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72B1 -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 Google Patents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72B1
KR100738572B1 KR1020060051025A KR20060051025A KR100738572B1 KR 100738572 B1 KR100738572 B1 KR 100738572B1 KR 1020060051025 A KR1020060051025 A KR 1020060051025A KR 20060051025 A KR20060051025 A KR 20060051025A KR 100738572 B1 KR100738572 B1 KR 10073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ard
optical communication
controller
redunda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유한승
최세경
이현원
정명길
이세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8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motor continuing operation despite the fault condition, e.g. eliminating, compensating for or remedying the fau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Abstract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전동기 속도 및 전류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기(Master Controller)와, 상기 주 제어기의 제어신호인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에 의해 전달하는 광통신선로와, 상기 광통신선로를 통해 수신된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에 동기하여 파워 셀(Power Cell)을 동작시키는 셀 제어기로 구성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기는 전동기 속도 및 전류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보드와, 상기 주 제어보드가 이상 동작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속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 제어보드를 이중화한 예비 제어보드를 포함한다.
이중화, 제어부, 컨트롤러, 인버터, 멀티레벨, 제어기

Description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H-BRIDGE MULTI-LEVEL INVERTER HAVING A DUAL CONTROLLER }
도 1은 종래의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전력회로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제어기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주 제어보드와 광 변환보드를 이중화한 주 제어기를 보인 보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통신선로를 이중화한 것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AN통신부를 이중화한 셀 제어기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인버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 제어기 11: 주 제어보드
12: 주 광변환보드 13: 예비 제어보드
14: 예비 광변환보드
20: 셀 제어기 21: CAN통신부
22: 예비 CAN통신부
30: 광통신선로 31: 예비 광통신선로
40: 파워 셀
본 발명은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전압 전동기를 가변속하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연속운전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부를 이중화한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고전압 전동기의 가변속 장치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 접속되는 다수개의 파워 셀(2)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파워 셀(2)은 각 상별로 각각 직렬 접속되며, 각각의 파워 셀(2)은 독립된 단상인버터 구조로 된다.
그리고 여러 개의 파워 셀(2)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저 전압 파워 셀, 즉 저 전압 전력용 반도체를 사용하여 고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워 셀(2)의 수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레벨 수가 증가하여 정현파에 가까운 전압 파형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계통과 연결되는 입력부는 2차측이 확장 델타 결선방법의 여러 개의 탭을 갖는 변압기(6)로 전원선(5)으로 연결된다.
또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해 3상으로 마련되며, 한 상당 6개의 파워 셀(2)이 직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파워 셀(2)에는 파워 셀(2)을 제어하는 셀 제어기(4)가 마련되고, 셀 제어기(4)는 각각의 주 제어기(1)와 광통신선로(3)를 통해 광통신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주 제어기(1)는 주 제어보드가 구비되고, 주 제어보드에서 셀 제어기(4)와 광통신할 수 있도록 광 변환보드로 구비된다.
