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235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235A
KR20180127235A KR1020180056685A KR20180056685A KR20180127235A KR 20180127235 A KR20180127235 A KR 20180127235A KR 1020180056685 A KR1020180056685 A KR 1020180056685A KR 20180056685 A KR20180056685 A KR 20180056685A KR 20180127235 A KR20180127235 A KR 20180127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hamber
tank
slop tank
slop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766B1 (ko
Inventor
마사루 오카야마
요스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58251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3331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슬롭탱크의 구성부품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을 제공한다.
펌프실(21)을, 하부펌프실(21b)과, 이 하부펌프실(21b) 상에 단차(58)를 통하여 배치된 상부펌프실(21a)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하부펌프실(21b)의 단차(58) 상에 슬롭탱크(22)를 배치한다. 이로써, 슬롭탱크(22)의 바닥부가 종래기술의 내저판(17)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슬롭탱크(22)의 수두를 종래보다 낮게 할 수 있어, 슬롭탱크(22)에 저류되는 빌지를 비롯한 액체의 수압을 줄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출원은 2017년 5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099061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대형 선박의 내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롭탱크의 배치에 특징이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탱커 등의 선박에 있어서, 선미측으로부터 선수측을 향하여, 메인기관 등이 배치되는 기관실,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실, 슬롭탱크, 오일을 수용하는 카고오일탱크가, 가로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이 순서로 배치된 선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슬롭탱크는, 카고오일탱크를 세정한 빌지(bilge)를 유수 분리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기관실, 펌프실, 슬롭탱크, 카고오일탱크는, 그 높이가 선체의 내저판으로부터 상갑판까지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70373호
여기에서, 최근에 있어서는, 선박의 경하중량(선박의 자체중량)을 경감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슬롭탱크를 구성하는 격벽 등의 부재를 경량화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은,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펌프실보다 선수측에 배치되는 카고탱크와, 액체를 수용하는 슬롭탱크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펌프실은, 하부펌프실과, 이 하부펌프실 상에 단차를 통하여 배치된 상부펌프실을 구비하고, 하부펌프실의 단차 상에, 슬롭탱크가 배치되며, 펌프실 및 슬롭탱크보다 선수측에 카고탱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에 의하면, 슬롭탱크는, 하부펌프실의 단차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롭탱크의 바닥부가 종래기술의 내저판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슬롭탱크의 수두(水頭)가 종래보다 낮아진다. 이로 인하여, 슬롭탱크에 저류되는 빌지를 비롯한 액체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어, 슬롭탱크의 구성부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펌프실의 단차는, 상부펌프실보다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단차 상에, 슬롭탱크가 배치되어 있으면, 슬롭탱크의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하부펌프실의 단차는, 상부펌프실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단차 상에, 슬롭탱크가 배치되어 있어도, 슬롭탱크의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하부펌프실과 카고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을 관통하여, 하부펌프실의 펌프와 카고탱크를 연결하는 카고라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카고라인은, 하부펌프실과 카고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가로격벽을 관통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카고라인이, 펌프실과 슬롭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가로격벽 및 슬롭탱크와 카고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가로격벽의, 2개의 가로격벽을 관통하는 경우에 비하여, 관통 개소가 줄어들어, 공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슬롭탱크에 종래 배치되어 있던 카고라인이 없어지기 때문에, 슬롭탱크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사다리 등의 의장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슬롭탱크와 카고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에, 선체의 가로방향으로 뻗는 수평 거더(girder)를 구비하고, 슬롭탱크를 형성하는 선미측의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과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 사이에는, 선체의 세로방향으로 뻗는 보강용의 복수의 지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수평 거더에 더하여, 지주가 복수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거더를, 대형화하지 않고 작은 거더로 할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슬롭탱크의 구성부품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을 나타내고, 상갑판 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선박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슬롭탱크, 