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693A - 커튼 에어백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직조된 직물의 비용 효과적 이용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직조된 직물의 비용 효과적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693A
KR20160096693A KR1020167018529A KR20167018529A KR20160096693A KR 20160096693 A KR20160096693 A KR 20160096693A KR 1020167018529 A KR1020167018529 A KR 1020167018529A KR 20167018529 A KR20167018529 A KR 20167018529A KR 20160096693 A KR20160096693 A KR 20160096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flatable curtain
curtain airbag
vehicl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873B1 (ko
Inventor
시아오홍 왕
브라이언 왈스턴
아서 야쿠모
아바드훗 파란즈페
폴 히킨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9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조립체는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은 제 1 챔버 및, 상기 제 1 챔버의 전방에서 팽창되는 제 2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제 2 챔버는 제 1 챔버의 높이보다 위에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어, 제 2 챔버의 저부는 차량 도어에 인접하게 아래로 가압된다. 복수개의 에어백 조립체 구성 요소들은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를 둘러싸는 비팽창 주위 영역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 요소들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절단된 전방 줄 또는 후방 줄, 제 2 챔버의 전개를 제어하도록 비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로부터 절단된 상부 줄 및, 집어 넣어진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부로부터 절단된 직물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직조된 직물의 비용 효과적 이용{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작은 중첩 및 경사 전방 충돌 및 측면 충돌 상황에서 보호를 제공하는 방법 및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에 관한 것이다.
팽창 가능 안전 제한 장치 또는 에어백은 대부분의 신규 차량들에서 의무적이다.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승객측 대쉬보드 및 차량 운전자측의 조향 휘일에 있는 에어백 모듈을 가진 시스템의 일부로서 설치된다. 사고의 경우에, 차량내의 센서는 비정상적인 감속을 측정하고 팽창기 안에 포함된 충전물의 점화를 촉발시킨다. 충전물로부터 팽창하는 기체는 도관을 통하여 이동하여 에어백을 채우는데, 에어백은 운전자 및 승객의 전방에서 즉각적으로 팽창하여 차량 내부와의 유해한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은 정상적인 차량 운행중에는 보이지 않도록 차량 트림(vehicle trim) 내부에 감춰진다.
에어백 시스템들은 차량 내부의 측면과 승객 사이의 측방향 충격으로부터 유사한 보호의 필요성에 응답하여 개발되었다. 이것은 다른 차량이 차량의 측면과 충돌할 때 또는 전복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전복 상황에서는 차량의 측면이 지면에 반복적으로 충격된다. 측면 충격 에어백은 종종 "팽창 가능 커튼"으로 호칭된다. 많은 팽창 가능 커튼은 차량 루프가 측면 윈도우 및 필라(pillar)들과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서 집어 넣어진다. 이러한 팽창 가능 커튼은 차량의 루프를 덮는 직물인, 헤드라이너(headliner)의 가장자리에서 헤드라이너 트림(headliner trim)의 뒤에 집어 넣어질 수 있다.
많은 정부들에 의해서 규제되는 최근의 안전 표준은 측면 또는 정면 충돌의 경우에 보다 포괄적인 보호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제조 및 설치가 보다 경제적이고, 특징부들을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려는 차량 제조자의 능력에 간섭되는 것이 회피되고, 신뢰성 있게 전개되는 것이 기대될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계속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차량의 승객들은 전개시에 차량내의 그 어떤 다양한 위치들에도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점유자 위치의 가장 넓은 가능 범위에 걸친 충격에 대하여 보호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현존의 일부 팽창 가능 커튼 디자인은 특정 충돌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전복 충돌의 경우에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복 충돌의 경우에, 차량 점유자의 위치 및 궤적은 예측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순수하게 측면 충격에 대하여 보호하도록 설계된 공지의 팽창 가능 커튼은 가장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는 적절한 위치에 있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의 전개에도 불구하고, 내부 차량 표면과의 충격에 의한 상해 및/또는 차량으로부터 튀어나가는 것에 의한 상해를 받을 수 있다.
더욱이, 에어백의 비용, 복잡성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소망스럽다. 많은 에어백들은 에어백의 팽창 가능 챔버들을 한정하도록 함께 고정되는 재료의 층들로부터 만들어진다. 공지된 많은 에어백 디자인들은 실질적으로 폐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비팽창의 주위 영역을 가진다. 폐기된 직물은 에어백의 비용을 증가시키는데, 왜냐하면 과도한 직물이 구입 및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다양한 에어백 시스템 구성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 요소들은 다양한 줄(tether)을 포함하며, 줄은 에어백의 전개 및/또는 위치 선정 제어를 돕는다. 그러한 구성 요소들은 종종 에어백과 별도로 형성되어 추가적인 제조 단계들의 사용을 통해 에어백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액세서리들은 종종 에어백을 만드는데 필요한 비용 및 제조 시간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들은 당해 기술 분야의 현재 상태에 응답하여 개발되었으며, 특히 현재 이용 가능한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들에 의해 완전하게 해결되지 않았던 당업계의 필요성 및 문제점들에 응답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충돌 상황에서 차량 점유자를 위한 신뢰성 있는 보호를 제공하는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더욱이,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은 여기에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은 다른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것을 달성하도록, 그리고 여기에 광범위하게 설명되고 구현된 본 발명에 따라서,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적어도 측방향 표면을 충격하는 것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할 수 있고,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 점유자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 사이에서 전개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 점유자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되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에서 함께 고정되는 외측 직물 층 및 내측 직물 층을 포함하고, 주위 접합부는 상기 주위 접합부의 내측으로 제 1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주위 접합부의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제 1 단부 및 차량에 고정 가능한 제 2 단부를 구비한 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줄은 제 1 세그먼트 및,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 각각은 내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 및, 외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2 직물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챔버는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팽창될 수 있다.
비팽창 주위 영역은 전개 구성에서 제 1 챔버의 후방에 위치된 후방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줄의 제 1 단부는 후방 부분에 위치될 수 있어서 전개 구성에서 줄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에 후방으로의 텐션(tension)을 가한다.
줄의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들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인접한 부분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줄의 제 1 단부는 제 1 세그먼트에서 제 1 접음(fold)을 구비할 수 있고 제 2 세그먼트에서 제 2 접음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접음 및 제 2 접음은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가 서로의 위에 놓이게끔 위치시키도록 지향될 수 있다.
제 1 접음 및 제 2 접음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인접한 부분들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줄을 위치시킬 수 있다. 줄의 제 1 단부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와 비팽창 주위 영역에 고정된 강화 패널을 더 가질 수 있다. 강화 패널은 비팽창 주위 영역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기체를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운반하도록 위치된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적어도 측방향 표면을 충격하는 것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의 루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고,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에서 함께 고정되는 내측 직물 층 및 외측 직물 층을 가질 수 있고, 주위 접합부는 상기 주위 접합부의 내측으로 제 1 챔버를 형성하고, 제 1 챔버의 전방으로 제 2 챔버를 형성하고, 주위 접합부의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한다. 에어백 조립체는 제 1 단부 및 차량에 고정 가능한 제 2 단부를 가진 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챔버들 각각은 팽창하여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일 수 있다. 비팽창 주위 영역은 전개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챔버 위에 위치된 상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줄은 제 2 챔버 위의 상부 부분내에서 내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 및, 제 2 챔버 위의 상부 부분내에서 외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2 직물 층을 가질 수 있다.
제 2 챔버는 전개되는 동안 제 1 챔버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줄은 제 1 챔버에 대한 제 2 챔버의 방위를 제어하도록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비 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을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으로 분리하는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팽창 도관은 기체를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운반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줄은 비 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의 전방 섹션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차폐하도록 차량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의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에서 함께 고정된 내측 직물 층 및 외측 직물 층을 가질 수 있으며, 주위 접합부는 상기 주위 접합부 내측으로 제 1 챔버를 형성하고, 주위 접합부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한다. 에어백 조립체는, 비팽창 주위 영역내에 있는 외측 직물 층 또는 비팽창 주위 영역내에 있는 내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을 포함하는 직물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 구성에서, 제 1 직물 층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일 수 있다. 제 1 챔버는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팽창될 수 있다.
직물 차폐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에 완전하게 감싸일 수 있다. 제 1 직물 층은 내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직물 차폐부는 외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2 직물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직물 층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일 수 있다.
제 2 직물 층은 제 1 직물 층이 감싸이는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감싸일 수 있다. 보관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직물층들중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및 제 2 직물 층들중 다른 하나를 덮을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조립체들 각각은 차량에 고정 가능한 탭(tab) 및, 래퍼(wrapper)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래퍼는 전개될 때까지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 유지하도록 직물 차폐부 및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 둘레를 감싼다.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기를 더 가질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개 구성에서 제 1 챔버 위에 위치된 비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을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으로 분리시킨다. 팽창 도관은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기체를 운반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직물 차폐부는 비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의 후방 섹션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에서 함께 고정되는 내측 직물 층 및 외측 직물 층을 가질 수 있으며, 주위 접합부는 상기 주위 접합부의 내측으로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주위 접합부의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제 1 챔버는 팽창될 수 있고 제 2 챔버는 제 1 챔버의 전방으로 팽창될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주위 접합부는, 제 1 챔버의 상부 경계를 한정하는 후방 섹션 및, 제 2 챔버의 상부 경계를 한정하는 전방 섹션을 가진 상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전방 섹션은 후방 섹션으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offset)될 수 있어서, 전방 섹션은 상기 전방 섹션에 인접한 후방 섹션의 일부 보다 높다.
차량은 A-필라(pillar), 상기 A 필라 아래에 연장된 윈도우 및, 윈도우 아래에 위치된 측방향 표면(lateral sruface)을 가질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제 2 챔버는 윈도우를 가로지르고 제 2 챔버의 저부 부분이 측방향 표면과 나란히 위치되기에 충분한 깊이로 A 필라 아래에 연장될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전방 섹션은 제 2 챔버의 저부 부분의 하방향 움직임을 강제하도록 차량의 루프에 맞닿을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기를 더 가질 수 있다. 주위 접합부의 후방 섹션은 기체를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운반하도록 위치된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하기 전에, 팽창 도관 및 제 2 챔버는 제 1 챔버 위에 대략 같은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 및 전개 구성을 가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에서 함께 고정된 내측 직물 층 및 외측 직물 층을 가질 수 있고, 주위 접합부는 상기 주위 접합부의 내측으로 제 1 챔버 및 상기 제 1 챔버 전방의 제 2 챔버를 형성하고, 주위 접합부의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한다. 에어백 조립체는 제 1 단부 및 차량에 고정 가능한 제 2 단부를 가진 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줄은 비팽창 주위 영역내에 있는 내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 및, 비팽창 주위 영역내에 있는 외측 직물 층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2 직물 층을 가질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비팽창 주위 영역내에 있는 외측 직물 층 및 비팽창 주위 영역내에 있는 내측 직물 층중 하나와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을 가진 직물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 구성에서, 제 1 직물 층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일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제 1 챔버가 팽창될 수 있고 제 2 챔버는 제 1 챔버의 전방으로 팽창될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주위 접합부는 제 1 챔버의 상부 경계를 한정하는 후방 섹션 및, 제 2 챔버의 상부 경계를 한정하는 전방 섹션을 가진 상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전방 섹션이 상기 전방 섹션에 인접한 후방 섹션의 일부 보다 더 높도록, 전방 섹션은 후방 섹션으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 및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더욱 완전하게 명백해지거나 또는 여기에 기재된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실시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묘사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의 사용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내부에 있는 보관 구성의 에어백 조립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이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의 에어백 조립체의 평면도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안에 있는 보관 구성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이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 은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방 부분의 측면도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관 구성으로 콤팩트하게 만들기 전이다.
도 7 은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의 평면도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관 구성으로 콤팩트하게 만들기 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 은 줄을 형성하는 제 1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1 은 줄을 형성하는 제 2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2 는 줄을 형성하는 제 3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3 은 줄의 제 1 단부의 강화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5 는 직물 차폐부를 형성하는 제 1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14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에 장착 조립체를 부착한 이후에 도 14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정면도이다.
도 17 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콤팩트하게 만들기 시작한 이후에 도 14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정면도이다.
도 18 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콤팩트하게 만들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차량에 부착한 이후에 도 14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배면도이다.
