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861A -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861A
KR20160094861A KR1020160010118A KR20160010118A KR20160094861A KR 20160094861 A KR20160094861 A KR 20160094861A KR 1020160010118 A KR1020160010118 A KR 1020160010118A KR 20160010118 A KR20160010118 A KR 20160010118A KR 20160094861 A KR20160094861 A KR 2016009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ells
growth
biguan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575B1 (ko
Inventor
강석구
김수열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680008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205963B/zh
Priority to PCT/KR2016/001111 priority patent/WO2016126073A2/ko
Priority to ES16746814T priority patent/ES2893155T3/es
Priority to JP2017540723A priority patent/JP6469877B2/ja
Priority to DK16746814.9T priority patent/DK3254680T3/da
Priority to EP16746814.9A priority patent/EP3254680B1/en
Publication of KR2016009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575B1/ko
Priority to US16/400,514 priority patent/US1064646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1Aldehy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알데히드 억제제와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함께 사용하여, 신경구 등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암 세포의 증식, 침윤 및 전이 또한 억제하여 뇌암 등의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a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mprising aldehyde inhibitor and biguanide compounds}
본 발명은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다. 약 천만 건의 새로운 케이스가 매년 발생하며, 전체 사망원인의 약 12%를 차지하여 세 번째로 많은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여러 가지 종류의 암 중에서 특히 뇌암은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되며, 소아에 발생 빈도가 다른 암에 비하여 높은 특징이 있다. 뇌암은 뇌조직과 뇌를 싸고 있는 뇌막에서 발생되는 원발성 뇌암과 두개골이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발생된 암으로부터 전이된 이차성 뇌암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뇌암은 다른 장기에서 발생하는 암과 구분되는 점이 많다. 우선 폐, 위, 유방 등에 생기는 암은 장기별로 한 두 종류에 국한되고, 그 성질이 동일, 유사한 편이다. 그러나 뇌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암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다형성아교모세포종, 악성신경교종, 임파선종, 배아세포종, 전이성 종양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도 신경교종 (glioma), 특히 다형성아교모세포종 (glioblastoma multiforme, GBM)은 가장 악성이고 공격적이어서 예후가 매우 좋지 않으며,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이 약 1년을 넘지 못하는 매우 치명적인 질환이다. 뇌세포와 종양세포 간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GBM을 외과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암치료 분야에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선두적인 치료는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 등이 주종을 이룬다. 화학요법적인 접근은 전이성이거나 특별히 공격적인 암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암화학요법 약제는 세포독소(cytotoxins)이다. 세포독성제는 빠른 성장을 보이는 세포들에 해를 입히거나, 살해함으로써 작용하게 된다.
이상적인 세포독성제는 암 및 종양 세포들에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세포독성제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신 특별히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들 (종양 세포 및 정상 세포 모두)을 타겟으로 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정상 세포들에게는 단지 가벼운 효과를 미치면서, 암세포에게는 세포독성이 있는 물질들이 매우 바람직하다. 사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종양세포들(tumor cells)의 증식을 특히 억제할 수 있는 대안적인 항암물질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따라서, 외과적 치료 이외의 화학적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지만,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암 줄기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암 세포의 증식,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함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 알데히드 억제제(aldehyde inhibitor) 및 비구아나이드(biguanide) 계열 화합물을 병용 투여할 경우,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암 세포의 증식,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여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단, 본 발명에서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란 줄기세포 특유의 능력인 자가재생이나 분화능력을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의미의 암세포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뇌의 중추신경계 줄기세포인 신경구(neurosphe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줄기세포의 정상적인 종양 생장 조건(상기 "정상적인 종양의 생장 조건"이란 세포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포도당)이 충분하고 종양미세환경의 생장 여건이 풍족하여 세포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를 지칭한다.)