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525A -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 Google Patents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525A
KR20160093525A KR1020150156086A KR20150156086A KR20160093525A KR 20160093525 A KR20160093525 A KR 20160093525A KR 1020150156086 A KR1020150156086 A KR 1020150156086A KR 20150156086 A KR20150156086 A KR 20150156086A KR 20160093525 A KR20160093525 A KR 20160093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ngaging
pin
worm
engag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898B1 (ko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6009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2Reciprocating mechanisms for reciprocating the guiding member
    • A01K89/01143Reversely threaded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01K89/0191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the drive mechanism reciprocating the gui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계합(係合) 핀의 계합부의 형상을 정도(精度) 좋게 안정시킨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또는 스피닝 릴(200))의 계합 핀(7)(또는 107)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5a)(또는 105a)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웜축(5)(또는 105)에 계합한다. 계합 핀(7)(또는 107)은, 축부(7a)(또는 107a)와, 축부(7a)(또는 107a)의 일단(一端)에 일체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선상 홈(5a)(또는 105a)에 계합하는 계합부(7b)(또는 107b)를 구비한다. 적어도 계합부(7b)(또는 107b)가 합성 수지제이다.

Description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JOINT PIN AND RECIPROCATING MECHANISM USING THE JOINT PIN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웜축에 계합(係合)하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는, 낚싯줄을 스풀에 균일하게 감기 위하여, 웜축과 웜축에 계합하는 계합 핀을 가지는 왕복 이동 기구가 설치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종래의 계합 핀의 선단의 계합부는, 웜축에 형성된 교차하는 나선상 홈과의 계합에 의하여 마모한다. 이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1에서는, 금속을 절삭 가공하고, 경질의 표면 처리를 가하여 계합 핀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세라믹의 소결(燒結) 가공에 의하여 계합 핀을 제조하고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85219호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4-44913호
나선상 홈에 계합 핀을 계합시키기 위하여는, 계합부의 형상의 정도(精度)가 충분하지 않으면 계합 핀이 덜걱거리는 일이 있다. 종래의 계합 핀에서는, 마모하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금속의 절삭 가공 또는 세라믹의 소결 가공에 의하여, 계합 핀을 제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계합 핀의 계합부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왕복 이동 기구의 계합 핀의 계합부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安定)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웜축에 계합한다. 계합 핀은, 축부와, 축부의 일단(一端)에 일체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한다. 적어도 계합부가 합성 수지제이다.
이 계합 핀에서는, 웜축의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적어도 계합부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 가능한 합성 수지제이다. 이 사출 성형에 의하여, 왕복 이동 기구의 계합 핀의 계합부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시킬 수 있다.
축부와 계합부는, 일체 형성된 합성 수지제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 핀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접동 성능이 높은 합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핀의 축 둘레의 회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계합 핀은, 축부와 계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축부보다도 소경의 잘록부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축부와 잘록부와의 단차로 계합 핀의 웜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축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합부의 선단과 나선상 홈의 바닥부와의 간극(間隙)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계합부는, 일단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고, 선단에 나선상 홈의 바닥부에 계합하는 원호상(圓弧狀)으로 오목한 계합 오목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 오목부와 바닥부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계합 핀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축부는, 비원형(非圓形)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축부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기 때문에, 원형의 구멍에 배치되는 계합 핀과 구멍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 방향을 따라 분할된 이분할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때에, 간극이 형성되는 부분에 2개의 금형의 분할면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버(burr)가 발생하여도, 원형의 구멍에 배치되는 계합 핀의 정도에 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축부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은, 적어도 1개의 평탄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평탄부는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금형의 분할부에 평탄부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쉽다.
축부는,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탄면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평탄면은 더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금형의 분할부에 제1 평탄면으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쉽다.
축부는, 제1 평탄면과 평행한 제2 평탄면을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평탄면 및 제2 평탄면으로 되는 부분을 금형의 분할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핀을 제조할 때에, 분할부에 생길 우려가 있는 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낚시용 릴의 웜축과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의 계합 핀을 구비한다. 웜축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을 가진다. 회전 구동 기구는, 웜축을 회전 구동시킨다. 계합 핀은, 나선상 홈에 계합하고, 웜축의 회전에 따라, 웜축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하여 웜축이 회전하면,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계합 핀이 웜축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계합 핀의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적어도 계합부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상기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
이 왕복 이동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와 웜축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고, 토크 제한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로부터 웜축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왕복 이동 기구의 계합 핀의 계합부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낚시용 릴인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
도 3은 레벨 와인드 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레벨 와인드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계합 핀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계합 핀의 평면도.
