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429A -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429A
KR20160100429A KR1020150022106A KR20150022106A KR20160100429A KR 20160100429 A KR20160100429 A KR 20160100429A KR 1020150022106 A KR1020150022106 A KR 1020150022106A KR 20150022106 A KR20150022106 A KR 20150022106A KR 20160100429 A KR20160100429 A KR 2016010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xis
rotary shaft
shaft
cutter
bre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520B1 (ko
Inventor
이재만
한병열
Original Assignee
(주) 다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원산업 filed Critical (주) 다원산업
Priority to KR102015002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2C2018/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 파봉작업을 기계화하여 파봉 효율과 파봉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봉지의 크기에 따라 파봉이 이루어지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파봉 효율을 향상시키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그 축을 중심으로 정회전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커터가 구비된 제1회전축; 제1회전축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역회전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커터가 구비된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을 이동하여, 제1회전축 중심과 제2회전축 중심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수용 용량이 큰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 중심과 제2회전축 중심 간의 거리를 벌리고, 이와 반대로 수용 용량이 작은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 중심과 제2회전축 중심 간의 거리를 좁혀 봉지를 파봉함으로써, 봉지의 용량에 관계없이 파봉이 가능하고, 이에 봉지 파봉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Apparatus for breaking Recycling collection bag}
본 발명은 봉지(PP마대 포함) 파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지 파봉작업을 기계화하여 파봉 효율과 파봉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봉지의 크기에 따라 파봉이 이루어지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파봉 효율을 향상시키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주거지역이나 산업지역, 공장 등에서 수거되어 온 재활용(재활용품 및 쓰레기)는 PP마대나 비닐봉투 등의 봉지에 수용되어 재활용선별장에 반입된다.
이처럼 반입된 봉지는 칼이나 낫 등을 이용하여 파봉된 후 선별장으로 이송되는데, 이를 통해 재활용들의 분리 선별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선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파봉작업이 인력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특성상, 파봉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 및 환경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100L 용량의 PP마대 및 비닐봉지의 경우, 수용된 재활용의 중량이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이를 손쉽게 다루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용된 재활용 중에는 인체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물질도 포함될 수 있어, 파봉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KR 10-0779524 B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봉지 파봉작업을 기계화하여 파봉 효율과 파봉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봉지의 크기에 따라 파봉이 이루어지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파봉 효율을 향상시키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그 축을 중심으로 정회전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커터가 구비된 제1회전축; 제1회전축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역회전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커터가 구비된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을 이동하여, 제1회전축 중심과 제2회전축 중심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터는, 제1회전축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제1커팅날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커팅날의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1커팅날 일단의 단면 형상이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커팅날 타단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터는, 제2회전축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제2커팅날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커팅날의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2커팅날 일단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커팅날 타단의 단면 형상이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축은 제2회전축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팅날의 중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1커팅날의 타단쪽이 일단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커팅날의 중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2커팅날의 일단쪽이 타단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터의 최대직경은 제2커터의 최대직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직경은 제2회전축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커터 및 제2커터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제1커터 및 제2커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면서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단부에 가이드돌출편이 돌출되어 형성된 베어링유닛; 상기 가이드돌출편과 대응하도록 장공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베어링유닛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베어링유닛의 이동방향으로 직선이동력을 제공하는 이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가 개구 형성되고, 제1회전축의 양단 및 제2회전축의 양단이 양측에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1회전축 사이 또는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2회전축 사이에 일정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나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나이프는, 하우징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부분이 하우징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제1부분의 상측단과 이어지는 제2부분은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의 하측단과 이어져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과 마주하는 제3부분은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과 동심원을 이루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부분의 하측단 및 제1부분의 하측단과 이어지는 제4부분의 중단은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커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수용 용량이 큰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 중심과 제2회전축 중심 간의 거리를 벌리고, 이와 반대로 수용 용량이 작은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 중심과 제2회전축 중심 간의 거리를 좁혀 봉지를 파봉함으로써, 봉지의 용량에 관계없이 파봉이 가능하고, 이에 봉지 파봉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봉지의 파봉을 위한 제1커터 및 제2커터의 형상, 크기, 배치구조를 통해 봉지의 파봉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파봉된 봉지에서 떨어진 봉지 조각이나 끈 등이 회전축에 감겨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고장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구비된 커팅나이프를 통해 봉지를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로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봉지 조각이나 끈 등을 더욱 확실하게 커팅하게 되는바 파봉된 봉지의 조각이나 끈 등으로 인한 기계 고장 및 작동 억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커터 및 제2커터의 형상 및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나이프의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는, 크게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및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1회전축(10)은 그 축을 중심으로 정회전되고, 상기 제1회전축(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커터(12)가 구비된다.
