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000A - 수계 스킨 케어제 - Google Patents

수계 스킨 케어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000A
KR20160092000A KR1020167017414A KR20167017414A KR20160092000A KR 20160092000 A KR20160092000 A KR 20160092000A KR 1020167017414 A KR1020167017414 A KR 1020167017414A KR 20167017414 A KR20167017414 A KR 20167017414A KR 20160092000 A KR20160092000 A KR 2016009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kin
care agent
skin car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6009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7Magnetic materials; Paramagne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수계 스킨 케어제(1)은 4~85 질량%의 물과, 13~80 질량%의 자성체 분말과,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다.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경 분포로부터 구한 체적 평균 입경이 20~100 ㎛이다. 수계 스킨 케어제(1)은 이온 도입 성분(3) 등의 미용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증점제로서 10~45 질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계 스킨 케어제{WATER-BASED SKIN CARE AGENT}
본 발명은 수계 스킨 케어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미용을 위해서 이용되는 스킨 케어제로서 피부에 도포하고 나서 잠시 시간을 둔 후에 제거함으로써, 피부의 오물이나 노폐물 등을 스킨 케어제와 함께 제거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스킨 케어제를 피부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코튼 등에 의한 닦아 내기나, 미온수 등에 의해 씻어내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이들 일반적 방법보다도 보다 간편하게 사용 후의 스킨 케어제를 제거하는 방법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자화된 입자 또는 자화될 수 있는 입자로 이루어진 분말을 도포 기초제로서 작용하는 부형제 중에 포함시킨 표피 청정용 크림이 제안되고 있다. 이 표피 청정용 크림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사용된다. 즉, 표피 청정용 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표면의 표피 청정용 크림에 자석 등을 접근시킨다. 이로써, 표피 청정용 크림에 포함되는 상기 분말에 자력이 작용해, 상기 분말이 자력에 의해 흡인된다. 그리고, 상기 분말과 함께 상기 분말에 부착한 사용후의 표피 청정용 크림 및 피부의 오물 등이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표피 청정용 크림이 피부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한편, 상기 스킨 케어제를 이용해 피부의 오물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한 후에, 미용 성분을 포함한 화장수를 피부에 도포하고, 미용 성분을 피부 내부에 침투시키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도 피부의 미용에는 유효하다.
특허문헌 1: 특공소 61-3765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피 청정용 크림은 바셀린 등의 유성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형제를 이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표피 청정용 크림을 피부로부터 자력에 의해 흡착 제거한 후에, 피부의 표면에 상기 유성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잔류하고, 유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부 표면에 형성된 유막은 화장수에 포함되는 미용 성분의 피부 내부에 대한 침투를 저해하고, 미용 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유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별도 세안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매우 번거로움을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수계의 스킨 케어제는 상술한 것 같은 유막을 피부 표면에 형성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술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수계의 스킨 케어제에 자성체 분말을 첨가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수계의 스킨 케어제에 자성체 분말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도포에 적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스킨 케어제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는 자성체 분말의 배합량을 늘릴수록 현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자성체 분말의 배합량을 13 질량%보다 많게 하는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을 스킨 케어제 중에 분산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페이스트상의 스킨 케어제를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4~85 질량%의 물과,
13~80 질량%의 자성체 분말과,
증점제를 함유하고,
상기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경 분포로부터 구한 체적 평균 입경이 20~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에 있다.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상기 특정의 함유량의 물과, 상기 특정의 함유량의 자성체 분말과,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특정의 범위의 체적 평균 입경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상기 자성체 분말이 분산되어 있고, 피부에의 도포에 적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낸다. 또, 피부에 도포한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에 자석 등을 접근시킴으로서, 상기 자성체 분말에 자력이 작용하고, 자성체 분말을 포함한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의 오물 등과 함께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자성체 분말은 철의 산화물인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특성이나 색조의 편차가 작다. 그러므로,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흡착 제거의 용이성이나 색조 등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자성체 분말은 수계 스킨 케어제 안에서 추가적인 산화를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장기간 보존해도 자성체 분말의 자기 특성 등이 변화하기 어렵고, 성능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수계이기 때문에,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흡착 제거한 후에, 피부 표면에 유막을 거의 형성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한 후, 그대로 화장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화장수 등을 사용하기 전에 별도 세안 등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미용 효과를 얻기 위한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사용자에 있어서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피부의 오물 등을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면서, 보존 안정성이 뛰어나고, 게다가 미용 효과를 얻기 위한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킨 케어제는 뛰어난 성능을 가진다.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계 스킨 케어제의 사용 방법의 설명도이다.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물에 용해하지 않는 성분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피부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것이 되기 쉽다. 그러므로,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 이외의 성분의 합계를 100 질량%로 했을 때에, 50 질량% 이상이 물 및 수용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피부 표면에의 유막의 형성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물 및 수용성 성분의 함유량은 6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은 수계 스킨 케어제 전체에 대해서 4~85 질량%이다. 물의 함유량이 상기 특정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이 분산된 매끄러운 페이스트상이 된다. 그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는 피부에 도포할 때에 펴바르기 쉽고, 또한, 매끄러운 피부촉감을 나타낸다.
