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830B1 -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 Google Patents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830B1
KR101361830B1 KR1020120074539A KR20120074539A KR101361830B1 KR 101361830 B1 KR101361830 B1 KR 101361830B1 KR 1020120074539 A KR1020120074539 A KR 1020120074539A KR 20120074539 A KR20120074539 A KR 20120074539A KR 101361830 B1 KR101361830 B1 KR 101361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ell
oil
tank
tank body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185A (ko
Inventor
박윤경
Original Assignee
경북광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광유(주) filed Critical 경북광유(주)
Priority to KR102012007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8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8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for tank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8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탱크 내의 유량측정을 위해 로드셀을 채용하고, 유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 난방 설비가 구비된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의 지하매설용 유류탱크로서, 강판으로 가공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탱크본체(10);와, 탱크본체(1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주유입구(20);와, 유류가 유입되게 주유입구(20) 상부의 내부에서 연직하방으로 탱크본체(1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관 형상의 주유구(30);와, 유류가 배출되도록 유입구(30)와 이격되어 주유입구(20)에서 연직하방으로 탱크본체(10)의 전체 상부 지점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관 형상의 배출구(40);와, 2 개의 직선 빔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아치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탱크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탱크본체(1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00);와, 상부지지대(10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탱크본체(10) 내 유류의 하중을 측정하는 다수의 로드셀결합체(110);와, 로드셀결합체(110)가 안착되게 지면과 결속되는 직선 형상의 프레임인 하부지지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The underground oil tank with an oil scale using load cells}
본 발명은 지하매설되는 유류 탱크에 있어서, 탱크 내의 유량을 다수 개 구비되는 로드셀로 측정하여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탱크 내부에 대한 냉,난방 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에 관한 것이다.
유럽발 세계경제의 침체 및 중동 지역의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유가의 급등이 빈번히 발생하여 각국 경제 발전 및 물가 안정에 적지 않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알뜰주유소를 비롯한 각종 세제혜택 방안을 마련하여 유가로 인한 서민 및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려는 노력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이 체감하기에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대외적 요인을 해결하기에는 수많은 시간과 시행착오가 있기 때문에 그나마 유가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 시행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유류의 양을 정확히 계측하여 소비자 및 공급자가 정확한 양의 기름을 소비 및 공급함으로써 유류 소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종래에 유량 측정은 압력식, 광섬유, 초음파식, 자석식, 리드 스위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방법은 유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감지가능한 요소로부터 측정치를 산출해내는 방식으로서 그 정확성에서 의문의 여지가 다소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573호(주유소 기름 탱크 유량측량장치)에서는 기름 탱크 내부에 바를 수직방향으로 수장시켜 유량을 측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바의 하단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기름이 실린더 공으로 유입되도록 상단부 측면에 뚫리게 되는 유입공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승, 하강하는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고정되어 유입공을 개폐시키는 고무피스톤과, 상기 고무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해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고 바의 상,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가이드 롤러에 의해 안내되어 바 상단부에서 결속되는 와이어의 장력이 제거되면 피스톤 로드에 탄력을 부여하여 고무피스톤이 상승하게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름 탱크의 유량측량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구조상으로 다수의 기계적 요소가 구성되어 유지 보수 및 기름탱크의 운전 신뢰성에 있어서 취약점이 드러난다. 특히 탱크 내부에 롤러 및 피스톤과 같은 부속품을 설치함으로써 부속품의 기능이 저하되고 외관에 손상이 생길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854호(유량측정장치)에서는 기름 탱크 내부의 기름이 유입되도록 상, 하가 관통된 제1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 내부에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에 걸리는 스프링과, 몸체에 형성된 제1유입구와 스프링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오 링과 스프링을 고정하는 너트로 구성된 기름 유입부와, 상기 제1끼움부에 끼워져 유입구로 유입된 기름이 기름 탱크 유량의 높이만큼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설치되는 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스프링과 주변 구성요소가 기름 탱크 내부에 노출되어 있어 사용년한이 증가함에 따라 부속품의 노후화로 인한 측정 기능이 저하되어 측정된 유량값의 신뢰도가 감소하여 실효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두 실용신안은 탱크 내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변화로 인한 유량 측정치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탱크 내의 유량을 다수 개 구비되는 로드셀로 측정하여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탱크 내부에 대한 냉,난방 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탱크 내의 유량을 다수 개 구비되는 로드셀로 측정하여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탱크 내부에 대한 냉,난방 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판으로 가공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탱크본체(10);와, 탱크본체(1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주유입구(20);와, 유류가 유입되게 주유입구(20) 상부의 내부에서 연직하방으로 탱크본체(1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관 형상의 주유구(30);와, 유류가 배출되도록 유입구(30)와 이격되어 주유입구(20)에서 연직하방으로 탱크본체(10)의 전체 상부 지점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관 형상의 배출구(40);와, 2 개의 직선 빔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아치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탱크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탱크본체(1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00);와, 