도 19 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개 동안에 도 14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배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전개 구성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광범위하게 상이한 구성으로 구성되고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1 에 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보다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연결되고", "결합되고" 및 "소통되고"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실체들 사이에서의 상호 연결의 임의 형태를 지칭하며,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유체 및 열적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은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을지라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맞닿는"이라는 표현은 비록 물품들이 반드시 함께 부착되지 않을지라도 서로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된 물품들을 지칭한다. "유체 소통"은 하나의 특징부내에 있는 유체가 다른 특징부 안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2 개의 특징부들이 연결된 것을 지칭한다. "예시적"이라는 용어는 전형적이거나 또는 대표적인 예 또는 경우로서의 역할을 의미하며, 특수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는다.
팽창 가능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 시나리오에서 점유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도록 널리 이용된다. 에어백 모듈은 차량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설치되며, 조향 휘일, 계기 패널, 측면 도어 또는 측부 좌석, 차량 루프 레일에 인접한 곳, 머리 위의 위치, 무릎 또는 다리 위치를 포함하여 설치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을 참조하면, 에어백 조립체(100)는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충돌중에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길이를 따라서 지향된 길이 방향(101)을 가질 수 있고, 차량의 일 측부로부터 대향하는 측부로, 예를 들어 도 1 의 도면에서 지면의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지향되는 측방향(lateral direction, 102) 및,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지향되는 횡단 방향(103)을 가질 수 있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라는 용어는 측방향(102)을 따른 대상물의 위치를 지칭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외측으로"는 차량의 측방향 평면에 대하여 제 2 대상물보다 상대적으로 인접한 대상물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측방향 평면은 측방향(102)에 직각인 2 개의 평면들중 하나로서, 그중 하나는 차량의 좌측 종단에 거의 닿고, 다른 하나는 차량의 거의 우측 종단에 닿는다. "내측으로"는 차량의 중간 평면에 대하여 제 2 대상물보다 상대적으로 인접한 대상물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중간 평면은 차량을 2 개의 동등한 절반부로 양분하는 측방향(102)에 직각인 평면이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는 2 개의 대상물이 측방향(102)에서 정렬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순히 측방향 평면 또는 중간 평면에 대한 인접함에 관한 것이다.
"후방으로" 및 "전방으로"는 길이 방향(101)을 따른 대상물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으로"는 차량의 전방 평면에 대하여 제 2 목적물보다 상대적으로 인접한 목적물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전방 표면은 차량의 최전방 종단에 거의 닿는 길이 방향(101)에 직각인 평면이다. 마찬가지로, "후방으로"는 차량의 후방 평면에 대하여 다른 대상물보다 상대적으로 인접한 대상물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후방 평면은 차량의 후방 종단에 거의 닿는 길이 방향(101)에 직각인 평면이다. 제 2 대상물의 "전방"에 있는 대상물은 길이 방향(101)에서 제 2 대상물과 정렬될 필요는 없다; 이는 단순히 제 1 대상물이 제 2 대상물보다 차량의 전방 평면에 더 인접한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후방으로"라는 용어는 길이 방향(101)에서의 정렬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측방향(102)에 관한 방향, 대상물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차량의 "측방향 표면"은 차량의 중간 평면을 전체적으로 (그러나 정확하게 꼭 그렇지는 않은) 향하는 차량의 내부 표면들이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팽창기(104), 튜브(106) 및, 팽창기(104)로부터 튜브(106)를 통하여 기체를 수용하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센서 및 제어 시스템(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것은 충돌 또는 임박한 충돌을 검출하고 활성 신호를 팽창기(104)로 송신한다. 팽창기(104)는 꽃불 기술(pyrotechnic), 저장 기체 또는 콤비네이션 팽창기와 같은 몇가지 유형들중 하나일 수 있고, 단일 또는 다중 스테이지 팽창기일 수 있다. 팽창기(104)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에 대하여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팽창기(104)가 꽃불 기술 팽창기라면, 팽창기(104)는 활성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신속하게 팽창 기체를 발생시키도록 점화되는 추진제(propellant)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차량내에서 길이 방향(101)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차량의 루프 레일(roof rail, 112)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다음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전방 줄(forward tether 108) 및 후방 줄( rear tether 10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줄들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인접하게 각각 결합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팽창시에, 전방 줄(108) 및 후방 줄(109)은 텐션(tension)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팽창 가능 에어백(110)이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조한다.
충돌의 경우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차량의 필라(pillar, 측방향 윈도우 및/또는 윈드실드와 후방 윈도우 사이의 구조체)와 측부 윈도우와 같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측방향 표면들과 차량의 승객들 사이에서 차량의 측부를 따라서 아래로 팽창할 수 있다. 필라는 A 필라(114), B 필라(116), C 필라(118)를 포함할 수 있고, 만약 존재한다면 D 필라(11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필라 모두는 그들의 상단부에서 루프 레일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A 필라로부터 C 필라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차량의 A 필라(114)로부터 D 필라(119)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에 더하여, 다른 에어백들이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운전자 측 에어백(도 1 에 미도시)이 사용되어 차량의 전방 표면들과의 충격으로부터 점유자(즉,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 표면은 조향 휘일(121) 및 계기 패널(122)을 포함한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이전에 언급된 측방향 표면들에 대해서 충격을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A 필라 및/또는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에 대한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보충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외측 부분(123)은 계기 패널(122)의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조향 휘일(121)의 외측에 놓인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정상적으로는 보관 구성(stowed configuration)으로 놓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차량의 내부 트림(trim) 뒤에 감춰지며, 예를 들어 측방향 헤드라이너 트림(headliner trim) 뒤에 감춰진다 (트림은 헤드라이너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헤드라이너는 통상적으로 차량 지붕의 내부를 덮는 직물의 시트이다). 차량 안에 설치하기 전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말림, 접힘 또는 그것의 조합에 의해서 보관 구성으로 집약화될 수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신장된 형상을 취하게 되며 그것의 단면 형상의 높이 또는 폭보다 훨씬 큰 길이로써 경로를 따라서 연장된다.
일단 보관 구성으로 콤팩트하게 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래퍼(wrapper), 패스너(fastener)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사용을 통하여 보관 구성으로 보유될 수 있어서 설치 및 발송(shipping)을 용이하게 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루프 레일(112)에 인접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 일체화된 래퍼(wrapper) 및 패스너 시스템(fastening system)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길이를 따라서 분포된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12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장착 조립체(120)들 각각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에 고정된 탭(tab, 124), 탭(124)을 루프 레일(112)에 고정시키는 패스너(125) 및, 전개시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보관 구성으로 유지시키도록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에워싸는 래퍼(wrapper, 126)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장착 조립체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장착 조립체들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과 일체로 형성된 탭들, 대안의 패스너 또는 유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래퍼(126)는 모든 실시예들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콤팩트하게 유지하도록 상이한 부착 방법 또는 특징부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래퍼 또는 다른 특징부들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차량에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장착 조립체들과 독립적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루프 레일(112)에 고정된 제 1 보호 영역(130) 및, 필라(114)에 고정된 제 2 보호 영역(13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조립체(120)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길이를 따라서 D 필라상에 있거나 그에 가까운 후방 위치로부터, A 필라(114)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전방 위치까지 배치될 수 있다.
활성화시에, 팽창기(104)는 팽창 기체를 튜브(106)로 발생 및/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 튜브(106)로부터, 팽창 기체는 신속하게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으로 진입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팽창되기 시작한다. 팽창에 응답하여, 래퍼(126)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배출시키도록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보관 구성으로부터 빠져나가서 연장된 형상을 취한다. 이러한 과정은 "전개"로 호칭된다. 전개가 완료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개 구성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 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바와 같다.
도 2 를 참조하면, 사시도는 에어백 조립체(100)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팽창기(104) 및/또는 다른 선택적인 팽창기들의 활성화시에 팽창될 수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천이된다. 전개되는 동안, 래퍼(126)가 찢어질 수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보관 구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또한 B 필라(116) 및 C 필라(118)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구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B 필라(116) 및 C 필라(118)를 덮는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또한 D 필라(119)의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도 2 는 제 1 보호 영역(130) 및 제 2 보호 영역(132)의 위치 선정을 도시한다. 제 1 보호 영역(130)은 전체적으로 조향 휘일로부터 후방으로 차량의 측방향 표면을 덮는 반면에, 제 2 보호 영역(132)은 조향 휘일(121)의 전방으로 측방향 표면을 덮는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상부 부분(134) 및 하부 부분(136)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체적으로 직물 또는 얇은 폴리머와 같은 2 개 층의 유연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 형태의 외측 직물 층(도 3 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제 1 직물 층 및 제 2 직물 층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체적으로 직조된 나일론 직물로부터 만들어지지만, 다른 직물 또는 유연성 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다.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분리된 직물의 부재들일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접혀진 직물의 단일 부재의 섹션들일 수 있다.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위 꿰맴(peripheral stitching, 144)을 통하여 주위 접합부에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패스너 고정(fastening), 접착제, 일체형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제 1 보호 영역(130)내의 제 1 챔버(140) 및 제 2 보호 영역(132) 내의 제 2 챔버(142)를 형성할 수 있다. "챔버"는 동체 안에 있는 내부 공동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제 1 챔버(140)는 충전 튜브(106)를 통하여 팽창기(104)로부터 팽창 기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제 2 챔버(142)는 제 1 챔버(140)로부터 팽창 기체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챔버(140)는 내부의 꿰맴(148)을 통하여 팽창 셀(inflation cells, 146)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가진 에어백 조립체(100)가 전개 구성으로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 은 점유자 영역(160)을 도시하는데, 이것은 보통 차량 점유자의 머리에 의해 점유되거나,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머리에 의해 점유되며, 도 3 은 예시적인 운전자 측 에어백의 전개된 위치(162)를 도시한다.
또한, 도 3 은 차량에 대한 점유자 머리의 전방 궤적(170), 외측 궤적(172) 및, 전방 외측 궤적(174)을 도시한다. 전방 궤적(170)은 보통의(즉, 작지 않은 중첩 또는 경사진) 정면 충돌중에 머리가 점유자 영역(160)으로부터 움직이는 궤적이다. 외측 궤적(172)은 차량의 측면에 대한 충격과 같은 측면 충격 동안 머리가 점유자 영역(160)으로부터 움직이는 궤적으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차량의 측면을 따라서 팽창한다. 전방 외측 궤적(174)은 작은 중첩 또는 경사 충돌 동안 머리가 점유자 영역(160)으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궤적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외측 궤적(174)은 작은 중첩(overlap) 또는 경사 충돌에 의해 야기된 차량의 회전으로부터 초래되고, 점유자의 머리를 조향 휘일(121)의 외측으로 움직여서 A 필라(114) 및/또는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에 충돌시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차량들은 조향 휘일(121)의 전방으로 연장된 도어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작은 중첩 또는 경사 충돌의 경우에 충격을 받을 수도 있는 도어 트림 또는 다른 도어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제 2 보호 영역(132)의 존재는 그러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보호 영역(132)은 전복 또는 작은 중첩 또는 경사 충돌의 경우에 에어백 조립체(100)가 향상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내부 꿰맴(148)의 배치에 따라서, 제 2 보호 영역(132)은 제 1 보호 영역(130)과 전체적으로 동시에 팽창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보호 영역(130)의 팽창이 실질적으로 완료된 이후에만 팽창될 수 있다. 만약 내부 꿰맴(148)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꿰맴(148)의 챔버 분할부(150)가 제 1 보호 영역(130)으로부터 제 2 보호 영역(132)으로의 팽창 기체 유동을 제한하도록 위치한다면, 제 2 보호 영역(132)의 팽창은 소망되는 정도로 지연될 수 있다.
