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577A -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577A
KR20160098577A KR1020150019420A KR20150019420A KR20160098577A KR 20160098577 A KR20160098577 A KR 20160098577A KR 1020150019420 A KR1020150019420 A KR 1020150019420A KR 20150019420 A KR20150019420 A KR 20150019420A KR 20160098577 A KR20160098577 A KR 2016009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head
longitudinal
fixed
longitudinal bulkhead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준
성충경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577A/ko
Publication of KR2016009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63B3/60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with curved or corrugated p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28Frames of transverse type; Str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4Frames of longitudinal type; Bulkhea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6Combined fram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63B2701/18
    • B63B270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과 이에 이웃하는 마루를 갖는 종격벽; 상기 골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을 덮도록 상기 종격벽에 고정된 덮개; 상기 종격벽과 상기 덮개에 의해 둘러싸인 트렁크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종격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강도 보강판; 상기 강도 보강판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종격벽에 고정된 제1스트링거를 갖고, 상기 종격벽의 일면에 고정된 평면 형태의 제1횡격벽; 및 상기 강도 보강판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고정된 제2스트링거를 갖고, 상기 제1횡격벽과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종격벽의 반대면에 고정된 평면 형태의 제2횡격벽;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HYBRID BULKHEAD AND SHIP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창을 구획하는 화물창 격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과 평면형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화물의 해상 운송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재화중량톤수에(DWT, Deadweight Tonnage)에 따라 VLOC(Very Large Ore Carrier), 케이프사이즈(Capesize, 17만DWT), 캄사르막스(Kamsarmax, 7만~8만5천DWT), 파나막스(Panamax, 6만~7만DWT), 핸디막스(Handymax, 5만DWT)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선박에는 화물이 저장되는 화물창들이 마련되어 있고, 이 화물창들은 격벽(bulkhea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재화중량톤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선박에서는 화물창이 횡격벽만으로 구획되는데, 이러한 경우 화물창은 선수미 방향을 따라 나열하게 된다. 반면, 재화중량톤수가 상대적으로 큰 화물선에서는 종격벽과 횡격벽들에 의해 화물창이 구획되는데, 이 경우 화물창은 좌우현 방향으로 나열함과 동시에 선수미 방향으로도 나열하게 된다. 이러한 격벽들은 화물창을 구획하는 기능 외에 선박의 종강도 및 횡강도를 보강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6498호(버티컬스티프너를 구비한 격벽의 설치방법)에는 화물창이 종격벽 및 횡격벽으로 구획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한국공개특허에서는 종격벽 및 횡격벽이 모두 평면형(plane type)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종격벽 및 횡격벽이 평면형이면 이 격벽들의 강도 보강을 위해 별도의 강도 보강재가 격벽들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그러면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 노력, 시간 등이 증가하는 문제와, 강도 보강재에 쌓인 화물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이 화물 하역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5346호(탱커선의 제1화물창의 종격벽을 제외한 구조설계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종격벽이 파형(corrugate type)으로 구성된다. 파형 격벽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강도 보강재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기술에 따른 화물창 격벽은 위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6498호에 따른 화물창 격벽에 비해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 노력, 시간 등이 절약되고, 강도 보강재에 쌓인 화물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이 더 용이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6498호(버티컬스티프너를 구비한 격벽의 설치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5346호(탱커선의 제1화물창의 종격벽을 제외한 구조설계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5346호에서와 같이 종격벽이 파형으로 구성되면, 종격벽과 횡격벽이 모두 평면형으로 구성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종격벽이 파형으로 구성되려면 파형 종격벽과 평면형 횡격벽 간 결합 지점에서의 강도 보강이 요구되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골과 이에 이웃하는 마루를 갖는 종격벽; 상기 골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을 덮도록 상기 종격벽에 고정된 덮개; 상기 종격벽과 상기 덮개에 의해 둘러싸인 트렁크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종격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강도 보강판; 상기 강도 보강판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종격벽에 고정된 제1스트링거를 갖고, 상기 종격벽의 일면에 고정된 평면 형태의 제1횡격벽; 및 상기 강도 보강판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고정된 제2스트링거를 갖고, 상기 제1횡격벽과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종격벽의 반대면에 고정된 평면 형태의 제2횡격벽;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제공한다.