도 7은 토크 제한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토크 제한 장치의 단면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채용된 낚시용 릴인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오실레이팅 기구의 단면도.
도 11은 오실레이팅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및 왕복 이동 기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은, 양 베어링 릴(100)이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前)」이란 낚싯줄을 방출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위쪽 및 도 9의 왼쪽이 「전」이다.
<양 베어링 릴의 개략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100)은, 전방(도 1의 좌상 방향)으로 낚싯줄을 방출한다. 양 베어링 릴(100)은, 핸들(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 본체(1)와 회전 구동 기구(3)와 스풀(4)과 레벨 와인드 기구(50)(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과 복수의 연결부(13)와 장착부(14)를 가진다.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에 의하여, 스풀축(41)을 지지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연결부(13)는,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을 연결한다. 장착부(1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낚싯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각 연결부(13) 중, 적어도 1개의 연결부(13)가, 장착부(14)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은, 제1 측판(11)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2)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구동 기구(3)를 통하여, 스풀(4) 및 레벨 와인드 기구(50)를 구동한다.
회전 구동 기구(3)는, 핸들(2)의 회전을 스풀(4), 및 레벨 와인드 기구(50)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회전 구동 기구(3)는, 제1 측판(11) 내에 설치된다. 회전 구동 기구(3)는, 구동축(31), 구동 기어(32), 피니언 기어(33), 제1 기어(34), 및 제2 기어(35)를 가진다.
구동축(31)은, 핸들(2)과 연결되어 있고, 핸들(2)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덧붙여, 구동축(31)은, 원웨이 클러치(36)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금지된다. 구동 기어(32)는, 구동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기구(29)를 통하여 구동축(3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33)는, 구동 기어(32)에 맞물린다. 덧붙여, 피니언 기어(33)는 통상이다. 제1 기어(34)는, 구동축(31)에 장착되고, 구동축(3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35)는, 제1 기어(34)에 맞물린다.
스풀(4)은,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핸들(2)의 회전에 의하여,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4)은, 일체 회전 가능한 스풀축(41)을 가진다.
스풀축(41)은, 베어링 부재(部材)를 통하여, 제1 측판(11) 및 제2 측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41)의 제1 측판(11) 측의 단부가, 피니언 기어(33) 내를 관통한다. 스풀축(41)은, 클러치 기구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33)와 계합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온 상태로 하면, 스풀축(41)과 피니언 기어(33)는, 서로 계합하여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면, 스풀축(41)과 피니언 기어(33)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서로 독립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피니언 기어(33)는, 스풀축(41)에 관통하는 클러치 핀(42)을 통하여, 스풀축(41)에 계합하거나, 그 계합이 해제되거나 한다. 피니언 기어(33)는, 도 2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클러치 핀(42)과 계합하고, 도 2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클러치 핀(42)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레벨 와인드 기구의 구성>
도 2,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레벨 와인드 기구(50)는, 낚싯줄을 스풀(4) 상에 균일하게 감기 위하여 왕복 이동하는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50)는, 웜축(5), 안내 부재(6), 계합 핀(7), 낚싯줄 가이드(8), 덮개 부재(9), 및 토크 제한 기구(10)를 가진다.
<웜축>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축(5)은,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5a)을 가진다. 웜축(5)은, 스풀축(41)과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배치된다. 또한, 웜축(5)은,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과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웜축(5)의 제1 단부(5b)는, 제1 측판(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웜축(5)의 제1 단부(5b)는, 베어링 부재를 통하여, 제1 측판(11)에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웜축(5)의 제2 단부(5c)는, 제2 측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웜축(5)의 제2 단부(5c)는, 베어링 부재를 통하여, 제2 측판(12)에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웜축(5)의 제1 단부(5b)에는, 상술한 제2 기어(35)가 장착된다. 웜축(5)은, 제2 기어(35)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웜축(5)은, 핸들(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핸들(2)을 회전시키면, 구동축(31) 및 제1 기어(34)를 통하여, 제2 기어(35)가 회전하고, 이 결과, 웜축(5)이 회전한다.
<안내 부재>
안내 부재(6)는, 낚싯줄을 삽통(揷通) 가능한 낚싯줄 가이드(8)를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다. 안내 부재(6)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웜축(5)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안내 부재(6)는, 웜축(5)과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된다. 또한, 안내 부재(6)는,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과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안내 부재(6)의 제1 단부는, 제1 측판(11)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안내 부재(6)의 제2 단부는, 제2 측판(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6)는, 창부(6a)를 가진다. 창부(6a)는, 계합 핀(7)이 나선상 홈(5a)과 계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창부(6a)는, 안내 부재(6)의 긴쪽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창부(6a)는, 웜축(5)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창부(6a)는, 양 베어링 릴(100)의 사용 시에 있어서, 하방으로 개구한다.
