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490A - 밀봉 커넥터 - Google Patents

밀봉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490A
KR20160099490A KR1020160014067A KR20160014067A KR20160099490A KR 20160099490 A KR20160099490 A KR 20160099490A KR 1020160014067 A KR1020160014067 A KR 1020160014067A KR 20160014067 A KR20160014067 A KR 20160014067A KR 20160099490 A KR20160099490 A KR 2016009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nnector
sealing means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993B1 (ko
Inventor
마르틴 루트비히
미햐엘 호르눙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10)는 상보적인 커넥터에의 연결용으로 구성되는 제1 측면(21) 및 공동(24)으로 삽입 방향(x)으로 확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3)를 갖춘 제2 측면(22)을 갖는 제1 커넥터 하우징(20)과,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적어도 하나의 공동(24) 내에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제2 커넥터 하우징(30)과,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부착될 수 있는 밀봉 수단(40), 및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밀봉 수단(40)을 보유하는 보유 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수단(40)이 삽입 방향(x)으로 제1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23)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3)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수단(40) 내의 개구(43)가 제1 커넥터 하우징(20) 내의 개구(23)보다 더 작다.

Description

밀봉 커넥터 {SEALED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용 밀봉 커넥터, 특히 차량의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밀봉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갖는 네트워크 라인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공학에서, 지능형 노드(intelligent node)를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필수요소가 되었다. 네트워크와 지능형 노드의 사용에 의해서, 차량의 신호 라인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동시에, 안전성과 편안함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에서, 기술적 특징은 차량의 종래 배선과 비교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라인이 전송될 신호에 맞추어 사용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덧붙여,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공지된,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소위 연선 케이블(twisted pair cable)이 사용된다. 연선 케이블은 차폐 또는 비-차폐 방식으로 사용되는 연선 전도체를 갖는 케이블이다. 전도체 쌍은 보통, 케이블에 더 큰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공통의 제2 절연층을 가진다. 실제로, 연선 케이블은 특히 실용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현대 차량의 노드의 수는 새로운 특징들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차량 내의 공간이 제한되어 있고 중량이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소형 커넥터 시스템이 사용된다. 소형 커넥터 시스템은 차량 제작에 있어서 가공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어느 정도의 강인성이 조립 중에 요구된다. 동시에,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속도의 증가가 있다. 이는 정복되어야 할 추가적인 과제를 초래한다. 노드, 커넥터 및 케이블은 시그널링(signaling)에서의 에러를 피하기 위해서 서로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소스(source)로부터 타겟으로 가능한 한 밀집되게(close together) 연선 케이블의 전도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지된 해법은 커넥터를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과 별도의 전도체 세트로서 네트워크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케이블 세트의 제작시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 연결 케이블이 별도로 사전-조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연결 케이블은 그 단부에 전용 커넥터가 함께 제공되고 케이블 세트의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화된다.
차량에서, 케이블 세트는 습기 및 이물질(debris)에 대해 밀봉될 필요가 있다. 그에 대한 예가 EP1024557 및 WO2013031088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모듈화는 부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밀봉에 필요한 작업이 증가한다. 고속 네트워크 연결 측면에서 뛰어난 모듈식 커넥터 시스템의 밀봉은 개발자에게 중대한 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네트워크 적용분야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밀봉 커넥터 및 그러한 밀봉 커넥터를 갖는 연결 라인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요지 및 제1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상기 과제는 상보적인 커넥터에의 연결용으로 구성되는 제1 측면 및 공동으로 삽입 방향으로 확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춘 제2 측면을 갖는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공동 내에 보유될 수 있는 적어도 제2 커넥터 하우징과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밀봉 수단 및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밀봉 수단을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밀봉 수단은 삽입 방향으로 제1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밀봉 수단 내의 개구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내의 개구보다 더 작다.
