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317A -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317A
KR20160096317A KR1020150017789A KR20150017789A KR20160096317A KR 20160096317 A KR20160096317 A KR 20160096317A KR 1020150017789 A KR1020150017789 A KR 1020150017789A KR 20150017789 A KR20150017789 A KR 20150017789A KR 20160096317 A KR20160096317 A KR 2016009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ning
attachment
jig
fus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069B1 (ko
Inventor
박희상
장용수
권충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0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22Particular heating or weld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65/024Particular heating or weld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use of combustible material, i.e. the combustible material is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본체의 하부프레임에 안착된 헤드라이닝의 하면에 열 융착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부착물을 부착하는 융착지그와; 상기 부착물로부터 상기 융착지그가 분리된 후 부착물을 냉각함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헤드라이닝과의 융착 부분을 경화하는 냉각지그와;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융착지그 및 냉각지그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라이닝의 밀림을 방지를 위해 헤드라이닝의 상면을 가압 작동하는 밀림방지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 열융착만으로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부착함에 따라 생산 원가를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Device for attaching the attachment to the head lining by heat fusion}
본 발명은 열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접착제 없이 열융착만으로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부착함으로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루프의 실 내측에는 합성수지를 기본 재료로 하여 성형 제작되며, 루프와의 단열, 차음, 흡음 등의 기능을 갖는 내장재로 헤드라이닝이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라이닝은 종이로 된 기재 위에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또는 폴리에틸렌 폼을 핫멜트 필름으로 접착시켜 쿠션층을 이루고, 이 쿠션층을 표면에 직물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스킨을 입혀 제작하고 이를 차량 루프의 내장재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헤드라이닝은 차량의 구조 또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별도의 부착물을 부착 가공시켜 디자인의 신미성을 추구하였다.
특히, 부착물을 헤드라이닝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첫 번째, 성형된 헤드라이닝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부착물에 도포하여 이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헤드라이닝에 수작으로 부착하였다.
두 번째, 부착물의 외곽선을 따라 헤드라이닝의 일부분을 피어싱(PIERCING)하여 나사,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부착 설치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의 경우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어 제작에 따른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나, 사용 중 헤드라이닝으로부터 부착물이 탈락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의 경우, 첫 번째의 경우 보다 부착물을 헤드라이닝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함에 따라 부착물이 탈락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지만,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부착하기 위해 천공 및 체결 공정이 추가 되므로 이에 따른 코스트 및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판을 갖는 융착지그와 냉각판을 갖는 냉각지그를 통해 헤드라이닝에 열융착 및 냉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 열융착만으로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견고하게 부착함에 따라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본체의 하부프레임에 안착된 헤드라이닝의 하면에 열 융착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부착물을 부착하는 융착지그와; 상기 부착물로부터 상기 융착지그가 분리된 후 부착물을 냉각함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헤드라이닝과의 융착 부분을 경화하는 냉각지그와;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융착지그 및 냉각지그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라이닝의 밀림을 방지를 위해 헤드라이닝의 상면을 가압 작동하는 밀림방지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융착지그는 상기 헤드라이닝으로부터 상기 부착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물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여 감싸며, 상기 부착물의 부착부에 대응하여 열 융착 하는 가열판과; 상기 고정부재 및 가열판가 상기 헤드라이닝에 동시에 가압할 수 있게 고정부재와 가열판을 승강 작동시키는 제1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착물의 부착부에 접촉되는 가열판의 상단부에는 가열판의 열을 부착부에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 열융착만으로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간편하게 부착함에 따라 생산 원가를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에서 융착지그의 구성 및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에서 냉각지그의 구성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에서 융착지그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물품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1)는 그 내부의 각 구성 요소인 융착지그 및 냉각지그와 이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프레임본체(20)의 하부프레임(22)에 안착된 헤드라이닝(10)의 하면에 열 융착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부착물(15)을 부착하는 