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613A -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613A
KR20160092613A KR1020150013209A KR20150013209A KR20160092613A KR 20160092613 A KR20160092613 A KR 20160092613A KR 1020150013209 A KR1020150013209 A KR 1020150013209A KR 20150013209 A KR20150013209 A KR 20150013209A KR 20160092613 A KR20160092613 A KR 2016009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se layer
composite sheet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367B1 (ko
Inventor
김태섭
Original Assignee
(주) 모듈트레이테크널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모듈트레이테크널러지 filed Critical (주) 모듈트레이테크널러지
Priority to KR102015001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로서,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로서,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측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각각 적층되고,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층과 함께 프레스 성형되어 트레이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마모층;을 포함하도록 한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에 내마모성, 내구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층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부품이 진동이나 유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미끄러지더라도 트레이 표면과의 마찰이나 갈림 등으로 인해 버(burr)나 파티클(particle)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한 전자부품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하며, 이러한 층이 트레이의 성형만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패드 형성을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e sheet for making electronic component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내마모성, 내구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층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부품이 진동이나 유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미끄러지더라도 트레이 표면과의 마찰이나 갈림 등으로 인해 버(burr)나 파티클(particle)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 예를 들면, 반도체 패키지, 반도체 칩, 안테나, 케이스, 배터리, 회로기판, 배터리, 전자소자 그 밖에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은 제조공정의 수행을 위해 이송되거나, 조립 및 전기적 검사를 마치고서 출하를 위해 이송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이송되는데, 이때 트레이에 다수로 수납되어 운반되어진다.
종래의 전자부품용 트레이는 전자부품의 크기 및 구조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기 제작된 사출성형용 금형을 통해 제조되는데, 기존의 트레이에 의하면, 전자부품을 트레이에 수납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이 유동으로 인해 트레이와의 마찰 내지 갈림을 유발하여, 트레이 등의 표면으로부터 버(burr)나 파티클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7434호의 "전자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전자 부품을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부가 형성된 포켓 프레임; 및 상기 포켓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포켓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포켓 프레임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각 전자부품들이 포켓 프레임의 수납부에 밀폐된 상태로 개별적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전자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전자부품의 격리 수납 구조만으로는 전자제품의 흔들림, 미끄러짐 등의 진동 및 유격에 의한 전자부품과 트레이 표면과의 마찰, 갈림으로 인한 버(burr)나 파티클(particle) 발생과, 이로 인한 오염원 제공을 완전하게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모성이 뛰어난 별도의 패드를 트레이 내측에 부착하는 방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트레이의 성형 후, 트레이에 패드를 부착하기 위한 후공정이 요구됨으로써 비용의 추가 발생 및 생산성 저하 등과 같은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에 내마모성, 내구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층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부품이 진동이나 유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미끄러지더라도 트레이 표면과의 마찰이나 갈림 등으로 인해 버(burr)나 파티클(particle)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한 전자부품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하며, 이러한 층이 트레이의 성형만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패드 형성을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로서,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측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각각 적층되고,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층과 함께 프레스 성형되어 트레이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마모층;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기재층은, PS(poly styr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마모층 각각의 노출면에 적층되고,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마모층은, 서로 합한 두께가 0.3~3mm이고, 상기 기재층이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80~94%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내마모층 모두가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6~2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와 상기 수지와 동시에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를 압출기 각각에 의해 T 다이(T-die)로 토출함으로써, 상기 T 다이에 의해 상기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양측면에 상기 PETG로 이루어진 내마모층이 각각 적층되는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T 다이로부터 인출되는 복합시트를 압동터치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재층을 