<계합 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핀(7)은, 웜축(5)의 나선상 홈(5a)에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계합 핀(7)은, 창부(6a)를 통하여, 안내 부재(6)의 외부로부터 안내 부재(6)의 내부로 연장된다. 계합 핀(7)은, 축부(7a)와 계합부(7b), 잘록부(7c)를 가진다. 계합 핀(7)은, 적어도 계합부(7b)가,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계합 핀(7)은 축부(7a)를 포함하는 전체가 합성 수지제이다. 축부(7a)는, 도 5의 단면 X-X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7d)가 비원형이다. 단면(7d)은,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7e)를 가진다. 평탄부(7e)는,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제1 평탄면(7f)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평탄부(7e)는, 제1 평탄면(7f)과 제1 평탄면(7f)과 평행한 제2 평탄면(7g)을 포함한다.
계합 핀(7)을, 축 방향으로 분할된 이분할의 금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금형의 분할부에 제1 평탄면(7f) 및 제2 평탄면(7g)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금형의 분할부에서 버가 생기기 어렵고, 만일, 버가 생겨도, 덮개 부재(9)의 후술하는 핀 장착부(9b)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레벨 와인드 기구(50)가 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계합부(7b)는, 축부(7a)의 일단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계합부(7b)는, 나선상 홈(5a)과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축부(7a)와 계합부(7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7b)는, 축부(7a)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고, 선단에 나선상 홈(5a)의 바닥부(5d)에 계합하는 원호상으로 오목한 계합 오목부(7h)를 가진다.
<낚싯줄 가이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8)는, 웜축(5)을 따라 접동한다. 상세하게는, 낚싯줄 가이드(8)는, 웜축(5)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낚싯줄 가이드(8)는, 안내 부재(6)에 의하여 안내된다. 낚싯줄 가이드(8)는, 제1 관통 구멍(8a) 및 제2 관통 구멍(8b)을 가진다.
제1 관통 구멍(8a)은, 계합 핀(7)의 축부(7a)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1 관통 구멍(8a)의 단면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8a)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암나사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8a)은, 제2 관통 구멍(8b)과 연통하고 있다.
제2 관통 구멍(8b)은, 웜축(5)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관통 구멍(8b) 내를 안내 부재(6)가 관통하고 있다. 제2 관통 구멍(8b)의 내주면은, 안내 부재(6)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8)는, 안내 부재(6)에 안내되어 있다. 덧붙여, 제2 관통 구멍(8b)의 단면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가이드(8)는,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안내부(8d)를 가진다. 낚싯줄은, 스풀(4)로부터 낚싯줄 안내부(8d)를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덧붙여, 낚싯줄 안내부(8d)는, 낚싯줄 가이드(8)를 관통하는 구멍이고, 종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9)는, 덮개 측판(9a)과 핀 장착부(9b)를 가진다. 덮개 측판(9a)은, 제1 관통 구멍(8a)의 일단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 장착부(9b)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 측판(9a)으로부터 연장된다. 핀 장착부(9b)는, 제1 관통 구멍(8a) 내에 수용된다. 또한, 핀 장착부(9b)는, 제1 관통 구멍(8a)의 내주면과 계합 핀(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핀 장착부(9b)는, 제1 관통 구멍(8a)의 내주면과 축부(7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핀 장착부(9b)는, 계합 핀(7)을 회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계합 핀(7)의 축부(7a)는, 핀 장착부(9b) 내에 수용된다. 핀 장착부(9b)의 내경은, 계합 핀(7)의 축부(7a)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설계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합 핀(7)의 축부(7a)가 핀 장착부(9b) 내에 있어서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정도로, 축부(7a)의 외경은, 핀 장착부(9b)의 내경보다도 작다.