펌프실, 기관실 및 코퍼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펌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기관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코퍼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슬롭탱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슬롭탱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을 나타내고, 슬롭탱크, 펌프실, 기관실 및 코퍼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비교예의 선박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의 선미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선박의 선미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비교예의 선박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의 레이더 조사에 의한 액면 검출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라는 말은 선체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것이고, "세로"라는 말은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것이며, "가로"라는 말은 선체의 좌우(폭)방향에 대응하는 것이고, "상" "하"라는 말은 선체의 상하방향에 대응하는 것이다. 다만, "전" "후"와 "세로"라는 말, "가로"와 "좌" "우"라는 말은, 문장 중 적절히 분류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편의상, 각 부재의 판두께는 거의 생락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을 나타내는, 상갑판 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선박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슬롭탱크, 펌프실, 기관실 및 코퍼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펌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기관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코퍼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슬롭탱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슬롭탱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선박은, 여기에서는 오일탱커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은, 선체(11), 추진기 및 러더(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선수부는 선체(11)의 전방측(도시 우측)에 위치하며, 선미부는 선체(11)의 후방측(도시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체(11)는, 천장면을 구성하는 상갑판(12)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판(외벽)(13)과, 외판(13)의 선체 내측에 수밀식으로 마련된 내판(내벽)(14)을 구비하고, 외판(13) 및 내판(14)에 의하여, 이중선각구조[더블헐(double hull)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외판(13)은, 선저측의 외각을 구성하는 선저외판(15)과, 선측(船側)쪽의 외각을 구성하는 선측외판(16)을 구비한다. 한편, 내판(14)은, 선저측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내저판(17)과, 선측쪽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종통격벽(縱通隔璧)(18)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저의 내저판(17)은, 선수측으로부터 기관실(20)을 형성하는 제1 가로격벽(31)(자세하게는 후술함)까지 뻗어 있으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측의 종통격벽(18)은, 선수측으로부터 슬롭탱크(22)를 구성하는 제3 가로격벽(33)(자세하게는 후술함)까지 뻗어 있다.
이 선체(11)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판(14)보다 내측에, 선미측으로부터 선수측을 향하여 중심선을 따라, 기관실(20), 펌프실(21), 슬롭탱크(22), 카고오일탱크(23~28)가 각각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실(21)의 후면부 측방 및 기관실(20)의 측방에는, 코퍼댐(29)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 공간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의 전후방향(세로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1 가로격벽(31)~제10 가로격벽(40)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로격벽(31)과 제2 가로격벽(32) 사이에는, 메인기관 등이 배치되는 기관실(20)(도 4 및 도 6 참조)이 형성되고, 제2 가로격벽(32)의 중앙부와 제3 가로격벽(33)의 중앙부 사이에는, 펌프실(21)을 구성하는 상부펌프실(21a)(도 4 및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제2 가로격벽(32)의 중앙부보다 외측과 제3 가로격벽(33)의 중앙부보다 외측 사이에는, 메인기관 등에서 이용하는 연료탱크나 공간인 코퍼댐(29)(도 3, 도 4, 도 7 참조)이 형성되며, 제3 가로격벽(33)과 제4 가로격벽(34)의 상부 사이에는, 슬롭탱크(22)(도 3 및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슬롭탱크(22)는, 카고오일탱크(23~28)를 세정한 빌지를 모아두고, 정치(靜置)하여 유수 분리하기 위한 것이며, 분리 후의 하층의 물은 선박 외부로 배출된다. 다만, 슬롭탱크(22)는, 빌지를 저류하는 용도 이외에도, 카고오일을 적재하여, 카고오일탱크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가로격벽(34)과 제5 가로격벽(35) 사이에는, 중유(重油) 등의 액체를 적재하는 카고오일탱크(23)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5 가로격벽(35)~제10 가로격벽(40) 사이에는, 카고오일탱크(24~28)가 각각 구획되어 형성된다. 또,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판(13)과 내판(14) 사이의 공간은, 밸러스트수를 넣는 밸러스트탱크(41)로 되어 있다. 이 밸러스트탱크(41)도, 도 1에 나타내는 제3 가로격벽(33)~제10 가로격벽(4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다만, 슬롭탱크(22) 및 카고오일탱크(23~28)와 밸러스트탱크(4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뻗는 종통격벽(센터라인 벌크헤드)(50)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덧붙여서, 종통격벽(50)은 좌우로 2개 이상 병설되는 경우도 있다.