상부지지대(10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탱크본체(10) 내 유류의 하중을 측정하는 다수의 로드셀결합체(110);와, 로드셀결합체(110)가 안착되게 지면과 결속되는 직선 형상의 프레임인 하부지지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셀(110)결합체는 원통 형상의 로드셀몸체(111-1)의 상, 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돔형의 로드셀돌기(111-2)로 이루어지는 로드셀유닛(111);과,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함몰되어 로드셀몸체(111-1)가 결착되는 안착대홈(112-1)과, 상기 안착대홈(112-1)의 밑면 중심부에 로드셀돌기(111-2)의 크기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가 통삽되는 안착턱(112-2)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로드셀안착대(112);와, 로드셀안착대(112)의 링형 상면에 성형되는 링형의 홈인 결속홈(112-3)의 폭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로드셀안착대(112) 상면에 결착되는 관 형상의 탄성지지링(113);과, 하면에 탄성지지링(113)의 노출된 높이만큼 링 형상으로 함몰된 제1덮개홈(114-1)과, 중심부에는 밑면이 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 홈인 제2덮개홈(114-2)을 구비한 원판 형상의 로드셀덮개(114);와, 상기 탄성지지링(113)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홈(114-1)의 측면과 맞닿게 탄성지지링(113)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연결되는 탄성부재(115);와, 원통 형상의 상면에 로드셀안착대(112)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6-1)과 제1안착홈(116-1)의 중심에 아치형으로 연장 함몰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와 점접촉되는 제2안착홈(116-2)을 구비한 로드셀고정대(1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10)는 유류의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구조로서, 탱크본체(10)의 원통형 외주면을 다수 회 등간격으로 감싸는 튜브 형상의 히팅케이블(50);과, 상기 히팅케이블(50)에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를 조절하여 히팅케이블(50)에 공급되는 설정 온도를 제어하도록 탱크본체(10)의 측면부에 결속되는 제어반(60);와, 탱크본체(10)의 원통형 외주면을 다수 회 등간격으로 감싸되, 상기 히팅케이블(50)과 간섭되지 않게 이격되게 설치되는 냉각튜브(70);와,상기 탱크본체(1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냉각튜브(70)의 양 말단이 연결되게함으로써 일단으로 유입되는 사용수를 냉각하고, 타단으로는 냉각된 냉각수를 냉각튜브(70)로 공급하는 원통 형상의 냉각장치(80);와, 탱크본체(10)의 내측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탱크 내부의 유류 온도를 측정하게 채용되는 온도센서(90);로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시에는 냉각장치(80)를 통해 냉각튜브(70)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유류 온도를 기준온도로 낮추고, 온도의 하강시에는 제어반(60)를 통해 히팅케이블(50)에 전력을 공급하여 유류 온도를 기준온도로 높임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장치(80)는 냉각수가 냉각튜브(70)로 공급되게 하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인 유출구(82)와,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게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인 유입구(83)가 형성되고 냉각수를 임시 저장하는 원통 형상의 수조(81);와, 수조(81) 높이의 1/2 에 해당하는 크기의 원통 형상으로서 수조(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연 상에는 타원형의 돌출 및 함몰이 교차 형성되는 다수의 접촉돌기(84-1)와 하단부에는 측방향으로 하향절곡 연장되면서 수조(81)의 내경과 밀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84-2)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수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블록(84);과, 상기 냉각블록(84)의 상면에 안착되어 냉각블록(84)이 흡수한 열을 취하는 열전모듈(85);과, 열전모듈(85)의 상면과 안착되어 열전모듈(85)이 보유한 열을 흡수하는 방열판(86);과, 외주면이 메쉬구조의 망으로 된 원통 형상으로서 방열판(86)의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방열판(86)에 의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망(87);과, 방열판(86)의 상면에 설치되어 방열판(86)에 의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팬(8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탱크 내의 유량을 다수 개 구비되는 로드셀로 직접 측정하여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탱크 내부를 히팅케이블 및 냉각튜브를 통해 직접 냉,난방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변화를 방지하여 주유소에서 유류 판매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판매량의 조작 및 정확성에 대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오해의 소지를 불식시킬 수 있고, 주유소 사업자는 유류의 정확한 양을 알 수 있어 재고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류의 온도를 항상 기준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최적의 유류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고품질의 유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며, 부가적으로 기존의 유량 측정법과 비교하여 기계구조적인 요소가 간단하여 유류 탱크의 개보수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개보수 작업공정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로드셀결합체(110)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로드셀결합체(11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튜브 및 히팅케이블의 배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히팅케이블(50)과 제어반(60)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냉각튜브(70)와 냉각장치(80)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냉각장치(8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냉각장치(80)의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상부지지대(100)와 하부지지대(120) 및 로드셀결합체(11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강판으로 가공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탱크본체(10);와, 탱크본체(1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주유입구(20);와, 유류가 유입되게 주유입구(20) 상부의 내부에서 연직하방으로 탱크본체(1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관 형상의 주유구(30);와, 유류가 배출되도록 유입구(30)와 이격되어 주유입구(20)에서 연직하방으로 탱크본체(10)의 전체 상부 지점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관 형상의 배출구(40);와, 2 개의 직선 빔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아치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탱크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탱크본체(1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00);와, 상부지지대(10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탱크본체(10) 내 유류의 하중을 측정하는 다수의 로드셀결합체(110);와, 로드셀결합체(110)가 안착되게 지면과 결속되는 직선 형상의 프레임인 하부지지대(120);와, 설비의 유지 보수 시에 출입구로 사용하도록 탱크본체(10)가 매설되는 지평면의 일측에 탱크본체와 1 내지 1.5 m 이격된 거리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맨홀(130);과, 작업자가 안전하게 매설 바닥면에 착지할 수 있도록 맨홀(130)과 바로 인접한 매설공간의 벽면에서 연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사다리(140);로 본 발명이 구성됨을 보여준다.