또한, 상기 목적은
a)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밀봉 수단을 부착하는 단계와,
c) 전기 연결되고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하는 단계와,
d) 제2 커넥터 하우징을 밀봉 수단 내의 개구를 통해서 제1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e)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공동 내에 수용되고 보유될 때까지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f) 밀봉 수단이 제1 커넥터 하우징 상에 보유되도록 보유 수단을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용 연결 라인의 제작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정면 및 측면을 포함한다. 측면은 삽입 방향과 반대로 정면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면들 사이의 전이 구역(transition area)은 라운딩 및/또는 챔퍼링(chamfering)된다. 예리한 코너를 갖춘 물체를 탄성 재료의 개구 내측에 삽입할 때, 탄성 재료는 쉽게 찢어질 수 있다. 정면과 측면 사이의 전이 구역을 라운딩 또는 챔퍼링함으로써, 밀봉 수단의 개구를 통한 제2 커넥터의 미끄럼이 예리한 에지와 코너에 의한 밀봉 수단의 손상 없이 가능해진다. 라운딩 또는 챔퍼링된 측면 에지(삽입 방향에 평행한 전이 구역)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삽입할 때 밀봉 수단의 개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원형 횡단면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사용할 때 그러한 요건은 불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의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방위가 중요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 수단의 개구를 통한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 중 밀봉 수단을 따라 미끄럼하는 정면 에지 및 측면 에지(전이 구역)가 라운딩 및/또는 챔퍼링된다. 챔퍼링 또는 라운딩에 의해 예리한 에지를 제거함으로써, 탄성 밀봉 수단의 개방(찢어짐)에 대한 손상 위험이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시 최소화된다. 그러나, 개구를 통한 미끄럼시 밀봉 수단과 접촉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구역만을 무디게(de-sharpen)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 바람직하게, 밀봉 수단은 탄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일체로 형성된 밀봉 수단의 사용에 의해서, 제작 비용이 감소된다. 개별적인 전도체 밀봉에 비해서, 일체로 형성된 밀봉 수단은 제조하는데 더 저렴하고 조립시 더 비용-효율적이다. 또한, 적층형(in layers) 밀봉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다양한 통로 형상(passage geometry)이 실현될 수 있다. 더 작은 제2 커넥터 하우징이 탄성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 수단은 제1 커넥터의 제2 측면을 향하는 그의 제1 측면에 및/또는 보유 수단을 향하는 그의 제2 측면에 오목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밀봉 수단은 그의 제1 측면에 오목부를 가진다. 제1 하우징의 설계에 따라서,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돌기가 오목부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들 돌기는 밀봉 수단을 바람직한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밀봉 수단의 개구가 제1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와 정렬되는 것이 보장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오목부는 하우징 부품들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다. 밀봉 수단의 가요성은 실리콘이 확대를 위한 공간을 가질 때 개선된다. 밀봉 수단의 제2 측면에 있는 오목부도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개구를 통해 삽입될 때 밀봉 수단 재료의 확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실리콘이 비압축성이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 쪽으로 재료를 압박함이 없이 개구를 확대시킬 가능성이 제공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 수단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네트워크 케이블을 밀봉 가능하게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밀봉 수단 내의 개구의 크기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형상 및 네트워크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결정된다. 밀봉 수단 내의 개구는 제2 하우징이 밀봉 수단에 대한 손상없이 개구를 통해 미끄러질 수 있을 정도의 치수이다. 그 후, 밀봉 수단은 네트워크 케이블을 단단히 둘러싼다.