제2회전축(20)은 상기 제1회전축(10)의 측부에 나란하게 마주하여 배치된 것으로, 그 축을 중심으로 역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축(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커터(22)가 구비된다.
즉,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일례로 제1회전축(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회전축(20)이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 사이에 봉지가 투입되는 경우,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에 구비된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의 회전에 따른 커팅작용에 의해 봉지의 파봉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동수단은, 상기 제1회전축(10) 및/또는 제2회전축(20)을 이동하여, 제1회전축(10) 중심과 제2회전축(20) 중심 간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수용 용량이 큰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10) 중심과 제2회전축(20) 중심 간의 거리를 벌리고, 이와 반대로 수용 용량이 작은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10) 중심과 제2회전축(20) 중심 간의 거리를 좁히게 된다. 따라서, 봉지의 크기에 따라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여 봉지를 파봉함으로써, 봉지의 용량에 관계없이 파봉이 가능하고, 이에 봉지 파봉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에는 다수의 커팅날이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커터(12)는, 제1회전축(10)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제1커팅날(14)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에, 상기 제1커팅날(14)과 이웃하는 다른 제1커팅날(14) 사이는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바, 제1커팅날(14)이 제1커터(12)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터(12)는 제1커팅날(14)의 일단과 타단 중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1커팅날(14) 일단의 제1파봉부(14a) 단면 형상은 뾰족한 모서리 형상으로 날카롭게 형성되고, 제1커팅날(14) 타단의 제1지지부(14b) 단면 형상은 곡선진 라운드 형상으로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커터(22)는, 제2회전축(20)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제2커팅날(24)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에, 상기 제2커팅날(24)과 이웃하는 다른 제2커팅날(24) 사이는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바, 제2커팅날(24)이 제2커터(22)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터(22)는 제2커팅날(24)의 일단과 타단 중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2커팅날(24) 일단의 제2지지부(24b) 단면 형상은 곡선진 라운드 형상으로 부드럽게 형성되고, 제2커팅날(24) 타단의 제2파봉부(24a) 단면 형상은 뾰족한 모서리 형상으로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전력제공수단은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회전축(10)은 제2회전축(20)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축(10)이 60rpm으로 회전하면, 제2회전축(20)은 40rpm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커팅날(14)의 뾰족한 제1파봉부(14a)가 봉지의 일측을 찍어누르면서 회전하여 봉지를 찢게 되는데, 이때에 제2커팅날(24)의 제2지지부(24b)는 곡선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봉지의 파봉 초기에는 제2지지부(24b)가 봉지의 타측을 찢기보다는 제1커터(12)를 향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제2지지부(24b)가 봉지를 제1커팅날(14) 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제1파봉부(14a)에 의한 봉지의 파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봉지의 파봉 초기 이후, 봉지가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경우, 제1커팅날(14)에 형성된 제1파봉부(14a)가 봉지의 일측에 걸려져 봉지를 하부로 잡아 끌어내리듯 회전시키게 되면, 제2회전축(20)은 제1회전축(10)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제2커팅날(24)의 회전속도보다 봉지의 타측이 하부로 밀려내려가는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봉지의 타측이 제2커팅날(24)에 형성된 제2파봉부(24a)에 걸려진 상태에서 봉지는 제2커팅날(24)의 회전속도보다 더 빠른속도로 하부로 밀려내려가게 됨으로써, 제2파봉부(24a)에 의해 봉지의 타측이 찢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봉지의 일측은 물론 타측까지도 파봉하여 봉지의 파봉효율을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팅날(14)의 중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1커팅날(14)의 타단쪽이 일단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팅날(24)의 중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2커팅날(24)의 일단쪽이 타단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커팅날(14)에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파봉부(14a)에 의해 봉지의 일측을 파봉시, 제1커팅날(14)에 돌출된 단차 부분이 봉지의 일측을 지지하여 제1커팅날(14)이 봉지의 내부로 지나치게 깊숙히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바, 파봉된 봉지의 조각 및 끈 등이 제1커팅날(14)에 걸려지거나 감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커팅날(24)에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파봉부(14a)에 의해 봉지의 일측을 파봉시, 제2커팅날(24)에 돌출된 단차 부분이 봉지의 타측을 지지하게 되는바, 봉지를 제1커팅날(14) 방향으로 더욱 강한 압력으로 밀듯이 지지하여 봉지의 파봉 