상기 로드셀(110)결합체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로드셀몸체(111-1)의 상, 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돔형의 로드셀돌기(111-2)로 이루어지는 로드셀유닛(111);과,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함몰되어 로드셀몸체(111-1)가 결착되는 안착대홈(112-1)과, 상기 안착대홈(112-1)의 밑면 중심부에 로드셀돌기(111-2)의 크기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가 통삽되는 안착턱(112-2)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로드셀안착대(112);와, 로드셀안착대(112)의 링형 상면에 성형되는 링형의 홈인 결속홈(112-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로드셀안착대(112) 상면에 결착되는 관 형상의 탄성지지링(113);과, 하면에 탄성지지링(113)의 노출된 높이만큼 링 형상으로 함몰된 제1덮개홈(114-1)과, 중심부에는 밑면이 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 홈인 제2덮개홈(114-2)을 구비한 원판 형상의 로드셀덮개(114);와, 상기 탄성지지링(113)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홈(114-1)의 측면과 맞닿게 탄성지지링(113)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연결되는 탄성부재(115);와, 원통 형상의 상면에 로드셀안착대(112)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6-1)과 제1안착홈(116-1)의 중심에 아치형으로 연장 함몰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와 점접촉되는 제2안착홈(116-2)을 구비한 로드셀고정대(1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히팅케이블(50)과 냉각튜브(70)가 탱브본체(10)의 외주면 상에 다수 회 권취됨으로써 유류의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0)의 원통형 외주면을 다수 회 등간격으로 감싸는 튜브 형상의 히팅케이블(50);과, 상기 히팅케이블(50)에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를 조절하여 히팅케이블(50)에 공급되는 설정 온도를 제어하도록 탱크본체(10)의 측면부에 결속되는 제어반(60);으로 구성되는 유류 가열 설비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0)의 원통형 외주면을 다수 회 등간격으로 감싸되, 상기 히팅케이블(50)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는 냉각튜브(70);와,상기 탱크본체(1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냉각튜브(70)의 양 말단이 연결되게함으로써 일단으로 유입되는 사용된 냉각수를 재냉각하고, 타단으로는 냉각된 냉각수를 냉각튜브(70)로 공급하는 원통 형상의 냉각장치(80);로 구성되는 유류 냉각 설비로 이루어지며, 탱크본체(10)의 내측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탱크 내부의 유온을 측정하게 채용되는 온도센서(90);로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시에는 제어반(60)에서 냉각장치(80)로 전원을 공급하며, 이에 냉각장치(80)가 냉각튜브(70)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유온을 기준온도로 낮추고, 온도의 하강시에는 제어반(60)을 통해 히팅케이블(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류 온도를 기준온도로 높임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장치(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가 냉각튜브(70)로 공급되게 하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인 유출구(82)와,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게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인 유입구(83)가 형성되고 냉각수를 임시 저장하는 원통 형상의 수조(81);와, 수조(81) 높이의 1/2 에 해당하는 크기의 원통 형상으로서 수조(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연 상에는 타원형의 돌출 및 함몰이 교차 형성되는 다수의 접촉돌기(84-1)와 하단부에는 측방향으로 하향절곡 연장되면서 수조(81)의 내경과 밀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84-2)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수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블록(84);과, 상기 냉각블록(84)의 상면에 안착되어 냉각블록(84)이 흡수한 열을 취하는 열전모듈(85);과, 열전모듈(85)의 상면과 안착되어 열전모듈(85)이 보유한 열을 흡수하는 방열판(86);과, 외주면이 메쉬구조의 망으로 된 원통 형상으로서 방열판(86)의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방열판(86)에 의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망(87);과, 방열판(86)의 상면에 설치되어 방열판(86)에 의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팬(8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각 요소 별로 상세 설명과 요소간 결합 관계에 대해 면밀히 파악해보고자 한다.
상기 탱크본체(10)는 원통 형상의 용기에 양 측면은 중심부가 완만하게 돌출되는 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재질의 구조는 탄소강 철판 상면에 유리섬유 및 에폭시라이너로 방수 도포한 이중벽 구조 또는 이중벽보다는 두꺼워 구조적 강도가 높은 탄소강 철판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주유입구(2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격벽 내에 플랜지 구조로 구비된 입구가 있어 탱크내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크기의 직경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유구(30)는 탱크본체(10)의 상부말단에서 시작하여 연직하방으로 30 내지 50 cm 연장되게 설치되는 직선형 파이프로서 이송된 유류가 저장되는 배관으로 사용되며,배출구(40)는 탱크본체(10) 내에 저장된 유류가 배출되어 주유기에 공급되게 하는 직선형 파이프로서 탱크본체(10)의 상부말단에서 시작하여 연직하방으로 연장되되, 탱크본체(10) 바닥면에서 10 내지 20 cm 이격되게 구성한다.