물의 함유량이 4 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는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끈기가 있는 덩어리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 이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는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의 피부촉감이 나쁘고,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에 과도하게 큰 자극을 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에 펴바르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피부에의 도포에 적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얻기 위해서는, 물의 함유량은 4 질량% 이상으로 한다. 또,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물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물의 함유량이 85 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증점제에 의한 점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고, 수계 스킨 케어제의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진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자성체 분말이 침강하고, 피부 표면에 도포되는 수계 스킨 케어제에 포함되는 자성체 분말의 양이 불충분하게 된다. 그리고, 자성체 분말의 양이 불충분하게 됨으로써, 자석 등을 접근했을 때에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불충분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 이 경우에는, 저점도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부 표면으로부터 늘어져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적당히 큰 점도를 가지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얻기 위해서는, 물의 함유량을 85 질량% 이하로 한다. 또,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물의 함유량은 7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은 수계 스킨 케어제 전체에 대해서 13~80 질량%이다.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이 상기 특정의 범위인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에 자석 등을 접근했을 때에,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커진다. 그러므로,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의 오물 등과 함께 피부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이 13 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자석 등을 접근했을 때에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불충분하게 된다. 그 때문에,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쉽다. 따라서,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은 13 질량% 이상으로 한다. 또,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은 1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이 8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분이나 증점제가 부족하기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가 끈기가 있는 덩어리진 상태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에 펴바르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피부에의 도포에 적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얻기 위해서는,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을 80 질량% 이하로 한다. 또, 같은 관점으로부터, 자성체 분말의 함유량은 7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가장 함유량이 많은 화합물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자성체 분말은 주성분으로서의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 외에, 통상, 우스타이트나 헤마타이트 등의 산화도가 상이한 철계 산화물이나, 불가피 불순물 등을 함유한다.
또,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로서는, 스피넬형 페라이트나,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페라이트, 가넷형 페라이트, 페로브스카이트형 페라이트 등이 있다. 자성체 분말은 이들 페라이트 중에서, 포화 자화가 높고, 잔류 자화 및 보자력의 양쪽이 낮은 소프트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페라이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MO)x(Fe2O3)y(단, x+y=100 mol%이며, M는 Fe, Mn, Mg, Sr, Ca, Ba, Cu, Zn, Ni, Li, Co 등의 금속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다.)로 나타내는 조성식을 가지는 스피넬형 페라이트를 들 수 있다. 또, 스피넬형 페라이트 중에서도, 포화 자화가 높은 페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수계 스킨 케어제에 이용하는 자성체 분말은 주성분으로서의 페라이트를 구성하는 원소의 종류가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자성체 분말은 높은 포화 자화를 가지면서 Fe 및 O의 2종류의 원소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마그네타이트(Fe3O4)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은, 20~100 ㎛로 한다. 이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을 수 있던 입경 분포에 있어서, 체적 분포 모드, 체통과 표시에 의해 얻어지는 누적 50% 입자 지름(메디안지름)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체적 평균 입경이 20 ㎛ 미만의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의 입경 분포가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의 함유량이 많은 분포가 되기 쉽다. 개개의 입자에 작용하는 자력은 입경이 작을수록 약해진다. 그 때문에,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는 자석 등에 흡인되기 어렵고,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쉽다. 또, 이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쉽다.
