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628A -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628A
KR20160092628A KR1020150013242A KR20150013242A KR20160092628A KR 20160092628 A KR20160092628 A KR 20160092628A KR 1020150013242 A KR1020150013242 A KR 1020150013242A KR 20150013242 A KR20150013242 A KR 20150013242A KR 20160092628 A KR20160092628 A KR 2016009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ssembly
terminal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콤텍
Priority to KR102015001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628A/ko
Publication of KR2016009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조립체 및 제1 조립체가 암수 커넥터들에 의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 및 카메라모듈의 FPCB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들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제1 조립체 및 제2 조립체 각각이 일체형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볼트 체결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결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으며, 우수한 수밀성을 갖게 되고, 터미널을 이용하여 FPCB 및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기적 결합성이 우수하여 통신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심선 단락, 접촉 불량 및 노이즈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터미널 및 터미널에 심선이 결합된 케이블이 터미널 하우징의 결합부위가 몰딩처리 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제2 조립체의 결합커버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케이블, 밀봉부, 몰딩부, 터미널, 터미널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물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수밀성 및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cable assembly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서로 다른 크기의 규격을 갖는 카메라모듈의 FPCB(flexible PCB) 및 외부 케이블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각 조립체의 기밀성 및 조립성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노이즈 발생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모듈 및 영상처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디지털디바이스가 대중화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카메라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활용도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카메라 제조사들 간에 카메라를 소형화시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다양한 소형 카메라모듈이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카메라모듈은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입출력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나, 이러한 입출력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은 규격에 따라 굵은 두께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입출력장치로부터 인출되는 굵은 케이블을 소형의 카메라 모듈에 연결시키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 케이블 및 입출력장치 케이블의 단부를 피복시킨 후 대응되는 전선들을 권취하여 단자압착 또는 납땜방식으로 연결시키고, 연결부위를 절연용 튜브 등으로 덮은 후 몰딩 처리를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작은 크기의 도선들 각각을 일일이 피복하는 작업과, 피복된 전선들을 권취시키는 작업과, 권취된 전선들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지체되며, 도선들이 연결되는 영역에 의한 잡음(Noise) 발생이 심해 통신효율이 떨어지며, 두 장치의 케이블이 통과하는 외벽의 통과공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장비손상 및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선들을 일일이 피복 및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케이블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276467호(발명의 명칭 :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에 개시된 카메라 모듈용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의 카메라 모듈용 연결구(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복수개의 홀(111)을 갖는 도선지지부재(101)와, 외부로부터 인출되어 내부 도선들이 도선지지부재(101)의 홀들 각각에 삽입되는 케이블(103)과, 도선이 삽입된 도선지지부재(101)의 외측을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하우징(10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카메라 모듈용 연결구(100)는 하우징(105)이 볼트 체결공(153)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후면하우징에 볼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용 연결구(100)는 후방하우징 부착 시 후방하우징 내측으로 노출된 도선의 단부에 FPCB(107)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도선지지부재(101)의 홀(111)에 도선을 삽입하고, 그 외측에 하우징(105)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노이즈 억제 및 수밀성 개선에 효과가 있고, 불필요한 후처리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카메라 모듈 조립 시 도선지지부재(101)를 카메라 모듈의 후방하우징의 중공으로 삽입시킨 후 하우징(105) 및 후방하우징을 볼트 체결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도선지지부재(101)를 카메라모듈의 후방하우징의 중공으로 삽입시키는 작업과, 하우징(105) 및 카메라모듈의 후방하우징을 볼트 체결하는 작업과, 도선지지부재(101)를 통과한 도선의 단부와 FPCB(107)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케이블(103)의 도선이 단순히 도선지지부재(101)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그 외측에 하우징(105)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블(103) 및 하우징(105)의 간격 또는 케이블(103) 및 도선지지부재(101) 사이의 간격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밀성이 떨어져 장비손상 및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도선지지부재(101)의 홀을 통과하여 돌출된 피복된 도선이 FPCB(107)에 납땜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노이즈 발생이 심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1)카메라모듈의 FPCB 및 케이블의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2)FPCB 및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높여 통신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도선 단락, 접촉 불량 및 노이즈 발생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3)수밀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카메라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카메라모듈의 F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들을 포함하여 수 커넥터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조립체를 구비하고,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들이 삽입되는 터미널들을 포함하여 암 커넥터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및 카메라모듈의 FPCB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견고하게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1 조립체 및 제2 조립체 각각이 일체형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볼트 체결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결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으며, 