핀 장착부(9b)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나사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9c)가, 제1 관통 구멍(8a)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8c)에 나합한다. 즉, 핀 장착부(9b)는, 낚싯줄 가이드(8)에 고정되어 있고, 계합 핀(7)을 보지(保持)하고 있다. 이 덮개 부재(9)의 외측면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8)의 외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토크 제한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제한 기구(10)는, 회전 구동 기구(3)와 웜축(5)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토크 제한 기구(10)는, 회전 구동 기구(3)로부터 웜축(5)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토크 제한 기구(10)는, 웜축(5)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 제한 기구(10)는, 구동축(31)과 제1 기어(34)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제한 기구(10)는, 구동축(31)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핀 부재(51) 및 압박 부재(52)와, 제1 기어(3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지 오목부(53)를 가진다. 압박 부재(52)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며, 한 쌍의 핀 부재(51)를 제1 기어(34)를 향하여 압박한다. 계지 오목부(53)는, 제1 기어(3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계지 오목부(53)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31)에는, 핀 부재(51)를 진퇴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관통 구멍(31a)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핀 부재(51)는, 반구 포탄 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머리부(51a)와 머리부(51a)보다 소경의 축부(51b)를 가진다. 핀 부재(51)는, 관통 구멍(31a) 내에 있어서, 머리부(51a)가 계지 오목부(53)를 향하여 배치된다. 압박 부재(52)는, 한 쌍의 핀 부재(51)의 축부(51b)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머리부(51a)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다. 도 7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오목부(53)는, 제1 기어(34)의 화살표 R로 도시하는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 방향 하류 측에 직선적인 경사면(53a)을 가지고,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원통면(53b)을 가진다. 따라서, 통상은, 경사면(53a)을 핀 부재(51)가 압압하여 구동축(31)의 회전이 제1 기어(28)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레벨 와인드 기구(50)에 이물이 끼였을 때에, 핸들(2)을 강하게 돌리고, 제1 기어(28)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면, 핀 부재(51)가 관통 구멍(31a) 내에 퇴입하고, 구동축(31)이 공전하여, 제1 기어(28)가 파손하기 어려워진다. 머리부(51a)와 접촉하는 계지 오목부(53)의 접촉면(경사면(53a) 및 원통면(53b))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1)의 축심에 대하여 교차하는 경사면(53c)를 가지고 있다. 경사면(53c)은, 구동 기어(32) 측을 향하여 구동축(31)의 축심으로 서서히 가까워지도록 기울어 있다. 제1 기어(34)를 형성형(型成形)으로 제조하는 경우, 금형의 빼기 테이퍼를 이용하여 경사면(53c)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핀 부재(51)가 제1 기어(34)를 압압하는 경우에, 당접부(31b)에 제1 기어(34)를 압압하는 힘이 발생하고, 회전 시에 제1 기어(34)가, 덜걱거리기 어려워진다.
<레벨 와인드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벨 와인드 기구(5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핸들(2)을 회전시키면, 구동축(31), 제1 기어(34), 및 제2 기어(35)를 통하여, 웜축(5)이 회전한다. 이 웜축(5)의 회전에 의하여, 계합 핀(7)이 웜축(5)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계합 핀(7)은 덮개 부재(9)에 회동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고, 덮개 부재(9)는 낚싯줄 가이드(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8)도 계합 핀(7)과 함께 웜축(5)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결과, 낚싯줄 가이드(8)의 낚싯줄 안내부(8d)에 의하여 안내되는 낚싯줄이, 스풀(4) 상에 균일하게 감겨진다.
이 계합 핀(7)의 계합부(7b)가 웜축(5)의 나선상 홈(5a)에 접동할 때, 계합부(7b)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계합부(7b)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 기구(3)와 웜축(5)과의 사이에 토크 제한 기구(1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계합부(7b)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제한할 수 있고, 계합 핀(7)의 장수명화(長壽命化)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200)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20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한다. 스피닝 릴(200)은, 핸들(10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 본체(101)와 회전 구동 기구(103)와 스풀축(141)을 가지는 스풀(104)과 로터(130)와 오실레이팅 기구(150)(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를 구비한다.
<스피닝 릴의 개략 구성>
릴 본체(101)는, 핸들(102) 및 로터(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릴 본체(101)는, 스풀(104)을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핸들(102)은,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구동 기구(103)는, 핸들(102)의 회전을 로터(130) 및 오실레이팅 기구(150)에 전달한다. 회전 구동 기구(103)는, 핸들(102)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31)과, 구동 기어(132)와, 피니언 기어(133)를 가진다. 구동 기어(132)는, 페이스 기어 톱니를 가지고, 구동축(131)과 좌우의 축 둘레로 일체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33)는 통상의 기어이고, 구동 기어(132)에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33)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41)이 관통한다. 로터(130)는, 피니언 기어(13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터(130)는, 스풀(104)의 주위를 회전하여 스풀(104)에 낚싯줄을 감는다.
스풀(104)은, 로터(130)의 앞부분에 배치된다. 스풀(104)은, 스풀축(141)과 함께 전후 이동하면서, 로터(130)에 의하여 외주에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축(141)은, 선단에 스풀(104)이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13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스풀축(141)은, 기단에 연결된 오실레이팅 기구(150)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33)의 내부를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150)는, 핸들(102)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축(141)을 통하여, 스풀(104)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오실레이팅 기구(150)는, 스풀(104)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하여 설치된다. 오실레이팅 기구(15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축(105)과 계합 핀(107)과 슬라이더(156)와 토크 제한 기구(110)(도 11 참조)와 중간 기어(160)와 한 쌍의 가이드축(162a, 162b)을 가진다. 덧붙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56)에, 계합 핀(107)이 회동 가능하게 수용된다.(도 10 참조).
