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896B1 -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896B1
KR101986896B1 KR1020170110068A KR20170110068A KR101986896B1 KR 101986896 B1 KR101986896 B1 KR 101986896B1 KR 1020170110068 A KR1020170110068 A KR 1020170110068A KR 20170110068 A KR20170110068 A KR 20170110068A KR 101986896 B1 KR101986896 B1 KR 10198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resin layer
core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793A (ko
Inventor
이숙자
Original Assignee
이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자 filed Critical 이숙자
Priority to KR102017011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8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4Velocity, e.g. feed sp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은 내열성, 추종성, 이형성이 우수하며, 특히 코어층이 늘어나지 않아 2차 작업 시 생기는 요철부(보강판)의 밀림현상 및 기판 구리부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수 작업 시 여러 개의 이형필름을 겹쳐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필름 누락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가절감 및 품질이 향상된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Multi-layered Film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cesses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내열성, 이형성 및 오염을 방지하고, 요철면 추종성이 우수하며, 작업 시 다른 부자재에 발생하는 가스 차폐성이 뛰어난 다층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TV, 컴퓨터, 휴대폰, 디스플레이, 통신네트워크, 반도체 모듈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의 일종으로서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진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시장이 최근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수요 역시 더불어 급증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인쇄회로기판 라미네이션 공정용 이형필름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라미네이션 공정에 부합한 소재로서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소계 수지 필름은 극히 고가인 관계로 경제성이 매우 열악하고 폐기 소각처리에 있어서 연소하기 어렵고 유독가스를 발생한다는 문제점으로 이에 대한 해결이 지속적으로 요청되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등장한 것은 폴리-4-메틸펜텐-1 필름(Mitsui Chemiclas사 상품명 TPX)이다. 이 필름은 친유성인 관계로 친수성이 큰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 열경화성 접착제나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촉시 이형성이 뛰어나고 내열성도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프레스 후에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전이되는 물질이 없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앞선 불소계 수지 필름 보다는 다소 저렴하지만 아직도 매우 고가이며, 공급수량마저 한정적이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큰 문제점이 있어 이의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를 극복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저렴하면서도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필름에 실리콘을 코팅한 필름이 제안되었는데, 프레스 공정시 실리콘 코팅층의 탈락, 열경화성 실리콘의 미반응물이 커버레이어로 전이되어 불량을 일으키는 등 큰 문제가 있어 현재는 거의 채택되지 않고 있다.
최근 낮은 온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의 개발에 힘입어 130 ~ 160℃ 범위의 낮은 온도 조건하에서도 프레스로 가압함으로서 인쇄회로기판 라미네이션 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는 길이 열림에 따라 종래만큼 높은 내열성이 필요하지 않고 보다 저렴한 소재로 된 이형필름이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그 일환으로 개발된 이형필름으로서 대한민국특허출원 2006-0117078호에서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 연신필름을 외층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으로 된 필름을 중층으로 한 적층필름이 제안되었는데, 경제성 면에서는 매우 우수하나 이형성이 부족하여 그 개선이 요청되었다.