이렇게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시스템이 동일한 파워 셀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조합으로 구성됨으로서 오작동시 파워 셀 단위 또는 제어기 단위의 교체가 가능하여 여유분의 파워 셀과 제어기만을 확보하면 되므로 여유부품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동작 기능이 있어, 파워 셀 단위의 고장을 감시하고, 시스템 단위의 감시하는 기능으로 좀더 신뢰성 있고, 유연한 고장감시 및 진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파워 셀의 단위의 교체 및 셀과 제어기 각각의 교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일시 정지하여 손상된 부품을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시스템이 일시적으로라도 정지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에는 파워 셀 및 제어기 각각의 부품교체 시간으로 인해 연속운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즉, 각각의 제어기 및 파워 셀의 손상이 발생되거나 주 제어기와 셀 제어기 사이에 통신 선로로 사용되는 광통신선로는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될 경우 광통신선로를 교체하기 위해 시스템을 정지하여야 함으로 연속운전이 불가능하여 중요한 작업의 경우에도 정시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어기가 분산화 및 모듈화 되어 있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시스템에서 오류 및 파손으로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정지 없이 연속운전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전동기 속도 및 전류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기(Master Controller)와, 상기 주 제어기의 제어신호인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에 의해 전달하는 광통신선로와, 상기 광통신선로를 통해 수신된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에 동기하여 파워 셀(Power Cell)을 동작시키는 셀 제어기로 구성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기는 전동기 속도 및 전류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보드와, 상기 주 제어보드가 이상 동작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속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 제어보드를 이중화한 예비 제어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비 제어보드는 상기 주 제어보드 이상 동작할 경우 상기 주 제어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쪽 보드가 크로스 결선되며, 예비 제어보드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주 제어보드의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업데이트 저장하고, 상기 주 제어보드의 이상동작이 감지될 경우 업데이트 기 저장된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NVRA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보드와 예비 제어보드는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광통신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광변환보드가 마련되며, 상기 광 변환 보드의 연속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 광변환보드 및, 상기 주 광 변환 보드를 이중화한 예비 광변환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 제어기는 상기 광통신선로의 이상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셀 제어기에서 연속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화된 예비 광통신선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 제어기는 광통신선로와 예비 광통신선로를 통해 CAN통신할 수 있도록 CAN통신부가 마련되며, 상기 CAN통신부가 이상 동작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속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화된 예비 CAN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 제어기는 상기 광통신선로를 통해 이상 동작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예비 광통신선로로 전환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를 보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주 제어보드와 광 변환보드를 이중화한 주 제어기를 보인 보드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통신선로를 이중화한 것을 보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AN통신부를 이중화한 셀 제어기를 보인 구성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인버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3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은 6개의 파워 셀(40)이 직렬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파워 셀(40)은 셀 제어기(20)가 마련되어, 셀 제어기(20)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파워 셀(40)을 구동한다. 그리고 셀 제어기(20)에 전압 기준값을 전달하는 주 제어기(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주 제어기(10)는 전동기의 속도와 인버터 출력전류를 받아들여 전동기 속도 및 전류제어를 수행하고, 3상의 전압 기준값을 각 상별로 동기를 맞추어 셀 제어기(20)로 송신한다.
이때 주 제어기(10)는 주 제어보드(11)에서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전압 기준값을 셀 제어기(20)로 송신하기 위해 주 광변환보드(12)가 마련된다. 따라서 주 제어기(10)는 주 광변환보드(12)와 광통신선로(30)를 이용하여 셀 제어기(20)와 CAN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주 제어기(10)는 예비 제어보드(13)와, 예비 제어보드(13)를 통해 전압 기준값을 셀 제어기(20)로 송신하기 위해 예비 광변환보드(14)가 더 마련된다.
여기서 예비 제어보드(13)는 주 제어보드(11)의 고장 또는 오작동 및 이상 작동될 경우 인지하여 주 제어보드(11)와 동일하게 접속된 입출력 신호를 제어하여 인버터 출력 값을 재 연산하고, 예비 제어보드(13)에 직접 연결된 예비 광변환보드(14)와 후술하는 예비 광통신선로(31)를 통해 셀 제어기(20)로 송신하여 연속운전이 계속되도록 한다.
또한, 예비 제어보드(13)는 주 제어보드(11)의 이상 작동될 경우를 감지하기 위해 주 제어보드(11)와 크로스 결선되어 있다.
그리고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제어기(10)와 셀 제어기(20) 사이에는 CAN 광 통신 할 수 있도록 CAN통신부(21)가 마련되며, 상기 CAN통신부(21)는 셀 제어기(20)에 원 칩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CAN통신부(21)의 이상 작동 및 광통신선로(30)가 손상될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도록 이중화한 예비 CAN통신부(22)를 포함하며, 셀 제어기(20) 각각에 마련된다.
그리고 CAN통신부(21)의 이중화한 예비 CAN통신부(22)를 포함함과 더불어 광통신선로(30)가 이중화된 예비 광통신선로(31)가 더 마련된다. 여기서 예비 광통신 선로(31)는 예비 CAN통신부(22)에 연결되며, 광통신선로(30)는 CAN통신부(21)에 연결된다.
