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163A -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163A
KR20160092163A KR1020150012451A KR20150012451A KR20160092163A KR 20160092163 A KR20160092163 A KR 20160092163A KR 1020150012451 A KR1020150012451 A KR 1020150012451A KR 20150012451 A KR20150012451 A KR 20150012451A KR 20160092163 A KR20160092163 A KR 2016009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olarizer
group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원
안홍준
허지혜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163A/ko
Priority to TW104143129A priority patent/TW201627442A/zh
Priority to JP2016010236A priority patent/JP2016139133A/ja
Priority to CN201610051260.0A priority patent/CN105824072A/zh
Priority to US15/006,182 priority patent/US20160216424A1/en
Publication of KR2016009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 보호층을 형성하고 기재 필름 상에 액정 코팅층이 형성된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높은 내구성과 광학 특성의 보존이 가능하며 이에 표시장치에서 우수한 내구성 및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POLARIZING PLATE HAVING PROTE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광학 성능의 변화가 적은 편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광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무기 EL 디스플레이(ELD)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이용한 표시장치 기술이 제안되고 시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장치에서는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의 이용이 제안되고 있고, 그 요구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도화되고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박형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그리고 표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광판, 위상차 필름, 플라스틱 기판, 도광판 등에 여러 가지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판은 자연광 또는 임의의 편광을 특정 방향의 편광으로 만들기 위한 광학 소자로, 표시장치의 광원에서 나오는 비편광된 빛은 편광판을 거쳐 선편광된 빛만 액정 셀로 입사되며 입사광의 편광축 회전 정도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세기가 조절되고 흑과 백 사이의 계조(gray scale)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편광판은 평판 표시장치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소재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킨 후, 일정 방향으로 연신하고 가교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자에 보호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필름, 이하 TAC 필름)을 접착제로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편광자로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과 편광자용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된 TAC 필름은 필름 자체의 습도에 취약한 특성과 연신 등의 제조 공정에 의해 모두 내열성과 내습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필름들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고온 혹은 고습의 분위기하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편광도가 저하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이 분리되거나 광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용도면으로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TAC 필름은 주변 온도/습도 환경변화에 따라 기존에 가지고 있는 면내 위상차 (Rin)와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변화가 심하며, 특히 경사방향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위상차의 변화가 크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TAC 필름을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하면, 주변 온도/습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야각 특성이 변화하여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해서, TAC 필름은 광탄성계수 값도 상대적으로 커서, 내열, 내습열 환경에서의 내구성 평가 후 국부적으로 위상차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여 화상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TAC 필름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서 메타크릴(methacryl)계 수지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메타크릴(methacryl)계 수지는 부서지거나 갈라지기 쉬워 편광판 생산시 반송성에 문제가 되기 쉽고 생산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필름의 재료로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접착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UV 경화형 접착제, 우레탄계 수지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용액을 혼합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ionomer)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한 접착제, 열 경화형 접착제 등이 있다.
이러한 접착제에 있어, 수계 접착제의 경우 보호 필름의 소재에 따라 접착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호 필름 표면에 알칼리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보호 필름의 소재가 다를 경우 건조 공정에 의한 편광판의 컬 발생의 문제 및 초기 광학 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수계 접착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비수계 접착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비수계 접착제의 경우 열 또는 광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경화 공정이 필요하며 특히 광 경화의 경우 편광판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수계 접착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두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편광판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취성의 증가에 따른 편광판 부러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9126호는 열과 습도에 따른 변화가 적어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사이에 개제되어 우수한 접착력을 보이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지르코늄 화합물 및 이민형 가교제를 포함해서 편광판의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특허 공개 제2004-334168호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에 우레탄계 접착제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아세톤,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유기 용제에 의해서 침식되기 쉽다. 이러한 유기 용제는 비수계 접착제의 제조에 사용되므로 접착제 중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특허를 보면 접착제 또는 보호 필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광판의 내구성 저하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나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최근 표시장치에 있어 요구되는 박형화 및 경량화에 있어서 종래의 편광판의 사용되는 재료 및 방법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08466호에서는 편광자를 기재 필름에 편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을 코팅하여 제조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연신 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편광층이 제조단계 또는 사용단계에서 외부 환경의 인자에 의해 변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편광층 상에 보호층이 형성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9126호 일본특허 공개 제2004-33416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08466호