에서 일반적인 암세포와 상이하게 느린 속도로 증식하거나 휴지기(dormant state) 상태를 유지하여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GC-1a 등의 전사조절인자의 발현이 정상적인 종양세포와 달리 통제되어 주요 대사조절물질의 기능이 일반 암세포와 비교하여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대사조절 능력과 이에 기전적으로 연계된 세포신호전달계의 조절을 통해 영양 결핍 상태에서 세포 사멸(apoptosis)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고 침윤 및/또는 전이능이 있는 세포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암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란 암 줄기세포 유지(mainternance) 억제, 암 줄기세포 악성화(malignance) 억제 및 암 줄기세포 침윤활성(invasive) 억제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알데히드 억제제(aldehyde inhibitor) 및 비구아나이드(biguanide)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는 고시폴(Gossypol)일 수 있고, 상기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펜포르민(phenformin)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시폴(Gossypol)"은 면실(cotton plant)에 다량으로 포함된 페놀 유도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국에서는 이러한 고시폴이 남성의 정자 기능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여, 남성 경구 피임약으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펜포르민(phenformin)”은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대사와 지질 대사를 생리적으로 조절하는 당뇨병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고시폴과 펜포르민의 조합이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에 매우 높은 시너지 효과를 부여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시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펜포르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와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1:1~10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2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는 0.5~50μM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10~1000μM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줄기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여 자궁암, 유방암, 위암, 뇌암, 직장암, 대장암, 피부암, 혈액암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신경구(neurosphere)의 증식, 유지, 악성화 및 침윤능을 억제하여 뇌암, 특히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암 줄기세포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암세포까지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암제로는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반데타닙, 니로티닙, 세마사닙, 보수티닙, 악시티닙, 세디라닙, 레스타우르티닙, 트라스투주맙, 게피티니브,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시스플라틴,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 키토산, 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우라실, 시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플루타미드,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 에토포시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테니포시드, 독소루비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 클로람부실, 미토락톨, 레우코보린, 트레토닌, 엑스메스탄, 아미노글루테시미드, 아나그렐리드, 나벨빈, 파드라졸, 타목시펜, 토레미펜, 테스토락톤,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로졸, 비칼루타미드, 로무스틴 및 카르무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무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알데히드 억제제와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함께 사용하여 신경구 등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암 세포의 증식, 침윤 및 전이 또한 억제하여 뇌암 등의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참고예 1에서 고시폴의 농도에 따른 MTT assay의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 처리에 따른 U87 세포의 생존율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서 각 처리에 따른 U87 신경구 세포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서 각 처리에 따른 U87 신경구 세포의 반경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험예 2에서 각 처리에 따른 U87 신경구 세포의 형성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험예 3에서 각 처리에 따른 U87 침윤 세포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험예 4에서 각 처리에 따른 동소이종이식모델 마우스의 뇌암 발생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험예 4에서 각 처리에 따른 동소이종이식모델 마우스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
참고예 1: 고시폴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확인
U87 세포주(GBM cell)에 고시폴(Gossypol)을 0.5, 1, 5, 10 및 50 μM의 농도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도 1)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시폴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하였을 때, 세포 성장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다.