<웜축>
웜축(105)은, 릴 본체(101)에 장착된 핸들(102)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축(105)은, 스풀축(141)의 하방에서, 스풀축(41)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웜축(105)은,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웜축(105)의 양단부는, 예를 들어 구름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웜축(105)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105a)을 외주면에 가진다. 웜축(105)의 선단에는, 중간 기어(160)가 연결되는 대경의 연결부(105g)가 형성된다.
<계합 핀>
계합 핀(107)은,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07a)는 금속제이지만, 계합부(107b) 및 잘록부(107c)는 합성 수지제이다. 따라서, 축부(107a)는, 단면이 원형이다. 축부(107a)의 계합부(107b) 측의 일단에는 잘록부(107c)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107e)가 형성된다. 축부(107a)의 타단에는, 빠짐 방지 부재(158)에 감합하는 원형 돌기(107f)가 형성된다. 잘록부(107c)에는 감합 오목부(107e)에 고정되는 감합 볼록부(107g)가 형성된다. 감합 볼록부(107g)는, 감합 오목부(107e)에 접착에 의하여 고정되어도 무방하지만,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슬라이더>
슬라이더(156)는, 웜축(10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56)는, 계합 핀(107)을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156a)와 계합 핀(107)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158)를 가진다. 슬라이더 본체(156a)는, 스풀축 연결부(156b), 계합 핀 장착부(156c)와 한 쌍의 가이드부(156d)를 가진다. 계합 핀(107)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158)를 가진다.
스풀축 연결부(156b)에는, 스풀축(141)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나사 멈춤 고정된다. 계합 핀 장착부(156c)에는, 계합 핀(107)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156d)에는, 슬라이더 본체(156a)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축(162a, 162b)이 감합한다. 빠짐 방지 부재(158)는, 슬라이더 본체(156a)에 나사 멈춤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핀 장착부(156c)는, 대체로 통상의 부분이다. 계합 핀 장착부(156c)에 계합 핀(107)의 축부(107a)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계합 핀(107)은, 계합 핀 장착부(156c)에 장착되면,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중간 기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기어(160)은, 웜축(105)의 선단에 토크 제한 기구(110)을 통하여 연결된다. 중간 기어(160)은, 피니언 기어(133)에 맞물린다. 중간 기어(160)는, 비원형 계합에 의하여, 웜축(105)의 전단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102)의 회전은, 구동 기어(132), 피니언 기어(133)를 통하여 중간 기어(160)에 전달된다.
<토크 제한 기구>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제한 기구(110)는, 회전 구동 기구(103)로부터 웜축(105)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토크 제한 기구(110)는, 웜축(105)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제한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토크 제한 기구(110)는, 중간 기어(160)와 웜축(105)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토크 제한 기구(110)는, 기본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양 베어링 릴(100)의 토크 제한 기구(10)와 같은 구성이다. 토크 제한 기구(11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축(105)의 연결부(105g)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핀 부재(151) 및 압박 부재(152)와, 중간 기어(16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지 오목부(153)를 가진다. 압박 부재(152)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고, 한 쌍의 핀 부재(151)를 중간 기어(160)를 향하여 압박한다. 계지 오목부(153)는, 중간 기어(16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계지 오목부(153)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토크 제한 기구(110)의 구성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오실레이팅 기구(15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핸들(102)을 회전시키면, 구동축(131), 피니언 기어(133), 및 중간 기어(160)를 통하여, 웜축(105)이 회전한다. 이 웜축(105)의 회전에 의하여, 계합 핀(107)이 웜축(105)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계합 핀(107)은 슬라이더(156)에 회동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고, 슬라이더(156)는 스풀축(14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104)이 계합 핀(107)과 함께 웜축(105)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결과, 로터(130)에 대하여 스풀(104)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고, 스풀(104)에 안내되는 낚싯줄이, 스풀(104) 상에 균일하게 감긴다.