더 바람직하게, 밀봉 수단은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실리콘으로 구성된다. 실리콘의 사용은 그중에서도, 실리콘 밀봉 수단의 제작 중에 아주 흔하게 약간의 오일들이 밀봉 수단 상에 유지되어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적절하게 맞추어진 설계에 의해서, 실리콘 밀봉 수단이 제1 하우징에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추가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보유 수단이 여러 부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보유 수단이 절차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부착되는 순서로 장착된다. 이 시점에서, 여러 네트워크 케이블은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특히 이때 커넥터들은 하나 초과의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한다. 보유 수단이 복수의 부품을 갖기 때문에, 보유 수단은 네트워크 케이블 주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심지어 네트워크 케이블 사이의 밀봉 수단이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보유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보유 수단의 부품이 서로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유 수단의 부품이 조립 중 취급을 개선하도록 서로에 연결된다. 상기 부품들은 꼭 맞게 수집될 필요가 없으며 쉽게 소실될 수 없다. 상기 부품들은 예를 들어, 필름 힌지(film hinge)에 의해 서로에 연결될 수 있다. 용도는 연결 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상기 부품들은 단지 특정 방식으로만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 중의 에러가 사실상 배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유 수단의 하나 이상의 부품은 삽입 방향에 수직한 오목부를 가진다. 보유 수단은 네트워크 케이블이 오목부 내에 수용되도록 네트워크 케이블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보유 수단의 다른 부품은 네트워크 케이블이 보유 수단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제1 부품에 연결된다. 특히 복수의 제2 커넥터 하우징을 갖춘 커넥터에 의해서, 이러한 보유 수단은 네트워크 케이블들 사이에 쉽게 배열되고 조립될 수 있다. 네트워크 케이블은 개구를 통해 끼워넣어질(thread) 필요가 없으며, 이는 조립을 아주 용이하게 한다. 개별적인 부품이 서로에 연결된 이후에, 이들은 안정한 덮개(lid)를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보유 수단은 삽입 방향으로 및/또는 삽입 방향과 반대로 돌기를 포함한다.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유 수단의 돌기는 보유 수단 조립의 마지막 단계에서 밀봉 수단의 오목부 내측에 삽입된다. 돌기는 밀봉 수단이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 중에 개구를 확대시키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점유한다. 따라서, 밀봉 수단의 개구는 확대될 수 없으며 연선 케이블의 절연부에 주변부가 맞닿는다. 이는 밀봉을 개선한다.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부터 삽입 방향과 반대로 돌출하는 보유 수단의 돌기는 보유 수단에 대한 기계적인 안정화 효과를 가진다. 돌기의 배열은 워터 제트가 보유 수단 상에 튀길 때 물 저장소가 형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돌기들 사이의 물은 밀봉 수단과 네트워크 케이블의 절연부 사이에 있는 구역 내의 수압을 감소시킨다.
특히 바람직하게, 연결 라인의 제작시에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밀봉 수단 내의 개구를 통해 완전히 삽입된다. 이는 조립 중에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이들은 종래 방식으로의 취급을 어렵게 하는 초소형 커넥터 시스템이다.
다른 실시예를 따라서, 먼저 보유 수단의 부품이 네트워크 케이블들 사이에 놓이며 그 후에 나머지 부품이 네트워크 케이블 주위에 놓인다. 이는 폐쇄 표면을 생성하며, 폐쇄 표면을 통해서 네트워크 케이블이 돌출한다. 개별적 부품으로부터, 하우징에 밀봉 수단을 보유하고 네트워크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밀봉하는 대형 판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보유 수단은 보유 수단의 돌기가 밀봉 수단의 오목부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돌기는 밀봉 수단(여기서 실리콘)을 오목부로부터 변위시키며 밀봉 수단을 네트워크 케이블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밀봉이 개선되며 밀봉 수단이 제위치에 유지된다.
