 덴트(106)가 위치하여 수광부(104)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될 때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각도가 원점 각도가 된다. 만약, 제2 전동 모터(24)의 작동을 의도적으로 정지시키지 않았음에도 수광부(104)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 다음 번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콘트롤러는 약제(1, 2) 끼임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가 원점 각도로 복귀할 복귀할 때까지 제2 전동 모터(24)의 회전 샤프트를 역회전시킨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는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로서 엔코더(100)와 포토 센서(102)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둘 중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구비된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110)은 복수의 약제 포켓(6)(도 5 참조)이 형성된 약제 포장지(4)(도 5 참조)를 이어진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약제 포켓(6)으로 절단한다. 예를 들어, 약제를 수령하는 환자 별로, 또는 약제를 복용하는 날짜 별로 구분되도록 약제 포장지(4)가 절단될 수 있다.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110)은,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레이드(blade)(114),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일 측 단부에 힌지(hinge)(119)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는 회동 블레이드(116), 상기 회동 블레이드(116)가 회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3 전동 모터(120),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26, 46)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36, 56)를 통과한 약제 포장지(4), 즉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25, 45) 사이를 통과하여 약제 포켓(6)이 형성된 약제 포장지(4)가 아래로 굽어지지 않고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약제 포장지(4)를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guide)(11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와 제3 전동 모터(120)는 제2 롤러 지지 프레임(15)에 고정 결합된 절단 유닛 지지 브라켓(111)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배출 가이드(112)는 상기 절단 유닛 지지 브라켓(11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 전동 모터(120)는 자신의 회전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AC 모터보다 감전 위험이 적은 BLDC 모터일 수 있다.
회동 블레이드(116)는 힌지(119)를 중심으로 고정 블레이드(114)와의 각도가 최대가 되는 열림 자세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와 겹쳐지는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다. 도 1 및 도 6에는 열림 자세에 있는 회동 블레이드(116)가 개시되어 있다. 회동 블레이드(116)가 열림 자세에 있을 때 약제 포장지(4)가 고정 블레이드(114)의 상측, 구체적으로는 고정 블레이드(114)와 회동 블레이드(116)의 사이로 통과하고, 회동 블레이드(116)가 열림 자세에서 회동하여 고정 블레이드(114)와 겹쳐지는 닫힘 자세가 되면 전단력이 작용하여 약제 포장지(4)가 절단된다.
상기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110)은 제3 전동 모터(120)의 회전 동력을 회동 블레이드(116)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크랭크(crank)(121)와 링크(link)(123)를 구비한다. 상기 크랭크(121)는 제3 전동 모터(120)의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결합되어 동축 회전한다. 상기 크랭크(121)는 자신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상기 링크(123)와 연결되는 링크 연결 돌기(122)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123)의 일 측 말단에는 상기 링크 연결 돌기(122)가 유동(遊動)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크 슬롯(slot)(124)이 형성된다. 회동 블레이드(116)의 일 측 말단(117), 구체적으로는 닫힘 자세인 때 고정 블레이드(114)와 겹쳐지지 않는 일 측 말단(117)은 링크(123)의 타 측 말단에 피봇(pivot)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크랭크(12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면 회동 블레이드(116)는 열림 자세에서 닫힘 자세를 거쳐 다시 열림 자세로 복귀한다.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110)은 회동 블레이드(116)가 열림 자세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126)를 더 구비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126)는 포토 센서이다. 제3 전동 모터(120)의 회전 샤프트에는 원판 형태의 감지 디스크(130)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121)와 동축 회전한다. 감지 디스크(130)의 일 측 외주 모서리에는 중심 측으로 파여진 덴트(dent)(131)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126), 즉 포토 센서는 광(光)을 투사하는 발광부(發光部)(127)과, 상기 발광부(127)에서 투사된 광을 수광(受光)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128)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127)와 수광부(128) 사이에 상기 감지 디스크(130)의 외주부가 개재된다.
제3 전동 모터(120)의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여 감지 디스크(130)가 회전하면, 감지 디스크(130)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덴트(131)를 통해 발광부(127)에서 투사된 광이 수광부(128)에서 수광되어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 신호가 생성될 때마다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10)의 콘트롤러(미도시)는 회동 블레이드(116)가 닫힘 자세를 거쳐 열림 자세로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만약, 제3 전동 모터(120)의 작동을 의도적으로 정지시키지 않았음에도 수광부(128)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까지 다음 번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콘트롤러는 고정 블레이드(114)와 회동 블레이드(116) 사이에 약제(1, 2)(도 5 참조) 끼임 또는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회동 블레이드(116)가 열림 자세로 복귀할 복귀할 때까지, 즉 덴트(131)가 발광부(127)와 수광부(128) 사이에 위치하여 감지 신호가 다시 생성될 때까지 제3 전동 모터(120)의 회전 샤프트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110)은, 하나의 블레이드, 즉 회동 블레이드(116)만 회동하고, 회동 블레이드(116)만 비교적 천천히 회동시키더라도 약제 포장지(4)를 깨끗하게 절단할 정도의 전단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포장지(4)의 절단 작업시에 소음이 현저히 저감되고, 부주의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고정 블레이드(114)와 회동 블레이드(116) 사이에 끼이더라도 손가락 절단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126)를 구비하여 약제(1, 2)나 손가락 등이 고정 블레이드(114)와 회동 블레이드(116) 사이에 끼이더라도 자동으로 회동 블레이드(116)가 열림 자세로 복귀되어서, 작업을 빨리 재개할 수 있으며, 제3 전동 모터(120)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4: 약제 포장지 10: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23, 24, 120: 전동 모터 25, 45: 롤러 조립체
26, 46: 폭 방향 융착 롤러 36, 56: 길이 방향 융착 롤러
110: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 112: 배출 가이드
114: 고정 블레이드 116: 회동 블레이드