이루는 수지는, PS(poly styr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합시트 중에서 상기 내마모층 각각의 노출면에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마모층이 서로 합한 두께가 0.3~3mm이고, 상기 기재층이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80~94%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내마모층 모두가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6~2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성 고분자가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를 외부층으로 함과 동시에, 기재층을 이루는 수지, 예컨대 PS(poly styrene)를 내부층으로 하는 트레이로 성형되기 위한 복합시트를 원단으로 제공할 수 있고, PS와 같은 기재층에 의해 트레이 본래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기재층에 일체로 형성되는 PETG의 내마모성, 내마모성 및 내한성에 의해 전자부품이 진동이나 유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미끄러지더라도 트레이 표면과의 마찰이나 갈림 등으로 인해 버(burr)나 파티클(particle)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한 전자부품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작업조건에서 PETG와 기재층의 동시 성형만으로도 트레이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패드 부착을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서 코팅층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코팅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10)는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로서, 기재층(11)과 내마모층(12,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10)는 전자부품용 트레이 제작을 위한 원단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열이 가해진 상태에서 금형에 놓여져서 프레스로 가압됨으로써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형태로 만들어진 다음, 냉각 및 취출됨으로써 트레이로 최종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는 전자부품의 종류 및 수용 갯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이 각각 또는 다수로 수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전자부품이 제조 공정을 위해 운반되는데 사용됨은 물론, 제조를 마친 전자부품의 검사나 출하 등을 위해 운반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용도의 운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11)은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예컨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이 다양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레스 성형에 유리하면서 트레이로서 강성 유지가 뛰어남과 동시에,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와의 동시 성형을 고려하여, 일례로 PS(poly styr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마모층(12,13)은 기재층(11)의 양측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각각 적층되고,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자부품 등과 마찰이나 갈림 등에 의해 버(burr)나 파티클(particle)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내마모성을 제공하며, 기재층(11)과 함께 프레스 성형시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측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내마모층(12,13)은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스 성형시, 성형에 필요로 하는 고온, 예컨대 80도씨 정도에서 일반적인 PET, 예컨대 A-PET와는 달리 백화현상을 유발하지 않아 고품질의 제품 성형을 가능하도록 한다.
기재층(11)과 내마모층(12,13)은 서로 합한 두께가 0.3~3mm일 수 있다. 기재층(11)과 내마모층(12,13)의 합한 두께가 0.3mm 미만인 경우 트레이의 형태 유지를 어렵게 하고, 3mm 초과인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무게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기재층(11)은 상기한 서로 합한 두께의 80~94%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트레이의 형태 유지를 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마모층(12,13) 모두는 상기한 서로 합한 두께의 6~2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내마모층(12,13) 각각은 상기한 전체 두께의 3~1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내마모층(12,13) 모두는 상기한 서로 합한 두께가 6% 미만인 경우 전자부품의 마찰이나 갈림 등에 대한 내마모성 확보를 어렵게 하고, 20% 초과인 경우 기재층(11)과의 일체성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내마모층(12,13) 각각의 노출면에는 코팅층(14,15)이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노출면은 상부에 위치하는 내마모층(12)의 상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내마모층(13)의 하면이 될 수 있다. 코팅층(14,15)은 0.01㎛~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전자부품의 종류와 규격 등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할 수 있으며, 내마모층(12,13) 상에 적층됨으로써 내마모층(12,13) 상에 놓이게 되는 전자부품이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 등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전성 고분자 외에도 용매, 분산제, 강화재, 경화제, 이형제 등의 재료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도전성을 가진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은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와, 상기의 수지와 동시에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를 압출기(1,2a,2b) 각각에 의해 T 다이(T-die; 3)로 토출함으로써, T 다이(3)에 의해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11)과, 기재층(11)의 양측면에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진 내마모층(12,13)이 각각 적층되는 복합시트를 제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재층(11)을 이루는 수지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PS(poly styr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11)을 이루는 수지는 안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 내마모층(12,13)은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스 성형시, 성형에 필요로 하는 고온, 예컨대 80도씨 정도에서 일반적인 PET, 예컨대 A-PET와는 달리 백화현상을 유발하지 않아 고품질의 제품 성형을 가능하도록 한다.