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커터(12)의 최대직경은 제2커터(22)의 최대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전축(10)의 직경은 제2회전축(2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제1커터(12)의 크기가 제2커터(22)보다 더 큰 것이 구비됨으로써, 봉지의 파봉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제1회전축(10)의 직경이 제1회전축(10)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봉지 파봉과정에서 파봉된 봉지의 조각 및 끈 등이 제1회전축(10)에 걸려지거가 감기는 것을 최소화하여 파봉장치의 고장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는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1커터(12)와 제1커터(12)가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예를 들어 제2회전축(20)이 제1회전축(10)을 향해 이동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커터(12) 사이에 제2커터(22)가 인입되는 형태로 이동됨으로써, 제1커터(12)와 제2커터(22) 사이의 공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되어, 크기 및 용량이 작은 봉지의 경우에도 봉지의 파봉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수단은, 다시 베어링유닛(30)과, 지지플레이트(40) 및 이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a, 4b를 참조하면, 먼저 베어링유닛(30)은,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면서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돌출편(32)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회전축(20)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이 제1회전축(10)을 향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제2회전축(20)이 이동하는 구성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40)는, 상기 가이드돌출편(32)과 대응하도록 장공의 가이드홀(42)이 형성되어 베어링유닛(3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하우징(50)의 외면에 마련되어 베어링유닛(30)의 하단에 지지된다.
예컨대, 상기 지지플레이트(40)에는 베어링유닛(30)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장공의 가이드홀(4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42)을 따라 베어링유닛(30)에 형성된 가이드돌출편(32)이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계속해서, 이동력제공수단은, 상기 베어링유닛(30)의 이동방향으로 직선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동 또는 수동 방식으로 직선이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는 전동방식으로 직선이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유압 또는 공압 등에 작동하는 실린더(70)를 마련하되, 실린더(70)의 작동에 의해 작동로드(72)가 직선 방향으로 신축 이동되고, 상기 작동로드(72)의 단부는 가이드돌출편(32)의 하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실린더(70)의 작동에 의해 작동로드(72)가 이동되면, 상기 작동로드(72)에 결합된 가이드돌출편(32)이 가이드홀(42)을 따라 가이드 이동됨으로써, 베어링유닛(30)과 함께 베어링유닛(30)에 의해 지지되는 제2회전축(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b는 수동방식으로 직선이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베어링유닛(3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조작되는 볼스크류(8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돌출편(32)의 하단에 볼너트(82)를 결합하되, 상기 볼너트(82)를 볼스크류(80)에 결합하여, 베어링유닛(30)이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볼스크류(80)의 단부에 결합된 핸들을 회전시키면, 볼스크류(80)에 나사 결합된 볼너트(82)가 볼스크류(80)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베어링유닛(30)과 함께 베어링유닛(30)에 의해 지지되는 제2회전축(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핸들 대신에 전동방식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를 연결하여 베어링유닛(30)을 전동 방식으로 직선이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어링유닛(30)의 이동 이후에는, 고정용 볼트를 이용하여 베어링유닛(30)을 지지플레이트(4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50)과, 커팅나이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50)은, 상하가 개구 형성되고, 제1회전축(10)의 양단 및 제2회전축(20)의 양단이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의 상부에는 하우징(50)의 내부로 봉지의 투입이 원활하도록 호퍼(52)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50)의 하부에는 파봉된 봉지 내부의 내용물을 선별대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커팅나이프(60)는, 상기 하우징(50)의 내측면과 제1회전축(10) 사이 또는 하우징(50)의 내측면과 제2회전축(20) 사이에 일정 간극을 두고 각각 마련되어,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에 걸려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하는 이물질을 커팅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팅나이프(60)는, 하우징(5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부분(61)이 하우징(50)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부분(61)의 상측단과 이어지는 제2부분(62)은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팅나이프(60)의 상면이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50)의 내측면 쪽으로 떨어지는 봉지를 커팅나이프(60)에 의해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로 안내하여 