상부펌프실(21a)을 갖는 펌프실(21)은,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부에 하부펌프실(21b)을 구비한다. 하부펌프실(21b)과 상부펌프실(21a)은 갑판(51)의 위치를 상하방향의 경계부분으로 하여 구분되어 있다. 다만, 상부펌프실(21a)과 하부펌프실(21b)은, 공간으로서는 서로 연속되어 있다.
하부펌프실(21b)은, 내저판(17)과, 양측의 선측외판(16, 16)과, 제4 가로격벽(34)의 하부(52)와, 이 제4 가로격벽(34)의 하부(52)에 대향함과 함께 내저판(17) 및 양측의 선측외판(16, 16)에 연결된 하부펌프실 후면부 가로격벽(53)과, 이들의 윗 덮개가 되는 갑판(51)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4 가로격벽(34)의 하부(52)는, 제4 가로격벽(34)의 상부(54)에 단차 없이 이어지며, 하부펌프실(21b)을 형성하는 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으로 되어 있다.
상부펌프실(21a)은, 하부펌프실(21b)의 갑판(51)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통체이며(도 5 참조), 상부펌프실(21a)과 하부펌프실(21b)은, 갑판(51)을 관통하는 개구(55)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부펌프실(21a)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가로격벽(33)은, 제2 가로격벽(32)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선수측으로 이격됨으로써 단차(33a)를 가짐과 함께, 그 중앙부가 선수측을 향하여 더 볼록해짐으로써 단차(33b)를 갖는다. 이 제3 가로격벽(33) 중 선수측을 향하여 가장 볼록해지는 볼록부(56)와 이 볼록부(56)에 대향하는 제2 가로격벽(32)의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뻗어 좌우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하부펌프실(21b)의 갑판(51)에 도달하는 세로격벽(57, 57)에 의하여 연결한다. 이로써, 상술한 직육면체형상의 상부펌프실(21a)이 형성된다(도 5 참조).
다만, 상술한 설명에서는, 각 격벽으로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펌프실(21)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것을 대신하여, 먼저 펌프실(21)을 형성하고, 이러한 펌프실(21)에 대하여, 주변으로부터 벽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상술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각 격벽(32, 33, 34)을 구성해도 된다. 즉,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가로방향으로 뻗는 하부펌프실(21b)과 상하방향으로 뻗는 상부펌프실(21a)을 형성한다. 이들 하부펌프실(21b) 및 상부펌프실(21a)로 이루어지는 펌프실(21)에 대하여, 주위로부터 벽부를 연결시킴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2 가로격벽(32), 제3 가로격벽(33) 및 제4 가로격벽(34)을 구성해도 된다.
슬롭탱크(22)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단차형상의 제3 가로격벽(33)과, 제4 가로격벽(34)의 상부(54)와, 양측의 종통격벽(18, 18)과, 갑판(51)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며, 갑판(51) 상에 배치된다. 갑판(51)은, 상부펌프실(21a)과 하부펌프실(21b) 사이의 단차(58)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58)는, 상부펌프실(21a)보다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인 단차(6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가로격벽(33)이,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을 형성하고, 제4 가로격벽(34)의 상부(54)가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단차」란, 상부펌프실(21a)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뻗는 격벽의 하단과, 하부펌프실(21b)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뻗는 격벽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평방향을 따라 확대되는 벽부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를 구성하는 벽부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확대되고 있지만, 완전히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수평방향으로 확대되는 방향성분을 갖고 있는 한, 경사, 만곡 등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과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33)과 상갑판(12)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더(59)가 연결되어 있다. 이 거더(59)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에는, 선미측에, 가로방향으로 뻗는 수평 거더(horizontal girder)(60)가 연결된다. 이 수평 거더(60)는, 종통격벽(18, 18) 사이에 연결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여기에서는 3개)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에는, 수직 방향으로 뻗는 수직 스티프너(61)가 연결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33)과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 사이에는, 전후방향(세로방향)으로 뻗어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33)과 수평 거더(60) 및 수직 스티프너(61)에 연결되는 지주(62)가 복수로 마련되어 있다. 지주(62)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여기에서는 6개)로 배치됨과 함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여기에서는 2개)로 배치된다. 다만, 수평 거더(60)는,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의 선미측에 연결되어 있지만, 선수측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주(62)는,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펌프실(21)의 하부펌프실(21b)에는, 복수의 펌프(48)가 배치된다. 또, 기관실(20)에 있어서, 기관실측(선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펌프실(21b)의 단차 상에는, 각 펌프(48)를 구동하기 위한 터빈(49)이 각각 배치된다. 또, 펌프실(21)로부터 각 카고오일탱크(23~28)로 뻗는 카고오일라인(47)이 배치된다. 카고오일라인(47)은, 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52)[제4 가로격벽(34)]을 관통하여 선수측으로 뻗고, 제5 가로격벽(35)~제9 가로격벽(39)을 관통한다. 펌프실(21)의 펌프(48)는, 카고오일라인(47)을 통하여, 각 카고오일탱크(23~28)에 오일을 공급하거나, 각 카고오일탱크(23~28)의 오일을 배출시키거나 한다.