기재층(11)의 형성을 위한 수지는 메인압출기(1)를 통해서 토출되고, 내마모층(12,13) 각각의 형성을 위한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서브압출기(2a,2b) 각각에 의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압출기(1)는 그 직경이 110~130mm, 일례로 120mm일 수 있고, 압출용 스크류의 회전수가 60~90rpm, 일례로 75rpm일 수 있으며, 실린더의 온도가 200~255℃일 수 있다. 또한 서브압출기(2a,2b)는 그 직경이 60~80mm, 일례로 70mm일 수 있고, 압출용 스크류의 회전수가 8~15rpm, 일례로 12rpm일 수 있으며, 실린더의 온도가 260~280℃일 수 있다.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T 다이(3)로부터 인출되는 복합시트를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압동터치롤(4)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기재층(11)과 내마모층(12,13)이 서로 합한 두께가 0.3~3mm일 수 있고, 기재층(11)이 상기한 서로 합한 두께의 80~94%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내마모층(12,13) 모두가 상기한 서로 합한 두께의 6~2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이후, 복합시트 중에서 내마모층(12,13) 각각의 노출면에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손상, 이물질의 부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13; 도 1에 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전성 고분자가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은 도전성 고분자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밖에도 용매, 분산제, 강화재, 경화제, 이형제 등의 성분이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일례로 코팅액이 공급되는 코팅용 롤(5,6)을 이용하여 내마모층(12,13) 각각의 노출면 상에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코팅액이 공급되는 코팅용 롤(5,6)에 의한 코팅 방법 외에도,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스크린 인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일례로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코팅층(14,15; 도 1에 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먼저 하부의 내마모층(13; 도 1에 도시) 하면에 코팅층(15; 도 1에 도시)을 1차로 형성하기 위하여, 1차 용기(9a)에 저장된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액(C)이 기재층(11)과 내마모층(12,13)으로 이루어진 복합시트와의 마찰력이나, 별도 구동장치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1차 그라비아롤(7a)에 의해, 복합시트의 내마모층(13) 하면으로 공급됨으로써 코팅층(1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1차 키스롤(8a)이 복합시트를 눌러줌으로써 복합시트에 코팅액(C)이 제대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코팅을 마친 다음, 상부의 내마모층(12; 도 1에 도시)의 상면에 코팅층(14; 도 1에 도시)을 2차로 형성하기 위하여, 1차 코팅을 마친 복합시트를 반전롤(8c)에 의해 상면과 하면이 바뀌도록 이송시키고, 2차 용기(9b)에 저장된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액(C)이 기재층(11)과 내마모층(12,13)으로 이루어진 복합시트와의 마찰력이나, 별도 구동장치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2차 그라비아롤(7b)에 의해, 복합시트에서 상하로 바뀜으로써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내마모층(12)의 하측면으로 공급됨으로써 코팅층(1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2차 키스롤(8b)이 복합시트를 눌러줌으로써 복합시트에 코팅액(C)이 제대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코팅된 복합시트는 상온 상태 또는 히팅부재에 의해 열이 제공되는 고온 상태의 챔버 내측을 통과하거나, 이러한 챔버 내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코팅층(14,15)에 대한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를 외부층으로 함과 동시에, 기재층을 이루는 수지, 예컨대 PS(poly styrene)를 내부층으로 하는 트레이로 성형되기 위한 복합시트를 원단으로 제공할 수 있고, PS와 같은 기재층에 의해 트레이 본래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기재층에 일체로 형성되는 PETG의 내마모성, 내마모성 및 내한성에 의해 전자부품이 진동이나 유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미끄러지더라도 트레이 표면과의 마찰이나 갈림 등으로 인해 버(burr)나 파티클(particle)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한 전자부품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작업조건에서 성형되는 PETG와 기재층의 동시 성형만으로도 트레이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패드 부착을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메인압출기 2a,2b : 서브압출기
3 : T 다이 4 : 압동터치롤
5,6 : 코팅용 롤 7a,7b : 그라비아롤
8a,8b : 키스롤 8c : 반전롤
9a,9b : 용기 10 :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11 : 기재층 12,13 : 내마모층
14,15 : 코팅층 C : 코팅액

Claims (8)

  1.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로서,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측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각각 적층되고,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층과 함께 프레스 성형되어 트레이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마모층;
    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S(poly styrene)로 이루어지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층 각각의 노출면에 적층되고,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마모층은,