이에 높은 내수성 및 내열성 가지면서 광학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호층을 구비한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한 결과, 편광판에 있어 보호층을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 형성하는 경우 접착제나 추가의 보호 필름이 없이도 간단한 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광학 성능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를 기재 필름에 편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을 코팅하여 제조하는 경우 연신 단계를 거치지 않아 내구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특성의 변화가 적고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착제층, 보호층 및 편광자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수계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층은 수계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의 건조 후 두께는 0.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서, 상기 편광자는 기재 필름 일면에 비연신 방법으로 배향성이 부여된 액정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판은 고온 또는 다습 조건 하에서 방치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은 고온 또는 다습 조건 하에서 방치 전후의 편광도 변화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통해 광학 성능의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은 제조 공정을 통해 발생하는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은 각종 표시장치에 적용되어 고품위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습열 내구성을 향상시켜 광학 특성의 변화가 적은 편광판을 제시한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등과 같은 친수성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분에 취약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제조 시 편광 성능 부여를 위해 연신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연신이 고온 또는 가습 조건 하에서 진행되기 때문에수축 또는 파단 등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며 이는 편광판의 내구성 및 광학 특성 저하를 야기시킨다. 이에 보호 필름을 편광자에 적층함에 따라 편광판 물성 보강의 경우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나 보호 필름 접착을 위해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 양자에 대해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가 필요하다. 그 결과, 다양한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적층되는 층의 증가 및 접착력의 물성 변화 등으로 인해 편광판의 두께 증가, 외관 불량 및 성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보호층을 물과 폴리비닐알코올의 혼합물로 형성하고 편광자를 기재 필름 일면에 액정 코팅층이 도포된 형태로 변경함에 따라 상기 문제는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 상에서 과장되게 표현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점착제층(10), 보호층(20) 및 편광자(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보호층(20)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 편광자(30) 상에 형성되어 광학 성능의 유지와 동시에 코팅 공정으로 형성된 편광자를 외부 환경과 차단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층(30)은 편광자의 투과율, 편광도 등의 광학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보호층(30)은 종래의 편광판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 및 접착제를 대체하기 때문에 편광판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수계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과 물을 포함한다.
폴리비닐알코올은 비닐계 고분자로서 접착성이 우수하며, 고분자 반복단위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고 있어 친수성을 나타내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며, 가교 결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이 쉬워 표면에 코팅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은 편광자에 충분히 도포될 수 있고, 광학적 투시도가 우수하며, 경시적인 황변 등의 변화가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그 유도체; 추가로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을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는, (무수)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트)알릴술폰산 (소다), 술폰산소다 (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 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수계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기로 2 내지 5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편광자 보호 효과가 부족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공성이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보호층(30) 형성을 위한 수계 조성물은 용제로 물을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공성과 안정성 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서 층 형성에 있어 용제인 물은 건조를 통해 쉽게 제거 되기 때문에 공정상 매우 경제적이다.
상기 수계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 실란 커플링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염기성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20)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수계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한다. 도포 방법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법, CAP 코트법, 다이 코트법, 딥 코트법, 바 코트법 및 스핀 코트법을 들 수 있다. 건조는 예를 들면 열 건조로 수행되는데, 건조 온도는 5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건조 시간은 1 내지 5분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보호층(30)의 건조 후 두께는 0.5 내지 3.0 ㎛ 이고,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 범위인 것이 좋다. 상기 보호층(30)의 두께가 0.5 ㎛ 미만인 경우, 보호층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두께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 편광판의 외관 불량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사용되는 편광자(30)는 기재 필름(30b) 일면에 비연신 방법으로 배향성이 부여된 액정 코팅층(30a)이 도포된 형태이며 이는 종래 편광판이 거치는 연신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 저하 및 이에 따른 투과율, 편광도 등의 광학 특성의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기재 필름(30b)은 광학용 투명 필름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 균일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30b)의 재질은 투명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폴리아크릴레이트(P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노보르넨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 필름(30b)을 이용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 운반 및 보관시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 필름(30b)의 두께 역시 특정 범위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5 내지 100 ㎛인 것,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인 것이 통상 사용된다. 기재 필름(50a)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형화에 불리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액정 코팅층(30a)은 상기 기재 필름(30b)의 일면에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다.