실험예 1: 고시폴 펜포르민의 혼합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확인
U87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하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약학적 조성물을 처리하고, MTS 약제를 20㎕/웰 농도로 처리한 뒤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흡광도의 변화를 세포 생존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
비교예 1 -
비교예 2 Gossypol 0.5μM
비교예 3 Gossypol 1μM
비교예 4 Phenformin 10μM
실시예 1 Phenformin 10μM + Gossypol 0.5μM
실시예 2 Phenformin 10μM + Gossypol 1μM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시폴과 펜포르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고시폴과 펜포르민을 함께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예 2: 신경구 형성능 확인
U87 세포주를 2중량% 1xB27, 0.02중량%의 bFGF 20ng/ml, 0.02중량%의 EGF 20ng/ml 및 50U/ml 페니실린-50mg/ml 스트렙토마이신(100x, Gibco, Invitrogen Korea, Seoul, South Korea)이 첨가된 DMEM/F-12 배지에서 종양구(tumor sphere)로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0세포/셀로 접종하고, 고시폴 1 μM, 펜포르민 10μM, 고시폴 1μM 및 펜포르민 10μM의 혼합물을 처리한 뒤 37℃에서 3주 동안 배양하였다. U87 세포의 형상과 사이즈를 확인하기 위하여, 얻어진 세포 배양물을 도립 위상차 현미경(inverted phase-contrast microscope)(1x71 Inverted Microscope; Olympus, Tokyo, Japan)으로 관찰하고, 디지털 카메라(DP70 Digital Microscope Camera; Olympus)로 촬영하여 그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처리 별 신경구의 반경의 변화를 도 4에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신경구 형성 정도를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단, 도 4에서 신경구의 반경의 변화율은 96웰 플레이트에 접종되는 신경구 세포의 평균 반경 대비 각 처리 후 신경구 세포의 평균 반경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고, 도 5에서 신경구 형성 정도는 96웰 플레이트에 접종되는 신경구 세포 수 대비 각 처리 후 신경구 세포 수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세포 촬영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시폴과 펜포르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도 신경구 세포의 크기가 감소하였지만, 이들을 혼합 처리한 경우에는 신경구가 아예 관찰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시폴과 펜포르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이들을 혼합 처리한 경우 신경구 세포의 반경이 현저히 감소하고, 신경구 세포 수 또한 현저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실험예 3: 트랜스웰 ( transwell ) 침윤능 확인
U87 세포(2x105 세포/웰)를 성장 배지 0.1ml에 부유시킨 뒤 고시폴 1μM, 펜포르민 10μM, 고시폴 1μM 및 펜포르민 10μM의 혼합물을 처리하고, 트랜스웰 챔버(8mm 포어 사이즈; Corning Glass)의 상부 웰에 세포를 로딩하였다. 단, 상기 트랜스웰 챔버의 하부는 성장 배지 0.5ml로 채워져 있고, 상부는 성장 인자가 감소된 마트리겔(Matrigel)(Corning Matrigel Matrix) 8.4mg/ml로 전처리 코팅되었다. 세포를 상기 챔버 내에서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필터의 윗면에서 비침윤한 세포는 면봉으로 제거하고, 필터의 하면으로 이동한 세포를 고정한 뒤, Diff-Quick kit(Fisher)로 염색한 뒤, 얻어진 세포 배양물을 위상차 현미경(phase-contrast microscope) (Olympus)으로 관찰하여 그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침윤능은 웰당 10 현미경 필드(microscopic field)에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시폴과 펜포르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이들을 혼합 처리한 경우 신경구 세포의 반경이 현저히 감소하고, 신경구 세포 수 또한 현저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고시폴과 펜포르민을 함께 처리한 경우 이들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뇌암 줄기세포의 증식 및 전이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뇌암의 치료 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동소이종이식모델 ( Orthotopic xenograft model)에서의 고시폴 효과 확인
동물실험에 사용될 고시폴 및 펜포르민은 각각 DMSO와 PBS에 용해하여 준비하였다. 고시폴 및 펜포르민 병용투여용 조성물은 10 중량% DMSO와 10 중량% 크레모퍼(cremophor)-PBS가 혼합된 용액으로 용해하여 준비하였다.
동소이종이식모델의 제조를 위해서 4-8주령의 수컷 누드 마우스(Male athymic nude mice, Central Lab. 대한민국)를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안정화를 위해서 실험에 사용하기 전 최소 1주일의 기간 동안 멸균된 환경에서 충분한 식이가 공급되는 채로 유지되었다. 동물실험에 대한 모든 사항은 연세대학교 동물실험위원회의 규정을 준수하였다. 먼저, 30 mg/kg 의 졸레틸과 10 mg/kg 의 자일라진을 복강내 접종으로 마취하였고, 2 × 105 의 U87-루시퍼라아제 세포(U87-Luc cells)를 헤밀털 주사기를 이용하여 4.5 mm 깊이로 대뇌의 우측 전두엽에 이식하였다. U87-루시퍼라아제 세포는 미세주입 주사기펌프(micro-infusion syringe pump)를 이용하여 같은 그룹의 5마리의 마우스에게 0.5 μl/분의 속도로 동시에 주입하였다. 그 후, 고시폴(40 mg/kg) 또는/및 펜포르민(100 mg/kg)을 매일 경구로 투여하였다. 투여하는 약물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의 그룹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여 약물의 종류
비교예 6 U87-루시퍼라아제 세포 이식 후 증류수 투여
실시예 4 U87-루시퍼라아제 세포 이식 후 고시폴 단독 투여
실시예 5 U87-루시퍼라아제 세포 이식 후 펜포르민 단독 투여
실시예 6 U87-루시퍼라아제 세포 이식 후 고시폴과 펜포르민의 병용 투여
체중의 증감은 매일 확인하였고, 체중이 실험 개시 전 체중에 비하여 15 중량% 이상 감소하는 경우에는 승인된 프로토컬에 따라 마우스를 안락사 수행하였다.