상기 강도 보강판의 전체 테두리는 상기 종격벽 및 덮개와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강도 보강판에는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중앙에 마련된다.
상기 덮개의 상단 및 하단은 상부 스툴 및 하부 스툴에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 종격벽에 덮개 및 강도 보강판이 마련되므로, 평면형 횡격벽의 내측단 및 상기 횡격벽에 고정된 스트링거의 내측단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기 종격벽의 특정 지점에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종격벽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횡격벽의 부재 연속성 및 두 스트링거의 부재 연속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격벽과 횡격벽 간 결합 지점에서의 강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를 오르내리면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은 선박의 화물창을 여러 구획으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종격벽(110)과, 덮개(120)와, 강도 보강판(124)과, 횡격벽(132a, 132b)을 포함한다.
상기 종격벽(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미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종격벽(110)의 상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에 설치된 상부 스툴(140a)에 고정되어 있고, 종격벽(110)의 하단은 바텀에 설치된 하부 스툴(140b)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격벽(110)의 개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종격벽(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센터라인에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물창은 좌측 구획과 우측 구획으로 분할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종격벽(110)은 2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물창은 중앙 구획과 좌측 구획과 우측 구획으로 분할될 것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에서 종격벽(110)은 파형 종격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격벽(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번갈아 위치하는 골(112)과 마루(114)를 갖게 된다. 여기서, 골(112)과 마루(114)는 그 돌출 방향이 서로 다른 두 부분을 지칭하기 위한 상대적 개념이다. 예컨대, 돌출 방향이 좌현 쪽인 부분이 골(112)이라면, 돌출 방향이 우현 쪽인 부분은 마루(114)가 된다. 이러한 경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반면, 돌출 방향이 우현 쪽인 부분이 골(112)이라면, 돌출 방향이 좌현 쪽인 부분은 마루(114)가 된다.
상기 덮개(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112)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112a)을 덮도록 마련되고, 종격벽(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덮개(120)의 전단 및 후단은 용접으로 종격벽(110)에 고정되는데, 그러면 종격벽(110)과 덮개(120)로 둘러싸인 트렁크(122)(도 4 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덮개(12)의 상단 및 하단은 상부 스툴(140a) 및 하부 스툴(140b)에 용접으로 각각 고정된다.
상기 횡격벽(132a, 132b)은 종격벽(11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제1횡격벽(132a) 및 제2횡격벽(132b)을 포함한다. 제1횡격벽(132a)의 내측단은 마루(114)의 일면(도 3에서는 좌면)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제2횡격벽(132b)의 내측단은 상기 마루(114)의 반대면(도 3에서는 우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1횡격벽(132a)과 제2횡격벽(132b)는 일직선을 이루며 위치한다.
평면 형태의 횡격벽(132a, 132b)은 일반적으로 강도 보강재인 스트링거(134a, 134b)를 갖는다. 이 경우, 제1횡격벽(132a)에 고정된 제1스트링거(134a)는 강도 보강판(124)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제1스트링거(134a)의 내측단은 종격벽(110)의 일면(도 3에서 좌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2횡격벽(132b)에 고정된 제2스트링거(134b)는 강도 보강판(124)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제2스트링거(134b)의 내측단은 종격벽(110)의 반대면(도 3에서 우면) 및 상기 덮개(12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한편, 횡격벽(132a, 132b)의 외측단 및 스트링거(134a, 134b)의 외측단은 선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횡격벽(132a, 132b) 및 스트링거(134a, 134b)는 선수미 방향을 따라 여러 개 설치된다.
상기 강도 보강판(124)은 트렁크(122) 내에 위치하는 평판으로서, 종격벽(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종격벽(110) 및 덮개(12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또한, 강도 보강판(124)은 트렁크(122)를 꽉 채우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강도 보강판(124)의 전체 테두리 중 일부는 종격벽(110)과 접촉하게 되고, 나머지는 덮개(12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강도 보강판(124)은 횡격벽(132a, 132b)의 내측단 및 스트링거(134a, 134b)의 내측단에 작용하는 응력이 종격벽(110)의 특정 지점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종격벽(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링거들(134a, 134b) 간 부재 연속성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강도 보강판(124)이 마련되면, 종격벽(110)과 횡격벽(132a, 132b) 간 결합 지점에서의 강성이 우수해진다.
상기 강도 보강판(124)에는 통과홀(124a)이 마련된다. 작업자는 이 통과홀(124a)을 통과하면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종격벽 112 : 골
112a : 골 대향 개방면 114 : 마루
120 : 덮개 122 : 트렁크
124 : 강도 보강판 124a : 통과홀
132a, 132b : 횡격벽 134a, 134b : 스트링거
140a : 상부 스툴 140b : 하부 스툴

