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456A -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 Google Patents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456A
KR20160094456A KR1020150014647A KR20150014647A KR20160094456A KR 20160094456 A KR20160094456 A KR 20160094456A KR 1020150014647 A KR1020150014647 A KR 1020150014647A KR 20150014647 A KR20150014647 A KR 20150014647A KR 20160094456 A KR20160094456 A KR 2016009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p
load cell
loa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379B1 (ko
Inventor
주진원
박호종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영이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영이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3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을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스프링 행거에 관한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면서 하우징을 천정 구조물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형성된 탑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하부를 마감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 및 하부캡이 씌워지는 탄성부재과, 하부캡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 및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상부가 상부캡에 장착되고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물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SPRING HANGER WITH A LOAD CELLS}
본 발명은 구조물에 현수(suspension)되는 배관, 덕트, 또는 각종 장치 등을 지지하는 스프링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되는 지지물의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튜디오나 음향시험실, 음향측정실 등에 구비되는 여러 가지 천정 고정용 기기들은 음의 진동 및 전파 등을 고려하여 천정에 행거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 공간 활용률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또한, 발전소, 석유화학시설, 해양플랜트, 반도체, LCD 생산 공장, 공조설비 또는 선박 등의 제어계통에 있어서도 다수의 장비와 더불어 이들 간에 연결되는 배관과 덕트 등이 실내의 천정 등의 구조물에 고정된다.
전술한 배관과 덕트는 그 직경에 비해 길이가 상당히 길고 강성이 작으며, 진동의 전파가 쉽고, 또한 고유진동수가 낮아서 팬(fan)이나 펌프 등의 기진력에 의해 쉽게 공진되고, 특히 배관은 관내를 이송하는 유체의 온도 및 배관의 하중에 따라 전체적인 하중이 변하기 때문에 쉽게 공진되는데, 공진에 의한 고주파 진동이 발생되면 그 자체의 연결부 등에 피로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키고, 나아가 배관과 덕트가 현수된 구조물에 변형을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기구 및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탄성부재의 완충작용을 이용해 하중변화 및 외부충격에 따른 진동을 감쇠시키는 스프링 행거(spring hanger)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스프링 행거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탄성부재에 피로가 누적되고 심할 경우 탄성부재가 탄성한계를 넘어 소성변형이 일어나 스프링 행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탄성부재가 설계 당시의 운전조건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프링 행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0535234 호(등록일자: 2005. 12. 02),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227772 호(등록일자: 2013. 01. 23)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을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면서 하우징을 천정 구조물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형성된 탑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하부를 마감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 및 하부캡이 씌워지는 탄성부재과, 하부캡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 및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상부가 상부캡에 장착되고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물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연결수단은 탑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브라켓일 수 있다.
하부캡의 하부면 상에는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이 고정 장착되며, 하부캡에 고정 장착된 로드셀의 하부면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고정 장착된다.
상부캡에는 스프링 로드의 상부가 체결너트에 의해서 상기 상부캡에 장착되고, 스프링 로드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 로드셀 및 하부캡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턴버클의 상단이 체결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턴버클 하단에는 지지물이 매달려 지지된다.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1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로드셀의 하부면에는 제 1 안착돌기에 끼워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며, 하부캡의 하부면는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로드셀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안착홈에 끼워지는 제 2 안착돌기가 형성된다.
하우징에는 승강 작동하는 상부캡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안내홈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캡에는 안내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안내브라켓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를 마감하면서 연결수단에 의해 하우징을 바닥 구조물에 고정 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탑 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 및 하부캡이 씌워지는 탄성부재과, 하부캡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 및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하부가 상부캡에 장착되고 상부는 탑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물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는 앵커볼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에 의해 바닥 구조물에 고정되거나 또는 바닥 구조물에 용접 고정된다.
하부캡의 하부면 상에는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이 고정 장착되며, 하부캡에 고정 장착된 로드셀의 하부면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고정 장착된다.
상부캡에는 스프링 로드의 하부가 체결너트에 의해서 상기 상부캡에 장착되고, 스프링 로드의 상부는 탑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장되면서 지지물을 받쳐 지지하며, 스프링 로드의 상부에는 지지물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체결된다.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1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로드셀의 하부면에는 제 1 안착돌기에 끼워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며, 하부캡의 하부면는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로드셀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안착홈에 끼워지는 제 2 안착돌기가 형성된다.