이후에,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유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식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1 하우징에 대한 3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2 하우징에 대한 3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밀봉 수단에 대한 3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보유 수단에 대한 3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의 보유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개방된 보유 수단을 갖춘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폐쇄된 보유 수단을 갖춘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유 수단을 갖춘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완전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식 커넥터(10)를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는 전기 라인에 부착되는 접점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갖춘 제1 커넥터 하우징을 가진다.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연선 케이블(101)이 장착되는 제2 커넥터(30)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23)를 가진다. 이러한 커넥터 컨셉은 제2 커넥터(30)용 밀봉 수단으로서 단일 전도체 밀봉부를 사용한다. 그러나, 전체 커넥터는 밀봉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제1 하우징(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하우징(20)은 상보적인 커넥터(도시 않음)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측면(21)을 가진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삽입 방향(x)으로 이동되어 상보적인 커넥터에 연결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제2 측면(22)을 포함한다. 제2 측면(22)은 개구(23)를 포함한다. 개구(23)는 추가의 커넥터 하우징(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공동(24)이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 사이에 제공되며, 공동 내에 제2 커넥터 하우징(30)이 보유될 수 있다. 칼라(27)는 삽입 방향(x)과 반대로 제2 측면(22)으로부터 돌출한다. 칼라는 개구(23)가 위치되는 구역을 둘러싼다. 제2 측면(22)의 표면 및 주변 칼라(27)는 밀봉 수단(40)용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러그(25)는 삽입 방향(x)과 반대로 제1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한다. 러그는 보유 수단(50)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b는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횡단면 축선(A)은 제1 커넥터 하우징(20)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도 2c는 횡단면 축선(A)에 따른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제2 하우징(3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공동(24) 내측으로 삽입되어 거기에 보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동(24) 내에 보유되게 하기 위해서 멈춤쇠 기구(35)(detent mechanism)가 양측 하우징(20,30)에 제공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2-극 하우징으로서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입방체 형상을 가진다. 삽입 방향(x)에 대해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정면 부품은 표면(31,32)들 사이에 챔퍼링된 전이 구역(3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면(31)을 둘러싸는 주변 전이 구역(33)이 날카롭지 않게 된다. 삽입 방향(x)과 반대인,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정면(31)과 측면(32) 사이의 각도는 두 개의 에지로 확산됨으로써 평평해진다. 주변 전이 구역(33)도 또한 라운딩될 수 있다. 삽입 축선(x)에 따른 입방체 하우징(30)의 전이 구역(34)도 또한 챔퍼링 또는 라운딩된다. 도 3b는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투-피스 구성요소(two-piece component)로서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게다가,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챔퍼링된 전이 구역(36)을 포함한다. 챔퍼링된 전이 구역(36)은 밀봉 수단(40)을 통한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미끄럼을 지원한다.
도 3c는 단면이 삽입 방향인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내측에, 그에 부착되는 연선 케이블(101)을 갖는 접점 요소(37)가 도시된다. 연선 케이블(101)은 네트워크 케이블(100)에서 일반적인 추가의 절연 층을 가진다.