상기 히팅케이블(50)은 자율제어형(Self Regulating)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만 이루어지면 별도의 온도제어가 필요치 않아 설비 운영 측면에서 편의성이 있으나 비상사태나 긴급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소지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발열도체와 외피 사이에 미네랄 재질로 전기적 절연을 구성하고 있어 전기적 안정성이 높고, 플라스틱 피복의 히팅케이블에 비해 Copper Tube로 구성되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구성 재료가 무기질 및 금속으로 이루어져 수명이 반 영구적인 MI(Mineral Insulation) 히팅케이블을 채용하고자 한다. 히팅케이블의 설치 방법은 도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팅케이블(50)이 탱크본체(1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회 권취되게 탱크본체(10)와 접촉됨으로써, 히팅케이블(50)에서 발생한 열이 탱크 외피로 전도되어 내부의 유류에 전달되게 하는 것이다. 히팅케이블(50)과 탱크 외피의 결속을 위해 10 내지 20 cm의 길이로 절단된 절연테이프를 히팅케이블(50)의 30 내지 50 cm 간격마다 횡방향으로 부착한 후, 실리콘을 절연테이프 접착부위에 도포하여 결속력이 긴밀해지도록 한다. 히팅케이블(50)의 일단은 제어반(60)의 내부 전원공급회로에 연결되도록 하고, 타단은 마감부재인 직육면체 형상의 엔드캡(51)으로 절연하여 상부지지대(100)에 구비된 히팅케이블공(103-1)에 결속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히팅케이블(50)이 결속되는 탱크본체(10)의 외피에 히팅케이블(50)의 단면과 동일한 홈이 형성되어 열전달율을 높임으로써 유온 상승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60)은 직육면체 형상의 조작패널로서, 주유소 옥내배선과 연결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면에는 LCD 패널이 구비되어 현재 유온이 표시되며, LCD 패널의 하단에는 온도조절을 위해 온도상승버튼, 온도하강버튼이 구비되고, 전원의 투입 및 차단을 위한 ON/OFF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LCD 패널은 온도상승버튼 또는 온도하강버튼의 조작 시에 설정온도를 순간적으로 표시하여 설정온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반(60) 내부 전자회로에는 주유소 관리실의 서버와 송수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주유소 관리실에서 유류의 관리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튜브(70)는 고강력 폴리에스터사로 편조된 관의 내, 외면에 연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입힘으로써 내, 외압에 강한 재질을 채용하고, 냉각튜브(70)의 내경과 외경 간의 차이는 1.5 내지 2.0 mm 이하로 구성하여 냉각수의 냉기가 탱크본체(10)의 외피에 전달되는 효율이 높아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냉각튜브(70)의 배치는 도 3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각튜브(70)가 탱크본체(1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회 권취되게 탱크본체(10)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냉각튜브(70)에서 발생한 냉기가 탱크 외피로 전도되어 내부의 유류가 냉각되게 구성한다. 또한, 냉각튜브(70)와 탱크본체(10)의 결속을 위해 10 내지 20 cm 의 길이로 절단된 절연테이프를 냉각튜브(70)의 30 내지 50 cm 간격마다 횡방향으로 부착한 후, 실리콘을 절연테이프 접착부위에 도포하여 결속력이 긴밀해지도록 한다. 상기 냉각튜브(70)가 결속되는 탱크본체(10) 외피에 냉각튜브(70)의 단면과 동일하게 구성된 홈을 통해 냉각튜브(70)의 냉기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장치(80)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전자식 냉각방법을 채용한 것으로서, 냉각수를 임시 저장하는 원통 형상의 수조(81)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서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게 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냉각블록(84)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외피는 냉각수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단열기능이 있는 제1단열재(81-1)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원통 형상으로서 하단부가 절곡되어 모서리가 완만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단열재(81-1)의 내부 형상은 수조(81)과 동일하고, 외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높이는 수조(81)의 높이보다 5 내지 10 cm 크게 구성한다. 수조(81)의 하면 중심에는 냉각튜브(70)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유출구(82)가 연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조(81)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유출구(82)와 동일한 직경의 유입구(83)가 연직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조(81)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냉각블록(84)은 수조(81)에 유입된 물이 보유한 열을 흡수하는 구성 요소로서, 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등간격 및 주기적으로 돌출 및 함몰되는 타원형의 접촉돌기(84-1)가 다수 개 구비되며, 하부에서 말단부를 향해 측방향의 하향절곡을 이루는 돌출부(84-2)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블록에 의해 냉각된 물은 돌출부(84-2) 상면에 방사상 형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블록홀(84-3)을 통해 수조(81)의 하부로 진입하여 유출구(82)를 통해 냉각튜브(70)로 공급되어 냉각수로서 이용된다. 냉각블록(84)의 상면에는 나선형 홈이 냉각블록(84) 높이의 1/10 내지 1/8 부분까지 형성되고 냉각블록(84)의 상면에는 차단막(89)이 안착되는데, 차단막(89)은 원통 형상의 말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판으로 된 구조를 가지는데, 내부 중심에는 상기 냉각블록(84)에 형성된 나선형 홈과 동일한 직경의 나선형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차단막(89)의 상면에는 차단막(89)의 직경과 동일한 원통 형상의 중심에 차단막의 상부크기에 해당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단부가 제1단열재(81-1)의 측면부 폭만큼 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2단열재(89-1)가 안착되어 수조(81)의 상부방향으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차단막(89)에 형성된 관통공과 냉각블록에 형성된 나선형 홈에 일체 결속되게 형성된 나선형 돌기가 구비되고, 돌기의 말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상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89-5)로 차단막(89)과 냉각블록(84)을 고정시키되, 결합부재(89-5)와 차단막(89) 사이에 링 형상의 고무패킹(89-2)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무패킹(89-2)은 중심부가 링형으로 함몰되어 단면부가 'L'자형 턱 형상으로 성형되어 패킹의 수밀성을 높이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결합부재(89-5) 원통 형 상부의 하단에는 내측 중심부로 상기 고무패킹(89-2)의 'L'자형 턱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는 턱이 형성된다. 