우수한 수밀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FPCB 및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기적 결합성이 우수하여 통신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심선 단락, 접촉 불량 및 노이즈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터미널 및 터미널에 심선이 결합된 케이블이 터미널 하우징에 결합되면 결합부위를 몰딩처리를 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제2 조립체의 결합커버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케이블, 절연지지부, 몰딩부, 터미널, 터미널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물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수밀성 및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외부 입출력장치의 케이블을 카메라모듈의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후방 하우징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커넥터 핀들을 구비하는 제1 조립체; 상기 케이블을 형성하는 심선들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터미널들과, 상기 터미널들 각각이 삽입되는 터미널 수용홈들이 형성되는 터미널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상기 터미널 수용홈에 연설되는 복수개의 핀삽입공들이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에 대향되는 타면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에 탈부착되는 결합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핀삽입공들이 형성되는 일측벽이 상기 결합커버의 개구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커버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상기 터미널,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부위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각 심선이 관통되는 심선삽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절연지지부가 삽입되면 몰딩 공정을 통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 핀들이 설치되는 상기 후방 하우징의 일측벽의 양면에는 양면으로부터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지지벽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커넥터 핀들이 통과되는 핀관통공들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안착되어 일면이 상기 후방하우징의 외면에 대접되는 외측 밀봉부;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되면 일면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대접되는 내측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양단부가 연결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커버는 내측면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타면부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점까지의 내부 면적보다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점부터 개구부까지의 내부 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될 때 상기 걸림턱부터 개구부까지의 내측면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으로 상기 후방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벽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로기판은 에프피시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조립체 및 제2 조립체가 암수 커넥터들에 의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 및 카메라모듈의 FPCB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들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조립체 및 제2 조립체 각각이 일체형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볼트 체결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결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으며, 우수한 수밀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을 이용하여 FPCB 및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기적 결합성이 우수하여 통신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심선 단락, 접촉 불량 및 노이즈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 및 터미널에 심선이 결합된 케이블이 터미널 하우징의 결합부위가 몰딩처리 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조립체의 결합커버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케이블, 절연지지부, 몰딩부, 터미널, 터미널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물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수밀성 및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276467호(발명의 명칭 :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에 개시된 카메라 모듈용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케이블 어셈블리가 카메라 모듈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터미널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결합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케이블 어셈블리가 카메라 모듈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케이블 어셈블리(1)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출력장치(미도시)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31)을 카메라모듈(90)의 FPCB(flexible PCB)(52)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카메라모듈(90) 및 입출력장치 사이에 데이터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케이블 어셈블리(1)는 카메라모듈(90) 측에 설치되어 FPCB(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조립체(5)와, 케이블(31)의 심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암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조립체(3)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조립체(5)는 카메라모듈(90)의 전방하우징(91)에 결합되는 후방하우징(51)에 설치되며, 제1 조립체(5) 및 제2 조립체(3)는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도 4는 도 3의 제1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의 제1 조립체(5)는 후방하우징(51), FPCB(52), 커넥터 핀(53)들, 내부밀봉부(55) 및 외부밀봉부(57)로 구성된다.
후방하우징(5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카메라모듈(90)의 전방하우징(91)에 결합된다.
또한 후방하우징(51)은 전면개구부에 대향되는 밀폐면(511)에 양면으로부터 지지벽(513), (514)들이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벽(513), (514)들에 의해 내측에는 사각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 후방하우징(51)의 밀폐면(5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벽을 외측 지지벽(514)으로,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벽을 내측 지지벽(513)이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후방하우징(51)의 밀폐면(511) 중 지지벽(513), (514)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밀폐면에는 양면을 관통하여 커넥터 핀(53)들이 삽입되는 핀 통과공(512)들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핀 통과공(512)들은 커넥터 핀(53)의 수량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8-핀 타입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기 때문에 핀 통과공(512)들은 8개가 형성된다.
커넥터 핀(53)들은 후방하우징(51)의 핀 통과공(512)들 각각으로 삽입되어 일단부는 후방하우징(51)의 외측으로, 타단부는 후방하우징(5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후방하우징(51)에 설치된다.