또, 카고오일탱크(23~28)에는, 펌프실(21) 및 슬롭탱크(22)의 위치로부터 세로방향(전후방향)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트랜스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슬롭탱크(22)는, 하부펌프실(21b)의 단차(58)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슬롭탱크(22)의 트랜스링의 전후방향의 간격은, 카고오일탱크(23~28)의 트랜스링들 사이의 간격과는 달라도 되고, 슬롭탱크(22)의 전후방향 길이에 따라서는, 슬롭탱크(22)에 트랜스링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슬롭탱크(22)에 대하여 마련되는 트랜스링은, 1개여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1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선박(10)의 비교예에 따른 선박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선박은, 제3 가로격벽(133)과 제4 가로격벽(134) 사이에 형성되는 슬롭탱크(122)를 갖는다. 제3 가로격벽(133)의 하단은, 내저판(17)까지 뻗어 있다. 따라서, 펌프실(121)의 선수측에는, 상부펌프실(121a)과 하부펌프실(121b) 사이에 단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슬롭탱크(122)의 바닥부(122a)는 내저판(17)의 위치에 형성된다. 슬롭탱크(122)는, 펌프실(121)의 선수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선박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실(121)과 카고오일탱크(23) 사이에 슬롭탱크(12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슬롭탱크(122)의 바닥부(122a)에 카고오일라인(47)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슬롭탱크(122)는, 카고오일라인(47)을 배치하기 위한 면적을 바닥부(122a)에 확보하고 있다. 또한, 슬롭탱크(122)는, 레이더로 액면을 검출하기 위하여, 측정영역(MP)을 바닥부(122a)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슬롭탱크(122)의 상부(122b)에 레이더식 액면계(160)를 배치한 경우, 이 레이더식 액면계(160)는, 바닥부(122a)에 설정된 측정영역(MP)을 향하여 빔을 조사하여 액면을 측정한다. 원형의 측정영역(MP)과 레이더(160) 사이에 형성되는 원추형의 영역에는, 빔과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부재 및 의장품이 배치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원추형의 영역과 간섭하지 않도록 카고오일라인(47)을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닥부(122a)의 면적을 더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슬롭탱크(122)는, 바닥부(122a)에 넓은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용량도 커진다. 따라서, 제4 가로격벽(134)과 제3 가로격벽(133) 사이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슬롭탱크(122)는, 내저판(17)의 위치까지 깊이를 갖기 때문에, 빌지를 저류했을 때에 바닥부(122a) 부근에 있어서의 수압이 커진다. 그로 인하여, 이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슬롭탱크(122)의 구성부품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보강부재를 마련하는 등의 설계가 필요해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선박(10)에 의하면, 슬롭탱크(22)가, 하부펌프실(21b)의 단차(58)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롭탱크(22)의 바닥부가 종래기술(예를 들면, 상술한 비교예의 구조)의 내저판(17)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슬롭탱크(22)의 수두가 종래보다 낮아져 있다. 이로 인하여, 슬롭탱크(22)에 저류되는 빌지나 적재되는 카고오일의 수압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슬롭탱크(22)의 구성부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예의 슬롭탱크(122)의 바닥부(122a)는 내저판(17)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반면, 본 실시형태의 슬롭탱크(22)의 바닥부(22a)는, 하부펌프실(21b)의 단차(58)의 위치에 설정된다. 예를 들면, 슬롭탱크(122)의 빌지의 액면과 슬롭탱크(22)의 빌지의 액면을 동일하게 한 경우, 깊이가 얕은 슬롭탱크(22) 쪽이 수두가 낮아진다. 따라서, 바닥부(122a) 부근에 작용하는 수압과 바닥부(22a) 부근에 작용하는 수압을 비교하면, 바닥부(22a) 부근에 작용하는 수압 쪽이 낮아진다. 또한, 비교예와 같이 슬롭탱크(122)의 용량이 큰 경우는, 고려해야 할 관성력도 커지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슬롭탱크(22)에서는 고려해야 할 관성력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용하는 힘이 작아지는 크기만큼, 본 실시형태의 슬롭탱크(22)의 구조부품을 얇게 하거나, 보강부재를 줄이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슬롭탱크(22)의 구조부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부펌프실(21b)의 단차(58)는, 상부펌프실(21a)보다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단차(68)를 구비하고,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이러한 단차(68) 상에, 슬롭탱크(2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롭탱크(22)의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카고오일라인(47)은, 하부펌프실(21b)과 카고오일탱크(23) 사이를 구획하는 