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508A - 블록형 방수 시일 - Google Patents

블록형 방수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508A
KR20200024508A KR1020180101275A KR20180101275A KR20200024508A KR 20200024508 A KR20200024508 A KR 20200024508A KR 1020180101275 A KR1020180101275 A KR 1020180101275A KR 20180101275 A KR20180101275 A KR 20180101275A KR 20200024508 A KR20200024508 A KR 2020002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embrane
waterproof seal
termin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705B1 (ko
Inventor
정대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7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형 방수 시일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는 블록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되어 방수성능을 갖되 터미널의 삽입 시 개방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터미널 삽입 시 파단되어 와이어에 밀착됨으로써 와이어와의 사이를 밀봉한다.

Description

블록형 방수 시일{BLOCK TYPE WATERPROOF SEAL}
본 발명은 방수 타입 커넥터에 사용되는 블록형 방수 시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캐비티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형 방수 시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 기구와 코드, 또는 코드와 코드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 기구로서, 자동차의 배선이나 전자장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커넥터는,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와이어는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터미널에 결속된다. 와이어가 결속된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 또는 기기에 상호 체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 중 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방수 타입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방수 타입 커넥터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커넥터의 후단을 밀봉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방수 시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수 시일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입력 및 출력 터미널을 가진 다극 커넥터의 경우 블록형태의 몸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형 방수 시일이 사용된다.
상술한 블록형 방수 시일은 다수의 관통홀 중 필요한 위치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사용하지 않는 관통홀에는 캐비티 플러그를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방수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형 방수 시일은 미사용 관통홀에 캐비티 플러그를 일일이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캐비티 플러그 삽입 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캐비티 플러그를 잘못 삽입할 경우 방수성능이 저하되므로 검사 공정이 반드시 요구되며, 검사 공정이 추감됨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99490호(2016.08.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티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형 방수 시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방수 시일은 터미널과 결속된 와이어가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블록형 방수 시일은,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는 블록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되어 방수성능을 갖되 터미널의 삽입 시 개방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터미널 삽입 시 파단되어 와이어에 밀착됨으로써 와이어와의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멤브레인의 일면에는 파단 유도홈이 형성되어 터미널의 삽입 시 상기 멤브레인이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단 유도홈은 상기 멤브레인이 균등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커넥터 하우징에 밀착되는 제1밀봉립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와이어에 밀착되는 제2밀봉립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블록형 방수 시일에 형성된 관통홀이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되므로 미사용 관통홀에 캐비티 플러그를 삽입하지 않고도 방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사용 관통홀에 캐비티 플러그를 일일이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캐비티 플러그 삽입 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 플러그 삽입 후 검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의 단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 중 관통홀을 확대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에 터미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은 방수 타입 커넥터에 사용되는 방수 시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터미널에 결속되는 와이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수 시일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100)은 블록 형태의 몸체(110)를 포함한다. 몸체(110)에는 와이어(도 5의 220)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120)이 형성된다.
몸체(110)는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의 일단, 즉 와이어(도 5의 220)가 삽입되는 일단을 전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커넥터 하우징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1밀봉립(112)이 형성된다. 제1밀봉립(112)은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되 몸체(1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밀봉립(112)은 블록형 방수 시일(100)의 설치 시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밀봉립(112)이 동일한 크기를 가진 3의 립(lip)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대적으로 큰 메인 립과 메인 립의 양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작은 보조 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몸체(110)의 각 모서리에는 유동 방지 돌기(114)가 형성된다. 유동 방지 돌기(114)는 블록형 방수 시일(100)의 설치 시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의 홈 (미도시)에 삽입되어, 블록형 방수 시일(10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함과 동시에 블록형 방수 시일(1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홀(120)은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의 일단을 통해 삽입된 와이어(도 5의 220)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다극 커넥터의 터미널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된다. 관통홀(120)은 몸체(11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홀(120)의 내주면에는 와이어(220)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립(122)이 형성된다. 제2밀봉립(122)은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관통홀(120)의 내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밀봉립(122)은 와이어(2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관통홀(120)은 멤브레인(130)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제공되는데, 이는 미사용 관통홀(120)에 의해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관통홀(120)은 멤브레인(130)에 의해 밀봉되며 터미널(210)을 삽입할 경우 개방된다.
멤브레인(130)은 관통홀(120)을 통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얇은 막이다. 멤브레인(130)은 터미널(210)의 삽입에 의해 파단되어 관통홀(120)을 개방한다. 이때, 멤브레인(130)의 일면에는 파단 유도홈(132)이 형성되어, 터미널(210)의 삽입 시 멤브레인(130)이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한다.
터미널(210)의 삽입 시 파단된 멤브레인(130)은 와이어(220)에 밀착되며 와이어(220)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파단 유도홈(132)은 멤브레인(130)이 균등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멤브레인(13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파단 유도홈(132)은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터미널(210)의 삽입 시 멤브레인(130)이 3개 부분으로 균등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관통홀(120)을 밀봉하는 멤브레인(130)은 터미널(210)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관통홀(120)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130)을 관통홀(120)의 전단에 형성할 경우 터미널(210) 삽입 시 파단된 멤브레인(130) 조각이 관통홀(120)의 외부로 확장되며 와이어(220)에 밀착되므로 와이어(220)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방수 시일에 터미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블록형 방수 시일(100)의 관통홀(120)에 터미널(210)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블록형 방수 시일(100)의 관통홀(120)에 터미널(210)과 와이어(220)가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20)가 결속된 터미널(210)를 블록형 방수 시일(100)의 관통홀(120)에 삽입하면, 관통홀(120)을 밀봉하던 멤브레인(130)이 파단되며 터미널(210)의 삽입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 멤브레인(130)은 파단 유도홈(132)에 의해 3부분으로 균등하여 파단되고, 터미널(210)에 의해 밀려 관통홀(120)의 외부로 확장되며 와이어(220)에 밀착된다. 와이어(220)에 밀착된 멤브레인(130) 조각은 와이어(220)와의 사이를 밀봉하여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관통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밀봉립(122)은 관통홀(120)에 삽입된 와이어(2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블록형 방수 시일 110: 몸체
112: 제1밀봉립 120: 관통홀
122: 제2밀봉립 130: 멤브레인
132: 파단 유도홈