상기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메조겐(mesogen)과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하여 액정상을 갖게 되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 화합물을 중합하게 되면 액정의 배열된 상이 유지된 가교된 고분자 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상은 외부에서 입사하는 자연광을 원하는 단일 편광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중합 가능한 말단기로 가교되어 형성된 막은 형성된 액정상을 유지하면서 고체상의 막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기계적 또는 열적으로 안정하다.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스메틱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다. 스메틱상으로서는, 스메틱 A상, 스메틱 B상, 스메틱 D상, 스메틱 E상, 스메틱 F상, 스메틱 G상, 스메틱 H상, 스메틱 I상, 스메틱 J상 및 스메틱 K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메틱 B상, 스메틱 F상 및 스메틱 I상이 바람직하고, 스메틱 B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나타내는 액정상이 이들 액정상이라면, 배향질서도가 높은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U1-V1-W1-X1-Y1-X2-Y2-X3-W2-V2-U2 (1)
(상기 식(1)에 있어서, X1, X2 및 X3은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p-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나타낸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p-페닐렌기를 나타낸다.
Y1 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CH2CH2-, -CH2O-, -COO-, -OCOO-, 단결합, -N=N-, -CRa=CRb-, -C=C- 또는 CRa=N-을 나타낸다.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U1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 기를 나타낸다.
U2는 중합성 기를 나타낸다.
W1 및 W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를 나타낸다.
V1 및 V2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이 알칸디일기에 포함되는 -CH2-는 -O-, -S- 또는 -NH-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X1, X2 및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p-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시클로헥산-1,4-디일기이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1,4-페닐렌기이다. 바람직하기로,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p-페닐렌기이다.
상기 p-페닐렌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인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무치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p-페닐렌기가 갖고 있더라도 좋은 치환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기(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헥산-1,4-디일기가 갖고 있더라도 좋은 치환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기(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시클로헥산-1,4-디일기의 -CH2-는 -O-, -S- 또는 NR-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때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상기 Y1 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CH2CH2-, -CH2O-, -COO-, -OCOO-, 단결합, -N=N-, -CRa=CRb-, -C=C- 또는 CRa=N-이다. 이들 기의 결합 위치는 어느 방향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기로 Y1 -CH2CH2-, -COO- 또는 단결합이고, Y2 -CH2CH2- 또는 -CH2O-이다.
상기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다.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U1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 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기이다. 상기 U2는 중합성 기이다. 중합성 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U1 및 U2는 동일한 종류의 중합성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W1 및 W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이며,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또는 -O-이다.
상기 V1 및 V2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이 알칸디일기에 포함되는 -CH2-는 -O-, -S- 또는 -NH-로 치환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칸디일기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헵탄-1,7-디일기, 옥탄-1,8-디일기, 데칸-1,10-디일기, 테트라데칸-1,14-디일기 및 이코산-1,20-디일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칸디일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알칸디일기이다. 상기 알칸디일기가 갖고 있더라도 좋은 치환기로서는, 시아노기 및 할로겐기(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체적인 화합물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상기의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조건에 맞는 것으로서 이 분야에 공지된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색성 색소는 본 발명의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편광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분자의 장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갖는 색소이다.
이색성 색소는 염료 및 안료 모두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 이색성 색소로는 300 내지 700 ㎚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이색성 색소로 공지된 바의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색소는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안트라퀴논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아조 색소이며 구체적으로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및 스틸벤아조 색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색성 색소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2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어지럽히지 않고 중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어지럽힐 우려가 있다.
상기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은 코팅 공정의 효율성 및 코팅층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레벨링제, 중합 개시제 및 용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레벨링제는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형성된 막을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는 BYK-350, BYK-352, BYK-353, BYK-354, BYK-355, BYK-358N, BYK-361N, BYK-380, BYK-381, BYK-392(이상, BYK Chemie사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는 메가팍크 R-08, 메가팍크 R-30, 메가팍크 R-90, 메가팍크 F-410, 메가팍크 F-411, 메가팍크 F-443, 메가팍크 F-445, 메가팍크 F-470, 메가팍크 F-471, 메가팍크 F-477, 메가팍크 F-479, 메가팍크 F-482, 메가팍크 F-483(이상, DIC(주)제조), 사프론 S-381, 사프론 S-382, 사프론 S-383, 사프론 S-393, 사프론 SC-101, 사프론 SC-105, KH-40, SA-100(이상, AGC세이미케미칼(주) 제조), E1830, E5844(이상, (주)다이킨파인 케미컬제조), 에프톱 EF301, 에프톱 EF303, 에프톱 EF351, 에프톱 EF352(이상, 미츠비시 마테리알 덴시 카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이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이면,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수평 배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액정 코팅층이 평활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만약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5 중량부를 넘으면, 액정 코팅층에 얼룩짐이 생기기 쉽다.