고무패킹(89-2)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제2단열재(89-1)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패킹결속판(89-3)을 통해 고무패킹(89-2)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89-5)의 상면에는 열전모듈(85)과 동일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열전모듈(85)이 안착된다. 수조(81)의 상부 영역에서 최외곽 구조물인 상판(89-4)이 결속되게 되는데, 상기 상판(89-4)은 크기는 제1단열재(81-1)의 외경과 동일한 원통형 판으로서 내부에 결합부재(89-5)의 직경과 같은 원통 형 중공부를 포함하되, 상판(89-4) 상면의 중공부측 말단부에서 내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턱의 내주면에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방열판(86)은 원통 형상의 구조물의 외주면에서 시작하여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판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형 구조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열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 말단부는 내측으로 폭이 축소되게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시 내측으로 폭이 축소되어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는데 상기 나선형의 돌기의 형상은 상판(89-4)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방열판(86)과 열전모듈(85)의 결속이 긴밀하게 된다. 방열망(87)은 방열판(86)과 1 내지 2 cm 이격되는 직경의 원통형 프레임으로서 방열망(87)의 외주연 상에 중심부를 향해 턱이 존재하여 방열팬(88)을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턱과 턱사이는 원형의 중공부로 이루어져 방열판(86)의 열기가 그대로 방열팬(8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망(87)의 외주면은 메쉬구조의 재질로 이루어져 방열판(86)의 측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메쉬구조의 틈 사이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열이 방출되는 범위를 최대화한다. 상기 상판(89-4) 상면의 양 측은 볼트나사로 체결되는데, 상기 볼트나사는 제1단열재(81-1)의 상부와 결속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방열망(87)의 말단부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턱 부위에는 상판(89-4)과 결속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볼트나사를 통해 방열망(87)과 상판(89-4)이 결속된다.
상기 온도센서(90)는 접촉식 온도센서를 채용하고 탱크본체(10) 내부 측면의 말단부에 내부온도 측정용 배관탐촉자가 설치된 온도센서가 결속되고, 온도센서에 연결된 전선은 제어반(60)내의 전자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회로를 통해 전원을 히팅케이블(50)로 직접공급하여 탱크내 유온을 높이거나, 제어반(60)에서 냉각장치(8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이 구비됨으로써 유류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탱크내 유류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온도센서(90) 측정값에 따라 탱크 내의 유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아래 표 1은 유류별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 증감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기준온도는 15 ℃로 규정하였으며, 유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온도가 증가하면 유류의 체적이 증가하여 실제 측량되는 유량은 크게 오측정되어 소비자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겨울철에는 실제보다 작게 오측정되어 판매자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할 소지가 있어 상기 온도센서(90)와, 제어반(60)에 연결된 히팅케이블(50)과, 냉각장치(8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튜브(70)를 통해 유류의 온도를 항상 기준온도로 유지하되 주유소 관리실의 서버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로드셀결합체(110)를 통해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유류 재고관리의 체계화 및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Figure 112012054683755-pat00001

상기 로드셀결합체(110)는 상부에 유도되는 중량물의 하중에 대응되게 변동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치에 따라 중량이 산출되게 제작된 압축형 로드셀을 채용하여 구성된다. 로드셀결합체(110)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유닛(111)은 압축형 로드셀로서, 원통 형상의 로드셀몸체(111-1)의 상, 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돔형의 로드셀돌기(111-2)로 이루어지되, 로드셀유닛(111)내부에는 하중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탄성체의 스트레인게이지가 구비되어, 길이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저항치가 로드셀몸체(111-1) 측면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반(60)으로 전송되고, 제어반(60)에서는 내부전자회로에 의해 연산된 전체 하중값이 주유소 관리실의 서버로 전송되게 한다.
상기 로드셀안착대(112)는 로드셀몸체(111-1)의 직경보다 2 배 내지 2.5 배 크고, 높이는 1.1 내지 1.3 배 큰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면에 로드셀몸체(111-1)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 홈인 안착대홈(112-1)이 구비되어 로드셀유닛(111)이 로드셀안착대(112)에 긴밀하게 안착되게 하고, 안착대홈(112-1)의 밑면 중심부에 로드셀돌기(111-2)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링 형의 안착턱(112-2)이 구성된다. 또한, 로드셀안착대(112)의 상면에는 로드셀안착대(112) 높이의 1/6 내지 1/5에 해당하는 깊이와 로드셀안착대(112) 폭의 1/3 내지 2/5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결속홈(112-3)이 구비되고, 결속홈(112-3)의 밑면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링(113)은 유류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파가 로드셀유닛(111)에 전달되는 경우, 로드셀의 하중 측정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충격을 완화하여 오측정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탄성지지링(113)은 상기 결속홈(112-3)과 동일한 형상의 밑면으로 이루어진 관 형상으로서, 외주면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관 형의 결속돌기(113-1)가 구비되어, 탄성부재(115)의 일단이 결속되게 하고, 상면에는 결속홈(112-3)에 구비된 나사홈의 위치와 동일한 지점에 나사선 모양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턱이 구성되어 볼트나사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탄성지지링(113)과 로드셀안착대(112)가 상호체결되게 한다.