또한 커넥터 핀(53)들은 후방하우징(51)의 밀폐면(511)의 내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FPCB 커넥터(521)에 연결되고, FPCB 커넥터(521)에는 FPCB(52)의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FPCB(52) 및 커넥터 핀(53)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후방하우징(51)의 밀폐면(5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터 핀(53)의 단부는 후술되는 도 7 내지 12의 제2 조립체(3)의 커넥터 하우징(37)의 핀 삽입공(373) -> 터미널 하우징(35)의 터미널 수용홈(353) -> 터미널(33)의 핀 삽입부(336)로 삽입되어 심선(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커넥터 핀(53)들에 의하여 FPCB(52) 및 케이블(31)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커넥터 핀(53)들은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외측 지지벽(514) 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FPCB(flexible PBC)(52)는 후방하우징(51)의 내측 지지벽(5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안착되어 커넥터 핀(53)들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FPCB 커넥터(521)를 포함하며, FPCB 커넥터(521)에 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FPCB 커넥터(521)는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드(미도시)들을 형성하고, 패드들은 커넥터 핀(53)들 및 FPCB(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FPCB 커넥터(521)는 후방하우징(51)의 내측 지지벽(5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 상세하게로는 일면이 후방하우징(51)의 밀폐면(512)의 내면에 대접되고, 내부에 패드들이 커넥터 핀(53)들에 연결된다.
내측밀봉부(55)는 내측 지지벽(513)의 내측 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판재인 또한 내측밀봉부(53)는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며, 일면이 FPCB 커넥터(521)의 외면에 대접됨으로써 FPCB 커넥터(521) 및 커넥터 핀(53)들을 밀봉시킨다.
외측밀봉부(57)는 외측 지지벽(514)의 내측 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판재인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여 커넥터 핀(53)들이 관통되는 핀관통공(571)들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외측밀봉부(57)는 외측 지지벽(514)의 내측으로, 일면이 후방하우징(51)의 밀폐면(511)의 외면에 대접되게 설치됨으로써 후방하우징(51)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때 핀관통공(571)들은 후방하우징(51)의 핀 통과공(512)들과 연설됨으로써 커넥터 핀(53)의 단부는 후방하우징(51)의 핀 통과공(512) 및 외측밀봉부(57)의 핀관통공(57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7은 도 3의 제2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의 제2 조립체(3)는 심선(311)들 및 절연체(313)로 구성되는 케이블(31)과, 내부에 케이블(31)의 각 심선(311)이 관통되는 심선삽입공(321)들이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절연지지부(32), 절연지지부(32)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피복된 각 심선(31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터미널(33)들과, 내부에 터미널(33)들 각각이 삽입되는 수용홈(353)들이 형성되는 터미널 하우징(35)과, 터미널 하우징(35)의 내부로 터미널(33) 및 절연지지부(32)가 수용되면 터미널 하우징(35)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몰딩부(34)와, 터미널 하우징(35)이 내부로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37)과, 조립체(31), (32), (33), (35), (37)들의 결합부위를 밀봉시킴과 동시에 제1 조립체(5)의 후방하우징(51)에 볼트(B) 체결되는 결합커버(39)로 이루어진다.
케이블(31)은 8개의 심선(311)들과, 심선(311)들의 외측을 둘러싸듯이 형성되는 절연체(313)로 이루어지고, 외부 입출력장치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심선(311)의 수량이 8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심선(311)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블(31)의 심선(311)들의 단부는 작업자에 의해 피복되며, 피복된 심선(311)들로는 절연지지부(32)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각 심선(311)의 외주면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절연재질의 피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절연지지부(32)는 두께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절연성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절연지지부(32)는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여 피복된 각 심선(311)이 통과하는 심선삽입공(321)들이 형성됨으로써 심선(311)들을 지지한다. 이때 심선삽입공(321)들의 수량은 심선(311)들의 수량에 대응하여 8개로 형성된다.
또한 절연지지부(32)는 케이블(31)과 함께 후술되는 도 11의 터미널 하우징(35)으로 삽입될 때 터미널 하우징(35)의 개구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이물질 유입을 차단한다.
또한 절연지지부(32)의 심선삽입공(321)들을 통과하여 절연지지부(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피복된 각 심선(311)에는 터미널(33)이 설치된다.
도 10은 도 7의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터미널(3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선 고정부(331) 및 핀 삽입부(336)를 포함하고, 심선 고정부(331) 및 핀 삽입부(336)는 금속시트가 벤딩 및 절개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심선 고정부(331)는 심선(311)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부면의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제1, 제2 가압부(332), (333)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 가압부(332) 및 제2 가압부(333)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된다.
또한 제1 가압부(332) 및 제2 가압부(333) 사이로 심선(311)이 삽입되면 제1 가압부(332) 및 제2 가압부(333)는 심선(311)을 가압하여 심선(311)을 고정시킨다.