중합 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화합물이며, 빛 및/또는 열에 의해 활성 라디칼이나 산을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빛에 의해 활성 라디칼 또는 산을 발생하는 중합 개시제, 즉 광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광 라디컬 개시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안트라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은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화합물은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벤조페논, 0-벤조일벤조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피드,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4′-디(N,N′-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화합물은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은 2-에틸 안트라퀴논, 옥타메틸 안트라퀴논, 1,2-벤즈 안트라퀴논, 2,3-디페닐 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화합물은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안트라센계 화합물은 9,10-디메톡시안트라센, 2-에틸-9,10- 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에톡시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열 라디컬 개시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퍼옥사이드(peroxide)계 화합물 또는 아조(azo)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조계 화합물의 예로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카보네이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디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3-메톡시-3-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세틸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 헥실 퍼옥시 피발레이트, 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트리메틸 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디메틸 히드록시 부틸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아밀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부틸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라우릴 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8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방해하지 않고 중합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용매는 전술한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의 각 성분을 용해하기 위한 것으로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젖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매; 펜탄,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매 및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함유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잔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함유량은 형성되는 막의 두께 및 상태를 고려하여 선정된 범위이다.
전술한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법, CAP 코트법, 다이 코트법, 딥 코트법, 바 코트법 및 스핀 코트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에 배향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러빙, 어닐링 또는 편광 UV 조사 등의 비연신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향시킬 수 있으며 형성된 층은 편광 특성을 갖게 된다. 러빙은 러빙천이 감겨져, 회전하고 있는 러빙 롤을, 스테이지에 실려 반송되고 있는 막에 접촉시키는 방법이고, 어닐링은 열을 가하여 배향 규제력을 발현시키는 방법이며, 편광 UV 조사는 임의의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을 막에 조사함으로써 배향 특성이 나타나게 되는 방법이다. 러빙이나 어닐링은 품질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편광 UV 조사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액정상을 형성시킨 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액정 코팅층(30a)를 얻을 수 있다. 중합 방법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 기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하면 된다. 상기 중합성 기가 광중합성 기라면 광중합법에 의해, 열중합성 기라면 열중합법에 의해 중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중합법이 바람직하다. 광중합법이면, 반드시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은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광중합법은, 액정상을 형성시킨 막에 가시광, 자외광 또는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행한다. 취급하기 쉽다는 점에서, 자외광이 바람직하다. 광 조사는 막에 액정상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광 조사하더라도 좋다. 이 때, 마스킹이나 현상을 행하는 등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코팅층(30a)의 두께는 0.3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성이 우수하며 패턴 형성에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편광자에 있어서, 기재 필름(30b)에는 배향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의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은 배향막 상에 도포한다.
배향막은, 본 발명의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도포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제 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의 제거나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러빙에 의한 마찰 등에 의한 벗겨짐 등이 생기지 않는 배향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향막은 배향성 폴리머 또는 배향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향성 폴리머는 분자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아미드나 젤라틴류, 분자 내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이미드 및 그 가수분해물인 폴리아믹산, 폴리비닐알코올, 알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옥사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류 등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머는,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2종류 이상 섞거나, 공중합체하거나 하여도 좋다. 이들 폴리머는, 탈수나 탈아민 등에 의한 중축합이나, 라디칼 중합, 음이온 중합, 양이온 중합 등의 연쇄 중합, 배위 중합이나 개환 중합 등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향성 폴리머는 용매에 용해하고 도포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젖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매; 펜탄,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매; 및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치환 탄화수소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2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좋다.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로서는, 산에바(닛산 가가쿠 고교(주) 제조) 또는 옵토머(JSR(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향막을 이용하면, 얼룩짐이 저감되기 때문에, 환경 내성이나 기계 내성이 보다 향상된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향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액정 코팅층의 배향 성능 부려 방법과 동일하다. 예컨대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상기 배향성 폴리머의 용액이나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를 도포하고, 그 후, 어닐링함으로써, 상기 지지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배향막의 두께는, 예컨대 10 내지 1000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nm이다.