또한 셀 제어기(20)는 상기 CAN통신부(21)와 광통신선로(3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예비 CAN통신부(22)와 예비 광통신선로(31)가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변경하는 미도시한 반도체 스위치가 더 마련된다.
여기서 이상감지는 상기 주 제어보드(11), 주 광변환보드(12) CAN통신부(21)의 CAN 수신 인터럽트를 이용한 카운터를 사용하여 이상 감지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예비 제어보드(13) 및 예비 광변환보드(14)로 통신 포트를 변경한다.
한편, 도 6은 셀 제어기(20)를 이중화 한 것으로 셀 제어기(20) 또한 이중화로 인버터의 연속운전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따른 작용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6이 함께 참고 된다.
인버터 제어전원이 투입되면, 주 제어보드(11)와 예비 제어보드(13)는 각각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고, 주 제어보드(11)와 예비 제어보드(13)는 CPU에서 사전 설정된 스위치에 의해 각각의 ID를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주 제어보드(11)와 예비 제어보드(13)는 각각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주 제어보드(11)는 주 프로그램이 수행되고, 예비 제어보드(13)는 예비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여기서 주 프로그램과 예비 프로그램의 차이는 주 제어보드(11)의 경우 CAN 통신을 포함한 인버터 제어를 위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예비 제어보드(13) 는 대기상태에서 시스템 오퍼레이터에서 통신하고 있는 주 제어보드(11)의 기본 정보를 수신한 후 NVRAM에 계속 정보를 저장하여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 하고, 주 제어보드(11)의 이상동작을 점검한다.
만약, 주 제어보드(11)가 정상 동작중에 주 제어보드(11)에서 이상동작(예를 들면, CPU의 Watchdog Timer 고장 검지 또는 CAN통신 고장 검지 등)이 감지되면, EPLD(Electr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를 통해 검지된 후 예비 제어보드(13)로 전달된다.(SYS_FAIL_OUT=1)
이때 주 제어보드(11)에서 고장이 발생되면, 해당 보드에 접속되어 있는 CAN통신이 정지되어 CAN통신이 수행되지 않음으로 셀 제어기(20)에서 이를 검지한 후 셀 제어기(20)는 주 제어보드(11)와 CAN통신을 재시도 한다.
이때 CAN통신 재시도는 일정시간 수행한 후 일정시간 이후에도 CAN통신이 재개되지 않으면 셀 제어기(20)의 CAN통신부(21)를 예비 CAN통신부(22)로 전환한다. 그리고 전환된 예비 CAN통신부(22)에서 예비 제어보드(13)와 CAN통신을 재시도 한다.
주 제어보드(11)와 예비 제어보드(13)간의 SYS_FAIL에 대한 신호는 양 보드간에 크로스 결선되어 있음으로 주 제어보드(11)의 고장(SYS_FAIL_IN=1)을 인지한 예비 제어보드(13)는 대기상태에서 NVRAM에 업데이트 했던 주 제어보드(11)의 운전정보와, 파라미터를 근거하여 동시 접속하고 있는 모든 I/O 신호를 제어한다.
이때 예비 제어보드(13)는 인버터 출력 값을 재 연산 하고, 이중화 접속하고 있는 예비 광변환보드(14)와, 예비 광통신선로(31)를 통해 셀 제어기(20)로 전달하 여 전동기의 구동이 계속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SYS_FAIL이 발생하기 이전의 주 제어보드(11)의 운전상태에 따라 정상운전, 정격감소운전 등 해당하는 운전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인버터 운전이 재개될 경우 일반적으로 임의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전동기에 전원과 주파수가 인가되므로 전동기 과전류 등 과도현상을 축소 억제할 수 있는 인버터 재기동 제어기능이 적용된 인버터 재기동 모드에 돌입하게 된다.
