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861A - 이중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861A
KR20160098861A KR1020150021009A KR20150021009A KR20160098861A KR 20160098861 A KR20160098861 A KR 20160098861A KR 1020150021009 A KR1020150021009 A KR 1020150021009A KR 20150021009 A KR20150021009 A KR 20150021009A KR 20160098861 A KR20160098861 A KR 2016009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uplicated
duplication control
duplic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861A/ko
Publication of KR2016009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3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selection of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 G01R31/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이중화하는 이중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이중화 시스템은 제2 장치로 절체되어 대체 가능한 제1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화 시스템{DUPLEX SYSTEM}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이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중화 시스템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올리기 위해 같은 기능을 가진 구성을 두 개 준비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이중화 시스템은 시스템내의 구성이 이상 동작하는 경우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중단하지 않을 수 있도록 각 구성에 예비장치를 포함한다. 이중화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중화 시스템은 즉시 예비장치로 절체하여 동작을 재개한다. 이중화 시스템은 비용이 드는 방식이지만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고 동작을 중단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중화 시스템은 고전압직류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에서도 사용된다. 고전압직류송전(HVDC)이란 전기 송전 방식의 하나이다. 고전압직류송전은 발전소에서 발전되는 고압의 교류 전력을 전력변환기를 이용해 효율성 높은 고압의 직류 전력으로 바꾸어 송전한다. 이후에 원하는 지역에서 다시 전력변환기를 통해 교류 전력으로 다시 변환 시켜 공급하는 방식이 고전압직류송전이다. 고전압직류송전은 고압교류송전에 비해 전력손실의 양이 적어 장거리 송전에 유리하다.
이러한 고전압직류송전을 하는 고전압직류송전 장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inverter)를 사용한다. 고전압직류송전은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중화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하여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단 장치를 이중화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진단 장치와 진단 장치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부와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중화된 진단 장치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중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중화된 장치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된 장치와 이중화 제어부간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에도 정상 동작이 가능한 이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이중화하는 이중화 시스템은 제2 장치로 절체되어 대체 가능한 제1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기준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주기는 상기 이중화 제어부의 수명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기준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고, 상기 제1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장치에게 상기 제1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중화된 장치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된 장치와 이중화 제어부간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에도 정상 동작이 가능한 이중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의 블락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이 포함하는 이중화 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을 보여준다.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은 교류 전원(110), 송전측 변압기(120), 컨버터(130), 인버터(140), 수전측 변압기(150), 부하(160), 제어부(170) 및 진단부(180)를 포함한다.
교류 전원(110)은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송전측 변압기(120)는 생성된 교류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승압한다. 이때 송전측 변압기(120)가 전압의 크기를 승압함에 따라 송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컨버터(130)는 교류 전력을 고압 또는 초고압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한다. 컨버터(130)는 사이리스터 밸브,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버터(130)가 교류 전력을 고압 또는 초고압 직류 전력으로 변환함에 따라 송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인버터(140)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수전측 변압기(150)는 교류 전력의 전압 크기를 부하(160)에 사용되는 정격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교류 전력을 부하(160)에 공급한다.
진단부(180)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를 진단한다. 특히, 진단부(180)는 컨버터(130)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진단부(180)는 컨버터(130)가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밸브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진단부(180)는 진단한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를 제어부(170)에 전송한다. 진단부(180)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회성을 위하여 복수의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화 시스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버터(130) 및 인버터(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컨버터(130)가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밸브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버터(130)가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교류 전원(110)은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S101).
송전측 변압기(120)는 교류 전력의 전압 크기를 승압한다(S103). 송전측 변압기(120)는 교류 전력의 전압 크기를 승압함으로써 송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진단부(180)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를 진단한다(S10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단부(180)는 컨버터(130)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진단부(180)는 컨버터(130)가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밸브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진단부(180)는 진단한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를 제어부(170)에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 에 기초하여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동작 제어한다(S10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버터(130) 및 인버터(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컨버터(130)가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밸브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버터(130)가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버터(130)는 교류 전력을 초고압 또는 고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한다(S109). 초고압 또는 고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함으로써 송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버터(140)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111).
수전측 변압기(150)는 교류 전력의 전압 크기를 부하(160)에 사용되는 정격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교류 전력을 부하(160)에 공급한다(S113).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은 동작의 신뢰성 보장을 위하여 이중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100)은 진단부(180)를 위한 이중화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화 시스템(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의 블락도를 보여준다.