또,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를 많이 함유하는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에 혼합했을 때에, 수계 스킨 케어제가 붉은 빛을 띠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이 메카니즘은 현시점에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가 증가함으로써, 헤마타이트의 적갈색이 수계 스킨 케어제의 색조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체적 평균 입경이 100 ㎛를 넘는 경우에는, 입경이 과도하게 큰 입자의 함유량이 많은 입경 분포가 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을 혼합한 수계 스킨 케어제의 피부촉감이 나빠지는 등 사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을 상기 특정의 범위로 제어한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에 포함되는 미소한 입자 및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고, 또한, 뛰어난 사용감을 가진다. 또,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은 50~7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는 수계 스킨 케어제의 점도를 증대시키고, 수계 스킨 케어제에 적당한 점도를 부여하는 작용을 가진다. 그 때문에, 증점제를 포함한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이 분산되기 쉽고, 피부에의 도포에 적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것이 되기 쉽다. 또, 증점제는 피부에 도포한 상태에서 자성체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간에 점착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증점제를 포함한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의 입자가 서로 점착하기 쉬워지고,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막 모양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피부 표면으로부터 벗겨지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수계 스킨 케어제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고,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나, 자성체 분말 중의 미소한 입자가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다.
수계 스킨 케어제에 증점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의 점도가 높아지지 않고, 중력에 의한 자성체 분말의 침강이나, 저점도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부 표면으로부터 늘어져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어렵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 크로스폴리머, 셀룰로오스 유도체, 크산탄검, 구아검, 전분 및 그 유도체, 알긴산염 및 그 유도체, 한천, 폴리아크릴산소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벤토나이트 등의 화장품용으로서 종래 공지의 증점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증점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병용해도 된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의 점도는 9000 m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에 도포할 때에, 자성체 분말이 분산된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그 때문에, 피부 표면에 도포되는 수계 스킨 케어제에 포함되는 자성체 분말의 양이 충분히 많아지고, 수계 스킨 케어제를 자력에 의해 흡착 제거할 때에,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충분히 커진다. 그 결과, 자성체 분말 및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고,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나 자성체 분말의 미소한 입자가 보다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증점제로서 수계 스킨 케어제 전체에 대해서 10~45 질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의 입자간에 작용하는 점착력이 보다 커지고,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가 피부로부터 벗겨질 때의 피막 모양 구조가 보다 넓게 늘어지기 쉽다. 그 결과, 수계 스킨 케어제는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흡착 제거가 보다 용이하고,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 등이 보다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다. 또, 글리세린은 뛰어난 보습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를 흡착 제거한 후의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습할 수 있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틱소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틱소트로피성이 부여된 수계 스킨 케어제는 보관 중 등의 수계 스킨 케어제가 유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높은 점도를 가진다. 한편으로, 피부에의 도포 시 등의 스킨 케어제가 유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수계 스킨 케어제의 점도가 저하한다. 그러므로, 틱소제를 함유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는 보관 중에 있어서는 높은 점도 때문에 자성체 분말이 침강하기 어렵고, 피부에의 도포시에 있어서는 도포에 적합한 점도를 가지는 것이 되기 쉽다. 그 결과,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의 침강을 억제하면서, 피부에의 도포에 적합한 것이 된다.
틱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 결정 셀룰로오스 등의 화장품용으로서 종래 공지의 틱소제가 이용된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계면활성제는 자성체 분말을 수계 스킨 케어제 중에 분산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그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수계 스킨 케어제는 자성체 분말이 보다 분산되기 쉽고, 매끄러운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것이 되기 쉽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PEG-7 글리세릴, 라우린산폴리글리세린-10,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아실 아미노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황산염, 알킬 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염, 알킬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알킬 폴리글리세린 에테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블록 공중합체 등의 화장품용으로서 종래 공지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병용해도 된다.
또, 자성체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는 표면에 수지 피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을 구성하는 페라이트가 물 등의 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에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자성체 분말은 수계 스킨 케어제 안에서 추가적인 산화를 보다 받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수계 스킨 케어제는 흡착 제거의 용이성이나 색조 등의 편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자성체 분말이 수계 스킨 케어제 안에서의 산화를 보다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를 보다 장기에 걸쳐 보존할 수 있다.
수지 피막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수지 피막을 구성하는 수지에는, 자성체 분말의 색조를 조정하는 목적으로, 산화 티탄 등의 안료를 배합해도 된다.