이 계합 핀(107)의 계합부(107b)가 웜축(105)의 나선상 홈(105a)에 접동할 때, 계합부(107b)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계합부(107b)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웜축(105)에 장착되는 중간 기어(160)와 웜축(105)과의 사이에 토크 제한 기구(11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계합부(107b)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제한할 수 있고, 계합 핀(107)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양 베어링 릴(100)(또는 스피닝 릴(200))의 계합 핀(7)(또는 107)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5a)(또는 105a)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웜축(5)(또는 105)에 계합한다. 계합 핀(7)(또는 107)은, 축부(7a)(또는 107a)와, 축부(7a)(또는 107a)의 일단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선상 홈(5a)(또는 105a)에 계합하는 계합부(7b)(또는 107b)를 구비한다. 적어도 계합부(7b)(또는 107b)가 합성 수지제이다.
이 계합 핀(7)(또는 107)에서는, 웜축(5)(또는 105)의 나선상 홈(5a)(또는 105a)에 계합하는 적어도 계합부(7b)(또는 107b)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 가능한 합성 수지제이다. 이 사출 성형에 의하여, 계합 핀(7)(또는 107)의 계합부(7b)(또는 107b)의 형상을 정도 좋게 안정시킬 수 있다.
(B) 축부(7a)(또는 107a)와 계합부(7b)(또는 107b)는, 일체 형성된 합성 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계합 핀(7)(또는 107)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접동 성능이 높은 합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핀(7)(또는 107)의 축 둘레의 회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C) 계합 핀(7)(또는 107)은, 축부(7a)(또는 107a)와 계합부(7b)(또는 107b)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축부(7a)(또는 107a)보다도 소경의 잘록부(7c)(또는 107c)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축부(7a)(또는 107a)와 잘록부(7c)(또는 107c)와의 단차로 계합 핀(7)(또는 107)의 웜축(5)(또는 105)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축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합부(7b)(또는 107b)의 선단과 나선상 홈(5a)(105a)의 바닥부와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D) 계합부(7b)(또는 107b)는, 일단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고, 선단에 나선상 홈(5a)(또는 105a)의 바닥부에 계합하는 원호상으로 오목한 계합 오목부(7h)(또는 107h)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계합 오목부(7h)(또는 107h)와 바닥부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계합 핀(7)(또는 107)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E) 축부(7a)는, 비원형이다. 이 경우에는, 축부(7a)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7d)이 비원형이기 때문에, 원형의 구멍에 배치되는 계합 핀(7)과 계합 핀(7)의 장착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 방향을 따라 분할된 이분할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때에, 간극이 형성되는 부분에 2개의 금형의 분할면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버가 발생하여도, 원형의 구멍에 배치되는 계합 핀(7)의 정도에 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F) 축부(7a)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7d)은, 적어도 1개의 평탄부(7e)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평탄부(7e)는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금형의 분할부에 평탄부(7e)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쉽다.
(G) 축부(7a)는,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탄면(7f)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평탄면(7f)은 더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금형의 분할부에 제1 평탄면(7f)으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쉽다.
(H) 축부(7a)는, 제1 평탄면(7f)와 평행한 제2 평탄면(7g)을 한층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평탄면(7f) 및 제2 평탄면(7g)으로 되는 부분을 금형의 분할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핀(7)을 제조할 때에, 분할부에 생길 우려가 있는 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I) 양 베어링 릴(100)(또는 스피닝 릴(200))의 레벨 와인드 기구(50)(또는 오실레이팅 기구(150))는, 양 베어링 릴(100)(또는 스피닝 릴(200))의 웜축(5)(또는 105)과, 회전 구동 기구(3)(또는 103)와, 상기의 계합 핀(7)(또는 107)을 구비한다. 웜축(5)(또는 105)은, 교차하는 나선상 홈(5a)(또는 105a)을 가진다. 회전 구동 기구(3)(또는 103)는, 웜축(5)(또는 105)을 회전 구동시킨다. 계합 핀(7)(또는 107)은, 나선상 홈(5a)(또는 105a)에 계합하고, 웜축(5)(또는 105)의 회전에 따라, 웜축(5)(또는 105)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레벨 와인드 기구(50)(또는 오실레이팅 기구(150))에서는, 회전 구동 기구(3)(또는 103)에 의하여 웜축(5)(또는 105)이 회전하면, 나선상 홈(5a)(또는 105a)에 계합하는 계합 핀(7)(또는 107)이 웜축(5)(또는 105)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계합 핀(7)(또는 107)의 나선상 홈(5a)(또는 105a)에 계합하는 적어도 계합부(7b)(또는 107b)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상기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 베어링 릴(100) 및 스피닝 릴(200)에 이용되는 계합 핀(7)(또는 107) 및 레벨 와인드 기구(50)(또는 오실레이팅 기구(150))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전동 릴 등의 그 외의 낚시용 릴의 계합 핀 및 왕복 이동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제1 실시예에서는, 양 베어링 릴(100)에 있어서,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만 동작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50)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풀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토크 제한 기구를 스풀과 웜축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3, 103: 회전 전달 기구
4, 104: 스풀
5, 105: 웜축
5a, 105a: 나선상 홈
7, 107: 계합 핀
7a, 107a: 축부
7b, 107b: 계합부
7c, 107c: 잘록부
7d: 단면
7h, 107h: 계합 오목부
7e: 평탄부
7f: 제1 평탄면
7g: 제2 평탄면
10, 100: 토크 제한 기구
50: 레벨 와인드 기구
100: 양 베어링 릴
150: 오실레이팅 기구
200: 스피닝 릴

Claims (10)

  1. 교차하는 나선상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웜축에 계합(係合)하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이며,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一端)에 일체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계합부
    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계합부가 합성 수지제의 낚시용 릴의 계합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상기 계합부는, 일체 형성된 합성 수지제인, 낚시용 릴의 계합 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상기 계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보다도 소경의 잘록부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고, 선단에 상기 나선상 홈의 바닥부에 계합하는 원호상(圓弧狀)으로 오목한 계합 오목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非圓形)인, 낚시용 릴의 계합 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은, 적어도 1개의 평탄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탄면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제1 평탄면과 평행한 제2 평탄면을 더 가지는, 낚시용 릴의 계합 핀.
