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665B1 -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665B1
KR101335665B1 KR1020110070177A KR20110070177A KR101335665B1 KR 101335665 B1 KR101335665 B1 KR 101335665B1 KR 1020110070177 A KR1020110070177 A KR 1020110070177A KR 20110070177 A KR20110070177 A KR 20110070177A KR 101335665 B1 KR101335665 B1 KR 10133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film
mold
mold decorative
mold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230A (ko
Inventor
김태용
서보수
황창익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6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08Anti-stat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오성과 내블로킹성 및 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필름 랜덤방향으로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통하여, 인몰드 성형시 성형품 엣지부의 크랙이나 찢어짐의 발생이 없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대전방지 코팅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타면에 도포된 이접착층으로 이루어진 2축 연신된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필름 주행방향(MD)으로 3.0~4.5배의 연신비로 1축 연신된 후, 필름 주행방향과 직각방향(TD)으로 3.5~5.0배의 연신비로 2축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EXCELLENT MOLDING IN-MOLD DECORATION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오성과 내블로킹성 및 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필름 랜덤방향으로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통하여, 인몰드 성형시 성형품 엣지부의 크랙이나 찢어짐의 발생이 없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물의 외관을 꾸미는 방법으로는 증착법이나 도장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미세한 성형물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색, 모양, 형태를 다르게 하여 외관을 꾸밀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공정상의 문제가 있어, 필름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전사시키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전사시키는 방법에는 IML(In-Mold Lamination)방법과 IMD(In-Mold Decoration)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방법 모두 사출과 동시에 전사층을 전사시키는 방법은 동일하나, IML 방법의 경우에는 비연속 공정이며, IMD 방법은 연속적인 공정이다. 이로 인해, IMD 방법은 IML 방법에 비해 성형성이 좋고, 연속공정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으며, 얇은 필름이 사용되므로 경제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인몰드 전사용 필름은 인몰드 공법에 사용되어 미세한 패턴 또는 특이한 형상을 노트북, 모바일폰, PDA, PMP, PS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면에 꾸밀 수 있으며, 생산성이 뛰어나 관련 업계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인몰드 성형시, 성형수율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문제점은 성형품 엣지부의 성형불량에 의한 것이다. 이는 인몰드 필름의 기재필름 엣지부에서의 크랙이나 찢어짐에 의해 성형품 불량을 야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인몰드 공정시, 필름이 금형에 장착되고, 고온의 수지가 금형 내부에 들어오게 되는데, 특히 굴곡이 심한 엣지부의 경우에는 필름의 랜덤방향 연신이 강하게 일어나고, 이때, 인몰드 필름의 강신도 비 발란스화로 인한 크랙이나 찢어짐이 발생할 경우, 결국에는 성형품 엣지부의 성형불량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상기한 성형품 엣지부의 성형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인몰드 필름의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필름의 강신도 발란스화가 필요하다.
또한, 인몰드 전사용 베이스 필름에서 적어도 일면은 금형내의 오염을 방지하고, 공정시에 하드코팅층(또는 인쇄층) 또는 접착층과의 내블로킹성을 가지는 대전방지층을 가져야 하며, 그 이면은 인몰드 성형 후, 인몰드 전사용 필름과 성형품과의 박리를 위하여 이형층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필름의 랜덤방향 강신도 발란스화를 통하여, 성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대전방지성, 내블로킹성 및 이접착성을 가지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제막시 최적의 공정조건을 달성하여, 방오성과 내블로킹성 및 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 랜덤방향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달성하여 인몰드 성형시에 성형품 엣지부의 성형불량을 줄임으로써, 우수한 인몰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베이스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대전방지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타면에 도포된 이접착층으로 이루어진 2축 연신된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필름 주행방향(MD)으로 3.0~4.5배의 연신비로 1축 연신된 후, 필름 주행방향과 직각방향(TD)으로 3.5~5.0배의 연신비로 2축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축 연신 후 200~240℃에서 열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랜덤방향에서 강도 편차(강도 Max - 강도 Min) 6 kgf/㎟ 이하, 신도 편차(신도 Max - 신도 Min)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주행방향(MD), 주행방향의 직각방향(TD)의 강도가 23 ± 5 kgf/㎟이내, 신도는 150 ± 5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1X1011Ω/sq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필름 주행방향(MD)으로 3.0~4.5배의 연신비로 연신하여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타면에 이접착층을 도포하는 제3단계와, 상기 대전방지층과 상기 이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필름 주행방향과 직각방향(TD)으로 3.5~5.0배의 연신비로 재연신하여 2축 연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에서 2차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0~240℃에서 열고정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층을 이루는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0.