또, 자성체 분말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경 분포로부터 구한 체적 평균 입경이 50~75 ㎛이며, 입경이 37 ㎛ 미만인 입자의 함유량이 15 질량% 이하이며, 또한, 입경이 10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37 ㎛ 미만인 입자(이하, 「소경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공칭 치수 37 ㎛(400 메쉬)의 표준 체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양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또, 입경이 105 ㎛ 이상인 입자(이하, 「대경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공칭 치수 105 ㎛(145 메쉬)의 표준 체를 통과할 수 없는 입자의 양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고, 또한, 뛰어난 사용감을 가지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얻는 관점으로부터, 자성체 분말의 입경 분포는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의 함유량 및 입경이 과도하게 큰 입자의 함유량의 양쪽이 적은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이 50~7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체적 평균 입경을 50 ㎛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의 함유량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체적 평균 입경을 50 ㎛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경 입자의 함유량을 15 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경 입자의 함유량을 15 질량% 이하로 규제함으로써, 입경이 과도하게 작은 입자의 함유량을 확실히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적 평균 입경을 75㎛ 이하로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입경이 과도하게 큰 입자의 함유량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체적 평균 입경을 75㎛ 이하로 제어하는 것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대경 입자의 함유량을 5 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경 입자의 함유량을 5 질량% 이하로 규제함으로써, 입경이 과도하게 큰 입자의 함유량을 확실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을 상기 특정의 범위로 제어한 다음, 추가로 소경 입자의 함유량 및 대경 입자의 함유량의 쌍방을 규제함으로써, 적절한 크기의 입자의 함유량을 많게 한 최적인 입경 분포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치밀하게 제어된 입경 분포를 가지는 자성체 분말은 수계 스킨 케어제에 배합하는 자성체 분말로서 최적인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성체 분말을 함유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는, 보다 피부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고, 또한, 보다 뛰어난 사용감을 가진다.
또, 자성체 분말은 80 질량% 이상의 마그네타이트와, 우스타이트, 헤마타이트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 중의 반(反)자성체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보다 강해진다. 그 결과, 수계 스킨 케어제의 흡착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우스타이트는 마그네타이트 등에 비해 산화도가 낮기 때문에 우스타이트의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으로써, 자성체 분말이 추가적인 산화를 받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수계 스킨 케어제의 성능을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자성체 분말은 포화 자화가 80 A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자성체 분말의 자화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자성체 분말 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상술한 각 성분에 더하여, 피부에 미용 효과를 부여하는 미용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수계 스킨 케어제는 사용 후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흡착 제거한 후에, 피부 표면에 유막을 거의 형성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수계 스킨 케어제를 흡착 제거한 후의 피부 표면은 피부의 오물, 노폐물 혹은 유막 등의 미용 성분의 침투를 저해하는 물질이 적고, 미용 성분이 침투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미리 수계 스킨 케어제에 배합된 미용 성분은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면서 피부 표면에 도포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미용 성분이 피부 표면에 의해 침투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수계 스킨 케어제는 체감할 수 있는 미용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이 경우에는,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에 도포하고, 자력에 의해 흡착 제거한다고 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피부의 오물 등을 흡착 제거하는 작업과 미용 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작업을 연속해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한층 향상한다.
미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유도체, 코직산, 알부틴, 트라넥삼산 등의 미백 성분, 아미노산, 비타민, 식물 엑기스, 미생물 발효물 등의 영양 성분, 및 보습 성분 등이 이용된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전하를 띤 이온 도입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계 스킨 케어제 중의 이온 도입 성분은 전리한 상태로 존재한다. 그리고, 수계 스킨 케어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한 후에, 피부에 미약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하를 띤 이온 도입 성분을 피부 내부로 향해서 이동시켜, 미용 성분의 피부에의 침투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체감할 수 있는 미용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스킨 케어제를 흡착 제거한 후에 피부에 전류를 흘리는 것은 유성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킨 케어제에서는 불가능하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수계 스킨 케어제는 이온 도입 성분과 함께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리세린은 뛰어난 보습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구성의 수계 스킨 케어제를 이용함으로써,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수계 스킨 케어제에 비해 수계 스킨 케어제를 흡착 제거한 후의 피부 표면에 보다 많은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온 도입 성분을 피부 내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미약 전류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고, 이온 도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25 ℃에 있어서의 도전율이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이온 도입 성분을 피부 내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미약 전류가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온 도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수계 스킨 케어제는 상술한 각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화장품에 통상 이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윤활제, 항균제, 향료, pH 조정제 등이 있다. 이들 첨가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수계 스킨 케어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예의 수계 스킨 케어제는 표 1 및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85 질량%의 물과, 13~80 질량%의 자성체 분말과,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다. 또,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경 분포로부터 구한 체적 평균 입경이 20~100 ㎛이다.