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52)을 관통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카고오일라인이 펌프실과 슬롭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가로격벽 및 슬롭탱크와 카고오일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가로격벽의, 2개의 가로격벽을 관통하는 경우에 비하여, 관통 개소가 줄어들어, 공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슬롭탱크(22)에는, 종래 배치되어 있던 카고오일라인(47)이 없어지기 때문에, 슬롭탱크(22)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사다리 등의 의장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비교예에 따른 슬롭탱크(122)에서는, 바닥부(122a)에 카고오일라인(47)을 배치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슬롭탱크(122)의 용량이 커지게 되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롭탱크(22)에서는, 카고오일라인(47)을 배치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바닥부(22a)의 면적을, 유수 분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 면적으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로써, 슬롭탱크(22)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롭탱크(22)의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제4 가로격벽(34)을 비교예의 제4 가로격벽(134)에 비하여 크게 선미측으로 가까이 붙여 댈 수 있다. 여기서, 펌프실(21)은, 슬롭탱크(22)를 배치하기 위한 단차(58)를 확보하기 위해서, 하부펌프실(21b)을 선수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하부펌프실(21b)의 선수측의 용량을 증가시킨 크기만큼, 상부펌프실(21a)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비교예에 있어서 상부펌프실(121a)에 배치되어 있던 구조물(150)은, 하부펌프실(21b)의 단차(58)의 아래쪽의 공간에 배치 가능해진다. 이로써, 제3 가로격벽(33)을 비교예의 제3 가로격벽(133)보다 선미측으로 가까이 붙여 대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슬롭탱크(22)를 더욱 선미측으로 가까이 붙여 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10)은, 비교예에 비하여, 카고오일탱크(23)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슬롭탱크(22)와 카고오일탱크(23) 사이를 구획하는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에, 선체(11)의 가로방향으로 뻗는 수평 거더(60)를 구비하고, 슬롭탱크(22)를 형성하는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33)과,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54)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뻗는 보강용의 복수의 지주(6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즉, 수평 거더(60)에 더하여, 지주(62)가 복수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거더(60)를, 대형화하지 않고 작은 거더로 할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예의 슬롭탱크(122)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제3 가로격벽(133)과 제4 가로격벽(134) 사이의 치수가 커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치수가 큰 개소에 세로방향으로 뻗는 지주를 마련한 경우, 이 지주는 좌굴에 대하여 약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비교예의 슬롭탱크(122)는, 지주를 마련할 수 없는 크기만큼, 큰 수평 거더(60)가 필요하고, 또한, 수평 거더(60)로 레이더의 측정영역(MP)과 간섭하지 않도록 제4 가로격벽(134)의 선두측에 평행 거더(153)를 마련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도 12를 참조).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슬롭탱크(22)는, 용량이 작아 세로방향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지주의 좌굴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슬롭탱크(22)에 대하여 복수의 지주(62)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그만큼, 비교예에 비하여 수평 거더(60)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평 거더(60)를 작게 할 수 있는 크기만큼, 제4 가로격벽(134)의 선미측에 수평 거더(60)를 마련해도 레이더의 측정영역(MP)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거더(60)를 제4 가로격벽(134)의 선미측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평 거더(60)를 선미측에 마련함으로써, 지주(62)의 스팬(span)을 짧게 할 수 있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상승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롭탱크(22)를 구성하는 상갑판(12)에,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식 액면계(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여, 슬롭탱크(22)의 액면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이하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즉, 슬롭탱크(22)의 바닥부가 종래에 비하여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레이더 조사를 위해 필요한 탱크바닥부의 면적을 종래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어, 의장품의 배치의 자유도가 더 높아진다. 