제 1 보호 영역(132)은 차량의 다양한 내부 구조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 필라(114), 계기 패널(122) 및 조향 휘일(121)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호 영역(132)은 전개되는 동안 이러한 구조물들중 그 어떤 것과도 부딪힐 수 있어서 어떤 마찰 맞물림을 제공하며, 이것은 점유자의 머리가 제 2 보호 영역(132)과 잠재적으로 충격되는 동안 제 2 보호 영역(132)이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조한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사용시에 차량의 운전자 측에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구성된 (즉, 거울 이미지 또는 거울 유사 이미지) 에어백 조립체가 에어백 조립체(100)에 더하여 또는 그에 대안으로 차량의 승객측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에어백 조립체는 제 2 보호 영역(132)과 유사한 제 2 보호 영역을 가질 수 있어서 내부 표면들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전방의 승객을 보호하며, 상기 내부 표면은 A 필라(114), 조향 휘일(121) 및,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승객의 측부는 A 필라, 글로브 구획부(glove compartment), 대쉬보드 및/또는 계기 패널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제 2 보호 영역(132)에 의해 유리하게 덮일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이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들의 다양한 유형 및 구성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들의 다양한 크기, 형상 및 비율들이 이용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는 차량내의 소망의 위치, 예상되는 충돌 유형 및 강도, 차량 점유자에 있을 수 있는 습관 및, 자동차 안전 기술의 당업자가 인식하는 임의의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그러한 대안의 실시예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예들에서, 제 2 보호 영역(132)은 전체적으로 A 필라(114)에 부착된 트림내에 집어넣어져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일부 차량에 적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A 필라(114)에 고정되고 그리고/또는 집어넣어진 에어백 구조를 최소화시키도록 소망스러울 수 있다. 일부 차량들, 특히 콤팩트 카아(compact car)는 A 필라(114)에 부착된 트림 안에 매우 제한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전개하는 동안 A 필라 트림 요소들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이 차량 내부로 돌출될 위험성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소망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제 2 보호 영역은 다른 곳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2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차량 안에서 보관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조립체(110)와 같이, 에어백 조립체(200)는 튜브(106)를 통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에 연결된 팽창기(104) 및, 전개시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텐션을 제공하게끔 협동하는 전방 줄(108) 및 후방 줄(tether, 109)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120)를 통해 루프 레일(112)에 고정될 수 있고, 장착 조립체 각각은 탭(124), 패스너(125) 및 래퍼(wrapper, 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래퍼(126)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초기 팽창중에 파괴될 수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개를 허용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에어백 구성 요소들을 A 필라(114)에 부착 또는 저장하기 위한 필요성을 최소화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조향 휘일(121)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부분들이, A 필라(114)상의 트림내에 저장되기보다는, 루프 레일(112)의 전방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디자인을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조향 휘일(121)의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전개되는 제 1 보호 영역(230) 및, 조향 휘일(121)의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전개되는 제 2 보호 영역(232)을 가질 수 있다. 보관 구성에서, 제 2 보호 영역(232)은 뒤로 접혀질 수 있어서 제 1 보호 영역(230) 위에 놓인다. "위에 놓이는(overlie)" 것은 서로에 대하여 위치된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들을 가진 2 개의 대상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도 4 의 보관 구성에서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에 의해 형성된 패키지는 이전 실시예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패키지보다 루프 레일(112)의 전방 부분에 인접하여 다소 클 수 있다. 장착 조립체(12)들중 어느 것도 A- 필라(114)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A 필라(114)가 전방 줄(108)을 제외하고 에어백 구성 요소들에서 자유롭게 한다. 이것은 A 필라(114)상의 트림 안에 저장된 재료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구성은 에어백 조립체(200)의 전개 동안에 A 필라의 트림 또는 A 필라로부터 에어백 구성 요소들이 돌출되는 위험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에어백 조립체(200)의 전체적인 안전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장착 조립체들중 오직 하나만이 (즉, 최전방의 장착 조립체) A 필라에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많은 장점들이 그러한 구성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특히 만약 A 필라 트림이 루프 레일과의 접합부를 향하여 큰 경우에 그러하며, 그에 의해 A 필라의 상부 단부에 많은 공간을 남긴다.
도 5 를 참조하면,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2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개는 도 1 내지 도 3 의 에어백 조립체(100)에 대한 설명에서 실질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초기에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퍼(126)가 개방되게 파열되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배출시킬 수 있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아래로 연장되어 차량의 점유자들을 차량의 측방향 표면들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일부 차이와 함께 전체적으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11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상부 부분(234) 및 하부 부분(236)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예를 들어 주위의 꿰맴(244)으로써, 주위 접합부에서 상기 언급된 방법들중 임의의 것을 통하여 함께 고정된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내측 요소 및 외측 요소가 내부 챔버를 형성하도록 그것에 의해 접합되는 그 어떤 특징부일 수 있다. 따라서, 주위 꿰맴(244)은 주위 접합부(peripheral juncture)의 많은 가능한 실시예들중 오직 하나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초음파 용접 접합부, 일체형으로 직조된 접합부, 접착제 또는 화학적으로 접합된 접합부, 기계적으로 고정된 접합부, RF 용접된 접합부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은 각각 제 1 직물층 및 제 2 직물층을 구성할 수 있다. 내부의 꿰맴(248)은 주위 꿰맴(244)의 내부에 적용될 수 있다.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은 제 1 보호 영역(230)내의 제 1 챔버(240) 및 제 2 보호 영역(232)내의 제 2 챔버(242)를 형성하도록 협동할 수 있다. 제 1 챔버(240) 및 제 2 챔버(242)의 경계는 주위 꿰맴(244) 및 내부 꿰맴(248)의 기하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이전 실시예의 팽창 셀(146)과 같은 팽창 셀(cell)들을 가지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에, 내부 꿰맴(248)에 의해 형성된 복수개의 비 팽창 영역(246)들을 가질 수 있다. 비팽창 영역(246)들은 차량 점유자로부터 충격이 있을 것 같지 않은 영역들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거나, 줄 또는 다른 에어백 구성 요소를 부착하는 것이 소망스러운 영역들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부착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비팽창 영역(246)에서 유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팽창 영역(non-inflatable region, 246)은 또한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필요한 팽창 기체의 양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팽창기(104)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내부 꿰맴(248)의 챔버 분할부(250)는 제 1 보호 영역(230)과 제 2 보호 영역(2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챔버(240)를 제 2 챔버(24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챔버 분할부(250)는 제 1 챔버(240)로부터 제 2 챔버(242)로의 팽창 기체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 2 보호 영역(232)의 팽창 이전에 제 1 보호 영역(230)이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제 2 보호 영역(232)은 훨씬 콤팩트(compact)할 수 있고, 전개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제 2 보호 영역(232)은 이전 실시예의 제 2 보호 영역(132)과 매우 상이하다. 이것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 및, 특히 제 2 보호 영역(232)이 제 1 보호 영역(230)의 위에 놓이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확대된 전방 부분이 루프 레일(112)을 위한 트림 안의 그것을 위해 제공된 공간 안으로 채워넣어지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개되는 동안, 제 1 보호 영역(230) 및 제 2 보호 영역(232)의 팽창은 제 2 보호 영역(232)이 그것의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전체적으로 피봇되게 하여 제 1 보호 영역(230)의 위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보호 영역(232)은 그것이 측방향(102)으로 연장될 때까지 우선 내측으로 피봇될 수 있는데, 그곳에서 전체적으로 제 1 보호 영역(230)에 직각이다. 그 위치로부터 제 2 보호 영역(232)은 계속 전방으로 피봇될 수 있지만, 이제 외측으로 피봇될 수 있다. 억제되지 않고 두어진다면, 이러한 움직임은 제 2 보호 영역(232)이 전체적으로 제 1 보호 영역(230)과 평행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만약 제 2 보호 영역(232)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허용되면, 즉, 제 1 보호 영역(230)에 전체적으로 평행할 때까지 외측으로 피봇된다면, 작은 중첩 충돌(overlap collision)의 경우에, 이것은 점유자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더 이상 최적으로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그러한 위치가 도 3 도시된 전방 외측의 궤적(174)을 따라서 운전자의 머리가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볼 때 제 1 보호 영역(230)에 대하여 180 °보다 작은 각도로 제 2 보호 영역(232)을 유지하기 위한 어떤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러한 각도는 도 7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될 것이다.
제 2 보호 영역(232)을 제 1 보호 영역(230)에 평행한 위치를 향해 외측으로 피봇시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제한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제한 부재"는 대상물의 위치 및/또는 방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임의의 구조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200)에서, 전개되는 동안 제한 부재는 제 2 보호 영역(232)의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200)에서, 제한 부재는 줄(280)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제 1 단부(282)는 제 1 보호 영역(230)에 고정되고 제 2 단부(284)는 제 2 보호 영역(232)에 고정된다. 제 1 단부(282)는 제 1 보호 영역(230)의 상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 1 보호 영역(230) 자체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루프 레일(112)과 같은 차량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에서, 제 1 단부(282)는 장착 조립체(120)들중 하나에 고정되고, 따라서 루프 레일(112)에 장착 조립체(120)의 탭(tab, 124)을 고정시키도록 이용된 패스너(fastener, 125)를 가지고 루프 레일(1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단부(284)는 제 2 보호 영역(232)의 상부 가장자리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한 부재는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으며, 코드(cord) 또는 줄과 같은 유연성 부재들, 또는 레일, 브래킷등과 같은 경직된 부재들을 포함한다. 레일(미도시)은 쿠션에 연결된 링과 같은 미끄럼 요소를 가질 수 있고, 제 2 보호 영역(232)의 외측으로의 그리고/또는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차량의 루프에 인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미도시) 또는 다른 단단한 정지부가 차량 루프로부터 아래로 전개되어 제 2 보호 영역(232)의 전방으로의 그리고/또는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제 2 보호 영역(232)의 전방으로의 그리고/또는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많은 다른 대안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보관 구성으로 만들기 전에,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200)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방 부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분할부(250)는 제 1 챔버(240)와 제 2 챔버(242) 사이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대부분의 높이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줄(108)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에 고정된 제 1 단부(286) 및 차량에 고정될 수 있는 제 2 단부(288)를 가질 수 있다. 제 1 단부(286)는 챔버 분할부(250)에 고정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 분할부(250)의 나머지로부터 연장된 비팽창 영역(246)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단부(286)는 꿰맴(287)을 통해 영역(246)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단부(288)는 예를 들어 패스너(fastener, 미도시)의 사용을 통하여, A 필라(114)에 대한 제 2 단부(288)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멍(289) 또는 다른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챔버 분할부(250)는 자연적인 접음 선(fold line)으로부터도 형성될 수 있는데, 전개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 안의 팽창 기체의 압력과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측방향(102) 외측으로 부푸는 방식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대부분의 영역들이 길이 방향 (10)으로부터 이탈하여 굽혀지는 것을 억제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위치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접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챔버 분할부(250)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대부분의 높이를 따라서 연장되므로, 챔버 분할부(250)는 자연적인 접힘 선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보호 영역(232)의 제 2 챔버(2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챔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제 2 챔버(242)가 다수의 챔버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2 챔버(242)는 2 개의 인접한 챔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즉, 최전방 챔버 및 중간 챔버로 분할될 수 있다. 중간 챔버는 일측에 챔버 분할부(250)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측에 최전방 챔버와 중간 챔버 사이의 분할부를 가질 수 있다. 중간 챔버 및 최전방 챔버를 가진 에어백 구성은 측면 도어, A 필라 및 계기 패널의 윤곽을 따라서 양호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점유자가 A 필라에 충격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위치된 중간 챔버 및, 차량 점유자가 계기 패널에 충격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위치된 최전방 챔버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차량 점유자를 특정의 차량 구성에 대하여 보호하는 다수 챔버들을 이용하는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그것을 보관 구성으로 만들도록, 보관된(stowed) 접음 선(290)에서 접혀질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된 접음 선(290)은 자연적인 접음 선(즉, 전개된 접음 선)과 같으며, 따라서 챔버 분할부(250)에 의하여 정의된다.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상이한 위치에서 접힐 수 있으며, 즉, 챔버 분할부(25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접힐 수 있다. 보관된 접음 선의 위치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개 구성에 충격을 거의 주지 않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챔버 분할부(250)는 전개 구성에서 접음이 위치되는 곳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방 줄(108)의 제 1 단부(286)의 부착 위치는 제 2 보호 영역(232)에 소망되는 레벨의 텐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 분할부(250)의 전방에 제 1 단부(286)를 고정시키는 것은 전방 줄(108)이 길이 방향(101)에서 제 1 보호 영역(230)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제 2 보호 영역(232)에도 텐션을 가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텐션은 전개하는 동안 제 2 보호 영역(232)이 전방으로 피봇되는 것을 도움으로써 제 2 보호 영역(232)이 펼쳐지는 것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보호 영역(232)이 제 1 보호 영역(230)에 평행하게 되는 위치를 향하여 제 2 보호 영역(232)을 당기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소망스러울 수 있다.
