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41B1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41B1
KR101869541B1 KR1020180030232A KR20180030232A KR101869541B1 KR 101869541 B1 KR101869541 B1 KR 101869541B1 KR 1020180030232 A KR1020180030232 A KR 1020180030232A KR 20180030232 A KR20180030232 A KR 20180030232A KR 101869541 B1 KR101869541 B1 KR 101869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housing
terminal
protection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3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방수 커넥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수 커넥터는: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메일단자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메일단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보호부재를 이동시켜 메일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메일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수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커넥터등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배선을 서로 연결해주거나 배선과 유닛(Unit)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장치이다. 이때, 다수 개의 단독커넥터와 멀티커넥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졍션블록(Junctioon block)이 이용되고 있다.
이 졍션블록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조립구조는 졍션블록에 일체로 구비되고, 메일탭단자(Male tap terminal)를 수용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피메일단자를 수용하는 피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고,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의 결합 유지력을 높여주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6028호(발명의 명칭: 커넥터 록킹구조, 2008.01.11: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보호부재에 의해 메일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부품으로 2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부품수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메일단자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단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보호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메일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상기 피메일단자를 보호하는 프런트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홀더는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보호부재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메일단자가 관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내에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방지작동부는 상기 보호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탄성후크부 및 상기 탄성후크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단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런트홀더와 상기 보호부재에는 상호 대응되는 가이드락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락부는 상기 보호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결속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리브가 안내되고, 상기 결속홀에 결속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각각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보호부재에 의해 메일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호부재는 메일단자를 보호함은 물론, 메일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부품수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메일하우징의 프런트홀더가 보호부재에 면접촉되고, 가이드락부에 의해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보호부재의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락부에 의해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의도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보호부재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보호부재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은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100)는 메일하우징(110), 피메일하우징(120), 보호부재(150) 및 변형방지작동부(160)를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10)은 메일단자(115)가 구비된다. 메일하우징(110)은 일측으로 개방 형성된 수용공간부(110a) 내에 다수개의 메일단자(115)가 구비된다. 메일단자(115)는 수용공간부(110a)의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메일단자(115)는 상하측으로 2층으로 배열되고, 좌우측으로 설정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메일단자(115)는 피메일단자(125)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메일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메일단자(115)의 단턱부(116)가 결합되어 메일단자(115)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110b)가 형성된다.
피메일하우징(120)은 메일하우징(110)에 결합되고, 메일단자(115)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125)가 구비된다. 피메일하우징(120) 또한, 메일하우징(110)과 같이 수용공간부(120a)가 형성되고, 수용공간부(120a)에는 피메일단자(125)를 보호하는 프런트홀더(130)가 구비된다. 프런트홀더(130)는 사각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피메일단자(125)가 결합되는 단자홀(132)이 설정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피메일하우징(120)에는 실링부재(140)가 구비된다. 실링부재(140)는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되어 피메일하우징(120)의 수용공간부(120a)에 결합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부(120a)에 실링부재(140)가 삽입된 후 프런트홀더(13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실링부재(140)의 둘레면에는 피메일하우징(120)에 결합되는 메일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실링리브가 형성된다.
피메일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피메일단자(125)의 단턱부(126)가 결합되어 피메일단자(1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120b)가 형성된다.
보호부재(150)는 메일하우징(110)에 구비되어 메일단자(115)를 보호한다. 보호부재(150)는 메일단자(115)가 관통되는 연통홀(152)이 형성되고, 메일하우징(110)내에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보호부재(150)가 메일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연통홀(152)을 통해 메일단자(115)의 선단이 일부 돌출된다. 보호부재(150)는 메일하우징(110)의 수용공간부(110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선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변형방지작동부(160)는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결합시 보호부재(150)를 이동시켜 메일단자(115)의 변형을 방지한다. 변형방지작동부(160)는 보호부재(15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탄성후크부(162) 및 탄성후크부(162)와 접촉되도록 메일하우징(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단걸림부(164)를 포함한다. 즉, 보호부재(150)는 메일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통홀(152)을 통해 메일단자(115)의 선단 일부가 수용되고,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결합시 보호부재(150)가 후측으로 후퇴되면서 프런트홀더(130)의 단자홀(132)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어 메일단자(115)의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프런트홀더(130)는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결합 시 보호부재(150)에 면접촉된다.
그리고, 프런트홀더(130)와 보호부재(150)에는 상호 대응되는 가이드락부(170)가 구비된다. 가이드락부(170)는 보호부재(150)에 돌출 형성되고, 결속홀(173)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172) 및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결합시 가이드리브(172)가 안내되고, 결속홀(173)에 결속되는 결속돌기(175)가 형성되는 가이드홀부(174)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속돌기(175)는 가이드홀부(174)에 한 쌍 형성되어 결속홀(173)에 결속되므로 보호부재(150)의 중심부위에 1개 구비된 가이드리브(172)의 양측을 잡아줄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리브(172)는 1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한 쌍의 결속돌기(175)가 결속홀(173)의 양측에서 삽입되어 결속되므로 가이드리브(172)를 좌우측에서 견고하게 잡아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런트홀더(130)와 보호부재(150)는 상술한 결속구조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일하우징(110)의 수용공간부(110a)에 보호부재(150)가 결합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150)에 형성되는 탄성후크부(162)가 메일하우징(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단걸림부(164)의 첫번째단에 결합된다. 이후, 메일하우징(110)의 후측으로 메일단자(115)가 결합된다. 메일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지지부(110b)가 형성되어 메일단자(115)의 단턱부(116)에 결속됨으로써, 메일단자(115)는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메일단자(115)의 선단은 보호부재(150)의 연통홀(152)에 일부 수용된다. 메일단자(115)의 선단이 연통홀(152)에 수용됨으로 메일단자(11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120)의 수용공간부(120a)에 실링부재(140)가 삽입되고, 다음으로 프런트홀더(1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후, 피메일하우징(120)의 후측으로 피메일단자(125)가 결합된다. 피메일단자(125)의 경우도 피메일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0b)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피메일단자(125)의 선단은 프런트홀더(130)의 단자홀(132)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조립이 완료되면, 각각의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은 상호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하우징(110)이 피메일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는 프런트홀더(130)는 메일하우징(110)의 수용공간부(110a)로 삽입되어 보호부재(150)에 면접촉된다. 이후,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을 더 강하게 눌러 결합하면, 보호부재(150)의 탄성후크부(162)가 다단걸림부(164)의 두번째단으로 이동되면서 보호부재(150)가 이동되고, 메일단자(115)가 보호부재(150)의 전측으로 돌출되어 프런트홀더(130)의 단자홀(132)로 삽입되어 피메일단자(125)와 접촉된다.
이때, 프런트홀더(130)와 보호부재(150)는 가이드락부(170)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다.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결합시 메일단자(115)의 선단이 수용된 보호부재(150)가 후측으로 이동되는 구조에 의해 메일단자(115)의 유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메일단자(115)의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을 안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락부(170)의 결속홀(173)과 결속돌기(175)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므로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120)의 의도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하우징(120)의 수용공간부(120a)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40)가 메일하우징(110)의 수용공간부(110a)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내부를 방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의하면,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보호부재에 의해 메일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방수 커넥터 110 : 메일하우징
110a, 120a : 수용공간부 110b, 120b : 지지부
115 : 메일단자 116, 126 : 단턱부
120 : 피메일하우징 125 : 피메일단자
130 : 프런트홀더 132 : 단자홀
140 : 실링부재 150 : 보호부재
152 : 연통홀 160 : 변형방지작동부
162 : 탄성후크부 164 : 다단걸림부
170 : 가이드락부 172 : 가이드리브
173 : 결속홀 174 : 가이드홀부
175 : 결속돌기