  9.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이며,
    교차하는 나선상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웜축과,
    상기 웜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나선상 홈에 계합하고, 상기 웜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웜축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계합 핀
    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웜축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크 제한 기구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로부터 상기 웜축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0150156086A 2015-01-29 2015-11-06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488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5181A JP6462382B2 (ja) 2015-01-29 2015-01-29 係合ピン及び係合ピンを有する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JP-P-2015-015181 2015-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525A true KR20160093525A (ko) 2016-08-08
KR102488898B1 KR102488898B1 (ko) 2023-01-17

Family

ID=5655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86A KR102488898B1 (ko) 2015-01-29 2015-11-06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0234B2 (ko)
JP (1) JP6462382B2 (ko)
KR (1) KR102488898B1 (ko)
CN (1) CN105831034B (ko)
TW (1) TWI6690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2225B2 (ja) * 2018-04-26 2022-03-0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7355522B2 (ja) * 2019-05-15 2023-10-0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CN110192545A (zh) * 2019-06-10 2019-09-03 陈姿羽 一种渔线轮往复机构及应用该往复机构的纺车式鱼线轮
JP7492434B2 (ja) * 2020-10-22 2024-05-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釣り用リール
JP2023045853A (ja) 2021-09-22 2023-04-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7760A (en) * 1967-04-12 1969-06-03 Pflueger Corp Removable level wind for fishing reels
JPS5661318U (ko) * 1979-10-19 1981-05-25
JPS63145052U (ko) * 1987-03-16 1988-09-26
JPH03129071U (ko) * 1990-04-11 1991-12-25
JPH0444913A (ja) 1990-06-04 1992-02-14 Fuji Mach Co Ltd エンドシール機構の物品噛込み検出装置
JPH05338309A (ja) * 1992-06-04 1993-12-21 Canon Inc シリアル装置
JP2585219B2 (ja) 1986-04-23 1997-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適応型サブサンプル用フイルタ装置
JPH09239818A (ja) * 1996-03-12 1997-09-16 Inoac Corp ブロー成形品及びブロー成形型
JPH11216769A (ja) * 1998-01-31 1999-08-10 Inoac Corporation:Kk ブロー成形品及びブロー成形型
JP2004242542A (ja) * 2003-02-12 2004-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69A (en) * 1889-01-22 Fishing-reel
US520607A (en) * 1894-05-29 Half to cornelius wheeler
US1460994A (en) * 1921-05-23 1923-07-03 James Heddon S Sons Fishing reel
US1719246A (en) * 1928-05-29 1929-07-02 Nicholls J Smith Fishing reel
US1965174A (en) * 1932-12-29 1934-07-03 Shakespeare Co Fishing reel
US2042737A (en) * 1934-06-18 1936-06-02 Shakespeare Co Fishing reel
US2123141A (en) * 1934-12-31 1938-07-05 Bronson Reel Company Fishing reel
US2141726A (en) * 1935-05-02 1938-12-27 Bronson Reel Company Fishing reel
US2098693A (en) * 1935-08-16 1937-11-09 Bronson Reel Company Level wind mechanism for fishing reels
US2134099A (en) * 1936-10-21 1938-10-25 Shakespeare Co Fishing reel
US2305533A (en) * 1940-05-07 1942-12-15 Enterprise Mfg Co Fishing reel
US2523133A (en) * 1946-07-23 1950-09-19 Emma C Maynes Fishing reel
JPS5916377U (ja) 1982-07-22 1984-01-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釣糸案内装置
JPS6135212U (ja) * 1984-08-02 1986-03-04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成形品の雄ねじ部構造
JPH0451580Y2 (ko) * 1986-03-13 1992-12-04
JPH0633833Y2 (ja) 1987-02-02 1994-09-07 リョービ株式会社 両軸受リ−ルのラインガイド機構
JPH061794Y2 (ja) * 1988-01-30 1994-01-1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ブロー成形品