따라서 이형성이 우수하고 전이에 의한 오염발생이 없으면서도 경제성이 탁월한 획기적인 인쇄회로기판 라미네이션 공정용 이형필름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출원에서 임의의 참조 문헌의 언급은, 참조 문헌이 본 출원에 대한 관련 선행 기술이라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2006-0083561
(특허문헌 2) KR 2010-0082872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부의 제 1 수지층; 및 상기 코어층 하부의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은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수지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수지가 혼합된 수지이며, 상기 코어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OPET)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은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으로 모두 내외양면이 연화온도가 낮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성형시 커버필름접착제 성분에 의한 기판 오염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코어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NYRON 수지를 사용하여 고온, 고압 작업시 부자재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투과를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2차적인 기판 오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포함한 수지를 제조하여 이용함으로써, 내열성 및 이형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수지는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수지 100중량부 대비 0.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7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부를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두께는 8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 또는 20 내지 3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내열성 및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두께가 8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수지층이 열에 의해 융해되고, 기판에 융착되어 뜯김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제조되는 다층필름의 내열성 및 이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두께가 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수지층의 경도가 상승함에 따라 쿠션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다층이형필름의 기판에 대한 굴곡부 추종성이 저하되어 접착제의 유출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오염이 발생할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3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8㎛ 또는 12 내지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코어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다층이형필름의 기판에 대한 굴곡부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층의 두께가 3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에 강도저하로 인한 기판밀림현상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의 두께가 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쿠션 및 추종성 저하로 인한 기판내 접착제가 다량 흐름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오염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융점이 13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조방법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 1 수지층에 코어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어층이 코팅된 제 1 수지층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제 2 수지층을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은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수지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수지가 혼합된 수지이며,
상기 코어층은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OPET)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수지층, 제2수지층 및 코어층 수지를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2차 열압착작업 진행 후 기판동박부 오염이 발생하여 기판 불량율이 매우 높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안정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용 보강판, 커버필름 열 압착시 발생하는 기판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추종성, 이형성이 뛰어난 이형필름을 제조하여, 원가절감 및 품질이 향상된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 수지층, 제 2 수지층 및 코어층을 통상의 그라비아롤을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법에 의해 적층하여 5층 구조의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층이 코팅된 제 1 수지층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단계의 온도는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건조단계의 온도를 조절하면,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단계가 70℃ 미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잔류용제가 잔존함으로써 다층이형필름의 기판성형 시 잔류용제 용출로 인한 기판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수지층에 코어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어층이 코팅된 제 1 수지층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제 2 수지층을 압착시키는 단계의 라인스피드는 120 내지 130 m/min, 바람직하게는 123 내지 128 m/min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라인스피드를 조절하면, 접착층의 두께를 1 내지 5 ㎛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라인스피드가 120 m/min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층의 두께가 5 ㎛를 초과하여 형성됨으로써,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잔류용제의 양도 증가하여 초기 접착력의 불안과 성형시 각층간 뒤틀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접착층 수지의 흐름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스피드가 130 m/min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층의 두께가 1 ㎛미만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지와의 접착성 및 쿠션성이 저하되고, 기포 발생확률이 높아짐에 따라 제조되는 다층이형필름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굴곡부 추종성저하 및 필름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은 내열성, 추종성, 이형성이 우수하며, 특히 코어층이 늘어나지 않아 2차 작업 시 생기는 요철부(보강판)의 밀림현상 및 기판 구리부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수 작업 시 여러 개의 이형필름을 겹쳐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필름 누락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가절감 및 품질이 향상된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다층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CPP)+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 / 25 ㎛
코어층: BOPP (양면코로나 PET) / 15 ㎛
접착층 : 우레탄
폴리프로필렌수지 100g에 대하여 600,000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PDMS수지 5g를 혼합하여 2축압출기에 투입하여 반응 온도 240℃ 조건하에서 용융 반응시켜 용융지수(230℃, 2.16Kg) 8g/10분의 폴리프로필렌-실리콘 공중합체(PP-PDMS) 펠렛을 얻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용융지수(230℃, 2.16Kg) 8.0g/10분, 밀도 0.91g/cm3 열변형온도 115℃의 무연신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CPP)를 준비하였다.
PP-PDMS를 외층용 수지로 하고, CPP를 중층용 수지로 하여 각층별 원료를 별도의 호퍼에 투입하고 압출가공에 의해 두께25㎛(외층/내층 두께비(%) = 20/8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필름을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의 이형필름으로 사용하고, 코어층으로 PET필름 15㎛ 을 사용하며, 상기 제 1수지층 제2수지층 및 코어층을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건조후 고다층 이형필름을 제작, 염화비닐수지 필름을 완충재로 사용하여 프레스작업을 행하되 프레스 온도 160℃, 프레스 압력 50Kg/cm 조건하에서 60분간 가열, 20분간 냉각하고 이형하여 인쇄회로 기판 라미네이션 공정을 완료하였다.