Claims (10)

  1. 2겹이 되도록 접혀 공급되는 약제 포장지에 복수의 약제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 융착 영역과 상기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약제 포장지를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상기 약제 포장지를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상기 길이 방향 융착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전동 모터;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전동 모터;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sensor);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바퀴 수를 계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이 의도하지 않게 정지된 때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가 역회전하여 복귀하는 원점 각도를 알려주는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바퀴 수를 계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이 의도하지 않게 정지된 때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가 역회전하여 복귀하는 원점 각도를 알려주는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는 가상의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는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한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와, 상기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하나의 엔코더(encoder)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는, 상기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동축 회전하는 것으로 일 측 외주 모서리에 중심 측으로 파여진 덴트(dent)가 형성된 하나의 감지 디스크, 및 광을 투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하나의 감지 디스크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덴트를 통해 상기 발광부에서 투사된 광을 수광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하나의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는, 상기 제2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다른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와, 상기 다른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다른 하나의 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감지 센서는, 상기 다른 하나의 엔코더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동축 회전하는 것으로 일 측 외주 모서리에 중심 측으로 파여진 덴트가 형성된 다른 하나의 감지 디스크, 및 광을 투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다른 하나의 감지 디스크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덴트를 통해 상기 발광부에서 투사된 광을 수광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하나의 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는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파여진 샤프트 수용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는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파여진 샤프트 수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폭 방향 융착 롤러는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샤프트 수용 홈에 끼워지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는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샤프트 수용 홈에 끼워지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는 각각,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약제 포장지를 접촉 가열하는 한 쌍의 폭 방향 융착면, 상기 약제 포장지에 접촉되지 않는 한 쌍의 비접촉면, 및 상기 폭 방향 융착 영역에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융착면에 설치된 한 쌍의 커터(cutt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1 푸셔(pusher);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2 푸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포장지의 길이 방향 융착 영역을 사이에 개재하고 회전하여 상기 약제 포장지를 그 진행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한 쌍의 풀링 롤러(pulling roll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풀링 롤러는 상기 제2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모터 및 제2 전동 모터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이 형성된 약제 포장지를 절단하는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unit);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레이드(blade),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일 단부에 힌지(hinge)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의 각도가 최대가 되는 열림 자세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 겹쳐지는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하는 회동 블레이드, 상기 회동 블레이드가 상기 열림 자세와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3 전동 모터, 상기 제1 및 제2 폭 방향 융착 롤러와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융착 롤러를 통과한 약제 포장지가 굽어지지 않고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약제 포장지를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guid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포장지 절단 유닛은, 상기 회동 블레이드가 상기 열림 자세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림 자세에서 상기 닫힘 자세로 회동하는 회동 블레이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상기 열림 자세로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상기 회동 블레이드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회동 블레이드가 역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열림 자세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3 전동 모터가 상기 회동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KR1020190145426A 2019-11-13 2019-11-13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KR10232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26A KR102320208B1 (ko) 2019-11-13 2019-11-13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26A KR102320208B1 (ko) 2019-11-13 2019-11-13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26A KR20210058226A (ko) 2021-05-24
KR102320208B1 true KR102320208B1 (ko) 2021-11-02

Family

ID=7615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26A KR102320208B1 (ko) 2019-11-13 2019-11-13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688B2 (ja) * 1994-09-30 2003-01-20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タリカッタの制御装置
KR100434030B1 (ko) * 2002-06-28 2004-06-04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시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769B2 (ja) * 1995-03-02 1999-08-30 正二 湯山 シール装置
KR100599506B1 (ko) * 2004-07-15 2006-07-13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포장지 절단장치
KR101529702B1 (ko) * 2008-10-09 2015-06-1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유니트 및 이의 포장 제어방법
KR101640022B1 (ko) * 2014-02-11 2016-07-22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자동포장기의 포장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60100551A (ko) 2015-02-16 2016-08-24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KR20170092060A (ko) * 2016-02-02 2017-08-10 (주)크레템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688B2 (ja) * 1994-09-30 2003-01-20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タリカッタの制御装置
KR100434030B1 (ko) * 2002-06-28 2004-06-04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시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26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0234B1 (en) Medication packaging apparatus
KR102320208B1 (ko)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JPS6323047B2 (ko)
KR20160100551A (ko)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실링장치
JP2021079965A (ja) 薬剤一包化パック分離装置及び服薬支援装置
KR100434030B1 (ko)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시일장치
KR101251454B1 (ko) 약품 포장장치
JP2021019938A (ja) 服薬支援装置
JP2018043784A (ja) 包装装置
KR101449718B1 (ko) 약제 포장장치용 커터
JP2003327202A (ja) 薬剤包装装置
KR102345620B1 (ko) 약제 포장지 배출 장치
KR101466578B1 (ko) 약제 포장장치용 커터
JP4420449B2 (ja) 薬剤分包装置
KR101460506B1 (ko) 약제포장장치의 포장모듈
CN206446853U (zh) 药剂包装装置的包装模块
JP3514683B2 (ja) ラミネータ
JP7039073B2 (ja) 包装装置
KR20170092060A (ko)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JP2633186B2 (ja) 錠剤包装装置
KR20150094343A (ko) 자동포장기의 포장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66915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인쇄장치
JP2742187B2 (ja) 連続包装袋の切断装置
CN110462388A (zh) 吸管检查装置
KR200472147Y1 (ko) 약제포장장치의 약제포장지 거치홀 형성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