다음으로, 점착제층(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을 패널 등에 사용하는 경우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호층(20)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제층(10)은 광학적 투명성이 뛰어나고 적당한 젖음성, 응집성, 접착성 등을 포함하는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좋고, 특히 내구성 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점착제층(10)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에폭시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기로 감압성 아크릴계 점착제일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요 구성 단위로 하는 수지나, 이들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2종 이상 이용한 공중합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 수지에는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된다. 극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 아미드, 2-N,N-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이 사용된다. 또한, 점착제에는 통상 아크릴계 수지와 함께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다.
이때 점착제 조성물은 이온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금속산화물, CNT 등의 공지의 대전 방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전 방지제는 정전기의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는 이온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구성된 이온성 염류로 이온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설포늄염 및 포스포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과 불소함유 무기염, 불소함유 유기염 및 요오드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성 염류일 수 있다.
점착제에는 이 밖에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적합한 첨가제로서는 실란 커플링제가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리와의 접착력을 높이는데 유효하다.
상기 점착제층(10)을 편광판에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호층(20)의 표면에 점착제층 형성용 코팅액을 도포 후 건조하여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상기와 동일한 도포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제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롤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 이때,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제로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또는 롤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적층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10)의 두께는 그 점착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통상 3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필요에 따라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대전 방지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더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광학 기능성 필름을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학 보상 필름, 반사형 편광 분리 필름, 위상차 필름, 방현기능 부가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확산 제어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보호층을 폴리비닐알코올이 포함된 수계 조성물로 형성함에 따라 종래의 편광판의 보호 필름 및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편광판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보호 필름 자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층이 추가됨에 따라 두께나 무게 면에서 불리하다. 이에 더해서 접착제에 있어서도 요구되는 특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없으며 편광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변화가 발생하여 편광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과 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수계 조성물로 편광판의 광학 물성 및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는 보호층을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편광자의 성능을 유지하며 또한 도포 후 건조라는 손쉬운 공정을 통해 형성한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 구조에 있어 포함되는 편광자가 기재 필름에 액정 코팅층이 도포된 형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편광판의 제조 공정 중 연신 단계로 인해 발생하는 편광자의 내구성 약화 및 이에 따른 치수 변형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의 편광 특성을 액정 코팅층에 어닐링, 러빙 또는 광 조사 등을 통해 배향성을 갖기 때문에 편광자의 내구 신뢰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광학 특성의 변화도 적다.
이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85 ℃의 건조 환경 및 60 ℃의 90 %RH 환경에서 각각 100 시간동안 방치 전후의 투과율 및 편광도의 변화량이 각각 1.0 % 이하로 측정됨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로서,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전계발광(EL) 표시 장치, 무기 전계발광(EL)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예컨대, 전장 방출 표시 장치(FED),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SED)), 전자 페이퍼(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예컨대,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로서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직시형 액정 표시 장치 및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2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라도 좋고, 3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표시 장치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 편광판 제작
[실시예 1]
40 ㎛의 트리아세틸셀루로오스(TAC) 기재 상에 배향 코팅층용 조성물을 바코트법으로 도포하여, 60 ℃에서 1분간 건조하여 두께 100 nm의 배향막을 형성했다. 이때 배향 코팅층용 조성물은 광반응성기를 갖는 하기 폴리머(1-1 또는 1-2)를 농도 5 중량%로, 시클로펜타논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막에 UV조사장치 (SPOT Cure SP-7, 우시오덴키사 제조)를 이용하여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강도가 100 mJ인 광을 와이어그리드(UIS-27132##, 우시오 전기 주식회사)를 통과한 편광을 조사하여 배향성능을 부여하고,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을 바코트법으로 도포하여 120 ℃에서 1 분간 가열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건조된 막을 얻고, UV조사장치 (SPOT Cure SP-7)를 이용하여, 노광량 1200 mJ (365 nm기준)의 광을 조사하여 편광자를 얻었다. 이때 액정 코팅층용 조성물은 하기 (2-1)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 이색성 염료로서 아조 색소(NKX2029; 하야시바라 세이부츠 가가쿠 겡큐죠 제조) 2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 369; BASF재팬사 제조) 6 중량부, 중합 개시 조제인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니혼시이벨헤그나사 제조) 2 중량부 및 레벨링제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N; BYK-Chemie사 제조) 1.2 중량부을 용제인 시클로펜타논에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80 ℃에서 1시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1-1)
Figure pat00003
(1-2)
Figure pat00004
(2-1)
상기 얻어낸 편광자의 액정 코팅층 상에 폴리비닐알코올(Z-200; NIPPON GOSHEI Co., Ltd사 제품)과 물의 혼합물(3.5:100)을 코팅 후 120 ℃에서 2 분간 건조하여 0.5 ㎛의 보호층을 얻었다.