하우징에는 승강 작동하는 상부캡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안내홈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캡에는 안내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안내브라켓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는,스프링 행거는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스프링 행거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진단하여 현장의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구조물(F)에 장착되고 천정 구조물(F)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지나는 지지물(S)을 지지한다.
도 1에는 지지물(S)로 배관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100)에는 덕트(duct), 또는 음향기기 등과 같은 지지물(S)이 지지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100)는 천정 구조물(F)에 연결되는 고정부(110), 및 고정부(110)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천정 구조물(F)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물(P)을 탄성 지지하면서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부(110)는 하우징(112)과, 하우징(112)을 천정 구조물(F)에 연결시키는 탑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하우징(112)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지지부(130)가 승강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12)에는 승강 작동하는 지지부(130)를 안내하는 안내홈(114)이 형성된다. 안내홈(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2)의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탑 플레이트(116)는 개방된 하우징(112)의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하부면이 하우징(112)의 상부에 용접 고정된다. 이러한 탑 플레이트(116)는 연결수단에 의해 천정 구조물(F)과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탑 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상에는 하우징(112)을 천정 구조물(F)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18)이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브라켓(1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상에서 탑 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데, 연결브라켓(118)과 천정 구조물(F)은 핀(P; 도 1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탑 플레이트(116)의 연결브라켓(118)과 천정 구조물(F)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는 탑 플레이트(116)의 연결브라켓(118)과 천정 구조물(F)이 핀(P)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지만 탑 플레이트(116)의 연결브라켓(118)과 천정 구조물(F)의 연결을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112)의 개방된 하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의해 마감되는데, 베이스플레이트(120)는 하우징(112)의 하부에 용접 고정된다.
한편, 지지부(130)는 탄성부재(132), 및 탄성부재(1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138)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32)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의 탄성블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32)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132)는 하우징(112)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탄성부재(13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134) 및 하부캡(136)이 씌워지는데, 하부캡(136)의 하부면 상에는 탄성부재(1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138)이 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캡(136)에 고정 장착된 로드셀(138)의 하부면은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상에 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다시 말해, 로드셀(138) 및 하부캡(136)은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고정 장착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상에는 로드셀(138)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1 안착돌기(142)가 형성되고, 로드셀(138)의 하부면 상에는 제 1 안착돌기(142)에 끼워지는 제 1 안착홈(144)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캡(136)의 하부면 상에는 로드셀(138)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2 안착홈(148)이 형성되고, 로드셀(138)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안착홈(148)에 끼워지는 제 2 안착돌기(146)가 형성된다.
한편, 탄성부재(132)의 상부에 씌워진 상부캡(134)에는 지지물(S)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140)가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스프링 로드(140)의 상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너트(142)에 의해서 상부캡(134)에 장착되고 스프링 로드(140)의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120)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데, 이때 스프링 로드(14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20), 로드셀(138) 및 하부캡(136)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턴버클(T; turn buckle)의 상단이 체결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외부로 노출된 턴버클(T)의 하단에는 지지물(S)이 매달려 지지된다.
즉, 스프링 로드(140)와 연결된 턴버클(T)에 매달려 지지되는 지지물(S)의 하중변화 및 외부충격에 따른 진동은 스프링 로드(140) 및 상부캡(134)을 거쳐 탄성부재(132)에 전달되는데, 이때 탄성부재(132)는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전달된 진동을 감쇠시킨다.
그리고 탄성부재(132)에 작용하는 하중은 로드셀(138)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별도의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된다. 여기서 로드셀(138)과 로드셀(138)에서 측정된 테이터를 수치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탄성부재(132)가 내장되는 하우징(112)의 내경은 압축 및 복원 작동하는 탄성부재(132)의 외경과 접촉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캡(134)에는 하우징(112)에 형성된 안내홈(11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안내브라켓(122)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구조물(F)에 장착되고 바닥 구조물(F)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부를 지나는 지지물(S)을 지지한다.
도 3에는 지지물(S)로 배관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200)에는 덕트(duct), 또는 음향기기 등과 같은 지지물(S)이 지지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되는 스프링 행거(200)는 바닥 구조물(F)에 연결되는 고정부(210), 및 고정부(210)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닥구조물(F)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물(S)을 탄성 지지하면서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부(210)는 하우징(212)과, 하우징(212)을 바닥 구조물(F)에 연결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하우징(212)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하우징(212)의 내부에는 지지부(230)가 승강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12)에는 승강 작동하는 지지부(230)를 안내하는 안내홈(214)이 형성된다. 안내홈(2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2)의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220)는 개방된 하우징(212)의 하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하우징(212)의 하부에 용접 고정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20)는 연결수단, 예를 들면 통상의 앵커볼트(B) 등에 의해서 바닥 구조물(F)에 고정되거나, 또는 베이스플레이트는 바닥 구조물에 용접 고정된다.