Claims (3)

  1.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메일단자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단자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보호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메일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상기 피메일단자를 보호하는 프런트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홀더는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보호부재에 면접촉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메일단자가 관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내에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런트홀더와 상기 보호부재에는 상호 대응되는 가이드락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락부는 상기 보호부에 돌출 형성되고, 결속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리브가 안내되고, 상기 결속홀에 결속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가이드홀부에 한 쌍 형성되어 상기 결속홀에 결속되므로 상기 보호부재의 중심부위에 1개 구비된 상기 가이드리브의 양측을 잡아주며,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작동부는 상기 보호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탄성후크부; 및
    상기 탄성후크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단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각각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80030232A 2018-03-15 2018-03-15 방수 커넥터 KR101869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232A KR101869541B1 (ko) 2018-03-15 2018-03-15 방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232A KR101869541B1 (ko) 2018-03-15 2018-03-15 방수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81A Division KR101850445B1 (ko) 2017-01-10 2017-01-10 방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541B1 true KR101869541B1 (ko) 2018-06-20

Family

ID=6277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232A KR101869541B1 (ko) 2018-03-15 2018-03-15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426A (ja) * 2002-06-11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100011831A (ko) * 2008-07-25 2010-0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101248962B1 (ko) * 2011-07-21 2013-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 휨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426A (ja) * 2002-06-11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100011831A (ko) * 2008-07-25 2010-0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101248962B1 (ko) * 2011-07-21 2013-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 휨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613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132234A (en) Coaxial plug connector for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particular in motor vehicles
US5391092A (en) Connector cover and method for assembling connector cover
KR101527057B1 (ko)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6984143B2 (en) Lockable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JPH0226348B2 (ko)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JPH11126636A (ja) 圧接コネクタのカバー固定構造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US20220029354A1 (en) Connector
KR101869540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3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6B1 (ko) 방수 커넥터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EP3748785A1 (en) Housing
KR102463691B1 (ko) 커넥터
KR101869541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5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2B1 (ko) 방수 커넥터
KR102569624B1 (ko)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US6425780B1 (en) Plug-in connector with cable strain relief
KR101869544B1 (ko) 방수 커넥터
JP6768304B2 (ja) コネクタ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