봉지가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로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커팅나이프(60)에서, 상기 제2부분(62)의 하측단과 이어져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과 마주하는 제3부분(63)은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과 소정 간극을 두고 동심원을 이루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부분(63)의 하측단 및 제1부분(61)의 하측단과 이어지는 제4부분(64)의 중단은 그 하부를 향해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커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의 외주면과 커팅나이프(60)의 제3부분(63)이 미소한 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됨으로써,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에 감겨져 함께 회전하는 봉지의 조각이나 끈 등이 커팅나이프(60)에 걸려져 끊어지게 되고, 특히 커팅나이프(60)의 제4부분(64)에 칼날 형상의 커팅부가 형성됨으로써, 봉지 조각이나 끈 등이 더욱 확실하게 커팅될 수 있는바, 파봉된 봉지의 조각이나 끈 등으로 인한 기계 고장 및 작동 억제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50)의 외측부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사다리장치(9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사다리장치(90)에는 본 발명의 파봉장치에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 용량이 큰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10) 중심과 제2회전축(20) 중심 간의 거리를 벌리고, 이와 반대로 수용 용량이 작은 봉지일수록 제1회전축(10) 중심과 제2회전축(20) 중심 간의 거리를 좁혀 봉지를 파봉함으로써, 봉지의 용량에 관계없이 파봉이 가능하고, 이에 봉지 파봉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봉지의 파봉을 위한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의 형상, 크기, 배치구조를 통해 봉지의 파봉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파봉된 봉지에서 떨어진 봉지 조각이나 끈 등이 회전축에 감겨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고장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제1회전축 12 : 제1커터
14 : 제1커팅날 14a : 제1파봉부
14b : 제1지지부 20 : 제2회전축
22 : 제2커터 24 : 제2커팅날
24a : 제2파봉부 24b : 제2지지부
30 : 베어링유닛 32 : 가이드돌출편
40 : 지지플레이트 42 : 가이드홀
50 : 하우징 52 : 호퍼
60 : 커팅나이프 61 : 제1부분
62 : 제2부분 63 : 제3부분
64 : 제4부분 70 : 실린더
72 : 작동로드 80 : 볼스크류
82 : 볼너트

Claims (10)

  1. 그 축을 중심으로 정회전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커터(12)가 구비된 제1회전축(10);
    제1회전축(10)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역회전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커터(22)가 구비된 제2회전축(20); 및
    상기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을 이동하여, 제1회전축(10) 중심과 제2회전축(20) 중심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12)는,
    제1회전축(10)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제1커팅날(14)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커팅날(14)의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1커팅날(14) 일단의 단면 형상이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커팅날(14) 타단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터(22)는,
    제2회전축(20)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제2커팅날(24)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커팅날(24)의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2커팅날(24) 일단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커팅날(24) 타단의 단면 형상이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축(10)은 제2회전축(20)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날(14)의 중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1커팅날(14)의 타단쪽이 일단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커팅날(24)의 중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제2커팅날(24)의 일단쪽이 타단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12)의 최대직경은 제2커터(22)의 최대직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10)의 직경은 제2회전축(2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제1회전축(10) 및 제2회전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제1커터(12) 및 제2커터(22)는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면서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단부에 가이드돌출편(32)이 돌출되어 형성된 베어링유닛(30);
    상기 가이드돌출편(32)과 대응하도록 장공의 가이드홀(42)이 형성되어 베어링유닛(30)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40); 및
    상기 베어링유닛(30)의 이동방향으로 직선이동력을 제공하는 이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하가 개구 형성되고, 제1회전축(10)의 양단 및 제2회전축(20)의 양단이 양측에 결합된 하우징(50);
    상기 하우징(50)의 내측면과 제1회전축(10) 사이 또는 하우징(50)의 내측면과 제2회전축(20) 사이에 일정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하는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나이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나이프(60)는,