여기서 앵커볼트(B)에 의해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220)와 바닥 구조물(F)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하우징(212)의 개방된 상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216)에 의해 마감되는데, 탑 플레이트(216)는 하우징(212)의 상부에 용접 고정된다.
한편, 지지부(230)는 탄성부재(232), 및 탄성부재(2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238)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재(232)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의 탄성블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도 4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32)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232)는 하우징(212)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탄성부재(23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234) 및 하부캡(236)이 씌워지는데, 하부캡(236)의 하부면 상에는 탄성부재(2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238)이 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캡(236)에 고정 장착된 로드셀(238)의 하부면은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상부면 상에 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다시 말해, 로드셀(238) 및 하부캡(236)은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상부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고정 장착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상부면 상에는 로드셀(238)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1 안착돌기(242)가 형성되고, 로드셀(238)의 하부면 상에는 제 1 안착돌기(242)에 끼워지는 제 1 안착홈(244)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캡(236)의 하부면 상에는 로드셀(238)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2 안착홈(248)이 형성되고, 로드셀(238)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안착홈(248)에 끼워지는 제 2 안착돌기(246)가 형성된다.
한편, 탄성부재(132)의 상부에 씌워진 상부캡(234)에는 지지물(S)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240)가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스프링 로드(140)의 하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너트(242)에 의해 상부캡(234)에 장착되고 스프링 로드(140)의 상부는 탑 플레이트(216)를 관통하여 탑 플레이트(216)의 외부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216)의 외부로 연장된 스프링 로드(240)의 상부에는 지지물(S)이 받쳐져 지지된다. 이때 스프링 로드(240)의 상부에는 지지물(S)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T)가 체결된다.
즉, 스프링 로드(240)에 받쳐져 지지되는 지지물(S)의 하중변화 및 외부충격에 따른 진동은 스프링 로드(240) 및 상부캡(234)을 거쳐 탄성부재(232)에 전달되는데, 이때 탄성부재(232)는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전달된 진동을 감쇠시킨다.
그리고 탄성부재(232)에 작용하는 하중은 로드셀(238)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별도의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된다. 여기서 로드셀(238)과 로드셀(238)에서 측정된 테이터를 수치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탄성부재(232)가 내장되는 하우징(212)의 내경은 압축 및 복원 작동되는 탄성부재(232)의 외경과 접촉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캡(234)에는 하우징(212)에 형성된 안내홈(21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안내브라켓(2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행거(100, 200)는 탄성부재(132, 2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38, 238)을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탄성부재(132, 2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스프링 행거(100, 200)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진단하여 현장의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 행거(100, 2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200 : 스프링 행거 110, 210 : 고정부
112, 212 : 하우징 114, 214 : 안내홈
116, 216 : 탑 플레이트 118, 218 : 연결브라켓
120, 220 : 베이스플레이트 122, 222 : 안내브라켓
130, 230 : 지지부 132, 232 : 탄성부재
134, 234 : 상부캡 136, 236 : 하부캡
138, 238 : 로드셀 140, 240 : 스프링 로드
142, 242 : 제 1 안착돌기 144, 244 : 제 1 안착홈
146, 246 : 제 2 안착돌기 148, 248 : 제 2 안착홈

Claims (12)

  1.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천정 구조물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형성된 탑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마감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 및 하부캡이 씌워지는 탄성부재과, 상기 하부캡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 및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상부가 상기 상부캡에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물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로드셀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하부캡에 고정 장착된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스프링 로드의 상부가 체결너트에 의해서 상기 상부캡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로드셀 및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턴버클의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턴버클 타단에는 상기 지지물이 매달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1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안착돌기에 끼워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하부면는 상기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셀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제 2 안착홈에 끼워지는 제 2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상부캡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안내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안내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7.