생물발광(Bioluminescence) 수집 및 분석은 IVIS 이미지 시스템(IVIS Imaging System) 및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Living Image V4.2 software)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신호 측정 15분 전에, 2.5% 이소플로란(isoflurane) 마취 하에서 마우스에 d-루시페린(d-luciferin, 30mg/mL PBS) 100μl를 복강으로 주사하였다. 신호 측정은 U87-루시퍼라아제 세포 이식 후 1주, 3주, 및 5주 경과 시에 5초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동소이종이식모델을 이용한 실험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세포 이식 5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비교예 6, 실시예 4(고시폴 단독 투여) 및 실시예 5(펜포르민 단독 투여)는 형광 발현이 측정되어 U87-루시퍼라아제 세포에 의한 뇌암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6(고시폴과 펜포르민의 병용 투여)은 비교예 6,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 비하여 매우 극소한 수준의 뇌암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에서도(도 8) 실시예 6 그룹의 마우스가 비교예 6, 실시예 4 및 실시예 5 그룹의 마우스에 비하여 생존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0)

  1. 알데히드 억제제(aldehyde inhibitor) 및 비구아나이드(biguanide)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는 고시폴(Gossyp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펜포르민(Phenfor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와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1:1~10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와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1:2~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 억제제는 0.5~50 μM의 양으로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은 10~1000 μM의 양으로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자궁암, 유방암, 위암, 뇌암, 직장암, 대장암, 피부암, 혈액암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줄기세포의 성장억제는 암 줄기세포 유지(mainternance) 억제, 암 줄기세포 악성화(malignance) 억제 또는 암 줄기세포 침윤활성(invasive) 억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60010118A 2015-02-02 2016-01-27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65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08269.1A CN107205963B (zh) 2015-02-02 2016-02-02 含有醛抑制剂和双胍类化合物的抑制癌症干细胞生长的药物组合物
PCT/KR2016/001111 WO2016126073A2 (ko) 2015-02-02 2016-02-02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ES16746814T ES2893155T3 (es) 2015-02-02 2016-02-02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inhibir el crecimiento de células madre de cáncer, que contiene un inhibidor de aldehído y un compuesto a base de biguanida
JP2017540723A JP6469877B2 (ja) 2015-02-02 2016-02-02 アルデヒド抑制剤およびビグアナイド系化合物を含む癌幹細胞の成長抑制用薬学的組成物
DK16746814.9T DK3254680T3 (da) 2015-02-02 2016-02-02 Farmaceutisk sammensætning til hæmning af cancerstamcellers vækst indeholdende aldehydhæmmer og biguanidbaseret forbindelse
EP16746814.9A EP3254680B1 (en) 2015-02-02 2016-02-0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ntaining aldehyde inhibitor and biguanide-based compound
US16/400,514 US10646460B2 (en) 2015-02-02 2019-05-0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ntaining aldehyde inhibitor and biguanide-based comp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6295 2015-02-02
KR1020150016295 2015-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61A true KR20160094861A (ko) 2016-08-10
KR101765575B1 KR101765575B1 (ko) 2017-08-07

Family

ID=5671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118A KR101765575B1 (ko) 2015-02-02 2016-01-27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6460B2 (ko)
EP (1) EP3254680B1 (ko)
JP (1) JP6469877B2 (ko)
KR (1) KR101765575B1 (ko)
CN (1) CN107205963B (ko)
DK (1) DK3254680T3 (ko)
ES (1) ES2893155T3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161A (ko) * 2017-02-22 2018-08-30 국립암센터 고시폴 및 펜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91222A (ko) 2018-01-26 2019-08-0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칼슘 채널 억제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013435A1 (ko) * 2018-07-09 2020-01-16 국립암센터 고시폴, 펜포르민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013434A1 (ko) * 2018-07-09 2020-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데히드 억제제,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0204678A1 (ko) 2019-04-04 2020-10-0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트리메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17904A (ko) 2019-04-04 2020-10-1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트리메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213939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진센 항암제의 병용투여용 약학조성물
WO2020213938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진센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112541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속발성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137606A1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Sglt-2 억제제 및 고시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41425A1 (ko) * 2020-01-08 2021-07-15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비구아나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893B1 (ko) 2016-02-18 2018-10-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89033A1 (en) 2007-05-31 2008-12-11 Ascenta Therapeutics, Inc. Pulsatile dosing of gossypol for treatment of disease
US8574829B2 (en) * 2009-03-31 2013-11-05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s of treating cancer with phenformin
US20120302629A1 (en) * 2009-08-07 2012-11-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Biomarkers for gossypol chemotherapy and methods of treating disease