상기 로드셀덮개(114)는 로드셀유닛(111)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재되는 중량물의 하중이 로드셀돌기(111-2)에 전달되도록 하는 원판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직경은 로드셀안착대(112)보다 1.1 내지 1.2 배 크게 구성하고 높이는 로드셀돌기(111-2)의 2 내지 2.5배가 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링(113)과 탄성부재(115)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함몰된 링 형상의 제1덮개홈(114-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밑면이 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와 점접촉되게 구비되는 원형 홈인 제2덮개홈(114-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15)의 일단은 결속돌기(113-1)에 상기와 같이 고정되고, 타단은 로드셀덮개(114)의 제1덮개홈(114-1)의 외측면에 면밀히 접촉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로드셀고정대(116)는 로드셀덮개(114)의 직경과 동일한 밑면과 로드셀안착대(112) 높이의 1.2 내지 1.4 배에 해당하는 높이로 이루어진 원판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그 상면에는 로드셀안착대(112)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 제1안착홈(116-1)이 형성되며, 제1안착홈(116-1)의 중심에 돔형으로 연장 함몰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와 점접촉되는 제2안착홈(116-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안착홈(116-2)의 직경은 로드셀돌기(111-2)보다 1.2 내지 1.4 배 크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덮개홈(114-2)의 직경은 로드셀돌기(111-2)보다 1 내지 1.5 mm 크게하여 탄성부재(115)의 유격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고, 탄성지지링(113)의 내측면과 제1덮개홈(114-1) 내측면 사이에도 1 내지 1.5 mm 의 유격 공간을 확보하게 구성한다. 또한, 탄성부재(115)의 말단이 결속되는 탄성지지링(113)의 외측면에는 링형의 결착턱이 구성되어 탄성부재(115)가 고정되게 한다. 로드셀덮개(114)와 로드셀고정대(116)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하여 로드셀결합체(110)의 외측면이 긴밀한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로 수분 또는 분진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로드셀결합체(110)가 상부지지대(100) 및 하부지지대(120)와 상호결속됨에 있어서, 로드셀덮개(114) 상면의 좌, 우측 말단부와 제3프레임(103)의 하면이 볼트나사로 상호체결되고, 로드셀안착대(112) 하면의 좌, 우측 말단부와 하부지지대(120)의 상면이 볼트나사로 상호체결되어 상부지지대(100)와 하부지지대(120) 사이에 로드셀결합체(110)가 결속되어 등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됨으로써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로드셀결합체(110)에서 측정된 중량치는 주유소 관리실의 컴퓨터와 연결된 제어선을 통해 전달되어 탱크의 실제 중량을 뺀 나머지 실제 유류의 중량을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의 양을 파악함으로써 유류의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게 하며 재고관리시스템의 신뢰성의 제고를 기하게 한다.
상기 상부지지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ㄷ'자형의 단면으로 된 직선 프레임으로 제1프레임(101)과, 제1프레임(101)의 내측면 상단부에서 중심으로 하향 절곡되어 아치형태를 이루며 연결되는 제2프레임(102)과, 제1프레임(101)의 말단부와 제2프레임(102)의 하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인 제3프레임(103)으로 이루어지되, 제1프레임(101), 제2프레임(102), 제3프레임(103) 간에 결합방식은 용접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상부지지대(100)의 구조적 견고함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제1프레임(101)의 상단면에는 반원형의 홈인 안내공(101-1)이 형성되는데, 이는 히팅케이블(50)과 냉각튜브(70)를 탱크본체(10)의 외주면상에 권취함에 있어서 상부지지대(100)를 경유하는 과정에 히팅케이블(50)과 냉각튜브(70)의 경로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상부지지대(10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하여 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프레임(103)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양 측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좌, 우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구멍인 히팅케이블공(103-1)과 냉각튜브공(103-2)이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히팅케이블공(103-1)은 모서리가 완만하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된 히팅케이블(50)과 동일한 형상이고, 냉각튜브공(103-2)은 냉각튜브(70)와 동일한 원형이며, 상기 히팅케이블공(103-1)과 냉각튜브공(103-2)의 크기는 각각 히팅케이블(50)과 냉각튜브(70)의 크기보다 2 내지 5 mm 크게 구성하여 이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120)는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ㄷ'자형의 직선형 프레임으로서 그 폭은 제3프레임(103)보다는 2 내지 3배 크게 구성하여 지지구조의 견고성을 확보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탱크본체(10) 내의 현재 유온은 온도센서(90)에 의해 10초마다 측정되어 제어반(60)에 전송되고, 제어반(60)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지상의 주유소 관리실의 서버로 상기 측정온도를 전송하며, 기준온도인 15 ℃ 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어반(60)에 냉각장치(80)의 가동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반(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냉각장치(80)로 전원이 공급되어 수조(81)에 저장된 냉각수가 냉각된 후, 냉각튜브(70)를 통해 탱크본체(10)의 외벽을 냉각시킴으로써 유류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유온이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냉각장치(80)의 가동을 일시정지한 후, 다시 기준온도를 초과하기 시작하면 재가동함으로써 유온을 기준온도로 유지시킨다. 