실시예 2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CPP)+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 / 30 ㎛
코어층: BOPET(양면코로나 PET수지) / 15 ㎛
접착층 : 우레탄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두께를 30 ㎛ 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층이형필름의 추종성, 동박오염(칩실장 작업시 커버필름과 동박이 분리되는 현상) 발생여부 및 이형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CPP)/ 25 ㎛
코어층: BOPET (양면코로나 PET) / 15 ㎛
접착층 : 우레탄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에 사용되는 필름에 PDMS혼합하지 않고 CPP중합체만 단독사용하며, 두께를 25 ㎛ 로 조절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층이형필름의 추종성, 동박오염(칩실장 작업시 커버필름과 동박이 분리되는 현상) 발생여부 및 이형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 (PBT) / 25 ㎛
코어층: BOPET(PET수지) / 15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2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CPP)+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25 ㎛
코어층: BONY(NY수지) / 15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3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CPP)+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25 ㎛
코어층: BONY(NY수지) / 15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4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CPP)+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25 ㎛
코어층: BOPP(양면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20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5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CPP)/ 25 ㎛
코어층: BOPP(양면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20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6
제 1 수지층: BOPP(단면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5 ㎛
제 2 수지층: BOPP(단면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5 ㎛
코어층: CPP(양면코로나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30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7
제 1 수지층: BOPP(단면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2 ㎛
제 2 수지층: BOPP(단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2 ㎛
코어층: CPP(양면코로나 무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30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8
제 1 수지층: BOPP(단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5 ㎛
제 2 수지층: BOPP(단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5 ㎛
코어층: PC필름(무연신폴리카보네이트수지) / 30 ㎛
접착층 : 우레탄
비교예 9
제 1 수지층: BOPP(단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2 ㎛
제 2 수지층: BOPP(단코로나 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 / 12 ㎛
코어층: PC필름(무연신폴리카보네이트수지) / 30 ㎛
접착층 : 우레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다층필름의 추종성, 동박오염 발생여부 및 이형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필름의 각 물성은 다음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1. 추종성
FPCB 기판을 제작하여 150 내지 160℃에서 30 내지 50kgf/cm2로 1시간 동안 핫프레스 작업진행 후 기판외층 커버필름 내 에폭시 접착제의 흐름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기판외층 커버필름 내 에폭시 접착제의 두께를 관찰하여 기판에 대한 추종성을 4단계로 평가하였다.
80㎛이하(우수), 80~120㎛(양호), 120~150㎛(보통), 150㎛이상(불량)
2. 동박오염 발생여부
프레스작업 후 이형필름의 제거한 다음 이형필름으로부터 폴리이미드 커버레이어 필름 접착제가 전이되어 오염발생이 일어나는 빈도(개/m2)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전이 내오염성을 4단계 평가하였다.
(◎ 0 (우수), ○ 1~2(양호), △ 3~5(보통), X 6이상(불량))
3. 이형성
프레스작업 후 이형필름의 제거 시 이형필름의 파괴정도를 관찰하되 표준 시료와 상대 비교하여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 표준시료 대비 우수, ○ 표준시료 대비 유사, △ 표준시료 대비 다소 부족, X 표준시료 대비 불량
구분 필름조성물 / 두께(㎛) 물성평가
제1수지층 제2수지층 코어층 추종성 동박오염 이형성
실시예1 (CPP+PDMS)/25 (CPP+PDMS)/25 PET/15
실시예2 (CPP+PDMS)/30 (CPP+PDMS)/30 PET/15
실시예3 (CPP)25 (CPP)25 PET/15 X
비교예1 PBT/25 PBT/25 PET/15 X NG
비교예2 (CPP+PDMS)/25 (CPP+PDMS)/25 NY/15
비교예3 (CPP+PDMS)/25 (CPP+PDMS)/25 NY/15
비교예4 (CPP+PDMS)/25 (CPP+PDMS)/25 OPP/20 NG
비교예5 (CPP)/25 (CPP)/25 OPP/20 NG
비교예6 OPP/15 OPP/15 (CPP)/30 X X X
비교예7 OPP/12 OPP/12 CPP)/30 X X X
비교예8 OPP/15 OPP/15 PC/30 X
비교예9 OPP/12 OPP/12 PC/30 X
상기 표 1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살펴보면, 이형성 및 추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박 오염성이 전혀 없는 탁월한 성능이 발현하며, 실시예 3과 비교 하였을 때,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에 PDMS가 포함하지 않고, CPP만 사용하면 추종성, 동박 오염성은 우수하나, 이형성이 불량한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처럼 PBT과 PET을 사용해 제조된 필름은 이형성은 우수하나, 추종성이 불량하고,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보는 것처럼 코어층에 NYRON 를 사용해 제조되는 필름은 이형성 및 추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박 오염성이 없으나, NYRON를 사용했을 때보다 BOPET을 사용하였을 때 원가가 더 저렴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비교예4 및 비교예5에서 보는 것 처럼 코어층을 OPP(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을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은 동박오염성이 발생하며,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을 살펴보면, 제 1수지층 및 제2수지층을 OPP(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를 사용하고 코어층에 PDMS가 포함되지 않는 CPP를 사용해 제조된 필름은 이형성, 추종성 및 동박오염성이 불량한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비교예 8 및 비교예 9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을 OPP(연신폴리프로필렌수지)를 사용하고, 코어층을 PC를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은 추종성 및 동박오염은 우수하나 이형성이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을 제조할 경우, 추종성, 이형성이 뛰어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10: 코어층