이후 예비 제어보드(13)로 인버터 정상운전시 상기한 고장이 또 발생된다면, 다른 일반 고장과 동일하게 인버터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제어기, 셀 제어기, CAN통신부, 광통신선로 등의 제어부를 이중화시켜 구성한 본 발명의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멀티레벨 인버터 시스템에서 오류 및 파손으로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정지 없이 전환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속운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동기 속도 및 전류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기(Master Controller)와, 상기 주 제어기의 제어신호인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에 의해 전달하는 광통신선로와, 상기 광통신선로를 통해 수신된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에 동기하여 파워 셀(Power Cell)을 동작시키는 셀 제어기로 구성된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기는 전동기 속도 및 전류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보드와,
    상기 주 제어보드가 이상 동작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속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 제어보드를 이중화한 예비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제어보드는 상기 주 제어보드 이상 동작할 경우 상기 주 제어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쪽 보드가 크로스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3. 제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제어보드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주 제어보드의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업데이트 저장하고, 상기 주 제어보드의 이상동작이 감지될 경 우 업데이트 기 저장된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NVRA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보드와 예비 제어보드는 전압지령 값, 운전신호 및 보호신호를 광통신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광변환보드가 마련되며,
    상기 광 변환 보드의 연속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 광변환보드; 및,
    상기 주 광 변환 보드를 이중화한 예비 광변환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제어기는 상기 광통신선로의 이상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셀 제어기에서 연속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화된 예비 광통신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제어기는 광통신선로와 예비 광통신선로를 통해 CAN통신할 수 있도록 CAN통신부가 마련되며,
    상기 CAN통신부가 이상 동작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속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화된 예비 CAN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제어기는 상기 광통신선로를 통해 이상 동작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예비 광통신선로로 전환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KR1020060051025A 2006-06-07 2006-06-07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KR10073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25A KR100738572B1 (ko) 2006-06-07 2006-06-07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25A KR100738572B1 (ko) 2006-06-07 2006-06-07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572B1 true KR100738572B1 (ko) 2007-07-11

Family

ID=3850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025A KR100738572B1 (ko) 2006-06-07 2006-06-07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561A (ko) * 2008-01-08 2010-08-26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분산된 셀 제어를 가진 전력 컨버터
KR100998416B1 (ko) * 2008-11-27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듀얼 콘트롤러 시스템의 통신 중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065A (ja) 1996-10-18 1998-05-1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変換装置
KR19980043103A (ko) * 1998-05-27 1998-08-17 이용성 자동제어시스템에서 현장제어장치의 콘트롤러 이중화 제어방법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065A (ja) 1996-10-18 1998-05-1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変換装置
KR19980043103A (ko) * 1998-05-27 1998-08-17 이용성 자동제어시스템에서 현장제어장치의 콘트롤러 이중화 제어방법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561A (ko) * 2008-01-08 2010-08-26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분산된 셀 제어를 가진 전력 컨버터
KR101599565B1 (ko) * 2008-01-08 2016-03-03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분산된 셀 제어를 가진 전력 컨버터
KR100998416B1 (ko) * 2008-11-27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듀얼 콘트롤러 시스템의 통신 중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3138B1 (en) Nested redunda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s
EP2759039B1 (en) Control and protection for parallel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U2012312714B2 (en) Parallel control and protection for UPS
AU2012312715B2 (en) Fault detection for parallel inverters system
JP2007312573A (ja) ビルディングブロック型の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ioユニット
KR100701886B1 (ko) 다중병렬운전방식에 의한 무정전 전원장치 시스템
KR100738572B1 (ko)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JP2006288142A (ja) 無停電電源設備および前記無停電電源設備の試験方法
KR101764680B1 (ko) 이중화 제어 시스템
JP2007028837A (ja)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給電システム
KR20100005197U (ko)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이중화 제어장치
JP5036466B2 (ja) 冗長制御型電力変換システムとその健全性確認方法
JP6947312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無停電電源装置
KR100412301B1 (ko) 계층적 제어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5589719B2 (ja) 多重化システム及び多重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3662444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切替信号生成装置
KR100729930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US20150124501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CN112206410A (zh) 血泵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装置和心室辅助装置
KR20200030822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KR20200030954A (ko)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23067719A1 (ja) 電力変換装置
KR100291033B1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JP7426063B2 (ja) 給水装置
KR19990082957A (ko) 결함에 견딜 수 있는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