챔버 분할부(250)의 후방에 제 1 단부(286)를 고정시키는 것은 전방 줄(108)이 길이 방향(101)에서 오직 제 1 보호 영역(230)에만 텐션을 가하게 할 수 있다. 제 1 단부(286)를 직접적으로 챔버 분할부(250)상에, 또는 챔버 분할부(250)의 전방이지만 그에 인접하게 고정시키는 것은 전방 줄(108)이 제 2 보호 영역(232)에 일정 레벨의 텐션을 가하게 할 수 있지만, 짧은 모멘트 아암(moment arm)을 가짐으로써, 제 2 보호 영역(232)을 전방으로 피봇시키는 경향을 가지는 결과적인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 1 단부(286)의 부착 지점은, 작은 중첩, 경사 충돌 또는 전복 충돌의 경우에 보호를 제공하도록, 적절한 방위에서의 제 2 보호 영역(232)의 유지와 제 2 보호 영역(232)의 신속한 전개 사이에 소망의 균형을 달성하도록 주의 깊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 의 실시예에서, 제 1 단부(286)는 챔버 분할부(250)의 비팽창 영역(246)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챔버 분할부(250)의 나머지의 후방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6 에 구성된 바와 같이, 전방 줄(108)은 제 2 보호 영역(232)에 길이 방향의 텐션을 가하더라도 거의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줄(280)의 제 2 단부(284)는 예를 들어 꿰맴(285)을 통하여 제 2 보호 영역(232)의 상부 가장자리(294)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단부(284)는 제 2 보호 영역(232)의 상부에서 주위 꿰맴(244)의 위에 고정될 수 있어서, 제 2 단부(284)를 제 2 보호 영역(232)에 고정시키는 꿰맴(285)은 제 2 보호 영역(232)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 단부(284)는 제 2 보호 영역(232)의 전방 가장자리(292) 및 전개된 접음 선 또는 챔버 분할부(250)로부터 대략 등거리의 위치에서 상부 가장자리(294)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단부(284)는 길이 방향(101)에서 제 2 보호 영역(232)의 중심에 전체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줄 재료를 보존하는 것과 긴 모멘트 아암을 제공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줄 재료의 보존은 챔버 분할부(250)에 인접한 부착에 유리하고, 긴 모멘트 아암의 제공은 점유자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 제 2 보호 영역(232)을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제 2 보호 영역(232)을 너무 단단하게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회피하도록 이러한 모멘트 아암을 완화시키는 것이 소망스러울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보호 영역(232)에 대한 점유자의 충격을 부드럽게 하도록, 제 1 보호 영역(230)에 평행한 위치를 향하여 제 2 보호 영역이 외측으로 피봇될 수 있는 일부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 2 단부(284)의 위치는 제 2 보호 영역(232)의 위치에서 강성도(rigidity)와 유연성(flexibility) 사이의 최적 균형을 만들도록 주의 깊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 의 구성으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줄(280)의 제 1 단부(282)를 그에 대응하는 장착 조립체(120)(즉, 도 6 에서 좌측에 있는 장착 조립체(120))에 부착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콤팩트하게 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왜냐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평탄하게 펼쳐져 있으면서 상부 가장자리(294)상의 소망 위치와 장착 조립체(120)에 동시에 부착되기에는 줄(280)이 충분하게 길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 단부(28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294)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보관된 접음 선(290)에서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방 가장자리(292)는 내측으로 또는 도 6 을 참조하여 페이지의 밖으로 가져갈 수 있고, 다음에 전방 가장자리(292)가 제 1 보호 영역(230)의 대응하는 영역 위에 놓일 때까지 후방으로 (또는 도 6 에서 좌측으로) 가져갈 수 있다. 접힘 선(290)은 다음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방 가장자리일 수 있다. 줄(280)의 제 1 단부(282)는 장착 조립체(120)의 탭(124)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것은 에어백 조립체(200)가 차량에 설치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길이 방향(101)에서 접힌 이후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횡방향(103)에서 말리거나, 접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콤팩트(compact)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보관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신장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보관 구성에 있으면서, 장착 조립체(120)는 루프 레일(112)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차량에 설치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장착 조립체(120)들중 아무 것도 A 필라(114)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도 7 을 참조하면,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호 영역(232)은 제 1 보호 영역(230)으로부터 줄(230)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로 펼쳐져 있다. 제 2 보호 영역(232)은 운전자 측의 에어백의 위치(162)와 제 1 보호 영역(230)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보호 영역(232)은 전체적으로 점유자 머리의 점유자 영역(160)과 A 필라(114)와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이러한 표면들에 대한 충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챔버 분할부(250)에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자연적인 접힘 선을 한정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보관된 접음 선은 챔버 분할부(250)에 있을 수도 있지만, 대안의 실시예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챔버 분할부(250)로부터 상이한 위치에서의 자연스런 접음 선은 전개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호 영역(232)은 제 1 보호 영역(230)에 대한 각도로써 펼쳐질 수 있다. 각도(296)는 줄(280)의 부착 위치 및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각도(296)가 유리하게는 180 도 보다 작을 수 있다. 각도(296)는 110 도 내지 160 도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도(296)가 120 도 내지 150 도의 범위내에 속할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는, 각도(296)가 130 도 내지 140 도 범위내에 속할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는, 각도(296)가 대략 135 도일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을 보관 구성으로 콤팩트하게 만들기 전에,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전방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길이를 따라서 배치된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320)를 가질 수 있어서 차량에 대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장착 조립체(320)들 각각은 탭(tab)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장착 조립체(120)들의 설명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소망된다면, 장착 조립체(320)들 모두가 A 필라(114)의 후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착 조립체(320)들중 하나(즉, 최전방)가 루프 레일(112)에 인접한 A 필라(114)에 고정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과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제 1 보호 영역(330) 및, 상기 제 1 보호 영역(330)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제 2 보호 영역(332)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상부 부분(334), 하부 부분(336),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도 8 의 관점으로부터 이탈되게 향한다)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은 제 1 직물층 및 제 2 직물층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은 함께 고정될 수 있어서 제 1 보호 영역(330) 안의 제 1 챔버(340) 및, 제 2 보호 영역(332)내의 제 2 챔버(342)를 형성한다.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은 예를 들어 주위 꿰맴(344)의 사용을 통하여, 주위 솔기에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내부 꿰맴(348)도 주위 꿰맴(344)의 내부에 적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346)을 한정할 수 있다. 제 2 보호 영역(332)은 전방 가장자리(392), 상부 가장자리(394), 저부 가장자리(396) 및 후방 가장자리(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보호 영역(330) 및 제 2 보호 영역(332)은 챔버 분할부(350)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챔버 분할부는 전체적으로 횡방향(103)을 따라서 연장된 비팽창 영역(34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비팽창 영역(346)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높이의 실질적인 부분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비팽창 영역(346)은 전개된 접음 선을 형성할 수 있고, 전개 후에는 상기 접음 선 둘레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부분적으로 접혀져서 유지될 수 있다. 보관된 접음 선(390)은 챔버 분할부(350)에 위치됨으로써, 보관된 접음 선(stowed fold line, 390)은 챔버 분할부(350)에 의해 정의된 전개 접음 선(deployed fold line)과 같을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전방 줄(308)을 통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줄은 예를 들어 꿰맴(387)을 통하여 챔버 분할부(350)에 인접하게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에 고정된 제 1 단부(386) 및, 차량의 A 필라(114)에 고정될 수 있는 제 2 단부(388)를 가질 수 있다. 줄(380)의 형태인 제한 부재는, 이전 실시예의 줄(280)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보호 영역(330)에 대하여 제 2 보호 영역(332)이 펼쳐지는 각도를 제어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줄(380)은 장착 조립체(320)들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는 제 1 단부(382)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장착 조립체들중 하나는 예를 들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콤팩트하게 되기 이전, 또는 그 동안, 또는 그 이후의 적절한 시간의 제 2 최전방 장착 조립체(도 8 에서 가장 좌측의 장착 조립체)인 장착 조립체(320)와 같은 것이다. 줄(380)은 제 2 단부(384)를 가질 수도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몇가지 양상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210)과 구분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에서, 제 2 챔버(342)는 인접한 그것의 상단부로부터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팽창 기체는 상부 가장자리(394)에 인접한 주위 꿰맴(344)과 챔버 분할부(350)의 비팽창 영역(346)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서 제 2 챔버(342)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챔버(342) 안으로의 기체 유동을 허용하는 통로는 상당히 넓을 수 있어서, 제 2 보호 영역(332)이 신속하게 팽창할 수 있게 한다. 제 2 보호 영역(332)은 제 1 보호 영역(330)의 팽창과 동시에 팽창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오직 짧은 지연만을 가지면서 팽창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챔버 분할부(350)를 형성하는 비팽창 영역(346)은 이전 실시예의 챔버 분할부(250) 보다 길이 방향(101)을 따라서 현저하게 넓을 수 있다. 이것은 전개되는 동안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소망의 각도(예를 들어 이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된 각도(296))로 챔버 분할부(350)에서 접혀져서 유지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왜냐하면 챔버 분할부(350)에 인접한 제 2 보호 영역(332)의 부분이 제 1 보호 영역(330)의 대응하는 부분과 연계되기 전에 제 1 보호 영역(330) 및 제 2 보호 영역(332)이 각각 팽창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연계는 제 1 보호 영역(330)에 평행한 방위로 제 2 보호 영역(332)을 강제할 수 있다. 챔버 분할부(350)의 폭은 제 2 보호 영역(332)이 제 1 보호 영역(330)에 대하여 최적의 위치 및/또는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게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줄(380)과 협동하여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챔버 분할부(350)의 저부 단부에 인접한 주위 꿰맴(344)의 기하 형상은 제 2 보호 영역(332)과 제 1 보호 영역(330) 사이의 소망되는 각도를 가지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전개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챔버 분할부(350)의 저부 단부에 인접한 주위 꿰맴(344)의 만곡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저부 단부에 인접한 챔버 분할부(350)를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전개 과정 동안 챔버 분할부(350)의 저부 부분에 존재하는 길이 방향 텐션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제 2 보호 영역(332)이 제 1 보호 영역(330)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유지되는 것을 더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 절감 원칙들이 다양한 에어백 구성 요소들을 직물로부터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에어백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데 낭비될 수 있다. 일부 에어백들은 2 개의 직물 시트를 함께 꿰매어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대형 시트들이 이용된다; 시트들의 각각의 쌍은 다수의 에어백들로 절단될 수 있다. 에어백들은 완전한 사각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인접한 에어백들 사이의 상당한 직물이 과정중에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외의 직물이, 특히 에어백 주위에서 발견되는 직물이 에어백 액세서리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통상적으로는 에어백 액세서리들이 분리된 직물 단편들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한 액세서리들은 줄, 강화 부재, 직물 쉴드(fabric shield), 세일 패널(sail panel), 부착 탭(attachment tab) 및, 다양한 다른 품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에어백의 설치 및/또는 전개를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8 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주위 꿰맴(344)의 외측에 위치하는 주위 영역(352) 또는 비팽창 주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주위 영역(352)은 제 1 챔버(340) 및 제 2 챔버(342)로부터 주위 꿰맴(344)의 대향측상에 놓일 수 있고, 따라서 팽창 기체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은 주위 영역(352)내에서 함께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주위 영역(352)에서 전체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두어질 수 있다.
주위 영역(352)은 상부 부분(354), 저부 부분(356), 전방 부분(358) 및 후방 부분(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주위 꿰맴(344)은 상부 부분(364), 저부 부분(366), 전방 부분(368) 및, 후방 부분(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상부 부분(354)은 전체적으로 상부 부분(364)의 위에 놓일 수 있고, 저부 부분(356)은 전체적으로 저부 부분(364)의 아래에 놓일 수 있고, 전방 부분(358)은 전체적으로 전방 부분(368)의 전방에 놓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위 영역(352)의 후방 부분은 전체적으로 주위 꿰맴(344)의 후방 부분의 후방에 놓일 수 있다.