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랜덤방향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통하여, 인몰드 성형시에 성형품 엣지부의 성형불량을 줄임으로써, 우수한 인몰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층을 폴리에스테르 일면에 적용하고, 다른 일면에는 이접착층을 적용함으로써,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면서도 내블로킹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대전방지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타면에 도포된 이접착층으로 이루어진 2축 연신된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필름 주행방향(MD)으로 3.0~4.5배의 연신비로 1축 연신된 후, 필름 주행방향과 직각방향(TD)으로 3.5~5.0배의 연신비로 2축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필름 주행방향(MD)으로 1차 연신하고, 이후 필름 주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TD)으로 2차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에 적용하나, 연신 순서는 바뀌어도 관계가 없으며, MD방향과 TD방향의 동시 2축 연신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티다이(T-DIE)에서 압출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캐스팅 드럼을 통해 무연신의 시트가 만들어지고, 이를 필름 주행방향(MD)방향으로 롤의 주속비 차이를 이용하여 연신하게 되는데, 3.0~4.5배 사이에서 연신을 실시한다. MD연신비가 3.0배 미만에서는 낮은 강도로 인하여, 인몰드 성형시 필름의 찢어짐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연신비가 4.5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도가 매우 낮아져, 인몰드 성형시에 성형품 엣지부에서 필요한 충분한 필름의 연신을 얻을 수 없다. MD방향으로 연신이 끝난 필름은 양면 코팅 과정을 거쳐, 텐터라는 공정부에서 필름 주행방향의 반대방향과 직각방향(TD)으로 2차 연신을 실시한다. 이때에 연신비는 3.5~5.0배 사이에서 실시한다. TD연신비가 3.5배 미만이면 강도가 낮아져, 인몰드 성형시 필름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연신비가 5.0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도가 매우 낮아져, 인몰드 성형시에 성형품 엣지부에서 필요한 충분한 필름의 연신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필름 랜덤방향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위하여서는 텐터내의 열고정부 온도를 200~240℃로 설정하여야 한다. 이는 텐터 연신시, 열고정부에서 발생하는 TD방향의 분자배향이 활처럼 휘는 보잉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보잉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인 열고정부에서의 수축응력이 발생하는 문제를 열고정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최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보잉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강신도 발란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분자사슬 배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때, 텐터내의 열고정부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에는 열수축율이 커져, 후가공시 Curl 발생을 일으키거나, 인쇄모양과 성형품과의 모양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열고정부 온도가 240℃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잉현상이 심해져, 필름 랜덤 방향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대전방지 코팅층의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교제 수지 100~1000 중량부 및 불소계 수지 10~100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란계 계면활성제 0.001~1 중량부를 첨가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이다. 여기서 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이 함유된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가 함유된 수분산체이며, 상기 수분산체에는 폴리음이온이 0.1 내지 5 중량%가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접착층을 이루는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 COPET계 바인더 수지(-COOH 관능기 함유) 10중량부와 멜라민계 가교제 수지 0.5중량부, 불소계 계면활성제 0.1중량부가 함유된 조성물이다.
상기의 조건에서 만들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랜덤방향에서 강도편차(강도 Max - 강도 Min) 6 kgf/㎟이하, 신도 편차(신도 Max - 신도 Min) 80% 이하이며 더욱이 필름의 주행방향(MD), 주행방향의 직각방향(TD)의 강도가 23 ± 5 kgf/㎟이내, 신도는 150 ± 50 %이내인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필름 랜덤방향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통하여 인몰드 성형시 성형품 엣지부의 성형불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1X1011Ω/sq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노트PC케이스, 핸드폰 케이스,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 케이스 등의 플라스틱 장식품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1축 연신하는 제1단계와 2) 상기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도포하는 제2단계와 3) 상기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타면에 이접착층을 도포하는 제3단계와 4) 상기 대전방지층과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재연신하여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라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1축 연신하는 제1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종류는 기재필름으로 공지된 통상의 수지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키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하고, 이외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실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족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각각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제3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진공 건조 후에 압출기로 용융하여 티다이(T-DIE)를 통해 시트 상으로 압출하고, 냉각롤에 정전인가법(Pinning)으로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얻고, 이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롤에서 롤과 롤 사이의 주속비 차에 의한 3.0~4.5배의 1축 연신을 행하여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제2단계와 제3단계는 1단계에서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대전방지층 및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순차적으로 수행하나,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순서는 바꾸어도 관계가 없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전방지층 및 이접착층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메이어바 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도포 전에 필름의 극성기를 도입하여, 코팅층과 필름과의 접착성이나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로나 방전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제4단계는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 대전방지층 및 이접착층이 형성된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재연신하여 2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4단계에서의 연신은 1축 연신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신하며, 바람직한 연신비는 3.5~5.0배이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로서 연신공정 이후, 필름 랜덤방향의 강신도 발란스화를 위하여 200~240℃의 열고정 단계를 거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층을 이루는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0.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5~300㎛, 바람직하게는 10~250㎛이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물질의 구입처와 상품명은 아래와 같다.