이중화 시스템(200)은 제1 장치(210), 제2 장치(230) 및 이중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1 장치(210)와 제2 장치(230)는 이중화의 대상이 되는 장치이다. 특히, 제1 장치(210)와 제2 장치(230)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서로를 대체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1 장치(210)와 제2 장치(230)는 이중화 제어부(250)에 의하여 절체될 수 있다. 제1 장치(210)와 제2 장치(230)는 앞서 설명한 진단부(180)일 수 있다.
제1 장치(210)는 통신부(211), 메모리(213) 및 제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1)는 제2 장치(230)와 같이 이중화된 장치 및 제1 장치(210)의 이중화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부(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3)는 제1 장치(2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5)는 제1 장치(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장치(230)는 통신부(231), 메모리(233) 및 제어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31), 메모리(233) 및 제어부(235)는 제1 장치(210)의 통신부(211), 메모리(213) 및 제어부(21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장치들을 제어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이중화 제어부(250)는 제1 장치(210) 및 제2 장치(2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이중화 제어부(250)는 복수의 이중화된 장치들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이중화 제어부(250)는 제1 장치(210)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270)와 제2 장치(230)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장치(2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중화 제어부(250)는 복수의 이중화된 장치들 각각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복수의 이중화된 장치들 각각에게 복수의 이중화된 장치들 각각의 동작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여부는 장치를 가동하는 활성화 상태(active state) 및 장치 가동을 멈추고 대기하는 대기 상태(standby state)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고장 발생 여부, 이중화된 장치가 사용하는 트래픽량, 이중화된 장치의 정격 용량,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온도 및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중화 제어부(250)는 현재 동작 중인 이중화된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현재 동작 중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중화 제어부(250)는 현재 동작 중인 이중화된 장치가 기준 시간 이상 가동된 경우, 현재 동작 중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중화 제어부(250)는 현재 동작 중인 이중화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현재 동작 중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중화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이 포함하는 이중화 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상태를 진단한다(S201). 구체적으로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고장 발생 여부, 이중화된 장치가 사용하는 트래픽량, 이중화된 장치의 정격 용량 및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진단할 수 있다. 이는 이중화된 장치의 고장 발생 여부, 이중화된 장치가 사용하는 트래픽량, 이중화된 장치의 정격 용량 및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에 따라 이중화된 장치가 오동작을 하거나 동작을 정지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S203).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한다(S205). 구체적으로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복수의 이중화 장치들 각각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중화 제어부(250)는 이중화된 장치의 현재 동작 여부와 다른 동작 여부를 결정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여부에 변화가 변화가 없는 경우, 이중화된 장치에게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수신한다. 또한,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가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동작하지 않고 대기한다. 또한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가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가동한다. 다만, 이중화된 장치와 이중화 제어부(250)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또는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동작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필요한 개수 이상의 이중화된 장치들이 동작하거나 이중화된 장치가 모두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다만, 이중화된 장치가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신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중화된 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의 상태를 진단한다(S301). 제1 장치(210) 또는 제2 장치(230)는 제어부(215) 또는 제어부(235)를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의 상태를 진단한다. 이때, 이중화된 장치는 주기적(periodic)으로 이중화 제어부(250)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진단 주기는 이중화 제어부(250)의 누적 가동 시간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이중화 제어부(250)의 누적 가동 시간이 이중화 제어부(250)의 예상 수명에 가까울수록 진단 주기는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중화 제어부(250)의 상태를 빈번히 진단할 수 있다. 이는 누적 가동 시간이 이중화 제어 장치(250)의 예상 수명에 가까울수록 이중화 제어부(250)의 고장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화 제어부(250)로부터 기준 시간 동안 동작 여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 제어부(250)로부터 고장 발생 여부를 수신하고 이중화 제어부(250)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이중화된 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 또는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303). 제1 장치(210) 또는 제2 장치(230)는 제어부(215) 또는 제어부(235)를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치(210) 또는 제2 장치(230)는 제어부(215) 또는 제어부(235)를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통신부를 통하여 이중화된 다른 장치의 동작 여부를 수신한다(S305).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1 장치(210)는 통신부(211)를 통하여 제2 장치(230)의 동작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2 장치(230)는 통신부(231)를 통하여 제1 장치(210)의 동작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화된 장치는 다른 이중화된 장치에게 동작 여부 요청을 전송하고, 다른 이중화된 장치로부터 동작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화된 장치가 이중화된 다른 장치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동작 여부를 수신 하지 못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이중화된 장치에게 동작 여부 요청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화된 장치는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를 수신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주기는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이 예상 수명에 가까워질 수록 수신 주기는 짧아질 수 있다.