수계 스킨 케어제(1)은 피부에 도포된 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을 내장한 리무버(2)를 접근시키는 것으로써,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된다(부호 10). 또, 수계 스킨 케어제(1)은 자력에 의해 흡착 제거된 후, 피부 표면에 이온 도입 성분(3)이 잔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얼굴에 수계 스킨 케어제(1)을 도포한 예를 나타냈지만, 수계 스킨 케어제(1)은 얼굴에 한정하지 않고, 손이나 팔, 등 등의 얼굴 이외의 부위에 도포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예에 있어서는, 표 1 및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시험제(시험제 1~21)를 제작했다. 또, 표 1 및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체 분말로서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 벤가라, 안료용 흑산화철 및 철분의 4종을 이용했다. 각 자성체 분말의 제작 방법 및 성상은 이하와 같다.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
·제작 방법
헤마타이트(Fe2O3)를 분쇄한 분말에 대해, 고형분이 55 질량%가 되도록 물을 더해 슬러리를 조제했다. 그 다음에, 얻어진 슬러리의 고형분에 대해서 1 질량%의 폴리비닐 알코올과, 0.9 질량%의 카본 블랙과, 0.5 질량%의 폴리카르복시산염을 가한 후, 이 혼합물에 물을 더해 고형분이 55 질량%의 슬러리를 조제했다. 그 다음에, 아트리터를 이용해 얻어진 슬러리를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해 슬러리를 구상으로 조립하고, 자이로 시프터를 이용해 얻어진 조립물의 입도 조정을 실시했다.
그 다음에, 입도 조정을 실시한 구상의 조립물을 1320 ℃에서 3 시간 가열하는 것으로써 원료의 헤마타이트를 환원하고, 마그네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성물을 얻었다. 또한 조립물의 가열은 터널식 전기로를 이용해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했다.
얻어진 소성물을 파쇄한 후, 자이로 시프터와 기류분급기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써 분급 처리를 실시하고, 입도 분포를 조정했다. 그 후, 자력선광을 실시해 자화율이 큰 입자를 선별해,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을 얻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에 표면 처리를 가하고, 자성체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의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수지 피막을 형성했다.
·체적 평균 입경
체적 평균 입경의 산출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수행했다. 우선,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에 0.2%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 초음파호모지나이저(초음파공업사제, UH-3C)를 이용해 1분간의 초음파 처리를 실시해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의 분산액을 조제했다. 이 분산액을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석계(닛키소 주식회사제, Model 9320-X100)에 도입하고, 굴절률 1.81, 온도 25±5 ℃, 습도 55±15%의 조건하에서 측정을 실시하고,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한 입경 분포를 얻었다. 얻어진 입경 분포로부터, 체적 분포 모드, 체통과 표시로의 누적 50% 입자 지름을 산출해, 이것을 체적 평균 입경(메디안지름)으로 했다.
이상의 결과,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의 체적 평균 입경은 약 70 ㎛였다.
·소경 입자 및 대경 입자의 함유량
JIS Z 8801에 규정되는 표준 체를 이용하여 JIS H 2601에 준한 방법에 의해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의 분급을 실시했다. 이것에 의해, 공칭 치수 37 ㎛(400 메쉬)의 표준 체를 통과한 입자(소경 입자)의 함유량 및 공칭 치수 105 ㎛(145 메쉬)의 표준 체를 통과하지 않았던 입자(대경 입자)의 함유량을 측정했다.
이상의 결과,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 중의 소경 입자의 함유량은 6.7 질량%이며, 대경 입자의 함유량은 0 질량%였다.
·포화 자화, 잔류 자화 및 보자력
자기 특성의 측정은 적분형 B-H 트레이서((주)리켄 전자제, BHU-60형)를 사용해 이하의 절차로 수행했다. 우선, 전자석 사이에 자장 측정용 H 코일 및 자화 측정용 4πI 코일을 넣고,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을 4πI 코일 내에 넣는다. 그 다음에, 전자석의 전류를 변화시켜 자장 H를 변화시킨 H 코일 및 4πI 코일의 출력을 각각 적분하고, X축으로 H 출력을 취하고, Y축으로 4πI 코일의 출력을 취한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기록지에 그린다. 이 히스테리시스 루프로부터 포화 자화, 잔류 자화 및 보자력을 산출했다. 또한 히스테리시스 루프의 측정 조건은, 시료 충전량:약 1 g, 시료 충전 셀:내경 7 ㎜Φ±0.02 ㎜, 높이 10 ㎜±0.1 ㎜, 4πI 코일:권수 30회, 인가 자장:3000 에르스텟로 했다.