도 4a는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밀봉 수단(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밀봉 수단(40)은 여기서, 일체로-형성된 평탄한 블록 밀봉부로서 도시된다. 밀봉 립(46,47)은 외측 주변부 상에 그리고 개구의 내부에 형성된다. 외측 주변부 상의 밀봉 립(47)은 제1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을 밀봉하도록 칼라(27)의 내측 표면과 협동한다. 개구(43) 내부의 밀봉 립(46)은 이들이 네트워크 케이블(100)에 달라붙도록 형성된다. 밀봉 수단(40)의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에, 오목부(44,45)가 형성된다. 오목부(44,45)는 커넥터(10)의 조립 중에 밀봉 수단 재료용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 중의 하나가 개구(43)를 통해 삽입되는 지점에서, 변위된 밀봉 수단 재료가 오목부(44,45)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개구(43)는 더 쉽게 확대될 수 있다. 개구(43)의 상부 에지에 있는 오목부(48)는 밀봉 수단(40)을 통해 삽입될 때 제2 커넥터 하우징(30)을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b는 밀봉 수단(40)의 제2 측면(42)에 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단면 축선(A)은 밀봉 수단(40)을 통한 단면 절개를 도시한다. 도 4c는 밀봉 수단(4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보유 수단(5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보유 수단(50)은 여러 부품으로 형성된다. 보유 수단(50)의 개별적인 부품(60,61,62)은 여기서 필름 힌지(56)에 의해 함께 보유된다. 필름 힌지(56)의 배열은 보유 수단(50)을 조립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동작 순서를 야기한다. 도 5b는 보유 수단의 제1 측면(51)을 도시한다. 보유 수단(50)은 그의 제1 측면(51) 및 제2 측면(52)에 돌기(53,54)를 가진다. 제1 측면(51)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53)는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밀봉 수단(40)의 오목부(44,45) 내측으로 돌출한다. 보유 수단은 오목부(70)를 포함하며, 그 오목부를 통해 네트워크 케이블(100)이 보유 수단(50)을 통해 통과될 수 있다. 멈춤쇠 기구(63,64)는 조립 이후에 보유 수단(50)의 부품(60,61,62)을 함께 보유하도록 제공된다. 멈춤쇠 기구(63,64)는 멈춤쇠(63) 및 멈춤쇠(63)가 결합될 수 있는 폐쇄 태브(64)(closing tab)를 포함한다. 도 5c는 보유 수단(50)의 제2 측면(52)을 도시한다. 제2 측면(52)은 삽입 방향(x)과 반대로 연장하는 돌기(54)를 포함한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의 보유 수단(50)을 도시한다. 멈춤쇠 기구(63,64) 및 힌지(56)는 덮개-형상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부품(60,61,62)을 함께 보유한다. 보유 수단(50)은 그의 에지에, 삽입 방향(x)으로 연장하는 주변 칼라(57)를 포함한다. 멈춤쇠(58)는 칼라(57)의 외측 측면에 배열되며 그에 의해서 보유 수단(50)이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러그(25)에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커넥터(10)를 장착시키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밀봉 수단(40)은 제1 커넥터 하우징(20)에 부착된다. 그 후, 부착된 네트워크 케이블(100)을 갖춘 제2 커넥터 하우징(30)이 밀봉 수단(40)을 통해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 후, 보유 수단(50)이 네트워크 케이블(100)들 사이에 배열되고, 덮개-형 구조물로 조립되며 제1 커넥터 하우징(20)에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네트워크 케이블(100)들 사이에 배열되는 보유 수단(50)을 갖춘 커넥터(10)를 도시한다. 보유 수단(50)은 아직 덮개-형 형상으로 접혀지지 않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네트워크 케이블(100)들 사이에 배열되는 보유 수단(50)을 갖춘 커넥터(10)를 도시한다. 보유 수단(50)은 그의 덮개-형 형상으로 접혀진다. 다음 조립 단계에서, 보유 수단(50)은 보유 수단(50)의 칼라(57)가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칼라(27) 위로 당겨지며 보유 수단(50)의 멈춤쇠(58)가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러그(25) 내측에 로크될 때까지 삽입 방향(x)으로 이동된다.
도 10은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케이블(100)은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23)로부터 밀봉 수단(40)의 개구(43)를 통해 돌출한다. 보유 수단(50)은 네트워크 라인(100)들 사이에 배열되고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연결된다. 연결은 스냅 기구(25,58)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1은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공동(24) 내에 수용되고 보유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30) 내의 접점 부품(37)은 삽입 방향(x)으로 정렬되며 네트워크 케이블(100)의 연선 케이블(101)의 전도체는 접점 부품(37)에 연결된다. 밀봉 수단(40)은 제1 커넥터(20)의 제2 측면(22)과 접촉한다. 네트워크 케이블(100)은 밀봉 수단(40)의 개구(43)를 통해 돌출한다. 보유 수단(50)은 스냅 기구(25,58)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20)에 연결된다. 보유 수단의 돌기(53)는 밀봉 수단(40)의 오목부(45) 내측으로 돌출하며 네트워크 케이블(100)의 외측에 밀봉 립(46)을 보유한다.