Claims (5)

  1. 골과 이에 이웃하는 마루를 갖는 종격벽;
    상기 골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을 덮도록 상기 종격벽에 고정된 덮개;
    상기 종격벽과 상기 덮개에 의해 둘러싸인 트렁크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종격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강도 보강판;
    상기 강도 보강판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종격벽에 고정된 제1스트링거를 갖고, 상기 종격벽의 일면에 고정된 평면 형태의 제1횡격벽; 및
    상기 강도 보강판과 같은 높이에서 상기 종격벽 및 덮개에 고정된 제2스트링거를 갖고, 상기 제1횡격벽과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종격벽의 반대면에 고정된 평면 형태의 제2횡격벽;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판의 전체 테두리는 상기 종격벽 및 덮개와 접촉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판에는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중앙에 마련된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단 및 하단은 상부 스툴 및 하부 스툴에 각각 고정된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

KR1020150019420A 2015-02-09 2015-02-09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60098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20A KR20160098577A (ko) 2015-02-09 2015-02-09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20A KR20160098577A (ko) 2015-02-09 2015-02-09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77A true KR20160098577A (ko) 2016-08-19

Family

ID=5687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420A KR20160098577A (ko) 2015-02-09 2015-02-09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5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498A (ko) 2002-08-17 2004-02-25 이근구 개인 동영상 제작시스템
KR20130005346A (ko) 2011-07-06 2013-01-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탱커선의 제1 화물창의 종격벽을 제외한 구조설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498A (ko) 2002-08-17 2004-02-25 이근구 개인 동영상 제작시스템
KR20130005346A (ko) 2011-07-06 2013-01-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탱커선의 제1 화물창의 종격벽을 제외한 구조설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8889B (zh) 用于超大型油轮的货舱结构
US3440990A (en) Cargo ship construction
IE4336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ip's hull
US4674430A (en)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JP6952635B2 (ja) 船舶
KR20160098577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897727B1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US9415838B2 (en) Exoskeleton ship hull structure
KR890003113Y1 (ko) 선체구조
KR20110000590U (ko) 개방형 횡격벽 구조를 갖는 화물 운반선
JP5613289B1 (ja) チップ専用船の倉内トランク構造
JP6594815B2 (ja) 船体構造
JP6813424B2 (ja) 船体構造及び船舶
KR102114349B1 (ko) 화물선
JPH09118289A (ja) ばら積貨物船の船艙構造
KR101710995B1 (ko)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5613288B1 (ja) チップ専用船の貨物倉内構造
KR20120044879A (ko) 선박용 컨테이너 적재 구조물
CN218703721U (zh) 多用途船双层底舭部加强结构
JP6682315B2 (ja) 船舶
KR20180127235A (ko) 선박
JP4002246B2 (ja) ばら積み貨物船の甲板構造
JP2009248863A (ja) 船体構造
KR2014011278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화물창 구조
JP5201804B2 (ja) トリマラン構造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