또, 슬롭탱크(22)에는, 레이더 조사에 가장 방해가 되는 카고오일라인(47)이 없기 때문에, 조사 위치(레이더식 액면계의 배치)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영역(MP)이 설정되는 바닥부(22a)는, 비교예의 바닥부(122a)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부(122a)의 측정영역(MP)의 직경을 D1로 하고, 바닥부(22a)의 측정영역(MP)의 직경을 D2로 한 경우, 바닥부(22a)의 측정영역(MP)의 직경 D2 쪽이 작아진다. 따라서, 레이더 조사를 행하는 데 필요한 바닥부(22a)의 면적을 비교예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롭탱크(22)에 있어서 트랜스링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며, 또 트랜스링을 마련하는 경우, 슬롭탱크(22)의 트랜스링의 전후방향의 간격을, 카고오일탱크(23~28)의 트랜스링 사이의 전후방향의 간격으로 정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슬롭탱크(22)를 전후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롭탱크(22)의 경량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종래에 비하여 슬롭탱크(22)를 전후방향으로 짧게 하고 있지만, 종래기술의 슬롭탱크에 넣는 경우와 동일량의 빌지를 슬롭탱크(22)에 넣은 경우에는, 종래기술의 슬롭탱크에 넣는 경우보다 수두가 높아지므로, 유수 분리의 성능은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을 나타내고, 슬롭탱크, 펌프실, 기관실 및 코퍼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가 앞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앞의 실시형태의 상부펌프실(21a)의 선수측의 가로격벽[제3 가로격벽(33)의 볼록부(56)(도 4 참조)]를 더 선수측에 위치시켜 하부펌프실(21b)의 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52)과 단차가 없게 함과 함께, 상부펌프실(21a)과 하부펌프실(21b) 사이의 단차(58)를, 상부펌프실(21a)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단차(69, 69)로 하고, 슬롭탱크(22)를, 펌프실(21)보다 선수측에 위치시키지 않고 상부펌프실(21a)의 좌우 양측의 단차(69, 69) 상에 배치한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롭탱크(22)의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슬롭탱크(22)는, 좌현측의 조(槽)와 우현측의 조의 2개의 조로 구획되어 있다. 한쪽 조에서는, 새롭게 공급되어 온 빌지를 저류해 두고, 유수 분리를 행한다. 다른쪽 조에서는, 한쪽 조에서 유수 분리된 처리수를 저류해 둔다. 따라서, 한쪽 조와 다른쪽 조 사이는, 연통 유로로 접속되어 있다. 도 10의 형태를 채용한 경우, 슬롭탱크(22)의 한쪽 조와 다른쪽 조는,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롭탱크(22)의 외측에 배관을 마련하고, 이 배관에 의해 양방의 조가 접속된다. 한편, 도 4의 형태에서, 한쪽 조와 다른쪽 조는, 1장의 구획용의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획용의 격벽에 연통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양방의 조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도 4의 형태를 채용한 경우, 슬롭탱크(22)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관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탱크를 카고오일탱크로 하고, 선박을 오일탱커로 하고 있지만, 액화 천연가스를 카고탱크에 수용하고, 카고오일라인을 카고라인으로 한 LPG선이나, 액체를 카고탱크에 수용한 선박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 이중선각구조를 채용하고 있지 않은 선박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롭탱크(22)는, 빌지 이외에도, 타이밍에 따라서는, 카고탱크에 수용되는 액체가 저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액체를 수용하는 슬롭탱크와, 펌프실보다 선수측에 배치되는 카고탱크를 구비한 선박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10…선박
11…선체
21…펌프실
21a…상부펌프실
21b…하부펌프실
22…슬롭탱크
23~28…카고오일탱크(카고탱크)
33…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제3 가로격벽)
47…카고오일라인(카고라인)
48…펌프
52…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제4 가로격벽의 하부)
54…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제4 가로격벽의 상부)
58, 68, 69…단차
60…수평 거더
62…지주

Claims (5)

  1.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상기 펌프실보다 선수측에 배치되는 카고탱크와, 액체를 수용하는 슬롭탱크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상기 펌프실은, 하부펌프실과, 이 하부펌프실 상에 단차를 통하여 배치된 상부펌프실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펌프실의 상기 단차 상에 상기 슬롭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펌프실 및 상기 슬롭탱크보다 선수측에 상기 카고탱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펌프실의 상기 단차는, 상기 상부펌프실보다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선수측으로 돌출되는 단차 상에 상기 슬롭탱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펌프실의 상기 단차는, 상기 상부펌프실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단차 상에, 상기 슬롭탱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펌프실과 상기 카고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하부펌프실 전면부 가로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펌프실의 상기 펌프와 상기 카고탱크를 연결하는 카고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롭탱크와 상기 카고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에, 선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거더(girder)를 구비하고,