Claims (15)

  1. 상보적인 커넥터에의 연결용으로 구성되는 제1 측면(21) 및 공동(24)으로 삽입 방향(x)으로 확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3)를 갖춘 제2 측면(22)을 갖는 제1 커넥터 하우징(20)과,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부착될 수 있는 밀봉 수단(40), 및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밀봉 수단(40)을 보유하는 보유 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수단(40)이 삽입 방향(x)으로 제1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23)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3)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수단(40) 내의 개구(43)가 제1 커넥터 하우징(20) 내의 개구(23)보다 더 작은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적어도 하나의 공동(24) 내에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제2 커넥터 하우징(30)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정면(31) 및 측면(32)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32)이 삽입 방향(x)과 반대로 정면(31)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정면(31)과 측면(32) 사이의 전이 구역(33,34)이 라운딩 및/또는 챔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구역(33,34)은 밀봉 수단(40)의 개구(43)를 통한 제2 커넥터 하우징(30)의 삽입 중에 밀봉 수단을 따라서 미끄럼하는 전이 구역(33,34)이 라운딩 및/또는 챔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40)은 탄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40)은 제1 커넥터(20)의 제2 측면(22)을 향하는 제1 측면(41)에 및/또는 보유 수단(50)을 향하는 제2 측면(42)에 오목부(44,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40) 내의 개구(43)는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네트워크 케이블(100)을 밀봉 가능하게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50)은 여러 부품(60,61,6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의 부품(60,61,62)은 서로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50)의 하나 이상의 부품(60,61,62)은 삽입 방향(x)에 수직한 오목부(70)를 가지며, 상기 보유 수단은 네트워크 케이블(100)이 오목부(70) 내에 수용되도록 네트워크 케이블(100)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보유 수단의 다른 부품(60,61,62)은 네트워크 케이블(100)이 보유 수단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제1 부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50)은 삽입 방향(x)으로 및/또는 삽입 방향과 반대로 돌기(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네트워크용 연결 라인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제1 커넥터 하우징(20)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밀봉 수단(40)을 부착하는 단계;
    c) 전기 연결되고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네트워크 케이블(100)을 제2 커넥터 하우징(30)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30)을 밀봉 수단(40) 내의 개구(43)를 통해서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23)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e)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공동(24) 내에 수용되고 보유될 때까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30)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밀봉 수단(40)이 제1 커넥터 하우징(20) 상에 보유되도록 보유 수단(50)을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연결 라인의 제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e) 단계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30)은 밀봉 수단(40) 내의 개구(43)를 통해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연결 라인의 제작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f) 단계에서 상기 보유 수단(50)의 부품(60,61,62)이 먼저 네트워크 케이블(100)들 사이에 놓이며, 그 후 폐쇄 표면이 생성되어 이를 통해 네트워크 케이블(100)이 돌출하도록 나머지 부품(60,61,62)이 네트워크 케이블(100) 주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연결 라인의 제작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f) 단계에서 상기 보유 수단(50)은 보유 수단(50)의 돌기(53)가 밀봉 수단(40)의 오목부(45)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제1 커넥터 하우징(2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연결 라인의 제작 방법.