    서로 합한 두께가 0.3~3mm이고, 상기 기재층이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80~94%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내마모층 모두가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6~2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5.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레스 성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트레이로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지와 상기 수지와 동시에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를 압출기 각각에 의해 T 다이(T-die)로 토출함으로써, 상기 T 다이에 의해 상기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양측면에 상기 PETG로 이루어진 내마모층이 각각 적층되는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T 다이로부터 인출되는 복합시트를 압동터치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을 이루는 수지는,
    PS(poly styrene)로 이루어지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합시트 중에서 상기 내마모층 각각의 노출면에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압동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마모층이 서로 합한 두께가 0.3~3mm이고, 상기 기재층이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80~94%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내마모층 모두가 상기 서로 합한 두께의 6~2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성 고분자가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50013209A 2015-01-28 2015-01-28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09A KR101655367B1 (ko) 2015-01-28 2015-01-28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09A KR101655367B1 (ko) 2015-01-28 2015-01-28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13A true KR20160092613A (ko) 2016-08-05
KR101655367B1 KR101655367B1 (ko) 2016-09-07

Family

ID=5671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209A KR101655367B1 (ko) 2015-01-28 2015-01-28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6572A (zh) * 2021-08-31 2021-11-26 江苏双星彩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petg热收缩膜及其制备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21B1 (ko) * 2005-02-15 2007-09-10 광 석 서 용기 성형용 영구 대전방지 고분자 필름
KR100844225B1 (ko) * 2006-11-08 2008-07-04 광 석 서 대전방지 폴리에스터 쉬트 및 이로 부터 제조된 부품 운반용기
KR100960900B1 (ko) * 2009-10-01 2010-06-04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미연신 이형 폴리프로필렌 이층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21B1 (ko) * 2005-02-15 2007-09-10 광 석 서 용기 성형용 영구 대전방지 고분자 필름
KR100844225B1 (ko) * 2006-11-08 2008-07-04 광 석 서 대전방지 폴리에스터 쉬트 및 이로 부터 제조된 부품 운반용기
KR100960900B1 (ko) * 2009-10-01 2010-06-04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미연신 이형 폴리프로필렌 이층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6572A (zh) * 2021-08-31 2021-11-26 江苏双星彩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petg热收缩膜及其制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367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058B1 (ko) 이형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8349122B (zh) 工艺用脱模膜、其用途、以及使用其的树脂密封半导体的制造方法
CN109219898B (zh) 电池用包装材料及其制造方法、电池和聚酯膜
KR20140011390A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 공정용의 박리 필름
CN116761723A (zh) 层叠薄膜和层叠薄膜的制造方法
KR101655367B1 (ko)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8811B1 (ko) 이형 필름
KR20220044022A (ko) 슬립 방지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KR20130089025A (ko) 연성인쇄회로기판공정용 이형필름
US20160381833A1 (en) Heat sink,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7571433B (zh) 半导体封装的制造方法
KR101543225B1 (ko) 전자부품 트레이 제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725214B (zh) 层叠体
KR20120090957A (ko) 성형용 필름
JP7144715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ロール
KR101896364B1 (ko) 페라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페라이트 시트
US20120207972A1 (en) Insulating film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330991A1 (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22016503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KR101492085B1 (ko) 플라스틱 시트
KR101259954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제조용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559027B1 (ko) 반도체 에폭시 몰드 컴파운드 공정용 내열 세퍼레이터 필름
KR101335665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86896B1 (ko)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1468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용 이형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