핀 삽입부(336)는 심선 고정부(331)로부터 연장되어 커넥터 핀(53)들이 삽입 되는 공간을 이루고, 수용되는 커넥터 핀(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핀 삽입부(336)는 하부면(337)과, 삽입된 커넥터 핀(53)을 탄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발지지부(338), (339)들을 포함한다.
또한 터미널(33)은 터미널 하우징(35)의 터미널 수용홈(353)으로 삽입될 때 터미널 수용홈(353)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미도시)가 삽입되는 걸림홈(335)이 하면에 형성된다. 즉 터미널(33)은 터미널 수용홈(353)으로 삽입되면 걸림홈(335)으로 걸림돌출부가 삽입되어 걸림돌출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터미널(33)이 터미널 하우징(35)의 터미널 수용홈(353)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7의 터미널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과 12의 터미널 하우징(35)은 일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터미널들 각각이 삽입되는 터미널 수용홈(353)들을 포함하는 터미널 수용부(351)가 형성된다.
터미널 수용부(351)는 일측이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타측이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타면에 연결되며, 내부에 터미널(33)들 각각이 삽입되는 터미널 수용홈(353)들이 형성된다.
터미널 수용홈(353)들은 일단부가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에 연설되며, 타단부가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타면에 연결된다. 즉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로는 피복된 심선(311)이 결합된 터미널(33)들이 삽입되어 대응되는 터미널 수용홈(353)으로 삽입되고, 타면의 터미널 수용홈(353)으로는 커넥터 핀(53)이 삽입되어 터미널(33)의 핀 삽입부(356)로 삽입됨으로써 터미널(33)에 의하여 심선(311) 및 커넥터 핀(53)이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터미널 수용부(351)는 터미널 수용홈(353)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걸림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돌출부는 삽입된 터미널(33)의 걸림홈(335)으로 삽입되어 터미널(33)을 지지한다.
또한 터미널 수용부(351) 및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는 절연지지부(32)가 설치된다. 이때 터미널 하우징(35)의 개구부는 케이블(31)의 절연체(313)의 외경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케이블(31)은 터미널 하우징(35)의 개구부로 삽입되지 못한다.
또한 터미널 하우징(35)은 일측 개구부에 인접한 외측면(355)들에 걸림턱(356)이 형성되며, 걸림턱(356)에 의하여 외측면들의 면적이 확장된다.
또한 터미널 하우징(35)은 확장된 외측면들에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출부(357)들이 형성되고, 지지돌출부(357)들은 커넥터 하우징(37)에 결합할 때 커넥터 하우징(37)의 걸림홈(376)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터미널 하우징(35)은 일측 개구부로 터미널(33)들 및 절연지지부(32)가 삽입됨과 동시에 터미널 수용부(351)의 터미널 수용홈(353)들 각각으로 터미널(33)들이 삽입되고, 절연지지부(32)는 터미널 수용부(351) 및 터미널 하우징(35)의 일측 개구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안착되고, 이러한 상태로 결합된 터미널 하우징(35)은 커넥터 하우징(37)에 결합된다.
몰딩부(34)는 터미널 하우징(35)의 내부로 터미널(33), 절연지지부(32) 및 케이블(31)의 심선(311)이 삽입되면 터미널 하우징(35)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에폭시 등의 재질로 몰딩 처리된다.
커넥터 하우징(37)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양단부가 연결되는 판재 형상의 걸림부(371)가 형성되고, 걸림부(371)는 결합커버(39)에 결합 시 후술되는 도 13의 결합커버(39)의 걸림턱(395)에 안착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7)은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타면(372)에 커넥터 핀(53)들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373)들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7)은 일측 개구부에 인접한 측벽(375)에 양면을 관통하는 걸림홈(376)들이 형성되고, 걸림홈(376)으로는 터미널 하우징(35) 조립 시 터미널 하우징(35)의 지지돌출부(357)들이 삽입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37) 및 터미널 하우징(35)의 결합성을 높인다.
즉 커넥터 하우징(37)의 일측 개구부로 터미널 하우징(35)이 삽입되면 커넥터 하우징(37)의 핀 삽입공(373)들 및 터미널 하우징(35)의 터미널 수용홈(353)들은 연설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 핀(53)은 커넥터 하우징(37)의 핀 삽입공(373)으로 삽입되어 터미널 하우징(35)의 터미널 수용홈(353) -> 터미널(33)의 핀 고정부(336)로 삽입된다.