(1) 무정형 구형 실리카 입자 : SAC, S-SIL 40
(2) 전도성 고분자 수지 : 중일유화, JISTAT CPC
(3) 실란계 계면활성제 : Dow corning, Q2-5211
(4) COPET계 바인더 수지 : TAKAMATSU, A-215GE
(5) 멜라민계 가교제 수지 : Dow corning, MF-32EF
(6) 불소 수지 : Dupont, Zonyl 6949
(7) 불소계 계면활성제 : TAKAMATSU, RX-13
[실시예 1]
단계 1: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평균 입경이 2.5㎛의 무정형 구형 실리카 입자가 20ppm이 들어있는 극한 점도 0.625㎗/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pellet)을 진공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7시간 동안 160℃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용융하여 압출 티-다이를 통하여 냉각드럼에 정전인가법으로 밀착시켜 무정현 미연신 시트를 만들고, 이를 다시 가열하여 95℃에서 필름 진행 방향으로 3.5배 연신을 행하여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계 2: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코로나 처리된 일면에 대전방지층으로 고형분 기준, 전도성 고분자 수지(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술폰산(분자량 Mn=150,000) 0.8중량%를 함유하는 수분산체)를 코팅액으로 하되,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 대비, 멜라민계 가교제 수지 200중량부, 불소 수지 100 중량부 및 실란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 코팅액에 대하여 1.5중량%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다른 일면에 도포되는 통상의 이접착 코팅층을 이루는 이접착 코팅액은 고형분 기준, COPET계 바인더 수지(-COOH 관능기 함유) 10 중량부와 멜라민계 가교제 수지 0.5 중량부, 불소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대전방지 및 이접착 코팅액을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도포하였다. 도포 후, 105~140℃ 텐터 구간에서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키고, 필름의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3.5배 연신한 다음, 22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50㎛ 두께의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텐터에서의 열고정부 온도를 20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텐터에서의 열고정부 온도를 24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MD 연신비를 2.5배, TD 연신비를 3.0배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MD 연신비를 5.0배, TD 연신비를 5.5배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텐터에서의 열고정부 온도를 18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텐터에서의 열고정부 온도를 26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2축 연신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강신도
폭 12.65㎜ X 길이 160㎜의 시편을 필름의 종/횡/좌45도/우45도 방향으로 5매씩 채취하여, ASTM D882규격에 의거하여 인장강도기(유나이티드사, 모델 SSTM-5KN)를 사용하여, 필름의 MD, TD, 좌45도, 우45도 방향의 파단강도, 파단신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파단강도와 파단신도 값의 Max-Min을 구하여 강도편차와 신도편차를 구하였다.
2. 열수축율
폭 150㎜ X 길이 150㎜의 시험편을 재취하고, 150℃ ± 2℃로 설정한 열풍순환식 고온건조기에 시료를 30분간 가열 후 꺼낸 다음 즉시 전장을 스테인레스자를 이용하여 0.1㎜ 단위까지 길이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으로 산출한다.
Figure 112011054384561-pat00001
3. 성형성
사출성형은 사출성형기(LS엠트론사, 모델 LGH800D)를 사용하여 필름 장착 후에, 13인치 노트PC용 케이스를 사출하였다. 사출이 끝난 성형품의 4군데 엣지의 성형불량 갯수를 측정하였다.
4. 대전방지성
대전방지 측정기(미쯔비시㈜; 모델명 MCP-T600)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RH 환경 하에 시료를 설치한 후, JIS K7194 규격에 의거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5. 내블로킹성 측정
스탬핑 호일의 COLORIT P타입(쿨츠사)을 사용하여 대전방지면과 인쇄면을 맞추고 60℃ 온도, 1kg/cm2압력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대전방지층과 인몰드 필름의 인쇄면과의 내블로킹성을 측정하고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B까지가 실용성능을 만족하는 것이다.