상기의 반대 경우로서 기준온도 밑으로 유온이 하강할 경우에는 주유소 관리실의 서버에서는 제어반(60)으로 히팅케이블(50) 전원 공급 신호를 전송하여 히팅케이블(50)에 전류가 흐르게 한 후, 히팅케이블(50)의 발열로 탱크본체(10)의 외벽이 가열되게 함으로써 유온이 상승하도록 조치한다. 일정 시간 경과후, 유온이 기준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면, 히팅케이블(50)의 전원 공급을 일시 중단하고 유온이 기준온도 아래로 내려가면 전원을 재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유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류 재고관리가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유류 탱크내의 유량을 하중측정센서인 로드셀을 탱크하단을 지지하는 강철 프레임의 상, 하부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정확한 유량 계측이 가능하게 하고, 냉각튜브 및 히팅케이블을 이용해 유온을 항상 기준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유온변화로 인한 유류의 체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10 : 탱크본체
20 : 주유입구
30 : 주유구
40 : 배출구
50 : 히팅케이블
51 : 엔드캡
60 : 제어반
70 : 냉각튜브
80 : 냉각장치
81 : 수조
81-1 : 제1단열재
82 : 유출구
83 : 유입구
84 : 냉각블록
84-1 : 접촉돌기
84-2 : 돌출부
84-3 : 블록홀
85 : 열전모듈
86 : 방열판
87 : 방열망
88 : 방열팬
89 : 차단막
89-1 : 제2단열재
89-2 : 고무패킹
89-3 : 패킹결속판
89-4 : 상판
89-5 : 결합부재
90 : 온도센서
100 : 상부지지대
101 : 제1프레임
101-1 : 안내공
102 : 제2프레임
103 : 제3프레임
103-1 : 히팅케이블공
103-2 : 냉각튜브공
110 : 로드셀결합체
111 : 로드셀유닛
111-1 : 로드셀몸체
111-2 : 로드셀돌기
112 : 로드셀안착대
112-1 : 안착대홈
112-2 : 안착턱
112-3 : 결속홈
113 : 탄성지지링
113-1 : 결속돌기
114 : 로드셀덮개
114-1 : 제1덮개홈
114-2 : 제2덮개홈
115 : 탄성부재
116 : 로드셀고정대
116-1 : 제1안착홈
116-2 : 제2안착홈
120 : 하부지지대
130 : 맨홀
140 : 사다리

Claims (4)

  1. 삭제
  2. 강판으로 가공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탱크본체(10);와,
    2 개의 직선 빔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아치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탱크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탱크본체(1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00);와, 상부지지대(100)의 하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탱크본체(10) 내 유류의 하중을 측정하는 다수의 로드셀결합체(110);와, 로드셀결합체(110)가 안착되게 지면과 결속되는 직선 형상의 프레임인 하부지지대(120);로 구성되는 지하매설용 유류탱크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결합체(110)는 원통 형상의 로드셀몸체(111-1)의 상, 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돔형의 로드셀돌기(111-2)로 이루어지는 로드셀유닛(111);과,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함몰되어 로드셀몸체(111-1)가 결착되는 안착대홈(112-1)과, 상기 안착대홈(112-1)의 밑면 중심부에 로드셀돌기(111-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가 통삽되는 안착턱(112-2)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로드셀안착대(112);와, 로드셀안착대(112)의 상면에 성형되는 링 형상의 결속홈(112-3)의 폭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로드셀안착대(112) 상면에 결착되는 관 형상의 탄성지지링(113);과, 탄성지지링(113)의 노출된 높이만큼 링 형상으로 함몰된 제1덮개홈(114-1)과, 중심부에는 밑면이 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덮개홈(114-2)이 구비된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원판 형상의 로드셀덮개(114);와, 상기 탄성지지링(113)의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덮개홈(114-1)의 측면과 맞닿게 탄성지지링(113)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연결되는 탄성부재(115);와, 로드셀안착대(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6-1)과 제1안착홈(116-1)의 중심에 아치형으로 연장 함몰 형성되어 로드셀돌기(111-2)와 점접촉되는 제2안착홈(116-2)이 구비된 상면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로드셀고정대(1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10)는 유류의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구조로서, 탱크본체(10)의 외주면 상에 다수 회 등간격으로 권취되어 탱크본체(10)의 외주면에 열을 전도시켜 유온을 상승시키는 히팅케이블(50);과, 히팅케이블(50)에 전원을 공급하고 설정 온도를 제어하도록 탱크본체(10)의 측면부에 결속되고 히팅케이블(50)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어반(60);과, 탱크본체(10)의 외주면 상에 권취되되, 히팅케이블(50)과 간섭되지 않게 이격되게 배치되어 탱크본체(10)의 외주면을 냉각하여 유온을 하강시키는 냉각튜브(70);와, 탱크본체(1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냉각튜브(70)의 양 말단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일단으로 유입되는 사용수를 냉각하고, 타단으로는 냉각된 냉각수를 냉각튜브(70)로 공급하는 원통 형상의 전자식 냉각장치(80);와, 탱크본체(10)의 내측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온을 측정하게 채용되는 온도센서(90);로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시에는 상기 냉각장치(80)를 통해 냉각튜브(70)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유온을 기준온도인 15 ℃로 낮추고, 온도의 하강시에는 제어반(60)을 통해 히팅케이블(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온을 기준온도로 높임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유류의 부피 변화를 방지하되,