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마감하면서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바닥 구조물에 고정 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탑 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캡 및 하부캡이 씌워지는 탄성부재과, 상기 하부캡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 및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상부캡에 장착되고 상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물을 지지하는 스프링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앵커볼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에 의해 바닥 구조물에 고정되거나 또는 바닥 구조물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로드셀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하부캡에 고정 장착된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스프링 로드의 하부가 체결너트에 의해서 상기 상부캡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로드의 상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물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 로드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물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1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안착돌기에 끼워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하부면는 상기 로드셀이 흔들림 없이 안착되게 하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셀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제 2 안착홈에 끼워지는 제 2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상부캡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안내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안내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1020150014647A 2015-01-30 2015-01-30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10171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47A KR101715379B1 (ko) 2015-01-30 2015-01-30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47A KR101715379B1 (ko) 2015-01-30 2015-01-30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456A true KR20160094456A (ko) 2016-08-10
KR101715379B1 KR101715379B1 (ko) 2017-03-23

Family

ID=5671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647A KR101715379B1 (ko) 2015-01-30 2015-01-30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3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0260A (zh) * 2017-10-31 2018-03-23 广东骏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管件的固定装置
KR102239136B1 (ko) * 2020-09-28 2021-04-13 주식회사 영광 배관용 지지장치
KR20220035008A (ko) * 2020-09-11 2022-03-21 주식회사 영광 배관용 지지장치
CN115565343A (zh) * 2022-09-27 2023-01-03 中交四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岩溶隧道结构安全用预警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304A (ko) 2022-03-18 2023-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행거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 행거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27Y1 (ko) * 1994-11-10 1998-10-15 윤은중 스프링 행거
KR100535234B1 (ko) * 2003-11-19 2005-12-12 유노빅스이엔씨(주) 건축 설비 방진용 스프링 행거
KR101227772B1 (ko) * 2011-07-11 2013-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361830B1 (ko) * 2012-07-09 2014-02-21 경북광유(주)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27Y1 (ko) * 1994-11-10 1998-10-15 윤은중 스프링 행거
KR100535234B1 (ko) * 2003-11-19 2005-12-12 유노빅스이엔씨(주) 건축 설비 방진용 스프링 행거
KR101227772B1 (ko) * 2011-07-11 2013-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361830B1 (ko) * 2012-07-09 2014-02-21 경북광유(주)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0260A (zh) * 2017-10-31 2018-03-23 广东骏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管件的固定装置
KR20220035008A (ko) * 2020-09-11 2022-03-21 주식회사 영광 배관용 지지장치
KR102239136B1 (ko) * 2020-09-28 2021-04-13 주식회사 영광 배관용 지지장치
CN115565343A (zh) * 2022-09-27 2023-01-03 中交四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岩溶隧道结构安全用预警监测方法
CN115565343B (zh) * 2022-09-27 2024-05-03 中交雄安建设有限公司 一种岩溶隧道结构安全用预警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379B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379B1 (ko)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101886698B1 (ko)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RU2279584C1 (ru) Резинов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JP5132456B2 (ja) 天井ブレース連結構造
KR101879420B1 (ko) 내진성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또는 분전반 그리고 그 설치방법
KR20210063430A (ko) 동특성 측정장치
CN210863078U (zh) 一种车身悬置的刚度测试工装
JP5314727B2 (ja) 定置用エンジンの計装機器設置装置
JP2007146898A (ja) 除振装置
JP2008267870A (ja) 車載用防振装置の異音検査方法
JP2008267871A (ja) 車載用防振装置の異音検査方法
JP7208422B1 (ja) 防振装置
GB2529316A (en) Dynamic stiffn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JP5530333B2 (ja) 防振装置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4255198B2 (ja) 防振装置
Ziaran et al. Transmission of vibrations through vibration isolators, theory and application
JP5139960B2 (ja) アクティブ防振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
JP5043075B2 (ja) 熱源機の壁面設置用防振装置
KR101995516B1 (ko) 항공기 외부장착물 진동시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2786A (ko) 금속판스프링을 이용한 동조질량감쇠기 및 이를 이용한 방진베이스
Cabaret et al. Prediction of structure borne noise and vibration for resiliently coupled equipment using blocked forces and substructuring
Ziaran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vibration isolation on the dynamic loading of machin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n et al. Determination of the Transfer Matrix for Isolators Using Simulation with Application to Determining Insertion Loss
JP2001234972A (ja) 制振ユニット及び制振装置
Gilani et al. Static and shake table testing of suspended ceilings and assessment of the US building code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