Claims (6)

  1. 터미널과 결속된 와이어가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는 블록 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되되 터미널의 삽입 시 개방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터미널 삽입 시 파단되어 와이어에 밀착됨으로써 와이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일면에는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도홈은 터미널의 삽입 시 상기 멤브레인이 균등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멤브레인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방사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터미널 삽입 방향에 대해서 상기 관통홀의 전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커넥터 하우징에 밀착되는 제1밀봉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와이어에 밀착되는 제2밀봉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방수 시일.
KR1020180101275A 2018-08-28 2018-08-28 블록형 방수 시일 KR10257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75A KR102571705B1 (ko) 2018-08-28 2018-08-28 블록형 방수 시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75A KR102571705B1 (ko) 2018-08-28 2018-08-28 블록형 방수 시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08A true KR20200024508A (ko) 2020-03-09
KR102571705B1 KR102571705B1 (ko) 2023-08-29

Family

ID=6980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275A KR102571705B1 (ko) 2018-08-28 2018-08-28 블록형 방수 시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7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441A (en) * 1993-05-21 1996-07-23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Electric connector
JP2001006799A (ja) * 1999-06-23 2001-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KR20020006594A (ko) * 2000-07-13 2002-01-23 요시무라 마사오 방수 커넥터
KR20090018352A (ko) * 2007-08-17 2009-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커넥터용 블락 시일
KR20090009919U (ko) * 2008-03-27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KR20160099490A (ko) 2015-02-12 2016-08-22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밀봉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441A (en) * 1993-05-21 1996-07-23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Electric connector
JP2001006799A (ja) * 1999-06-23 2001-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KR20020006594A (ko) * 2000-07-13 2002-01-23 요시무라 마사오 방수 커넥터
KR20090018352A (ko) * 2007-08-17 2009-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커넥터용 블락 시일
KR20090009919U (ko) * 2008-03-27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KR20160099490A (ko) 2015-02-12 2016-08-22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밀봉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705B1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9623B2 (en) Waterproof joint section forming method and wire harness provided with waterproof joint section formed by the method
US20110034073A1 (en) Plug-Type Connection for Making Contact with an Electrical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Arranged in a Housing
KR102490993B1 (ko) 밀봉 커넥터
KR20090023101A (ko) 커넥터, 잭 부품, 전자기기 및 플러그 부품
US9509071B2 (en) Sealed circuit board plug connector
JP6143183B2 (ja) フェライトコア内蔵防水コネクタ
US20190013626A1 (en) Shielded plug connection assembly
KR101546318B1 (ko)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
EP2858469B1 (en) Electronic enclosure device
JP2002315130A (ja) ワイヤハーネス、電線端末の止水構造
JP6431471B2 (ja) 封止部材及びコネクタ
US20160141775A1 (en) Plug assembly
US9819130B2 (en) Modular housing output system
JP2008204960A (ja) 防水コネクタ
KR20200024508A (ko) 블록형 방수 시일
US20090181567A1 (en) Sealed connector
KR102673382B1 (ko) 커넥터용 와이어 씰
JP2017076583A (ja) 封止部材及びコネクタ
KR20190015151A (ko) 플러그 연결부의 밀봉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플러그 연결부
KR20040111094A (ko)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KR101029277B1 (ko) 커넥터, 커넥터 부착 밀봉 케이스 및 커넥터 부착 모듈
KR20200100333A (ko) 커넥터용 와이어 씰
US10985510B2 (en) Connector with a sealing member
JP2019009031A (ja) 防水端子台
JP2000058188A (ja) 防水カプ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