이렇게 형성된 보호층 상에 점착제(LS192NP; Lintec사 제조)를 니프롤을 사용하여 부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보호층의 건조 후 두께를 0.7 ㎛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보호층의 건조 후 두께를 1.5 ㎛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보호층의 조성 중 폴리비닐알코올을 Z-200대신 KL318(Kuraray Co.Ltd)를 사용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보호층의 조성이 폴리비닐알코올:물의 비율을 5:100으로 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403; 도아고세이 주식회사 제조) 5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수지(에베크릴 4858; 다이셀유씨비 주식회사 제조) 50 중량부 및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리폴리노프로판-1-온(이르가큐어 907; 치바스페샬티케미컬즈사 제조) 3 중량부를 이소프로판올 250 중량부에 용해함으로써 조제한 용액(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50 ℃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얻어진 건조 피막에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노광량 400 mJ/㎠(365 nm 기준)로 조사함으로써, 상기 편광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실험예: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1) 투과율 변화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흡수축 방향으로 40 ㎜,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0 ㎜ 가 되도록 잘라낸 편광판을 개재된 점착제를 이용하여 유리판에 접착시켜 샘플을 조제하고, 당해 샘플의 투과율을 분광 광도계(V7100; 니혼 분광 제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그 후 당해 샘플을 85 ℃의 고온 건조 환경 및 60 ℃, 90 %RH의 가온 가습 환경 하에서 100시간동안 각각 방치하고 동일하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2) 편광도 변화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흡수축 방향으로 40 ㎜,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0 ㎜ 가 되도록 잘라낸 편광판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유리판에 접착시켜 샘플을 조제하고, 당해 샘플의 편광도를 분광 광도계 (V7100; 니혼 분광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후 당해 샘플을 85 ℃의 고온 건조 환경 및 60 ℃, 90 %RH의 가온 가습 환경 하에서 100 시간동안 각각 방치하고 동일하게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두께 (um) 투과율 (%) 편광도 (%)
초기 85℃ DRY
100시간 후
변화량 초기 85℃ DRY
100시간 후
변화량
실시예 1 0.5 42.8 41.9 0.9 95.6 94.8 0.8
실시예 2 0.7 42.7 42.1 0.6 95.6 95.3 0.3
실시예 3 1.5 42.9 42.2 0.7 96.0 95.5 0.5
실시예 4 0.5 42.6 41.8 0.8 96.3 95.8 0.5
실시예 5 0.5 42.8 42.0 0.8 96.5 95.7 0.8
비교예 1 - 42.8 35.7 7.1 96.6 89.8 5.8
비교예 2 0.5 41.4 40.5 0.9 95.0 94.0 1.0
두께 (um) 투과율 (%) 편광도 (%)
초기 60℃90%RH
100시간 후
변화량 초기 60℃90%RH
100시간 후
변화량
실시예 1 0.5 42.7 41.7 1.0 95.7 95.0 0.7
실시예 2 0.7 42.2 41.5 0.8 95.9 95.4 0.5
실시예 3 1.5 42.4 41.7 0.6 95.6 95.2 0.4
실시예 4 0.5 42.8 42.0 0.8 96.3 95.8 0.5
실시예 5 0.5 42.8 42.1 0.7 95.8 94.9 0.9
비교예 1 - 42.8 37.2 5.6 95.7 93.3 2.4
비교예 2 0.5 41.5 40.5 1.0 95.5 94.8 0.7
상기 표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은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고온 및/또는 다습한 조건에서 방치 전후에 투과율 및 편광도 변화율이 1.0 % 이하의 값을 가져 편광판의 광학 성능이 효과적으로 보호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보호층의 조성과 관련된 효과로 수계 조성물의 보호층이 아니므로 편광판이 완성된 단계에 이미 성능저하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수계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가질 뿐 아니라 제조에 있어 연신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내구 신뢰성이 우수하며 광학 특성의 변화가 적은 편광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되어 고품위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10: 점착제층 20: 보호층
30a: 액정 코팅층 30b: 기재 필름
30: 편광자 100: 편광판

Claims (10)

  1. 점착제층, 보호층 및 편광자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편광자는 기재 필름 일면에 비연신 방법으로 배향성이 부여된 액정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수계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수계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건조 후 두께는 0.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투명 고분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 코팅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고온 또는 다습 조건 하에서 방치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고온 또는 다습 조건 하에서 방치 전후의 편광도 변화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50012451A 2015-01-27 2015-01-27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92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51A KR20160092163A (ko) 2015-01-27 2015-01-27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104143129A TW201627442A (zh) 2015-01-27 2015-12-22 具保護層之偏光板及含此之顯示裝置
JP2016010236A JP2016139133A (ja) 2015-01-27 2016-01-22 保護層を含む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CN201610051260.0A CN105824072A (zh) 2015-01-27 2016-01-26 含有保护层的偏振片及含有该偏振片的显示装置
US15/006,182 US20160216424A1 (en) 2015-01-27 2016-01-26 Polarizing plate having prote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51A KR20160092163A (ko) 2015-01-27 2015-01-27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163A true KR20160092163A (ko) 2016-08-04

Family