    하우징(5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부분(61)이 하우징(50)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제1부분(61)의 상측단과 이어지는 제2부분(62)은 제1회전축(10)과 제2회전축(20) 사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62)의 하측단과 이어져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과 마주하는 제3부분(63)은 제1회전축(10) 또는 제2회전축(20)과 동심원을 이루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부분(63)의 하측단 및 제1부분(61)의 하측단과 이어지는 제4부분(64)의 중단은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커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KR1020150022106A 2015-02-13 2015-02-13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KR10165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06A KR101658520B1 (ko) 2015-02-13 2015-02-13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06A KR101658520B1 (ko) 2015-02-13 2015-02-13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429A true KR20160100429A (ko) 2016-08-24
KR101658520B1 KR101658520B1 (ko) 2016-09-22

Family

ID=5688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106A KR101658520B1 (ko) 2015-02-13 2015-02-13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4791A (zh) * 2018-06-27 2018-10-16 江阴双马重工装备有限公司 一种钢包预碎机构
CN114378096A (zh) * 2022-03-12 2022-04-22 山东绿都安特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畜牧废弃饲料袋回收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716B1 (ko) 2017-11-30 2019-04-22 (주)다원산업 축에 끈 말림을 억제하고 완전 제거하는 파봉장치
KR202100707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다원산업 폐기물 및 종량제 봉투 파봉기
KR102467668B1 (ko) 2022-04-13 2022-11-16 박만수 파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701A (ja) * 1995-10-11 1997-04-22 Nakabayashi Kk 飲料容器細断機のクロスカット用カッター
JPH11292046A (ja) * 1998-04-09 1999-10-26 Ohara Tekkosho:Kk 資源ゴミなどを詰入した詰入袋体の解袋装置
JP2003205253A (ja) * 2002-01-16 2003-07-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せん断式破砕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
KR100779524B1 (ko) 2007-07-19 2007-11-28 박용익 재활용 포대 파봉드럼 및 파봉유니트와 이를 갖는 파봉장치
JP2014133195A (ja) * 2013-01-09 2014-07-24 Ohbayashi Corp 破袋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701A (ja) * 1995-10-11 1997-04-22 Nakabayashi Kk 飲料容器細断機のクロスカット用カッター
JPH11292046A (ja) * 1998-04-09 1999-10-26 Ohara Tekkosho:Kk 資源ゴミなどを詰入した詰入袋体の解袋装置
JP2003205253A (ja) * 2002-01-16 2003-07-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せん断式破砕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
KR100779524B1 (ko) 2007-07-19 2007-11-28 박용익 재활용 포대 파봉드럼 및 파봉유니트와 이를 갖는 파봉장치
JP2014133195A (ja) * 2013-01-09 2014-07-24 Ohbayashi Corp 破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4791A (zh) * 2018-06-27 2018-10-16 江阴双马重工装备有限公司 一种钢包预碎机构
CN114378096A (zh) * 2022-03-12 2022-04-22 山东绿都安特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畜牧废弃饲料袋回收处理设备
CN114378096B (zh) * 2022-03-12 2023-08-08 山东绿都安特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畜牧废弃饲料袋回收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520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520B1 (ko)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US4068805A (en) Shredding machine
RU26648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скрытия контейнеров, содержащих неоднородные материалы
CN204712312U (zh) 橡胶破碎装置
KR920000540B1 (ko) 폐기 타이어 절단 장치
EP2403647A1 (en) Improvements in&relating to the comminution of waste & other materials
KR102151565B1 (ko) 플라스틱 및 페트병 파쇄기
KR102064913B1 (ko) 축에 끈 말림을 억제하고 완전 제거하는 파봉장치
CN107042922A (zh) 一种袋装肥料破碎装置
KR102048929B1 (ko) 폐합성수지의 더블 절삭 파쇄 장치
KR101970716B1 (ko) 축에 끈 말림을 억제하고 완전 제거하는 파봉장치
CN104943025A (zh) 塑料垃圾撕碎机
KR101754181B1 (ko) 타공기
JP4308046B2 (ja) 破袋装置
KR101472272B1 (ko) 비대칭 고정나이프가 구비되는 복합 파쇄 장치
CN202907702U (zh) 一种香肠切断机的结构
JP6382177B2 (ja) 剪断式破砕機の切断刃及びそれを具備する剪断式破砕機
KR102437250B1 (ko) 커터 끈말림 억제 및 축 말린 끈 제거 가능한 2축 파봉기
KR20200138953A (ko) 잔해물 걸림이 없는 파봉장치
CN218167233U (zh) 一种碎枝机的动、静态调刀机构及碎枝机
CN216425067U (zh) 生活垃圾破袋机
CN220408910U (zh) 一种防外溅食品物料的切丁机
KR102564825B1 (ko) 고효율 파봉기
KR101816586B1 (ko) 재활용 쓰레기봉투 절개장치
KR101751208B1 (ko) 폐비닐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