이상의 결과,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의 포화 자화는 82 Am2/㎏이며, 잔류 자화는 82 Am2/㎏이며, 보자력은 24 Oe였다.
·화학 성분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마그네타이트(Fe3O4), 헤마타이트(Fe2O3) 및 우스타이트(FeO)의 조성비를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했다.
측정 장치에는 파날리티칼사제 「X'PertPRO MPD」를 이용했다. X선원으로서 Co 관구(CoKα선)를, 광학계로서 집중 광학계 및 고속 검출기 「X'Celarator」를 이용하여 측정은 0.2°/sec의 연속 스캔으로 했다. 측정 결과의 해석은 해석용 소프트웨어「X'Pert HighScore」를 이용해 통상의 분말의 결정 구조 해석과 마찬가지로 실시하고, 결정 구조를 동정한 후, 얻어진 결정 구조를 정밀화하는 것으로써 중량 환산의 존재 비율을 산출했다. 또한 존재 비율의 산출 시에는 Fe 및 O를 필수 원소로 하여서 마그네타이트, 헤마타이트 및 우스타이트의 존재 비율을 산출했다.
X선 회절 측정에 이용하는 X선원은 Cu 관구로도 문제없이 측정할 수 있지만, Fe를 많이 포함한 샘플의 경우에는 측정 대상이 되는 피크와 비교하고 백그라운드가 커지므로, Co 관구를 이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광학계는 평행법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X선 강도가 낮아서 측정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집중 광학계로의 측정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연속 스캔의 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결정 구조의 해석을 실시하는 때에 충분한 S/N 비를 얻기 위해서 마그네타이트의 메인 피크인 (311) 면의 피크 강도가 50000 cps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입자의 특정의 우선 방향에 대한 배향이 없도록 샘플 셀에 시료를 세트하고 측정을 실시했다.
이상의 결과,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체 분말은 89.7 질량%의 마그네타이트와, 4.1 질량%의 헤마타이트와, 6.2 질량%의 우스타이트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가진다.
<벤가라>
시판되고 있는 안료 그레이드의 벤가라(다이토 화성공업주식회사제 「타록스 R-156 L」)을 사용했다. 또한 이 벤가라의 체적 평균 입경은 0.1~0.6 ㎛였다.
<안료용 흑산화철>
시판되고 있는 안료 그레이드의 흑산화철(다이토 화성공업주식회사제 「타록스 BL-100」)을 사용했다. 또한 이 안료용 흑산화철의 체적 평균 입경은 0.1~0.6 ㎛였다.
<철분>
시판되고 있는 철분(파우더테크사제)을 사용했다. 또한 이 철분의 체적 평균 입경은 약 80 ㎛였다.
Figure pct00001
다음에, 표 1 및 표 3에 나타낸 시험제 1~21의 제제의 성상, 점도,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흡착 제거의 용이성 및 피부 표면에의 잔류량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그리고, 각 평가에 있어서의 평가 결과를 표 2 및 표 4에 나타냈다.
<제제의 성상>
시험제 1~21의 제제의 성상을 육안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2 및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표 2 및 표 4 중의 「제제의 성상」란에 기재한 기호는, 각각, 이하의 상태에 대응하는 기호이다.
A:시험제는 매끄러운 페이스트상을 나타내고,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 거친 느낌이 없는 상태
B:시험제는 대체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고, 피부에 펴 바를 수 있지만 거친 느낌을 느끼는 상태
C:시험제는 끈기가 있는 덩어리진 상태를 나타내고, 피부에 펴 바를 수 없는 상태
<점도>
회전식 점도계(도쿄계기제, B형 점도계 BH)를 이용해 시험제의 점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점도의 값을 표 2 및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점도 측정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로터:No. #6
회전수:20 rpm
측정 온도:25 ℃
측정 시간:60초
<흡착 제거의 용이성>
시험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몇 분간 정치했다. 그 후, 표면자속밀도가 400 G, 800 G, 1200 G 또는 2800 G인 4 종류의 자석을 피부에 도포된 시험제에 접근시켰다. 그리고, 자석과 피부와의 간격이 약 10 ㎜에 이르렀을 때의, 시험제의 흡착 상태를 육안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2 및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표 2 및 표 4 중의 「흡착 제거의 용이성」란에 기재한 기호는, 각각, 이하의 상태에 대응하는 기호이다.