JPH0272818A (ja) * 1988-09-07 1990-03-1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JP2532309Y2 (ja) * 1989-10-18 1997-04-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0419174U (ko) 1990-06-07 1992-02-18
US5348246A (en) * 1992-07-15 1994-09-20 Zebco Corporation Line guide for bait cast reel
JP2585219Y2 (ja) 1992-09-11 1998-11-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作動機構
JP2544752Y2 (ja) * 1992-11-20 1997-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0781840A (ja) * 1993-09-20 1995-03-28 Murata Mach Ltd トラバースシュー
US5775612A (en) * 1994-04-20 1998-07-07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a slider for longitudinally moving a spool
US6095444A (en) * 1996-01-24 2000-08-01 Daiwa Seiko, Inc. Attachment unit for a double bearing type reel for fishing
JP3472021B2 (ja) * 1996-02-21 2003-12-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11113461A (ja) * 1997-10-09 1999-04-2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2017213A (ja) * 2000-07-06 2002-01-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3961757B2 (ja) * 2000-09-29 2007-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JP2003130045A (ja) * 2001-10-25 2003-05-08 Pentax Corp 軸受構造
JP2003284473A (ja) 2002-03-28 2003-10-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5143757B2 (ja) * 2009-01-26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螺軸及びそ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5680335B2 (ja) * 2010-05-18 2015-03-04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072422B2 (ja) * 2012-03-12 2017-02-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202760033U (zh) * 2012-09-21 2013-03-06 孔大虎 带照明的绕线轮
JP6026870B2 (ja) * 2012-11-29 2016-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EP2853159B1 (en) * 2013-09-27 2017-04-05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7760A (en) * 1967-04-12 1969-06-03 Pflueger Corp Removable level wind for fishing reels
JPS5661318U (ko) * 1979-10-19 1981-05-25
JP2585219B2 (ja) 1986-04-23 1997-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適応型サブサンプル用フイルタ装置
JPS63145052U (ko) * 1987-03-16 1988-09-26
JPH03129071U (ko) * 1990-04-11 1991-12-25
JPH0444913A (ja) 1990-06-04 1992-02-14 Fuji Mach Co Ltd エンドシール機構の物品噛込み検出装置
JPH05338309A (ja) * 1992-06-04 1993-12-21 Canon Inc シリアル装置
JPH09239818A (ja) * 1996-03-12 1997-09-16 Inoac Corp ブロー成形品及びブロー成形型
JPH11216769A (ja) * 1998-01-31 1999-08-10 Inoac Corporation:Kk ブロー成形品及びブロー成形型
JP2004242542A (ja) * 2003-02-12 2004-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0234B2 (en) 2017-09-05
TW201639451A (zh) 2016-11-16
US20160219853A1 (en) 2016-08-04
CN105831034A (zh) 2016-08-10
TWI669058B (zh) 2019-08-21
CN105831034B (zh) 2020-10-09
KR102488898B1 (ko) 2023-01-17
JP6462382B2 (ja) 2019-01-30
JP2016136917A (ja)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6920B1 (en) Reciproc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and a fishing reel
KR20160093525A (ko) 계합 핀 및 계합 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TWI439229B (zh) 釣魚用捲線器的橫向凸輪軸及使用其的釣魚用捲線器的往復移動機構
CN107125219B (zh) 双轴承渔线轮
JP3118447B2 (ja) フィッシングリール用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要素組立体
US9089118B2 (en) Drive gear
EP2512759B1 (en) Apparatus comprising a rotatable member
KR101833757B1 (ko) 낚시용 릴의 기어 장착 구조
KR2004006802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CN109619055A (zh) 旋转传递机构及具备其的钓鱼用纺车式卷线器
EP2883450B1 (en) Fishing reel drive gear and fishing reel pinion gear meshed with same
US20140203131A1 (en) Spinning reel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EP2387881A1 (en) Spinning reel spool
US10045519B2 (en) Washer for fishing reel
JPS5925133Y2 (ja) コ−ド形刈刃装置
JP3104575U (ja) リール
JP2000083536A (ja) 魚釣用リ−ル
JPH10304797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