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이 예상 수명에 가까워질수록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고장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중화된 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이중화된 다른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한다(S307). 제1 장치(210)는 제어부(215)를 통하여 제2 장치(230)가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장치(230)는 제어부(235)를 통하여 제1 장치(210)가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화된 장치가 이중화된 다른 장치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동작 여부를 수신 하지 못 한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다른 이중화된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중화된 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중화된 다른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를 가동하지 않고 대기한다(S309). 제2 장치(230)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1 장치(210)는 제어부(215)를 통하여 제1 장치(210)를 가동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제1 장치(210)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2 장치(230)는 제어부(235)를 통하여 제2 장치(230)를 가동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이중화된 다른 장치가 대기 상태인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를 가동한다(S311). 제2 장치(230)가 활성화 상태가 아닌 경우, 제1 장치(210)는 제어부(215)를 통하여 제1 장치(210)를 가동할 수 있다. 제1 장치(210)가 활성화 상태가 아닌 경우, 제2 장치(230)는 제어부(235)를 통하여 제2 장치(230)를 가동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 이상이 발생하고, 이중화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 자신의 이상 발생 여부를 다른 이중화된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이중화된 장치가 신속하게 동작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작 정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이중화 제어부(250)와의 통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중화된 장치는 이중화된 장치 자신의 고장 발생 여부, 사용 트래픽량, 정격 용량 및 자신의 누적 가동 시간과 이중화된 다른 장치의 사용 트래픽량, 정격 용량 및 자신의 누적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이중화된 장치의 고장 발생 여부, 이중화된 장치가 사용하는 트래픽량, 이중화된 장치의 정격 용량 및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에 따라 이중화된 장치가 오동작을 하거나 동작을 정지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이중화된 장치는 다른 이중화된 장치의 누적 가동 시간이 자신의 누적 시간 가동 시간이 높은 경우 자신을 가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화 시스템(200)과 이중화 시스템(200)의 동작을 통하여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된 장치와 이중화 제어부(250)간의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필요 없는 이중화된 장치가 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중화 제어부(25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된 장치와 이중화 제어부(250)간의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전체 시스템의 동작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에 적용 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고전압직류송전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이중화하는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장치로 절체되어 대체 가능한 제1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이중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기준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이중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상기 이중화 제어부의 수명에 기초한 것인
    이중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장치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기준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이중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중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고, 상기 제1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장치에게 상기 제1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전송하는
    이중화 시스템.
KR1020150021009A 2015-02-11 2015-02-11 이중화 시스템 KR20160098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09A KR20160098861A (ko) 2015-02-11 2015-02-11 이중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09A KR20160098861A (ko) 2015-02-11 2015-02-11 이중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61A true KR20160098861A (ko) 2016-08-19

Family

ID=5687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09A KR20160098861A (ko) 2015-02-11 2015-02-11 이중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8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446A (ko) * 2016-12-15 2018-06-2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미들웨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446A (ko) * 2016-12-15 2018-06-2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미들웨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1001B (zh) 基于CANopen协议和以太网协议进行数据转换的网关和方法
CN103955188A (zh) 支持冗余切换功能的控制系统及方法
US9935494B2 (en) Elevator power supply for inverter controller
JP2003092845A (ja) 電気装置に電力を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82850B1 (ko) Hvdc 시스템의 전원 이중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32403B2 (ja) 蓄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回路
JP2009213248A (ja) バッテ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04787B1 (ko) 제어기의 이중화 시스템
KR20160098861A (ko) 이중화 시스템
JP5025255B2 (ja) 電力変換装置
JP2002034177A (ja) 2系統入力電源装置
EP3242171A1 (en) Redundant control system
CN107623330B (zh) 一种阀基控制系统的控制方法
JP2012070307A (ja) 多重化システム及び多重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146888B2 (ja) 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537908B2 (ja) 超高信頼性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システム用の回路及びトポロジー
KR100738572B1 (ko)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US20150124501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KR20100005197U (ko)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이중화 제어장치
KR102580217B1 (ko) 개별 정전 검출 시스템 및 개별 정전 검출 방법
EP2885866B1 (en) Improved diagnostics for multi-level medium voltage drive using mechanical bypass
JP201416447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障害処理方法
JP6583562B2 (ja) 監視システム
CN113852396B (zh) 数据保护控制方法、装置和系统
JP2017220842A (ja) 二重化切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