20: 제 1 수지층
30: 제 2 수지층
40 : 접착제

Claims (8)

  1.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부의 제 1 수지층; 및
    상기 코어층 하부의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은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수지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수지가 혼합된 수지이며,
    상기 코어층은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OPET) 수지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수지는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두께는 8 내지 50 ㎛인 다층이형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3 내지 50 ㎛인 다층이형필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지층, 제2수지층 및 코어층 수지의 층간 결합에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다층이형필름.
  6.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제 1 수지층에 코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코어층이 코팅된 제 1 수지층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제 2 수지층을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은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수지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수지가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가 함유된 수지이며,
    상기 코어층은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OPET)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층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단계는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층에 코어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어층이 코팅된 제 1 수지층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제 2 수지층을 압착시키는 단계의 라인스피드는 120 내지 130 m/min 인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70110068A 2017-08-30 2017-08-30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68A KR101986896B1 (ko) 2017-08-30 2017-08-30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68A KR101986896B1 (ko) 2017-08-30 2017-08-30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93A KR20190023793A (ko) 2019-03-08
KR101986896B1 true KR101986896B1 (ko) 2019-06-07

Family

ID=6580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68A KR101986896B1 (ko) 2017-08-30 2017-08-30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8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901A (ko) * 1996-06-18 1998-03-30 황선두 이형성이 우수한 접착테이프용 매트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KR20130089025A (ko) * 2012-02-01 2013-08-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공정용 이형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9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0021B (zh) 低介電性接著劑組成物
KR100806763B1 (ko) 피씨비 라미네이션 공정용 이형필름
WO2018181223A1 (ja)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の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
CN111480227B (zh) 安装结构体的制造方法及其中所使用的片材
KR20130089025A (ko) 연성인쇄회로기판공정용 이형필름
KR100831759B1 (ko) Pcb제작용 이형필름 제작방법 및 pcb제작용 이형필름
CN103725214B (zh) 层叠体
KR101986896B1 (ko) 인쇄회로기판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77652B1 (ko) 열-프레스 성형용 폴리올레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완충필름
KR100708005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라미네이션 공정용 이형필름
KR20110085969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N1713979A (zh) 耐热性软质层压板的制造方法
KR101591409B1 (ko) 이형필름
US20060088715A1 (en) Method for gluing fpcb's
JP4541260B2 (ja) 回路板の製造方法
KR101986946B1 (ko) 인쇄회로기판용 일체형 다층시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557136B (zh) 印刷线路基板制程用离型膜、印刷基板的制造方法、印刷基板制造装置及印刷基板
KR101126972B1 (ko) 인쇄회로기판의 핫프레스 공정용 이형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23797A (ko) 인쇄회로기판용 다층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6945B1 (ko) 인쇄회로기판용 3층 구조의 일체형 다층시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343772A (zh) 環氧樹脂複合材料、膠片及電路基板
KR101305370B1 (ko) 인쇄회로기판용 이형필름
KR101169369B1 (ko) 커버레이 및 그 제조방법
CN111993734A (zh) 一种耐高温离型膜及其制备方法
JP2009277764A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熱圧着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