융착지그(30)가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융착지그(30)가 분리된 부착물(15)에 냉각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헤드라이닝(10)과의 융착 부분을 경화하는 냉각지그(40)가 상기 융착지그(30)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융착지그(30) 및 냉각지그(40)에 의해 상기 헤드라이닝(10)이 상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라이닝(10)의 상명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가압 작동하는 밀림방지수단(50)을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상부프레임(24)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밀림방지수단(50)은 상부프레임(24)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51)와, 이 가압실린더(51)에 의해 승강하며,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로드(53)와, 이 가압로드(5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지그(30)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라이닝(1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림방지수단(50)을 통해 헤드라이닝(10)의 밀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헤드라이닝(10)의 용이한 인출을 위해 승강작동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융착지그(30)는 도 2에 도시된 융착지그의 구성 및 분해도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별도의 투입수단(미도시)를 통해 투입되는 부착물(15)을 받아 상기 헤드라이닝(10)으로부터 상기 부착물(15)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 작동하여 부착물(15)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3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35)를 수용하여 감싸며 함께 승강 작동하며, 상기 부착물(15)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부착부(17)에 가압 접촉과 동시에, 열 융착하여 상기 헤드라이닝(10)에 부착물(15)을 부착하는 가열판(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35) 및 가열판(31)가 상기 헤드라이닝(10)에 동시에 가압할 수 있게 고정부재(35)와 가열판(31)을 승강 작동시키는 제1승강수단(6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융착지그(30)는 외측에 가열판(31)이 형성되고, 내측에 고정부재(35)가 구비되며, 이는 블럭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가열판(31)의 내측 수용공간(34)에 상기 고정부재(35)를 삽입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가열판(31)에는 가열히터(32)가 내장되어 있어 이 가열판(31)이 부착물(15)의 부착부(17)에 접촉되면 가열히터(32)의 열에 의해 부착물(15)의 부착부(17)를 가열 융착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5)이 제1승강수단(6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부착물(15)을 헤드라이닝(10)으로부터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판(31)과 고정부재(35)의 사이는 서로 이격되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열판(31)의 열이 고정부재(35)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열판(31)이 열 융착 작동하는 동안 상기 부착물(15)의 열 변형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수단(60)은 상기 가열판(3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로드(39)와,
이 승강로드(39)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로드(39)를 승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압실린더(미도시) 또는 전동력에 의해 승강로드(39)를 승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전동모터(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5)의 상단부에는 상기 부착물(15)의 형상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16)가 형성되는데, 이 부착물(15)의 돌출부(16)에 대응 결합할 수 있게 동일하게 요입 형성된 고정홈(37)이 더 형성하여 돌출부(16)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융착지그의 다른 실시 예시에 의하면, 상기 부착물(15)의 부착부(17)에 접촉되는 가열판(31)의 상단부에는 가열판(31)의 열을 부착부(17)에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압돌기(33)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물품 사진에 의하면, 상기 가압돌기(33)를 통해 상기 부착물(15)의 부착부(17)를 가압돌기(33)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융착면(18)과 강성지지면(19)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33)에 의해 형성된 융착면(18)은 헤드라이닝(10)와 용융되어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강성지지면(19)은 융착면(18)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착력이 적으나 융착면(18) 간에 연결되어 있어 융착면(18)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냉각지그의 구성도에 의하면, 상기 냉각지그(40)는 상기 헤드라이닝(10)에 부착된 부착물(15)의 부착부(17)에 대응 접촉하는 냉각판(41)이 구비되며, 상기 부착물(15)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판(41)을 상기 헤드라이닝(10) 측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하다.
이때, 상기 융착지그(30)와 교대로 부착물(15)에 접촉하는 냉각지그(40)는 융착지그(30)와 동일한 위치에 구성할 수 없으므로 이 융착지그(30)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2)의 일 부분에 설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냉각지그(40)를 포함한 제2승강수단(70)을 상기 부착물(15)의 하부 위치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승강수단(60,70) 및 수평이송수단(80)의 경우 도시되지 않은 유/공압 실린더 또는 전동모터 등의 작동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의하면, 별도의 투입수단(미도시)을 통해 투입된 헤드라이닝(10)이 하부프레임(22)에 안착되면, 헤드라이닝(10)의 하면에 대응하여 부착하고자 하는 부착물(15)을 고정부재(35)에 안착시켜 제1승강수단(60)의 승강 작동을 통해 고정부재(35)와 가열판(31)을 헤드라이닝(10) 측으로 밀어 부착물(15)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열판(31)과 고정부재(35)의 가압력에 대응하여 상부프레임(24)에 구비된 밀림방지수단(50)이 상기 헤드라이닝(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힘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 후, 상기 가열판(31)에 내장된 가열히터(32)의 용융 열에 의해 상기 부착물(15)의 부착부(17)를 융착시켜 헤드라이닝(10)에 일체로 용융 부착 시킨다.