A: 변화 없음
B: 약간의 표면 변화 있음
C: 20% 이하 일부분 박리
D: 20% 초과 박리
6. 이접착층의 접착성 측정
이접착 코팅 위에 핑크락카를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오븐에서 90℃ 1분간 건조한 후, 크로스 커터를 가로 세로로 끄어 100개의 조각을 낸 후에 상용되는 테이프로 떼어난 후에 남아있는 조각수를 측정하고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O : 100개 모두 잔류
△: 50이상 ~ 99이하 잔류
X : 50개 미만 잔류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강도편차
(kgf/㎟)
4 3.5 5 5 4.5 5.5 8
신도편차 (%) 50 45 60 55 60 70 100
성형성
(불량발생수/
edge 4군데)
0 0 0 2 3 0 4
열수축율 (%)
TD 방향
0.8 1.0 0.6 0.8 0.85 4.0 0.5
표면저항
(Ω/sq)
3x109 2x109 4x109 3x109 3x109 4x109 2x109
내블로킹성 A A A A A A A
이접착성 O O O O O O O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MD 연신비를 2.5배, TD 연신비를 3.0배로 실시한 비교예 1의 경우, 강신도 편차는 실시예와 유사하나, 낮은 연신비로 인한, 강도가 낮아져 성형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MD 연신비를 5.0배, TD 연신비를 5.5배로 실시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높은 연신비로 인하여, 신도가 낮아져 성형성이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열고정 온도를 180℃로 실시한 비교예 3의 경우에는 강신도 편차는 양호하나, 낮은 열고정 온도로 인하여 열수축율이 실시예에 비해 매우 높아, 인쇄 핀트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열고정 온도를 260℃로 실시한 비교예 4의 경우에는 높은 강신도 편차로 인하여 성형성이 매우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3의 경우에는 양호한 강신도 발란스로 인하여 성형성이 매우 양호하고, 낮은 열수축율로 인하여 인쇄 핀트의 정확도가 높고, 표면저항이 1 x 1011 미만이고, 내블로킹성, 이접착성 또한 우수하므로,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는 인몰드 전사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노트PC 케이스, 휴대폰 케이스,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 케이스 등의 플라스틱 장식을 요하는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대전방지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타면에 도포된 이접착층으로 이루어진 2축 연신된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대전방지층은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이 함유된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가 함유된 수분산체로서 폴리음이온이 0.1 내지 5 중량%가 함유된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와 가교제 수지 100~1000 중량부 및 불소계 수지 10~100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란계 계면활성제 0.001~1 중량부를 첨가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이접착층은 고형분 기준, COPET계 바인더 수지 10중량부, 멜라민계 가교제 수지 0.5중량부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 0.1중량부가 함유된 이접착층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며,
    필름 주행방향(MD)으로 3.0~4.5배의 연신비로 1축 연신된 후, 필름 주행방향과 직각방향(TD)으로 3.5~5.0배의 연신비로 2축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축 연신 후 200~240℃에서 열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랜덤방향에서 강도 편차(강도 Max - 강도 Min) 6 kgf/㎟ 이하, 신도 편차(신도 Max - 신도 Min)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주행방향(MD), 주행방향의 직각방향(TD)의 강도가 23 ± 5 kgf/㎟이내, 신도는 150±5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1X1011Ω/sq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70177A 2011-07-15 2011-07-15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33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77A KR101335665B1 (ko) 2011-07-15 2011-07-15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77A KR101335665B1 (ko) 2011-07-15 2011-07-15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30A KR20130009230A (ko) 2013-01-23
KR101335665B1 true KR101335665B1 (ko) 2013-12-03

Family

ID=4783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177A KR101335665B1 (ko) 2011-07-15 2011-07-15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1621B (zh) * 2017-09-13 2019-09-03 昆山市张浦彩印厂 多层共挤双向拉伸复合薄膜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796A (ko) * 2009-01-07 2010-07-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강신도 밸런스가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796A (ko) * 2009-01-07 2010-07-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강신도 밸런스가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30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4511B2 (ja) 積層フィルム
JP5309564B2 (ja) 成形部材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06889B (zh) 抗靜電聚酯膜的製造方法,因此而製得的抗靜電聚酯膜及其用途
JP5428337B2 (ja) 成形部材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成形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94382A1 (ja) 成形部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30098152A (ko) 성형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151007B2 (ja) 転写箔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297853A (ja) 成形用フィルム
JP4232004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83119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335665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8255142A (ja) 成形同時転写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97342B1 (ko)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384B1 (ko) 폴리에스테르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7320A (ko)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927615B2 (ja) 成形同時転写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74328B2 (ja) インモールド転写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30134644A (ko) 성형성이 개선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0201858A (ja) 成形同時転写用二軸延伸ポリエテルフィルム
KR101119242B1 (ko)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인몰드 전사용 필름
KR102389982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29030B1 (ko) 무광택 성형품에 적용 가능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845233B2 (ja) プリント基板製造用離型フィルム
KR20140059334A (ko) 인몰드 장식용 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6272048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