ID=5643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451A KR20160092163A (ko) 2015-01-27 2015-01-27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16424A1 (ko)
JP (1) JP2016139133A (ko)
KR (1) KR20160092163A (ko)
CN (1) CN105824072A (ko)
TW (1) TW201627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50A (ko) * 2017-02-28 2018-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US10442931B2 (en) 2017-06-08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Dye compound, composition comprising dye compound, and display device using dye compou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696A (ko) * 2015-07-22 2017-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편광판
US10145997B2 (en) 2015-10-30 2018-12-0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assembly
JP6727064B2 (ja) * 2016-08-01 2020-07-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831851B2 (ja) * 2016-10-31 2021-0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0476094B (zh) * 2017-04-07 2021-09-24 富士胶片株式会社 偏振元件、圆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JP7403211B2 (ja) * 2018-05-22 2023-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屈曲可能な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34639B2 (en) * 2018-06-01 2023-04-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7205202B2 (ja) * 2018-12-10 2023-01-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4502996A (zh) * 2019-09-30 2022-05-13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层叠体、有机el显示装置及折叠式器件
JP7469889B2 (ja) * 2020-01-28 2024-04-1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21121841A (ja) * 2020-01-31 2021-08-2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4168A (ja) 2003-04-16 2004-11-25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8466A (ko) 2011-07-12 2013-01-2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59126B1 (ko) 2011-12-21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95B2 (ja) * 1985-02-19 1995-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素子
JP3268858B2 (ja) * 1992-11-30 2002-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864932B2 (en) * 2001-04-16 2005-03-08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membe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EP1462485A1 (en) * 2003-03-26 2004-09-29 Rolic AG Polymerizable dichroic azo dyes
US9234056B2 (en) * 2011-04-15 2016-01-12 Zeon Corporation Polymerizable compound, polymerizable composition, polymer, and optically anisotropic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4168A (ja) 2003-04-16 2004-11-25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8466A (ko) 2011-07-12 2013-01-2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59126B1 (ko) 2011-12-21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50A (ko) * 2017-02-28 2018-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
US10442931B2 (en) 2017-06-08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Dye compound, composition comprising dye compound, and display device using dye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9133A (ja) 2016-08-04
US20160216424A1 (en) 2016-07-28
CN105824072A (zh) 2016-08-03
TW201627442A (zh)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2163A (ko)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58585B1 (ko)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962461B1 (ko) 편광막, 원편광판 및 이들을 이용한 유기 el 화상 표시 장치
KR101998151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50218453A1 (en) Liquid crystal cured layer
WO2020196306A1 (ja) 反射防止用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21240882A1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CN105739002B (zh) 偏振板
JP2024045312A (ja) 反射防止層付円偏光板および該反射防止層付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851430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20160091707A (ko) 휘도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2313549B (zh) 偏振膜及其制造方法
KR20130071445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TW201830062A (zh) 附有塗敷層之偏光板之製造方法
TWI750736B (zh) 光學薄膜、偏光板及有機el顯示裝置
KR20130071444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WO2023132148A1 (ja) 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KR102126055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200399538A1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2054452A (ja) 反射防止用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10226216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220102518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TW202413059A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JP2024079405A (ja)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2429136A (zh) 光學層疊體和圖像顯示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