도 4b에 의하면, 상기 부착물(15)이 부착된 후 , 상기 융착지그(30)는 제1승강수단(6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수평이송수단(80)에 의해 냉각지그(40)를 부착물(15)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승강수단(70)의 승강 작동을 통해 냉각지그(40)를 부착물(15)에 가압 밀착하여 부착부(17)의 용융 잔열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냉각지그(40)의 냉각판(41)은 상기 융착지그(30)의 가열판(3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부(17)의 융착면(18)와 강성지지면(19)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지그(40)와 밀림방지수단(50)을 원위치로 복귀 시킨 후 헤드라이닝(10)을 배출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 열융착만으로 헤드라이닝에 부착물을 견고하게 부착함에 따라 생산 원가를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헤드라이닝(10)에 대하여 (주)대한솔루션 실험실에 강도시험을 의뢰하여 PUSH&PULL GAUGE 시험기를 통해 50℃ ± 2℃, 90%RH에 2시간 방치 → 상온 30분 → 내열 90℃ ± 2℃에 2시간 방치 → 상온 30분의 온도 조건으로 3회(3CYCLE) 내열싸이클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내열싸이클 시험 종료 후 상온(23±2℃) 3시간 방치 후 30분 이내 직각 방향으로 탈거되는 헤드라이닝 박리강도 시험을 측정하여 아래 표 1과 같은 측정한 결과를 얻은 바, 상온 및 내열싸이클에서 모두 동등한 수준의 박리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헤드라이닝
15: 부착물
16: 돌출부
17: 부착부
20: 프레임본체
22: 하부프레임
24: 상부프레임
30: 융착지그
31: 가열판
33: 가압돌기
35: 고정부재
37: 고정홈
40: 냉각지그
41: 냉각판
50: 밀림방지수단
60: 제1승강수단
70: 제2승강수단
80: 수평이송수단

Claims (5)

  1. 하부프레임(22)에 안착된 헤드라이닝(10)의 하면에 열 융착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부착물(15)을 부착하는 융착지그(30)와;
    상기 부착물(15)로부터 상기 융착지그(30)가 분리된 후 부착물(15)을 냉각함과 동시에 가압 작동하여 헤드라이닝(10)과의 융착 부분을 경화하는 냉각지그(40)와;
    상부프레임(24)에 구비되며, 상기 융착지그(30) 및 냉각지그(40)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라이닝(10)의 밀림을 방지를 위해 헤드라이닝(10)의 상면을 가압 작동하는 밀림방지수단(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지그(30)는 상기 헤드라이닝(10)으로부터 상기 부착물(15)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물(15)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35)와;
    상기 고정부재(35)를 수용하여 감싸며, 상기 부착물(15)의 부착부(17)에 대응하여 열 융착 하는 가열판(31)과;
    상기 고정부재(35) 및 가열판(31)가 상기 헤드라이닝(10)에 동시에 가압할 수 있게 고정부재(35)와 가열판(31)을 승강 작동시키는 제1승강수단(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15)의 부착부(17)에 접촉되는 가열판(31)의 상단부에는 가열판(31)의 열을 부착부(17)에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압돌기(33)가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5)의 상단부에는 상기 부착물(15)의 돌출부(16)에 대응 결합할 수 있게 동일하게 요입 형성된 고정홈(37)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열 부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지그(40)는 상기 헤드라이닝(10)에 부착된 부착물(15)의 부착부(17)에 대응 접촉하는 냉각판(41)과;
    상기 냉각판(41)을 상기 헤드라이닝(10) 측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70)와;
    상기 제2승강수단(70)를 상기 부착물(15)의 하부 위치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수단(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KR1020150017789A 2015-02-05 2015-02-05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KR10174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789A KR101745069B1 (ko) 2015-02-05 2015-02-05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789A KR101745069B1 (ko) 2015-02-05 2015-02-05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317A true KR20160096317A (ko) 2016-08-16
KR101745069B1 KR101745069B1 (ko) 2017-06-08

Family

ID=5685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789A KR101745069B1 (ko) 2015-02-05 2015-02-05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0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19B1 (ko) 2018-02-22 2018-07-30 강성호 헤드라이닝 성형 지그
KR102220570B1 (ko) * 2019-10-16 2021-02-25 (주)비티비엘 양품율을 향상시킨 스마트카드의 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72B1 (ko) 2019-10-01 2020-11-02 강성호 헤드라이닝 폼 부착용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19B1 (ko) 2018-02-22 2018-07-30 강성호 헤드라이닝 성형 지그
KR102220570B1 (ko) * 2019-10-16 2021-02-25 (주)비티비엘 양품율을 향상시킨 스마트카드의 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069B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7718B1 (en) Method for void-free debulking of adhesive bond joints
KR101745069B1 (ko) 헤드라이닝 열부착 장치
EP25204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oforming by hot-plate heating
JP4024714B2 (ja) プレス成形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EP3369553B1 (en) Thermoforming device and thermoforming method
JP5107417B2 (ja) 成型装置および同成型装置による成型方法
JP2006204068A (ja) 永久磁石の樹脂封止方法
JP6687048B2 (ja) 加硫ゴムの離型性評価方法および装置
CN107464767B (zh) 带剥离装置
JP4679546B2 (ja) プレス成形方法
KR101932550B1 (ko) 패널 접착용 스탬핑 머신
KR101065346B1 (ko) 전자 부품의 실장 장치
JP2004074769A (ja) 導光板の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導光板のプレス成形方法
JP5703486B2 (ja) 成型装置および同成型装置による成型方法
CN107614241B (zh) 热成型装置及热成型方法
KR101583480B1 (ko) 이종소재의 시험편 제조장치
JP6371626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0123020B1 (ko) 시트 접착장치 및 방법
CN112078891B (zh) 热封刀装置
JPH1034751A (ja) 大型ゴム製品の継ぎ加硫方法
JP4035817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溶着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113984A (ja) オーバレイ被覆を施す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6304686B2 (ja) 熱成形装置
JP2004209539A (ja) 加圧装置用加圧ブロック
JPH01316245A (ja) 複合材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