    상기 슬롭탱크를 형성하는 선미측의 슬롭탱크 후면부 가로격벽과 상기 슬롭탱크 전면부 가로격벽 사이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용의 복수의 지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80056685A 2017-05-18 2018-05-17 선박 KR102456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9061 2017-05-18
JP2017099061 2017-05-18
JP2018058251A JP7133331B2 (ja) 2017-05-18 2018-03-26 船舶
JPJP-P-2018-058251 201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235A true KR20180127235A (ko) 2018-11-28
KR102456766B1 KR102456766B1 (ko) 2022-10-19

Family

ID=6456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685A KR102456766B1 (ko) 2017-05-18 2018-05-17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624A (zh) * 2019-06-27 2019-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化学品船的液压泵间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69A (ko) * 2001-10-12 2003-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pg선의 탱크수용부 격벽
JP2011070373A (ja) 2009-09-25 2011-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通行権限付与システム及び通行権限設定装置及び通行権限設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60120180A (ko) * 2015-04-07 2016-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2017036014A (ja) * 2015-08-12 2017-02-16 三井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69A (ko) * 2001-10-12 2003-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pg선의 탱크수용부 격벽
JP2011070373A (ja) 2009-09-25 2011-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通行権限付与システム及び通行権限設定装置及び通行権限設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60120180A (ko) * 2015-04-07 2016-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2017036014A (ja) * 2015-08-12 2017-02-16 三井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병기, 정병훈, 서영호, 이병록, 김화수, "Fatugue Design a Shuttle Tanker for the North Atlantic Operation", 현대중공업(2013.10.23.)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624A (zh) * 2019-06-27 2019-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化学品船的液压泵间结构
CN110254624B (zh) * 2019-06-27 2024-03-19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化学品船的液压泵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766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9412B2 (ja) 船形構造物及び船形構造物の設計方法
JP6206771B2 (ja) 船舶
JP7133331B2 (ja) 船舶
US5899162A (en) Tanker reconstruction
JP4550842B2 (ja) 液体貨物輸送船の貨物倉構造
KR102509825B1 (ko) 선박
KR20180127235A (ko) 선박
JP6021750B2 (ja) 船舶の区画構造
US4674430A (en)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CN109803882B (zh) 具有水密壁的船舶
JP4401346B2 (ja) 船舶機関室のダブルハル構造
US4573422A (en)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JP2019171982A (ja) 船舶
KR101334325B1 (ko) 화물창을 구비하는 선박
JP2019014453A (ja) 船形構造物
JP6992942B2 (ja) ばら積み貨物船
KR20170029225A (ko) 유조선에서의 연료유 탱크 설치 구조
JP6813424B2 (ja) 船体構造及び船舶
JP2012153334A (ja) 船舶
JP2831147B2 (ja) 貨油流出防止型タンカー
JP2005219559A (ja) 貨物船
JP2018134940A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6701487B2 (ja) 揚陸船、揚陸船の建造方法
Shama et al. Configur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hip Structural Assemblies
KR20230134419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