KR101900478B1 (ko) * 2011-08-04 2018-09-20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암의 재발 또는 전이의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206939B2 (ja) * 2011-10-11 2017-10-04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肝がん幹細胞阻害剤
KR101242726B1 (ko) 2012-01-26 2013-03-13 한국과학기술원 종양줄기세포 특성 암의 진단 및 치료제
KR101579371B1 (ko) * 2014-02-27 2015-12-22 국립암센터 고시폴 및 펜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180015056A1 (en) 2015-02-02 2018-01-1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ntaining aldehyde inhibitor and biguanide-based compound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8290A (ja) * 2017-02-22 2020-03-19 ナショナル キャンサー センター ゴシポールおよびフェンホルミ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膵臓癌予防およ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CN110312508A (zh) * 2017-02-22 2019-10-08 国立癌研究院 含有棉酚和苯乙双胍作为活性成分的预防和治疗胰腺癌的药物组合物
EP3586836A4 (en) * 2017-02-22 2020-12-30 National Cancer Cent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NCREAM CANCER, WITH GOSSYPOL AND PHENFORMIN AS ACTIVE INGREDIENTS
IL268224B2 (en) * 2017-02-22 2024-04-01 Nat Cancer Ct A pharmaceutical compoun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containing GOSSYPOL and PHENFORMIN as active ingredients
KR20180097161A (ko) * 2017-02-22 2018-08-30 국립암센터 고시폴 및 펜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IL268224B1 (en) * 2017-02-22 2023-12-01 Nat Cancer Ct A pharmaceutical compoun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containing GOSSYPOL and PHENFORMIN as active ingredients
KR20190091222A (ko) 2018-01-26 2019-08-0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칼슘 채널 억제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05906A (ko) * 2018-07-09 2020-01-17 국립암센터 고시폴, 펜포르민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05777A (ko) * 2018-07-09 2020-0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데히드 억제제,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0013434A1 (ko) * 2018-07-09 2020-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데히드 억제제,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0013435A1 (ko) * 2018-07-09 2020-01-16 국립암센터 고시폴, 펜포르민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204678A1 (ko) 2019-04-04 2020-10-0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트리메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17904A (ko) 2019-04-04 2020-10-1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트리메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213939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진센 항암제의 병용투여용 약학조성물
WO2020213938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진센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1006876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속발성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112541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속발성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137606A1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Sglt-2 억제제 및 고시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41425A1 (ko) * 2020-01-08 2021-07-15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비구아나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10089315A (ko)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비구아나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5963B (zh) 2021-03-23
JP2018507196A (ja) 2018-03-15
US10646460B2 (en) 2020-05-12
DK3254680T3 (da) 2021-10-11
KR101765575B1 (ko) 2017-08-07
US20190254995A1 (en) 2019-08-22
JP6469877B2 (ja) 2019-02-13
EP3254680B1 (en) 2021-09-22
ES2893155T3 (es) 2022-02-08
EP3254680A4 (en) 2018-08-22
CN107205963A (zh) 2017-09-26
EP3254680A2 (en)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75B1 (ko)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TWI688387B (zh) 二氫槲皮素或其醫藥上可接受之鹽、或含有彼之組合物的醫藥用途
KR102011105B1 (ko) 고시폴 및 펜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6264685B2 (ja) マルチキナーゼ阻害剤、抗癌剤、抗転移剤、薬剤耐性抑制剤、疼痛抑制剤及び止痒薬
JP6367038B2 (ja) 受容体の細胞内輸送制御による白血病治療のための新規医薬組成物
KR20220034505A (ko) 암의 기원 세포의 사멸용 약학적 조성물
JP6234553B2 (ja) 抗癌剤および副作用軽減剤
US20220016118A1 (en) Combination of a mcl-1 inhibitor and midostaurin, u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1075135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N106999596A (zh) 菜蓟滴定提取物及其用途
CN111773390B (zh) 一种药物在制备治疗脑转移瘤及其相关疾病的药品中的应用
WO2016126073A2 (ko) 알데히드 억제제 및 비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의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US2018001505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ntaining aldehyde inhibitor and biguanide-based compound
CN104622874B (zh) Ccr4拮抗剂在抑制癌生长及转移中的应用
KR102192833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769852B2 (ja) Psf1遺伝子発現抑制剤
KR101800129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98976A1 (ko) 1, 2-나프토퀴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형암 또는 혈액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01365A (ko) 피리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약학 조성물
CN109758450B (zh) 一种抗肿瘤新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1125868A1 (ko) poly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8288520B2 (en) Combination of a Mcl-1 inhibitor and a standard of care treatment for hematologic cancers, u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KR20230142733A (ko) 암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20240072366A (ko) 펜타데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및 이의 용도
KR20190036172A (ko) 항암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