줄(380)은 주위 영역(352)의 상부 부분(354)의 직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줄(380)은 상부 부분(354)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줄(380)의 주 동체는 슬릿(372)에 의해 주위 영역(352)의 상부 부분(354)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슬릿(372)은 줄(380)의 제 2 단부(384)에 미치지 못하여 끝남으로써, 주위 영역(352)의 상부 부분(354)은 제 2 단부(384)에서 줄(380)에 접합되고 단일체로 유지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의 재료를 절단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하여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가장자리들을 한정함으로써, 즉, 전방 가장자리(392), 상부 가장자리(394), 저부 가장자리(396) 및 후방 가장자리(미도시)를 한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프로파일을 한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절단 또는 다른 분리 과정이 이용되어 슬릿(372)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상부 부분(354)의 나머지와는 다른 줄(380)을 형성한다.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줄의 양 단부가 선택적으로는 별도 직물 부재(미도시)의 부착을 통하여 또는 줄의 일부를 자체 위로 접음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줄(미도시)은 2 중 길이 또는 2 중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고, 다음에 뒤로 접혀져서 자체의 위에 놓인다. 이것은 슬릿의 형성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져서 줄을 주위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줄의 전체 길이에 적용되어 전체 길이를 강화시킬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단부들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만 적용되어 부착 지점들 및/또는 스트레스 집중 부위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다른 선택으로서, 플레이트, 패스너(fastener) 등과 같은 더 단단한 요소들이 상기 줄을 강화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8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에 적용되는 원리는 다양한 에어백 및 줄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 영역과 일체화된 상부 줄의 사용에 더하여 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에서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전방 및/또는 후방 줄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가장자리들에 존재하는 과잉의 직물로부터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400)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후방 일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차량(미도시)의 루프 레일에 인접하여 고정되어서 차량 측방향 표면에 대하여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량 점유자들을 보호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420)들의 사용을 통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소망의 충격 보호를 제공하도록 팽창되는 적어도 제 1 보호 영역(430)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상부 부분(434) 및 하부 부분(436)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제 1 및 제 2 직물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일 수 있다.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은 제 1 보호 영역(430) 안에 제 1 챔버(440)를 한정할 수 있다.
제 1 챔버(440)는 내측 섹션(438)을 외측 섹션(439)에 고정하는 주위 접합부(peripheral juncture)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다양한 부착 방법들 및 구성들로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꿰맴, 일체형 직조(weaving), RF 용접, 초음파 용접, 기계적 고정(mechanical fastening), 접착제 접합, 화학적 접합등을 포함한다. 도 9 에서, 주위 접합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는 주위 꿰맴( peripheral stitching, 444)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주위 꿰맴(444)에 의해 한정된 공간 안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446)을 가질 수도 있다. 비팽창 영역(446)은 내부 꿰맴(448)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상이한 형태의 부착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은 주위 꿰맴(444)에 의해 한정된 공간내에서 함께 고정된다.
주위 꿰맴(444)은 주위 꿰맴(444) 외측에 위치된 주위 영역(45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주위 영역(452)내에서,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이 함께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고 두어질 수 있다. 주위 영역(452)은 상부 부분(454), 저부 부분(456), 전방 부분(미도시) 및, 후방 부분(460)을 가질 수 있다. 주위 꿰맴(444)은 마찬가지로 상부 부분(464), 저부 부분(466),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470)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부분(454)은 전체적으로 상부 부분(464)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저부 부분(456)은 전체적으로 저부 부분(466)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후방 부분(460)은 전체적으로 후방 부분(47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400)는 후방 줄로서 작용하는 줄(480)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전방 줄(미도시)과 협동하여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상에 텐션을 유지시켜서 전개 이후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을 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줄(480)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을 형성하는 외측 섹션(439) 및 내측 섹션(438)과 단일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줄(480)은 후방 부분(460)내에 이미 존재하는 과잉의 직물로부터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에 형성될 수 있다.
줄(480)은 서로의 위에 놓이도록 궁극적으로 함께 고정될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 각각은 제 1 단부(486) 및 제 2 단부(488)를 가질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 각각의 제 1 단부(486)는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과 일체로 유지될 수 있고, 각각의 제 2 단부(488)는 차량(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직물의 큰 시트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절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큰 시트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을 형성한다. 후방 부분(460)은 인접한 직물로부터 절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된 후방 가장자리(490)를 가질 수 있어서 도 9 에 도시된 윤곽을 한정하며, 따라서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 각각의 일측을 한정한다. 제 1 세그먼트(482)의 다른 측은 제 1 슬릿(472)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제 2 세그먼트(484)의 다른 측은 제 2 슬릿(47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의 각각의 제 2 단부(488)가 확대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소망스러울 수 있으며, 이는 차량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만약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 2 단부(488)에 구멍이 형성된다면 존재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보상하는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제 2 세그먼트(484)의 제 2 단부(488)의 확대된 형상이 후방 가장자리(490)의 윤곽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에, 제 2 슬릿(474)은 도시된 각도 형성(angulation)과 함께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슬릿(472)은 직선, 곡선 및 각도의 조합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제 1 세그먼트(482)의 제 2 단부(488)의 확대된 형상을 한정한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의 제 1 단부(486)들에 접근할 때, 제 1 슬릿(472) 및 제 2 슬릿(474)은 서로에 미치지 못하여 끝나게 되어 분리되지 않은 부분(476)을 남기게 되며, 그에 의하여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에 부착되어 일체로 유지된다. 제 1 슬릿(472) 및 제 2 슬릿(474)의 인접한 단부들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의 인접한 부분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서로의 위에 놓이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이 도 10, 도 11 및 도 12 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시될 것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줄(480)을 형성하는 제 1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후방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슬릿(472) 및 제 2 슬릿(474)이 형성된 이후에,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가 비분리 부분(unsevered portion, 476)에서만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슬릿(472) 및 제 2 슬릿(474)의 인접한 단부들은 수직 오프셋(vertical offset)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것은 비분리 부분(476)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비분리 부분(476)은 따라서 전체적으로 수직의 접음 선을 한정할 수 있으며, 접음 선에서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전방으로 접혀질 수 있어서 도 10 에 도시된 구성을 획득한다. 제 2 세그먼트(4842)는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제 1 세그먼트(482)의 제 2 단부(488)는 도 9 에서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각도가 형성되었고, 제 2 세그먼트(484)의 제 2 단부(488)는 도 10 에서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접는 과정 동안,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도 10 의 도면에 대하여 페이지의 밖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추가의 접는 작용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는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후방 부분(460), 후방 부분(470) 및, 후방 가장자리(490)에 전체적으로 직각으로 방위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줄(480)을 형성하는 제 2 접는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후방 부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세그먼트(484)가 이전의 제 1 위치(492)로부터 도 11 에 도시된 위치로 전체적으로 아래로 접혀질 수 있다. 제 2 세그먼트(484)는 제 1 세그먼트(482)의 제 1 단부(486)에 인접한 제 1 접음 선(494)에서 접혀져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제 1 접음 선(494)은 수평으로부터 대략 45 도의 각도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세그먼트(484)를 전체적으로 수직 방위로부터 전체적으로 수평 방위로 접는다. 접는 과정 동안에, 제 2 세그먼트(484)는 도 11 의 도면에 대하여 페이지의 밖으로 피봇될 수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줄(480)을 형성하는 제 3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후방 부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그먼트(482)는 이전의 제 2 위치(496)으로부터 도 12 에 도시된 위치로 전체적으로 상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는 제 1 세그먼트(482)의 제 1 단부(486)에 인접한 제 2 접음 선(498)에서 접혀져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제 2 접음 선(498)은 수평으로부터 45 도 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각이 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세그먼트(482)를 (이전의 제 2 위치(496)에 의해 표시된 약간 후방의 각도를 가진) 전체적으로 수직 방위로부터 전체적으로 수평 방위로 접는다. 접는 과정 동안에, 제 1 세그먼트(482)는 도 12 의 도면에 대하여 페이지의 밖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제 3 접음 과정이 완료되면, 제 2 세그먼트(484)는 제 1 세그먼트(482) 위에 놓일 수 있다. 줄(480)은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 각각은 제 1 직물층 및 제 2 직물층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직물층들은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과 각각 단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줄(480)은 도 12 의 단계 이후에 4 개의 층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 개 줄 및, 4 겹 층 구성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이 전개될 때 줄(480)이 현저한 텐션 스트레스(tensile stress)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줄(480)은 전개 스트레스를 신뢰성 있게 지탱하도록 2 개 이상의 층들(즉,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으로부터의 제 1 세그먼트(482) 및 제 2 세그먼트(484)의 형성은 높은 강도를 가진 줄(480)의 제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것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410)을 형성하는데 이미 이용된 것이면서 낭비될 수 있는 직물 이외의 그 어떤 직물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이루어진다.
전개시의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줄(48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줄(480)을 강화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직물 층이 가장 큰 스트레스를 겪는 줄(480)의 부분들에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이것은 줄(480)의 제 1 단부(486) 및/또는 제 2 단부(488)의 강화를 수반할 수 있다. 제 1 단부(486)의 예시적인 강화는 다음과 같이 도 13 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줄(480)의 제 1 단부(486)의 강화 이후에 도 9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후방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단부(486)는 스트레스 라이저(stress riser)를 나타낼 수 있는데, 제 1 단부(486)는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에 접합된다 .따라서, 찢어짐 방지를 돕도록 이러한 접합부를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강화 패널(477)은 제 1 단부(486)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강화 패널(47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그 어떤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강화 패널(477)은 주위 영역(452)의 일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강화 패널(477)은 2 개 이상의 층들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강화 패널(478)은 제 1 단부(486)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3 에서, 제 2 강화 패널(478)은 삼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이다. 제 1 강화 패널(477)은 제 1 단부(486)와 제 2 강화 패널(478)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제 2 강화 패널(478)은 2 개 이상의 층들도 가질 수 있다.
제 1 강화 패널(477) 및 제 2 강화 패널(478)은 다양한 방법의 사용을 통하여 제 1 단부(486)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꿰맴, 일체형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화학적 접합, 접착제 접합, 기계적 고정등을 포함한다. 도 13 에서, 제 1 강화 패널(477), 제 2 강화 패널(478) 및 제 1 단부(486)는 꿰맴(479)의 사용을 통하여 함께 고정된다. 제 1 강화 패널(477) 및 제 2 강화 패널(478)은 비분리 부분(476)의 찢어짐 또는 신장을 회피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비분리 부분에 의하여 제 1 단부(486)는 주위 영역(452)의 후방 부분(460)에 접합된다.
에어백 조립체(300) 및 에어벡 조립체(400)는 본 발명의 재료 절감의 원리가 줄의 다양한 유형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에어백 액세서리의 다른 유형을 제공하도록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가지 그러한 예는 도 14 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500)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차량(미도시)의 루프 레일에 인접하게 고정되어 차량 측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량 점유자를 보호한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520)의 사용을 통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 조립체(520)는 차량에 대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탭(tab, 524) 및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보관 구성에서 유지하도록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둘레를 감싸는 래퍼(wrapper, 526)를 가질 수 있다. 장착 조립체(520)는 직물 및/또는 폴리머 시트들과 같은 유연성 재료의 분리된 부재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래퍼(wrapper, 526)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과 같은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길이의 큰 부분을 덮도록 넓을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미도시)에서, 단일 장착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고, 차량 부착을 위하여 래퍼에 부착된 다수의 탭들과 함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전체 길이 또는 거의 전체 길이에 연장된 단일 래퍼(single wrapper)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대안의 장착 조립체들이 이용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소망의 충격 보호를 제공하도록 팽창되는 적어도 제 1 보호 영역(530)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상부 부분(534) 및 하부 부분(536)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제 1 및 제 2 직물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일 수 있다.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은 제 1 보호 영역(530)내에서 제 1 챔버(540)를 한정할 수 있다.
제 1 챔버(540)는 내측 섹션(538)을 외측 섹션(539)에 고정시키는 주위 접합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다양한 부착 방법 및 구성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꿰맴, 일체형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기계적 고정, 접착제 접합, 화학적 접합등을 포함한다. 도 14 에서, 주위 접합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는 주위 꿰맴(544)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주위 꿰맴(544)에 의해 한정된 공간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546)을 가질수도 있다. 비팽창 영역(546)은 내부 꿰맴(548)에 의해 한정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상이한 형태의 부착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상이한 형태의 부착에 의해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이 주위 꿰맴(544)에 의해 한정된 공간내에서 함께 고정된다.