A:시험제가 피막 모양으로 늘어져서 흡착 제거된 상태
B:시험제가 피막 모양으로 늘어져서 흡착 제거되었지만, A에 비해 막 모양구조가 작은 상태
C:시험제의 흡착 제거가 완료하지 않고, 피부와 자석과의 사이에 시험제가 떠 있는 상태
D:시험제가 자석에 반응하지 않고, 흡착 제거가 불가능한 상태
-:시험제를 도포할 수 없고, 시험이 불가능한 상태
<피부 표면에의 잔류량>
시험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몇 분간 정치했다. 그 후, 표면자속밀도가 400 G, 800 G, 1200 G 또는 2800 G인 4 종류의 자석을 피부에 도포된 시험제에 접근시켰다. 그리고, 자석과 피부와의 간격이 약 10 ㎜에 이르렀을 때의, 피부 표면에 잔류한 시험제의 양을 육안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2 및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표 2 및 표 4 중의 「피부 표면에의 잔류량」란에 기재한 기호는, 각각, 이하의 상태에 대응하는 기호이다.
A:피부 표면에 시험제가 잔류하고 있지 않는 상태
B:피부 표면에 입상으로 잔류한 시험제가 2~3개소 정도 존재하고 있는 상태
C:피부 표면에 B보다도 많은 시험제가 잔류하고 있는 상태
D:거의 전량의 시험제가 피부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상태
-:시험제를 도포할 수 없고, 시험이 불가능한 상태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1~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제 1~9 및 시험제 17은 상기 특정의 함유량의 물과, 상기 특정의 함유량의 자성체 분말과,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특정의 범위의 체적 평균 입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시험제 1~9 및 시험제 17은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흡착 제거가 용이하다.
또, 시험제 1~9 및 시험제 17에는 아스코르빈산인산 나트륨이 배합되어 있다. 아스코르빈산인산 나트륨은 시험제 중에서, 아스코르빈산인산 이온과 나트륨 이온으로 전리된다. 그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시험제가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되면서 아스코르빈산인산 이온(이온 도입 성분(3))이 피부 표면에 도포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들 시험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흡착 제거한 후에 피부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으로써, 전하를 띤 이온 도입 성분(3)을 피부 내부로 향해서 이동시키고, 미용 성분의 피부에의 침투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체감할 수 있는 미용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Claims (11)

  1. 4~85 질량%의 물과,
    13~80 질량%의 자성체 분말과,
    증점제를 함유하고,
    상기 자성체 분말은 강자성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경 분포로부터 구한 체적 평균 입경이 20~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점도가 9000 mPa·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로서 10~45 질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틱소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분말을 구성하는 입자는 표면에 수지 피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분말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경 분포로부터 구한 체적 평균 입경이 50~75 ㎛이며, 입경이 37 ㎛ 미만인 입자의 함유량이 15 질량% 이하이며, 또한, 입경이 10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분말은 80 질량% 이상의 마그네타이트와, 우스타이트, 헤마타이트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분말의 포화 자화가 80 A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하를 띤 이온 도입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25 ℃에서의 도전율이 20 μ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스킨 케어제.
KR1020167017414A 2013-11-29 2014-11-17 수계 스킨 케어제 KR20160092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7667 2013-11-29
JP2013247667 2013-11-29
PCT/JP2014/080308 WO2015079942A1 (ja) 2013-11-29 2014-11-17 水系スキンケア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000A true KR20160092000A (ko) 2016-08-03

Family

ID=5319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414A KR20160092000A (ko) 2013-11-29 2014-11-17 수계 스킨 케어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32997B2 (ko)
EP (1) EP3075374A4 (ko)
JP (2) JP6452619B2 (ko)
KR (1) KR20160092000A (ko)
CN (1) CN105792796B (ko)
AU (1) AU2014355666A1 (ko)
CA (1) CA2931273A1 (ko)
RU (1) RU2680403C1 (ko)
SG (1) SG10201804347QA (ko)
TW (1) TWI679025B (ko)
WO (1) WO2015079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2281B2 (ja) * 2013-12-25 2019-05-29 株式会社 Mtg 美容器具の作動方法
JPWO2015098895A1 (ja) * 2013-12-26 2017-03-23 株式会社 Mtg スキンケア剤