도 13은 도 7의 결합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과 14의 결합커버(39)는 케이블(31), 절연지지부(32), 터미널(33), 터미널 하우징(35) 및 커넥터 하우징(37)의 조립되면 이 조립품의 외측을 감싸듯이 설치된다. 이때 결합커버(39)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결합커버(39)는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밀폐면(391)의 외면에 외면으로부터 중공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형돌출부(392)가 형성된다. 이때 원형돌출부(392)의 중공(393)으로는 케이블(31)이 삽입된다.
또한 결합커버(39)의 내부 공간에는 조립된 커넥터 하우징(37)의 일부 영역이 수용되고, 커넥터 하우징(37)은 핀 삽입공(373)들이 형성되는 타면(372)에 인접한 영역이 결합커버(39)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결합커버(39)는 내측면(394)에 커넥터 하우징(37)의 걸림부(371)가 안착되는 걸림턱(395)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395)에 의하여 결합커버(39)의 내측면과 커넥터 하우징(37) 사이는 이격되어 공간(399)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공간(399)으로는 전술하였던 제1 조립체(5)의 외측 지지벽(514)이 삽입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결합커버(39)의 외측면에는 체결돌출부(396)가 돌출 형성되고, 체결돌출부(396)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삽입공(397)이 형성됨으로써 결합커버(39)는 제1 조립체(5)의 후면하우징(51)에 볼트(B)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결합커버(39)는 케이블(31), 절연지지부(32), 터미널(33), 터미널 하우징(35) 및 커넥터 하우징(37)의 조립되면 이 조립품들을 금형 내로 삽입시킨 인서트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1:케이블 어셈블리 3:제2 조립체 5:제1 조립체
31:케이블 32:절연지지부 33:터미널
35:터미널 하우징 37:커넥터 하우징 39:결합커버
51:후방하우징 52:FPCB 53:커넥터 핀
55:내측밀봉부 57:외측밀봉부

Claims (8)

  1. 외부 입출력장치의 케이블을 카메라모듈의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후방 하우징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커넥터 핀들을 구비하는 제1 조립체;
    상기 케이블을 형성하는 심선들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터미널들과, 상기 터미널들 각각이 삽입되는 터미널 수용홈들이 형성되는 터미널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상기 터미널 수용홈에 연설되는 복수개의 핀삽입공들이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에 대향되는 타면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에 탈부착되는 결합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핀삽입공들이 형성되는 일측벽이 상기 결합커버의 개구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상기 터미널, 상기 터미널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부위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각 심선이 관통되는 심선삽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절연지지부가 삽입되면 몰딩 공정을 통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들이 설치되는 상기 후방 하우징의 일측벽의 양면에는 양면으로부터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지지벽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커넥터 핀들이 통과되는 핀관통공들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안착되어 일면이 상기 후방하우징의 외면에 대접되는 외측 밀봉부;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되면 일면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대접되는 내측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7. 청구항 제6항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양단부가 연결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커버는 내측면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타면부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점까지의 내부 면적보다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점부터 개구부까지의 내부 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될 때 상기 걸림턱부터 개구부까지의 내측면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으로 상기 후방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에프피시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KR1020150013242A 2015-01-28 2015-01-28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KR20160092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42A KR20160092628A (ko) 2015-01-28 2015-01-28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42A KR20160092628A (ko) 2015-01-28 2015-01-28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28A true KR20160092628A (ko) 2016-08-05

Family

ID=5671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242A KR20160092628A (ko) 2015-01-28 2015-01-28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26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8A (ko)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 케이블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8A (ko)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 케이블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3349B (zh) 具有接觸模組之電氣連接器
US9590321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JP4249192B2 (ja) モジュール機器用電気機器
JP5776029B2 (ja) コネクタ
US9343835B2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9401568B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10483700B2 (en) All-in-one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01855790B (zh) 具有插塞连接装置的电子组件
JP2010062147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9231352B2 (en)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TWI608674B (zh) 信號轉接裝置及轉接器總成
JP2004119294A (ja) シール材の固定構造
KR20160092628A (ko)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JP608092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626371B1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TW201911685A (zh) 轉接器總成及轉接器
JP5978511B2 (ja) カメラ装置
JP476477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66799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JP7337605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
JP2007280889A (ja) コネクタ
JP2010015930A (ja) 端子部材、コネクタ、及び、端子部材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