주위 꿰맴(544)은 주위 꿰맴(544)의 외측에 위치된 주위 영역(552)을 한정할 수도 있다. 주위 영역(552)내에서,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은 함께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주위 영역(552)은 상부 부분(554), 저부 부분(556), 전방 부분(미도시) 및 후방 부분(560)을 가질 수 있다. 주위 꿰맴(544)은 마찬가지로 상부 부분(564), 저부 부분(566),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570)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부분(554)은 전체적으로 상부 부분(564)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저부 부분(556)은 전체적으로 저부 부분(566)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후방 부분(560)은 전체적으로 후방 부분(57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주위 영역(552)의 상부 부분(554)은 팽창 도관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팽창 도관은 팽창 기체를 도 1 의 팽창기(104)와 같은 팽창기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으로 운반한다. 팽창 도관은 도 1 의 에어백 조립체(100)의 튜브와 같은 튜브(106)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튜브(106)는 주위 영역(552)의 상부 부분(554)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부 부분(554)을 튜브(106) 앞의 전방 섹션(572) 및 튜브(106) 뒤의 후방 섹션(574)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많은 에어백 디자인에서, 팽창 도관의 전방 및 후방에 놓이는 주위 영역의 부분들은 낭비된 재료를 구성한다. 도 14 의 에어백 조립체(500)에서, 후방 섹션(574)은 직물 차폐부(580)를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직물 차폐부는 보관 구성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덮어서 전개 관련 이벤트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보호하며, 상기 전개 관련 이벤트는 예를 들어 파열이나 또는 차량 내부에 있는 루프 레일에 인접한 대상물에 대한 걸림(snagging)과 같은 것이다. 그러한 대상물은 트림, 트림 패스너(trim fastener), 점유자 수하물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 차폐부(580)는 전개되는 동안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이 그러한 대상물에 대한 충돌에 관련된 손상을 억제할 것을 도울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미도시)에서, 소망된다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팽창 도관의 전방 및 후방에,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의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직물 차폐부(fabric shield)를 형성하도록 이용된다. 대안으로서, 섹션들중 오직 하나만이 (예를 들어, 전방 섹션만이) 직물 차폐부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미도시)에서, 다른 비팽창 에어백 영역들이 직물 차폐부들을 형성하도록 이용되어 팽창하는 동안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4 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직물 차폐부(580)는 제 1 직물 층(582) 및 제 2 직물 층(5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직물 층(582)은 내측 섹션(53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주위 꿰맴(544)의 상부 부분(564) 위로 연장되는 내측 섹션(538)의 부분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직물 층(584)은 외측 섹션(539)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주위 꿰맴(544)의 상부 부분(564)의 위로 연장되는 외측 섹션(539)의 부분일 수도 있다. 제 1 직물 층(582) 및 제 2 직물 층(584)은 다음과 같이 도 15 내지 도 18 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는 바로서 래퍼(wrapper, 526)의 내부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둘레에 감싸일 수 있다.
도 15 를 참조하면, 직물 차폐부(580)를 형성하는 제 1 접음 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14 의 에어백 조립체(5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직물 차폐부(580)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보관 구성으로 콤팩트하게 만들기 전에 접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직물 층(584)은 제 1 직물 층(58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외측 섹션(539)의 나머지에 대하여 아래로 접혀질 수 있다. 이것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에 대한 장착 조립체(520)의 부착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조립체(520)는 도 15 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16 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에 대한 장착 조립체(520)의 부착 이후에 도 14 의 에어백 조립체(5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장착 조립체(520)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일체형 직조, 초음파 용접, RF 용접, 재봉(sewing), 접착제 접합, 화학적 접합등을 포함한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조립체(520)는 꿰맴(590)을 통하여 주위 영역(552)의 상부 부분(554)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 안에 있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에 부착될 수 있다. 꿰맴(5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는 내측 섹션(538), 외측 섹션(539), 탭(524) 및 래퍼(526)를 통해 적용될 수 있다. 탭(524)은 초기에 아래로 지향될 수 있어서 제 2 직물 층(584)에 대하여 놓이는데, 제 2 직물 층은 이전 단계에서 아래로 접혀졌던 것이다. 래퍼(526)는 초기에 제 1 직물층(582)에 평행하게 위로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17 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콤팩트화(compaction)를 시작한 이후에, 도 14 의 에어백 조립체(5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콤팩트하게 될 수 있는데, 말림(rolling), 접음(folding), 채움(wadding)등을 포함한다.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이 내측으로 말릴 수 있다. 따라서, 저부 부분(556)이 우선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접힐 수 있고, 직후에 제 1 챔버(540)의 하부 부분(536)이 접힐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전체가 제 1 직물 층(582), 제 2 직물 층(584) 및 장착 조립체(520)에 인접하게 콤팩트하게 될 때까지 말릴 수 있다.
도 18 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콤팩트화 및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차량 루프 레일(112)에 대한 부착이 완료된 이후에 도 14 의 에어백 조립체(500)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에어백 조립체(500)를 도 17 의 구성으로부터 도 18 의 구성으로 가져오는데 몇가지 단계들이 발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전체가 말려서 제 1 직물 층(582)과 제 2 직물 층(584) 사이에 전체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1 직물층(582) 및 제 2 직물층(584)은 내측으로 가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둘러쌀 수 있다.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직물 층(582)을 처음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둘레로 가져감으로써 제 1 직물 층(582)이 거의 또는 전체적으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에워쌀 수 있다. 다음에, 제 2 직물 층(584)을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둘레로 가져가서 제 2 직물 층(584)이 거의 또는 전체적으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및 제 1 직물 층(582)을 에워쌀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제 1 직물 층(582) 및 제 2 직물 층(584)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둘레를 둘러싸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일단 직물 차폐부(580)가 제 위치에 있으면, 즉, 제 1 직물층(582) 및 제 2 직물층(584)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둘레를 에워싸면, 래퍼(wrapper, 526)가 다음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및 직물 차폐부(580) 둘레로 둘러쌀 수 있다. 래퍼(526)의 자유 단부는 다음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및/또는 탭(52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퍼(526)의 자유 단부는 탭(524)에 부착될 수 있어서 래퍼(526)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및 직물 차폐부(580)를 보관 구성으로 보유한다. 에어백 조립체(500)는 이제 보관 구성에 있을 수 있어서, 차량에 설치될 준비가 된다.
차량에 설치되기 전에, 에어백 조립체(500)는 탭(524)이 하방향 보다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단부가 단부 위에 180°로 뒤집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8 은 에어백 조립체(500)의 배면도를 표시할 수 있는 반면에, 도 15, 도 16 및 도 17 은 에어백 조립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일단 적절하게 지향되면, 에어백 조립체(500)는 탭(524)들을 루프 레일(112)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패스너(fastener) 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른 부착 방법들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500)는 이제 충격 보호를 제공하도록 전개될 준비가 될 수 있다.
도 19 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전개 동안의 도 14 의 에어백 조립체(500)의 배면도이다. 충돌, 전복, 임박한 충돌 또는 임박한 전복의 검출시에, 팽창기(104)는 팽창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튜브(106)를 통하여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안으로 운반될 수 있다. 팽창 기체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상부 부분(534)에서 시작되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이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팽창은 래퍼(526)를 파열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및/또는 탭(524)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래퍼(526)를 탈착시킬 수 있다. 이제 래퍼(526)는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도 19 에 도시되지 않는다.
확장하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제 1 직물 층(582) 및 제 2 직물 층(584)이 개방되게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 2 직물 층(584)은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헤드라이너 트림 패스너(headliner trim fastener), 루프 레일(112)에 탭(524)들을 부착하는데 사용된 패스너 구성 요소(fastener component)와 같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 위의 대상물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보호한다. 제 1 직물 층(582)은 아래로 연장될 수 있어서, 루프 레일 트림 및 패스너, 옷걸이 후크, 좌석 벨트 앵커, 점유자 소지물 및/또는 차량의 다른 내부 특징부들과 같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뒤에 있는 그리고/또는 아래에 있는 대상물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보호한다.
도 19 의 구성으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그것이 완전히 팽창되어서 차량 점유자를 측방향 충격, 작은 중첩, 및/또는 전복 충돌로부터 보호하도록 적절하게 위치될 때까지 아래로 계속 팽창할 수 있다. 직물 차폐부(580)는 전개되는 동안에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주위 영역(552)의 재료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고, 상기 재료는 그렇게 사용되지 않았다면 폐기 재료가 될 수 있었던 재료이다. 따라서, 직물 차폐부(580)는 에어백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500)는 본 발명의 재료 절감 원리가 전개되는 동안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호하는 차폐부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른 방법으로 에어백 조립체들의 작동을 향상시키도록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어백이 최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추가적인 팽창 가능 체적을 제공함으로써 그렇게 된다. 그러한 예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위한 전방 챔버에 대한 소망 위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20 및 도 21 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2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600)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차량의 루프 레일(미도시)에 인접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측방향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량 점유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520)의 사용을 통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장착 조립체는 도 14 내지 도 19 의 에어백 조립체(500)의 장착 조립체(520)와 유사하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제 1 보호 영역(630) 및 제 2 보호 영역(632)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보호 영역은 제 1 보호 영역(630)의 전방으로 팽창됨으로써 제 1 보호 영역(630) 및 제 2 보호 영역(632)이 협동하여 소망의 충격 보호를 제공한다. 제 2 보호 영역(632)은 차량의 전방 좌석 승객 또는 운전자와 같은 차량 점유자의 직접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상부 부분(634) 및 하부 부분(636)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제 1 및 제 2 직물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내측 섹션(638) 및 외측 섹션(639)일 수 있다. 내측 섹션(638) 및 외측 섹션(639)은 제 1 보호 영역(630)내의 제 1 챔버(640) 및 제 2 보호 영역(632)내의 제 2 챔버(642)를 한정할 수 있다.
제 1 챔버(640)는 내측 섹션(638)을 외측 섹션(639)에 고정시키는 주위 접합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주위 접합부는 다양한 부착 방법들 및 구성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들에는 꿰맴, 일체형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기계적 고정, 접착제 접합, 화학적 접합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이 포함된다. 도 20 에서, 주위 접합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는 주위 꿰맴(644)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주위 꿰맴(644)에 의해 한정된 공간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646)들을 가질 수도 있다. 비팽창 영역(646)들은 내부 꿰맴(648)에 의해 한정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상이한 형태의 부착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내측 섹션(638) 및 외측 섹션(639)이 주위 꿰맴(644)에 의해 한정된 공간 안에서 함께 고정된다.
주위 꿰맴(644)은 주위 꿰맴(644)의 외부에 위치된 주위 영역(652)을 한정할 수도 있다. 주위 영역(652)내에서, 내측 섹션(638) 및 외측 섹션(639)은 함께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주위 영역(652)은 상부 부분(654), 저부 부분(656), 전방 부분(658) 및 후방 부분(660)을 가질 수 있다. 주위 꿰맴(644)은 마찬가지로 상부 부분(664), 저부 부분(666), 전방 부분(668) 및, 후방 부분(670)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부분(654)은 상부 부분(664)의 위에 전체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저부 부분(656)은 저부 부분(666)의 아래에 전체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후방 부분(660)은 후방 부분(670)의 후방에 전체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주위 영역(652)의 상부 부분(654)은 팽창 도관을 가질 수 있으며, 팽창 도관은 팽창 기체를 도 1 의 팽창기(104)와 같은 팽창기로부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으로 운반한다. 팽창 도관은 도 1 의 에어백 조립체(100)의 튜브와 같은 튜브(106)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튜브(106)는 주위 영역(652)의 상부 부분(654)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주위 꿰맴(644)의 상부 부분(664)은 제 2 챔버(642)의 상부 경계를 한정하고 그 위에 존재하는 전방 섹션(672)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주위 꿰맴(644)의 상부 부분(664)은 제 1 챔버(640)의 상부 경계를 한정하고 그 위에 존재하는 후방 섹션(674)을 가질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주위 영역(652)의 상부 부분(654)의 재료는 많은 경우에 폐기 재료일 수 있다. 공지된 여러 디자인에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팽창 가능 부분의 상부 경계는 직선 형상으로 한정됨으로써,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모든 팽창 가능 영역들은 동일한 높이에서 끝나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에 인접하게 끝난다. 일부 경우에, (튜브(106)와 같은) 팽창 도관은 주위 영역(652)의 상부 부분(654)내에서 필요한 재료의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그러한 팽창 도관의 전방 및/또는 후방의 재료는 폐기된 재료일 수 있다.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에서, 본 발명의 재료 절감 원리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를 현저하게 추가하지 않으면서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를 향상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에서, 제 2 챔버(642)는 튜브(106) 전방의 영역으로 상방향 연장될 수 있는데, 많은 공지된 디자인에서 상기 영역은 폐기된 공간일 뿐이다. 따라서, 커튼이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 주위 꿰맴(644)의 전방 섹션(672)은 주위 꿰맴(644)의 후방 섹션(674) 보다 현저하게 높을 수 있다.