CN107822941A (zh) * 2017-11-20 2018-03-23 广东旭睿美医疗科技有限公司 美容护肤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65A (ja) 1984-06-18 1986-01-0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35617B (de) 1974-04-23 1977-03-25 Rene Laguerre Verfahren, produkt und gerat zur reinigung der epidermis
JPS6468313A (en) 1987-09-09 1989-03-14 Hitachi Metals Ltd Magnetic cream for cleaning cuticle
JPH03237019A (ja) 1990-02-14 1991-10-22 Nippon Paint Co Ltd フェライト被覆方法
JP3531214B2 (ja) 1994-05-31 2004-05-24 Nok株式会社 メーキャップ化粧料用樹脂コ−ティング強磁性体微粒子の水性けん濁液の製造法
US5989569A (en) * 1997-06-06 1999-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permanently deformable strip of material
WO2004000244A1 (en) * 2002-06-24 2003-12-31 Dead Sea Laboratories Lt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mall magnetic particles
JP2004155720A (ja) * 2002-11-07 2004-06-03 Masachika Hattori パック剤
JP2004224782A (ja) * 2003-01-22 2004-08-12 Yukipuramu Company:Kk 磁性体粉末を含有する化粧料
DE10311549B4 (de) * 2003-03-17 2006-08-10 Lanxess Deutschland Gmbh Eisenoxidpigmente
FR2876011B1 (fr) * 2004-10-05 2006-12-29 Oreal Procede de maquillage d'un support et kit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2006124322A (ja) 2004-10-28 2006-05-18 Takasago Internatl Corp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および該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口腔用組成物
KR20090023683A (ko) 2006-06-28 2009-03-05 이알씨 테크놀러지 인크. 오존화 계면활성제
JP5277540B2 (ja) * 2007-01-09 2013-08-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磁性重合体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水分散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07022693A1 (de) * 2007-05-11 2009-01-15 Evonik Stockhausen Gmbh Haut- und Händereinigungsmittel mit hydrophilen Emollients
US20100316584A1 (en) 2008-02-08 2010-12-16 Shiseido Company Ltd. Whitening Agent And Skin External Preparation
CN102143735B (zh) * 2008-09-03 2014-03-12 株式会社欧肯 粉体化妆料
JP5700495B2 (ja) 2009-03-27 2015-04-15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EP2384735A2 (en) * 2010-01-29 2011-11-09 Hilatura Científica Atais, S.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wder particles
US20110293543A1 (en) * 2010-05-27 2011-12-01 Wei Yu Anhydrous composition comprising a dibenzoylmethane compound and a color pigment
JP6363063B2 (ja) 2013-03-29 2018-07-25 株式会社 Mtg 美容剤用磁性粉
EP2980025A4 (en) 2013-03-29 2016-12-14 Mtg Co Ltd MAGNETIC POWDER FOR COSMETIC AGENTS
JP6522281B2 (ja) 2013-12-25 2019-05-29 株式会社 Mtg 美容器具の作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65A (ja) 1984-06-18 1986-01-0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9942A1 (ja) 2015-06-04
EP3075374A4 (en) 2017-05-03
CA2931273A1 (en) 2015-06-04
SG10201804347QA (en) 2018-06-28
JP6452407B2 (ja) 2019-01-16
US10932997B2 (en) 2021-03-02
EP3075374A1 (en) 2016-10-05
JPWO2015079942A1 (ja) 2017-03-16
CN105792796A (zh) 2016-07-20
US20180168953A1 (en) 2018-06-21
TW201609157A (zh) 2016-03-16
CN105792796B (zh) 2019-11-29
JP2015127327A (ja) 2015-07-09
RU2680403C1 (ru) 2019-02-21
TWI679025B (zh) 2019-12-11
JP6452619B2 (ja) 2019-01-16
AU2014355666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2281B2 (ja) 美容器具の作動方法
JP6363062B2 (ja) 美容剤用磁性粉
KR20160092000A (ko) 수계 스킨 케어제
JP6363063B2 (ja) 美容剤用磁性粉
EP3934586A1 (en) Magnetic mascara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WO2015098895A1 (ja) スキンケア剤
JP6270462B2 (ja) スキンケア剤
JP2010174003A5 (ko)
JP2015151341A (ja) 2剤混合型スキンケア剤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磁性体粉含有剤及び液状剤
US20240148618A1 (en) Prussian blue dispersion for cosmetics, and cosmetics including same
Ol’khovik et al. Technology of ultrathin flaky particles of hexagonal ferrites for broad spectrum of applications
CN107822941A (zh) 美容护肤剂
JP2023036228A (ja) 緑色液体化粧料
CN115243671A (zh) 用于磁化肾结石和肾结石碎片的制剂以及用于去除肾结石和肾结石碎片的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