KR1020160014067A 2015-02-12 2016-02-04 밀봉 커넥터 KR102490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4927.6 2015-02-12
EP15154927.6A EP3057183B1 (de) 2015-02-12 2015-02-12 Gedichteter Ste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90A true KR20160099490A (ko) 2016-08-22
KR102490993B1 KR102490993B1 (ko) 2023-01-25

Family

ID=5257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67A KR102490993B1 (ko) 2015-02-12 2016-02-04 밀봉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40957A1 (ko)
EP (1) EP3057183B1 (ko)
JP (1) JP2016149361A (ko)
KR (1) KR102490993B1 (ko)
CN (1) CN10589615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694A (ko) * 2017-04-10 2019-12-03 나발 에너지스 해저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024508A (ko) 2018-08-28 202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블록형 방수 시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2076B2 (ja) * 2015-11-18 2019-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弾性部材および防水コネクタ
CN110603692A (zh) * 2017-05-08 2019-12-20 莱尼电气系统有限公司 用于将插塞器装配在多芯的护套导线上的方法以及电的插塞器
US10148032B1 (en) 2017-06-05 2018-12-04 Delphi Technologies, Inc.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wire seal
TWI645629B (zh) * 2017-06-14 2018-12-21 百容電子股份有限公司 車用電子連接器
DE102018209354A1 (de) * 2017-12-21 2019-06-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ckverbinder
DE102018118774B4 (de) * 2018-08-02 2022-07-1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GB2589632B (en) 2019-12-06 2023-01-25 Perkins Engines Co Ltd Dust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ssembly
JP2021131994A (ja) * 2020-02-20 2021-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80663B2 (ja) * 2020-10-02 2024-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22101417A1 (de) 2022-01-21 2023-07-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Verfahren zum Vorkonfektionieren
FR3137511A1 (fr) * 2022-07-04 2024-01-05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uvercle arrière de connecteur, système de connecteur et procédé d'assembl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05A (ja) * 1999-01-29 2000-08-1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US6361342B1 (en) * 2000-09-11 2002-03-26 Baker Hughes Incorporated Pothead with pressure energized lip seals
US20060099842A1 (en) * 2004-11-11 2006-05-11 Toshiaki Hayashi Waterproof connector and seal member
US20090197450A1 (en) * 2008-02-06 2009-08-06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O2010050336A1 (ja) * 2008-10-30 2010-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WO2013031088A1 (en) * 2011-08-30 2013-03-07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4557A1 (en) * 1999-01-29 2000-08-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sealing plug for a watertight connector and a watertight connector
DE102012212430B4 (de) * 2012-07-16 2017-08-03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für Leistungshalbleitereinrichtung mit dichtem Steckverbinder, Leistungshalbleiter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Verbindung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05A (ja) * 1999-01-29 2000-08-1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US6361342B1 (en) * 2000-09-11 2002-03-26 Baker Hughes Incorporated Pothead with pressure energized lip seals
US20060099842A1 (en) * 2004-11-11 2006-05-11 Toshiaki Hayashi Waterproof connector and seal member
US20090197450A1 (en) * 2008-02-06 2009-08-06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O2010050336A1 (ja) * 2008-10-30 2010-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WO2013031088A1 (en) * 2011-08-30 2013-03-07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694A (ko) * 2017-04-10 2019-12-03 나발 에너지스 해저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024508A (ko) 2018-08-28 202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블록형 방수 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9361A (ja) 2016-08-18
CN105896153B (zh) 2019-10-01
US20160240957A1 (en) 2016-08-18
KR102490993B1 (ko) 2023-01-25
EP3057183B1 (de) 2019-09-11
CN105896153A (zh) 2016-08-24
EP3057183A1 (de)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9490A (ko) 밀봉 커넥터
US10763600B2 (en) Connector structure
US10490930B2 (en) Waterproofed electrical connector
US992950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having same
EP3382816A1 (en) Connector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EP3483988B1 (en) Connector
EP317146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05641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143183B2 (ja) フェライトコア内蔵防水コネクタ
US10601172B2 (en) Connector with wire holding force
US20190044276A1 (en) Waterproof connector for a board
JP2018206766A (ja) 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レセプタクル、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111864458A (zh) 电连接器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JP2004119294A (ja) シール材の固定構造
US9190768B2 (en) Connector having a first seal and a second seal and a pressing rib
EP3806244A1 (en)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and housing
JP2005531886A (ja) 改良されたプラグ
KR102571705B1 (ko) 블록형 방수 시일
US20240170873A1 (en) Connector system
KR101869542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1B1 (ko) 방수 커넥터
JP2017199617A (ja) コネクタ組立方法及びコネクタ
JP2022153116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