결국, 제 2 보호 영역(632)은 제 1 보호 영역(630)의 높이보다 큰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보호 영역(632)은 팽창하는 동안, 차량 루프, 루프 레일 또는 제 2 보호 영역(632) 위의 다른 구조에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맞닿음은 제 2 보호 영역(632)을 아래로 밀어서, 제 2 보호 영역(632)의 가외의 높이 없이도 도달되는 차량내의 깊이로 제 2 보호 영역(632)의 저부가 연장된다. 제 2 보호 영역(632)의 저부는 제 1 보호 영역(630)의 저부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측방향 충격 또는 차량 전복에 기인하여 차량 윈도우를 통해 튀어 나가는 차량의 운전자 및/또는 전방 좌석 점유자를 보호하는데 소망스러울 수 있다. 소망된다면, 제 2 보호 영역(632)의 저부가 윈도우의 저부 아래에서, 윈도우 아래에 존재하는 도어의 부분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깊이로 제 2 보호 영역(632)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보호 영역(632)은 점유자 또는 상기 제 2 보호 영역(632)을 윈도우의 밖으로 강제하는 다른 차량 내용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된 제 2 보호 영역(632)의 향상된 깊이는, 상대적으로 강력한 충격 또는 전복의 경우에도, 제 2 보호 영역(632)이 차량 점유자와 윈도우 사이의 소망 장소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폐기될 수 있었을 에어백 재료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21 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을 전개 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21 을 참조하면, 도 20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의 측면도가 전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호 영역(632)의 상부가 (루프 레일(112)의 높이와 비교함으로써) 제 1 보호 영역(630)의 상부 보다 높이 연장되도록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이 전개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제 2 보호 영역(632)의 연장된 상부는 차량의 루프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전방 섹션(672)은 전방 섹션(672)에 인접한 후방 섹션(674)의 일부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것은 제 2 보호 영역(632)이 제 2 보호 영역(632)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이는 윈도우(680)의 저부를 넘어서 연장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제 2 보호 영역(632)의 저부는 윈도우(680) 아래에서 도어(682)의 앞에 위치한다. 결국,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610)은 압력에 대하여 향상된 저항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제 2 보호 영역(632)을 윈도우(680) 밖으로 움직이도록 강제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특히 심각한 측방향 충격 또는 전복의 경우에 차량에서 튀어나가는 것에 대한 우수한 보호일 수 있다.
이전의 설명은 하나의 예로서 절단-및-재봉(cut-and-sewing) 기술로 만들어진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설명하며, 상기 기술에 의하여 도 8 의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과 같은 2 개의 직물 층들이 재봉(sewing)을 통해 함께 부착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주위 꿰맴(344)은 재봉을 통해 형성될 수 있어서 비팽창 주위 영역(352)은 여전히 2 개의 별개 층들을 가지며, 즉,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을 가진다.
그러나, 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원리는 단편식 직조(once-piece weaving;OPW) 기술로 만들어진 에어백들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러한 기술로써, 2 개의 직물 층들은 도 8 의 주위 꿰맴(344)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재봉 작용 대신에 가장자리들에서 함께 직조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비 팽창 주위 영역은 함께 직조된 내측 및 외측 섹션들로 이루어진 오직 하나의 층만을 가질 수 있다. 비팽창 주위 영역의 미사용 부분들은 여전히 주위 영역의 상부, 후방, 전방 및/또는 저부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줄들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체형 직조 에어백(one-piece woven airbag)에서, 도 20 의 제 2 보호 영역(632)과 같은 보호 영역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미사용 부분내에 존재할 재료를 이용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체형 직조 에어백들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은 절단-및-재봉 에어백들에 대하여 위에 제공된 예와 근사하게 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절단-및-재봉 에어백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체형 직조 에어백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제조 방법들로 구성된 에어백들과도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그 어떤 방법이라도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작용을 포함한다. 방법의 단계 및/또는 작용들은 다른 것과 교환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적절한 작용을 위하여 단계들 또는 작용들의 특정한 순서가 필요하지 않는 한, 특정한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변경될 수 있다.
명세서를 통하여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것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세서를 통하여 기재된 바와 같은 인용된 절 또는 그것의 변형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개시 내용을 간결화할 목적을 위하여 때때로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서 함께 그룹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개시된 방법은 그 어떤 청구항이라도 그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보다 많은 특징들을 필요로 하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로서, 발명의 양상은 그 어떤 단일의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의 조합에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 뒤이은 청구 범위는 각각의 청구항이 그 자체의 분리된 실시예를 나타내면서,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다. 이러한 개시 내용은 독립 청구항들의 그것의 종속 청구항들과의 모든 교환을 포함한다.
특징 또는 요소와 관련하여 "제 1" 이라는 청구항의 기재가 그러한 특징 또는 요소의 제 2 또는 추가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단 부가 기능(means plus function)의 형식으로 기재된 요소들은 35 U.S.C §112 Para 6 에 따라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초적인 원리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세부 내용에 대하여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독점적인 재산권 또는 특권이 청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한정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 및 적용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개시된 구성 및 요소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할 다양한 변형, 변화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 작용 및 세부 내용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100. 에어백 조립체 104. 팽창기
106. 튜브 110.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
114. A 필라 116. B 필라
118. C 필라 119. D 필라
121. 조향 휘일 122. 계기 패널

Claims (20)

  1.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에서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의 루프(roof)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에어백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 및 줄(tether)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stowed configuration) 및,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deployed configuration)을 가지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peripheral juncture)을 포함하고, 상기 주위 접합부는 주위 접합부 내측으로 제 1 챔버를 형성하고, 주위 접합부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줄은 비 팽창 주위 영역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단부 및, 차량에 고정 가능한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제 1 세그먼트(segment) 및, 제 1 부분으로부터 변위된 비팽창 주위 영역의 제 2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 2 세그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세그먼트에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제 1 챔버는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팽창되는, 에어백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팽창 주위 영역은 전개 구성에서 제 1 챔버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전개 구성에서 줄이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에 후방으로의 텐션을 가하도록, 줄의 제 1 단부는 후방 부분에 위치되는, 에어백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은 제 2 부분에 인접하고, 줄의 제 1 단부는 제 1 세그먼트에 있는 제 1 접음 및 제 2 세그먼트에 있는 제 2 접음을 포함하고, 제 1 접음 및 제 2 접음은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가 서로 겹치게끔 위치되게 하는 방위를 가지는, 에어백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접음 및 제 2 접음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줄(tether)을 위치시키는, 에어백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줄의 제 1 단부는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와 비팽창 주위 영역에 고정된 강화 패널을 더 포함하고, 강화 패널은 비팽창 주위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에어백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기를 더 포함하고, 주위 접합부는 기체를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운반하도록 위치된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하는, 에어백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비팽창 주위 영역은 전개 구성에서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 위에 위치된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줄의 제 1 단부는 상부 부분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되는, 에어백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전개되는 동안 제 2 챔버는 제 1 챔버에 대하여 피봇되고, 전개 구성에서, 줄(tether)이 제 1 챔버에 대하여 제 2 챔버의 방위를 제어하도록 텐션(tension)을 가하는, 에어백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팽창기를 더 포함하고, 주위 접합부는 비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을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으로 분리하는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하고, 팽창 도관은 기체를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운반하도록 위치되고, 줄은 비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의 전방 섹션으로부터 제거되는, 에어백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비팽창 주위 영역은 전개 구성에서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 위에 위치된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에어백 조립체는:
    상부 부분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을 포함하는 직물 차폐부(fabric shield)를 더 구비하고;
    보관 구성에서, 제 1 직물 층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제 1 챔버가 팽창하고 제 2 챔버는 제 1 챔버의 전방으로 팽창하고,
    상부 부분은, 제 1 챔버의 상부 경계를 형성하는 후방 섹션 및, 제 2 챔버의 상부 경계를 형성하는 전방 섹션을 포함하고,
    전개 구성에서, 전방 섹션이 전방 섹션에 인접한 후방 섹션의 일부보다 높도록, 전방 섹션은 후방 섹션으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되는, 에어백 조립체.
  11.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에서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의 루프(roof)에 인접하게 배치된 에어백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 및 직물 차폐부(fabric shield)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stowed configuration) 및,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deployed configuration)을 가지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peripheral juncture)를 포함하고, 상기 주위 접합부는 주위 접합부의 내측으로 제 1 챔버를 형성하고 주위 접합부의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직물 차폐부는 비 팽창 주위 영역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1 직물 층을 포함하고,
    보관 구성에서, 제 1 직물 층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제 1 챔버는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팽창되는, 에어백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직물 차폐부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 전체를 감싸는, 에어백 조립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직물 차폐부는 비 팽창 주위 영역과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 제 2 직물 층을 더 포함하고, 제 2 직물 층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길이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에어백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직물 층은 제 1 직물 층이 감싸는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에서 감싸고, 보관 구성에서, 제 1 직물 층 및 제 2 직물 층중 하나는 제 1 직물 층 및 제 2 직물 층중 다른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에어백 조립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장착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장착 조립체들 각각은 차량에 고정 가능한 탭(tab) 및 래퍼(wrapper)를 포함하고, 상기 래퍼는 전개될 때까지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을 보관 구성으로 유지하도록 직물 차폐부 및 팽창 가능 에어백 커튼 둘레를 감싸는, 에어백 조립체.
  16. 제 11 항에 있어서,
    팽창기를 더 포함하고, 주위 접합부는 전개 구성에서 제 1 챔버 위에 위치된 비 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을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으로 분리하는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하고, 팽창 도관은 기체를 팽창기로부터 제 1 챔버로 운반하도록 위치되고, 직물 차폐부는 비 팽창 주위 영역의 상부 부분의 후방 섹션으로부터 제거되는, 에어백 조립체.
  17.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에서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점유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의 루프(roof)에 인접하게 배치된 에어백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루프에 인접한 보관 구성(stowed configuration) 및,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표면과 차량 점유자 사이에서 아래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deployed configuration)을 가지고,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위 접합부(peripheral juncture)을 포함하고, 상기 주위 접합부는 주위 접합부의 내측으로 제 1 보호 영역 및 제 2 보호 영역을 형성하고, 주위 접합부의 외측으로 비팽창 주위 영역을 형성하며;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을 보관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움직이도록, 제 1 보호 영역은 팽창되고 제 2 보호 영역은 제 1 보호 영역의 전방으로 팽창되고;
    전개 구성에서, 주위 접합부는 제 1 보호 영역의 상부 경계를 형성하는 후방 섹션 및, 제 2 보호 영역의 상부 경계를 형성하는 전방 섹션을 구비한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전개 구성에서, 전방 섹션이 상기 전방 섹션에 인접한 후방 섹션의 일부 보다 더 높도록, 전방 섹션은 후방 섹션으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offset)되는, 에어백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차량은 A-필라(pillar), 상기 A 필라 아래에 연장된 윈도우 및, 윈도우 아래에 위치된 측방향 표면(lateral sruface)을 포함하고,
    전개 구성에서, 제 2 보호 영역은, 윈도우를 가로지르고 제 2 보호 영역의 저부 부분이 측방향 표면과 나란히 위치되기에 충분한 깊이로 A 필라 아래로 연장되는, 에어백 조립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전개 구성에서, 전방 섹션은 차량의 루프에 맞닿아서 제 2 보호 영역의 저부 부분의 아래로의 움직임을 강제하는, 에어백 조립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팽창기를 더 포함하고, 주위 접합부의 후방 섹션은 팽창기로부터 제 1 보호 영역내에 형성된 제 1 챔버로 기체를 운반하도록 위치된 팽창 도관을 더 형성하고,
    차량에 설치되기 전에, 제 2 보호 영역내에 형성된 제 2 챔버 및 팽창 도관은 제 1 보호 영역 위에서 대략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에어백 조립체.