    상기 냉각장치(80)는 냉각수를 임시 저장하는 원통 형상의 수조(81);와, 냉각수가 냉각튜브(70)로 공급되게 수조(81) 바닥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배관인 유출구(82);와,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게 수조(81) 상면의 일측을 관통하는 배관인 유입구(83);와, 수조(81) 높이의 1/2 에 해당하는 크기의 원통 형상으로서 수조(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 상에는 타원형으로 돌출 및 함몰이 교차 형성되는 다수의 접촉돌기(84-1)와 하단부에는 측방향으로 하향절곡 연장되면서 수조(81)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84-2)를 구비하여 사용된 냉각수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블록(84);과, 상기 냉각블록(84)의 상면에 안착되어 냉각블록(84)이 흡수한 열을 저장하는 열전모듈(85);과, 열전모듈(85)의 상면에 안착되어 열전모듈(85)이 보유한 열을 흡수하는 방열판(86);과, 외주면이 메쉬구조의 망으로 된 원통 형상으로서 방열판(86)의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방열판(86)에 의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망(87);과, 방열판(86)의 상면에 설치되어 방열판(86)에 의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팬(8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KR1020120074539A 2012-07-09 2012-07-09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KR101361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39A KR101361830B1 (ko) 2012-07-09 2012-07-09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39A KR101361830B1 (ko) 2012-07-09 2012-07-09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85A KR20140007185A (ko) 2014-01-17
KR101361830B1 true KR101361830B1 (ko) 2014-02-21

Family

ID=5014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539A KR101361830B1 (ko) 2012-07-09 2012-07-09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456A (ko) * 2015-01-30 2016-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20180009421A (ko) * 2016-07-18 2018-01-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액화가스 저장용기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0120B (zh) * 2014-09-10 2016-08-24 贵州黔和物流有限公司 一种乳化沥青中转储放装置
CN109470546A (zh) * 2018-12-26 2019-03-15 吴小峰 一种精密低温浓缩仪
KR102183886B1 (ko) * 2020-08-07 2020-11-27 백남수 매립형 저장탱크
KR102325575B1 (ko) * 2021-05-06 2021-11-12 주소희 무게센서를 이용한 유량측정 장치
CN114030771A (zh) * 2021-11-26 2022-02-11 李翔 一种化工危险品运输罐
CN116464428B (zh) * 2023-05-08 2023-11-03 山东省微远科技有限公司 一种撬装活塞式连续单井原油计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573A (ja) * 1999-02-19 2000-09-05 Nippon Sanso Corp 液体輸送用タンクローリー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573A (ja) * 1999-02-19 2000-09-05 Nippon Sanso Corp 液体輸送用タンクローリー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456A (ko) * 2015-01-30 2016-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101715379B1 (ko) 2015-01-30 2017-03-23 에스티 이앤지(주)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20180009421A (ko) * 2016-07-18 2018-01-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액화가스 저장용기 시험장치
KR101879413B1 (ko) * 2016-07-18 2018-07-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액화가스 저장용기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85A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830B1 (ko) 로드셀을 이용한 정량계량장치가 구비된 지하매설용 유류탱크
US20230198234A1 (en) Fluid injection system with smart injection and receiver tanks
US3932727A (en) Electrically heated riser pipe for a fluid supply system
US6914195B2 (en) Distribution transformer
US20170330653A1 (en) Cryogenic cooling apparatus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superconducting device
US20220170597A1 (en) Hydrogen fuel storage and delivery system
JP6613340B2 (ja) 充電スタンドの充電柱用の充電ケーブルユニットおよびそのようなユニットの使用
US11333399B2 (en) Apparatus for managing hot water in a hot water storage tank hea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5813838A (en) Optimum electrolyte level sensing method and the automatic topping up apparatus for storage wet cell
KR101004028B1 (ko) 스트레치센서를 이용한 자동수위조절장치
CN214123619U (zh) 负载箱及负载设备
CN110879091A (zh) 用于液氦的液位计及其标定方法、液氦容器
US3212563A (en) Cooling means for buried transformer
US6644338B1 (en) Apparatus for use of single point watering system with monobloc lead-acid batteries
EP3129723B1 (en) Thermal energy metering using an enthalpy sensor
KR100728073B1 (ko)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US7631658B2 (en) Water supply system
KR101655906B1 (ko) 단열재의 극저온 열전도 실험장치
US20140150175A1 (en) Safety shower water temperature control using geothermal energy
CN207060965U (zh) 一种防爆、防挥发的储油罐
ES2629485B1 (es) Estación de regulación y medición para suministro de gas
CN210005466U (zh) 一种高精度土体冻胀过程自动化监测系统
CN205670486U (zh) 一种互感器用防水散热型底座
ES2902473T3 (es) Aparato para la gestión de agua caliente en un sistema de calefacción de tanque de almacenamiento de agua caliente y método asociado
KR101907149B1 (ko) 배관설치용 온도센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