KR1020167018529A 2014-01-08 2014-10-24 커튼 에어백 KR10180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50,678 2014-01-08
US14/150,678 US9156427B2 (en) 2014-01-08 2014-01-08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PCT/US2014/062245 WO2015105560A1 (en) 2014-01-08 2014-10-24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693A true KR20160096693A (ko) 2016-08-16
KR101801873B1 KR101801873B1 (ko) 2017-11-28

Family

ID=5349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529A KR101801873B1 (ko) 2014-01-08 2014-10-24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156427B2 (ko)
EP (1) EP3092157B1 (ko)
JP (2) JP6343415B2 (ko)
KR (1) KR101801873B1 (ko)
CN (2) CN107933484B (ko)
WO (1) WO20151055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115A (ko) * 2020-09-17 2022-03-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7449B4 (de) * 2011-11-30 2019-04-2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airbag für ein Fahrzeug
WO2014132810A1 (ja) * 2013-02-28 2014-09-0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9156427B2 (en) * 2014-01-08 2015-10-13 Autoliv Asp, Inc.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KR101708223B1 (ko) * 2014-07-14 2017-03-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JP6007213B2 (ja) * 2014-08-06 2016-10-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10131313B2 (en) * 2015-03-24 2018-11-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restrictor
US9994184B2 (en) * 2015-03-31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ide airbag with secondary chamber
JP2017065398A (ja) * 2015-09-29 2017-04-06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578910B2 (ja) * 2015-11-30 2019-09-25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及び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KR101755952B1 (ko) * 2015-12-29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US10032453B2 (en) * 2016-05-06 2018-07-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providing occupant-specific acoustic functions in a vehicle of transportation
JP6575438B2 (ja) * 2016-05-31 2019-09-18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WO2017208811A1 (ja) * 2016-06-03 2017-12-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597494B2 (ja) * 2016-06-23 2019-10-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102616207B1 (ko) 2016-12-12 2023-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596089B1 (ko) 2016-12-12 2023-10-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641412B1 (ko) * 2016-12-12 2024-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DE102017101092A1 (de) * 2017-01-20 2018-07-26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US10266144B2 (en) * 2017-06-09 2019-04-2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bag system
DE102017124029A1 (de) * 2017-10-16 2019-04-18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haltebands am gassackgewebe eines gassacks
US10549710B2 (en) * 2018-05-03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KR102641419B1 (ko) * 2019-04-12 202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US11318907B2 (en) * 2019-09-24 2022-05-03 Autoliv Asp, Inc. Curtain airbag assembly
US11173864B2 (en) * 2019-10-21 2021-11-16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urtain airbag with integral airbag wrap
US11285905B2 (en) 2019-11-26 2022-03-29 Honda Motor Co., Ltd. Airbag assembly and method
US11345302B2 (en) * 2020-07-27 2022-05-31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urtain airbag with integral airbag wrap
US11285907B1 (en) * 2020-09-24 2022-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KR20230143015A (ko) * 2022-04-04 2023-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322A (en) 1993-02-19 1994-06-21 Simula Inc.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JPH06344841A (ja) 1993-06-11 1994-12-2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乗員保護装置
GB2333075B (en)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US5570900A (en) * 1995-05-23 1996-11-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ide impact head air bag
US5605346A (en) 1995-08-28 1997-02-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de mounted air bag module
US5588672A (en) 1995-10-20 1996-12-31 Takata, Inc. Side impact head restraint with inflatable deployment
GB9605841D0 (en) * 1996-03-20 1996-05-22 Raychem Ltd Article for encapsulating expandable objects
JPH09301104A (ja) 1996-05-17 1997-11-25 Kansei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構造
GB9619613D0 (en) 1996-09-19 1996-10-30 Breed Automotive Tech An inflatable restraint for a vehicle
GB2324068B (en) 1997-04-11 2001-01-1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US6073961A (en) 1998-02-20 2000-06-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side airbag curtain module
DE19824601C2 (de) * 1998-06-02 2003-04-03 Breed Automotive Tech Luftsack mit Ausgleichsvolumen
US6367836B1 (en) * 1998-08-05 2002-04-09 Toyoda Gosei Co., Ltd. Airbag for head protecting airbag system
DE29814990U1 (de) * 1998-08-20 1998-12-17 Trw Repa Gmbh Gassack
DE19953563A1 (de) 1998-11-09 2000-05-11 Trw Repa Gmbh Gassack mit Fangmittel
US6155597A (en) 1999-05-11 2000-12-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with spring connector
US6375214B1 (en) 1999-07-12 2002-04-23 Mazda Moto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device of vehicle
US6276712B1 (en) * 1999-09-10 2001-08-21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restraint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DE29921414U1 (de) 1999-12-06 2000-04-13 Trw Repa Gmbh Seitenaufprall-Schutzsystem für Fahrzeuge
US6237939B1 (en) 2000-01-21 2001-05-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6783155B2 (en) 2000-04-14 2004-08-31 Milliken & Company Air bag tether construction
US6315324B1 (en) 2000-04-14 2001-11-13 Milliken & Company Air bag tether construction
US6361068B1 (en) 2000-05-23 2002-03-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inflatable side curtain with tether
US6273458B1 (en) 2000-05-31 2001-08-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6464250B1 (en) 2000-07-05 2002-10-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slidable tether
US6237942B1 (en) * 2000-07-14 2001-05-29 Trw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02046567A (ja) * 2000-07-31 2002-02-12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3554719B2 (ja) 2000-09-01 2004-08-18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
US6237943B1 (en) 2000-10-07 2001-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rollover curtain with improved deployment
US6733037B1 (en) 2000-11-13 2004-05-11 Milliken & Company Multi-segment air bag tether construction
US6428037B1 (en) 2001-04-20 2002-08-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JP4572485B2 (ja) * 2001-05-09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US6474678B1 (en) 2001-10-23 2002-11-05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Tether attachment for multi-layered inflatable curtain
US6709008B2 (en) 2001-11-19 2004-03-23 Autoliv Asp, Inc. Retractable tethering device for curtain airbag
US7163232B2 (en) * 2001-11-26 2007-01-16 Nihon Plast Co., Ltd. Curtain airbag and its folding method and system
US6695347B2 (en) 2001-11-29 2004-02-24 Autoliv Asp, Inc. Self-adjusting tether strap for inflatable curtain
US6688641B2 (en) 2001-12-13 2004-02-10 Autoliv Asp, Inc. Compact tethe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nflatable curtain
US6712389B2 (en) 2002-02-01 2004-03-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tether
US6733035B2 (en) 2002-03-05 2004-05-11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curtain air bag assembly
JP4063095B2 (ja) * 2002-03-08 2008-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6991255B2 (en) 2002-06-25 2006-01-31 Autoliv Asp, Inc. Interconnectable inflatable airbag cushion module
US6830262B2 (en) * 2002-07-11 2004-12-14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deployment guide
US6886858B2 (en) 2002-07-26 2005-05-03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assembly with tethers in a woven cush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4075636B2 (ja) 2003-02-13 2008-04-16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
US6966579B2 (en) 2003-03-25 2005-11-22 Autoliv Asp, Inc. Extensible tethered airbag system
US7125037B2 (en) * 2003-10-21 2006-10-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shion retention system
US7083188B2 (en) * 2003-11-13 2006-08-01 Autoliv Asp, Inc. Tearable reten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irbag cushion
US7261682B2 (en) * 2003-11-25 2007-08-28 Autoliv Asp, Inc. Method for folding a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4419696B2 (ja) * 2004-06-14 2010-02-24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06069280A (ja) * 2004-08-31 2006-03-16 Takata Corp 乗員保護装置
DE102005011676B4 (de) 2005-03-11 2012-04-19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 und Kraftfahrzeug
US20060290122A1 (en) 2005-06-23 2006-12-28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Integrated tether for rollover airbags
JP2007022265A (ja) * 2005-07-14 2007-02-01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39451A1 (de) * 2005-08-18 2007-02-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einheit
JP2007062474A (ja) * 2005-08-30 2007-03-15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用エアバッグ
US7731224B2 (en) * 2006-03-01 2010-06-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JP4899539B2 (ja) * 2006-03-07 2012-03-21 マツダ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後部構造
US7571930B2 (en) 2007-08-31 2009-08-11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Inflatable curtain airbag integrated tether
JP2009083755A (ja) * 2007-10-02 2009-04-23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931293B2 (en) * 2008-01-18 2011-04-26 Tk Holdings Inc. Curtain airbag
US7686332B2 (en) 2008-03-20 2010-03-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ide impact air bag with single layer sail panels
US8505967B2 (en) * 2009-02-03 2013-08-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ead protection airbag device for vehicle
US7980585B2 (en) * 2009-06-30 2011-07-19 Autoliv Asp, Inc. Airbag mounting assemblies with double-locking wrappers
DE102009033375B4 (de) * 2009-07-16 2019-04-2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
DE102009041335B4 (de) * 2009-09-15 2015-04-0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einrichtung
US8020888B2 (en) * 2009-10-05 2011-09-20 Autoliv Asp, Inc. Vehicle curtain airbag
WO2011056637A1 (en) * 2009-10-28 2011-05-12 Key Safety Systems, Inc. Ejection countermeasures for curtain air bags
US8708365B2 (en) * 2010-01-29 2014-04-29 Autoliv Asp, Inc. Side curtain airbag assembly
JP5471953B2 (ja) * 2010-08-05 2014-04-16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8814202B2 (en) * 2010-08-06 2014-08-26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DE102010056342A1 (de) * 2010-12-29 2012-07-0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 für ein Fahrzeug
JP5839449B2 (ja) * 2011-06-24 2016-01-0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1087449B4 (de) * 2011-11-30 2019-04-2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airbag für ein Fahrzeug
JP5699925B2 (ja) * 2011-12-15 2015-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8500162B2 (en) * 2011-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airbag with an integrated pillar guide
JP5761220B2 (ja) * 2013-02-05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783193B2 (ja) * 2013-02-07 2015-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US8894094B2 (en) * 2013-03-15 2014-11-25 Autoliv Asp, Inc.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US8636301B1 (en) * 2013-03-15 2014-01-28 Autoliv Asp, Inc.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JP6107629B2 (ja) * 2013-12-06 2017-04-05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9156427B2 (en) * 2014-01-08 2015-10-13 Autoliv Asp, Inc.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115A (ko) * 2020-09-17 2022-03-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33484A (zh) 2018-04-20
US9156427B2 (en) 2015-10-13
CN105793119A (zh) 2016-07-20
US20150343981A1 (en) 2015-12-03
US9650010B2 (en) 2017-05-16
EP3092157A4 (en) 2017-11-08
JP6343415B2 (ja) 2018-06-13
WO2015105560A1 (en) 2015-07-16
JP6734880B2 (ja) 2020-08-05
JP2016537242A (ja) 2016-12-01
US20150191141A1 (en) 2015-07-09
EP3092157A1 (en) 2016-11-16
JP2018108819A (ja) 2018-07-12
CN105793119B (zh) 2019-09-10
KR101801873B1 (ko) 2017-11-28
EP3092157B1 (en) 2020-03-04
CN107933484B (zh) 202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873B1 (ko) 커튼 에어백
KR101804289B1 (ko)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
JP621949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US8894094B2 (en)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US8322747B2 (en)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arm-manipulating side airbags
US7556286B2 (en) Extended inflatable coverage of inflatable curtains
JP6294952B2 (ja) Icのための二重折りにして巻かれたクッション
US9963102B1 (en) Top fill curtain airbags
JP2017065398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9415742B1 (en) Three-way gas guide
JP2024522999A (ja) 展開支援ラッパーを備えた前面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9908499B2 (en) Curtain airbag assembly with stiffening chamber
JP5594212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US20230182675A1 (en) Inflatable curtain airbag with bi-roll package state
US8651517B1 (en) Inflation of side curtain air bag with protection for out-of-position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