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586A - 다기능 전동유모차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동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586A
KR20160090586A KR1020150010559A KR20150010559A KR20160090586A KR 20160090586 A KR20160090586 A KR 20160090586A KR 1020150010559 A KR1020150010559 A KR 1020150010559A KR 20150010559 A KR20150010559 A KR 20150010559A KR 20160090586 A KR20160090586 A KR 20160090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wheel
vehicle body
baby carri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759B1 (ko
Inventor
이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Priority to KR102015001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7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2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후방 발판에 탑승한 보호자가 유아와 동승하여 유모차를 함께 운전할 수 있고, 유아가 성장되면 보호자 없이 혼자서도 운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차체(10) 후방에 장착된 양쪽 뒷바퀴(40B)를 연결하는 구동축(41)에는 감속모터(42)가 장착되어 인버터(inverter)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고, 양쪽 앞바퀴(40A)들은 조향휠(20)의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향장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절되며, 차체(10)에는 유아용 시트(12)가 장착된 전동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20)과 연결된 조향축(21)의 하단에는 피트먼 암(22)이 장착되어 회전되며, 피트먼 암(22)의 양단에는 타이로드(23)들이 각각 축핀(p)으로 연결되고, 양쪽 타이로드(23)들은 앞바퀴(40A)의 축에 각각 결합된 너클 암(24)과 축핀(p)으로 결합되어 조향휠(20)을 좌우로 회전하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되며, 상기 차체(10)의 후방에는 핸들(30)이 장착되고, 핸들(30)의 하부에 연결된 지주프레임(31)의 하단에는 조향프레임(32)이 장착되어 전방의 피트먼 암(22)과 양쪽 링크(33)들로 연결되며, 차체(10)의 후방에는 발판(50)이 힌지(51) 결합되고, 발판(50)에는 보조바퀴(52)가 장착되어 발판에 탑승한 보호자가 핸들(30)을 좌우로 회전하면 조향프레임(32)과 링크(33)들로 연결된 피트먼 암(22)이 작동되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동유모차{a multifunctional electric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후방 발판에 탑승한 보호자가 유아와 동승하여 유모차를 함께 운전할 수 있고, 유아가 성장되면 보호자 없이 혼자서도 운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고 다니는 대차의 형태로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모차는 가격이 비싼 고가(高價)의 제품인 반면 유아들이 성장하기 전 짧은 기간 사용하면 필요 없게되므로 유모차의 용도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유모차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또한, 근래에는 전동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전동유모차가 개발되어 있고, 주로 모터의 동력으로 운행되는 유모차를 보호자가 밀고 가는 형태이므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었을 뿐 아니라 전동유모차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종래에는 등록실용 제20-0348254호 "전동구동식 유모차"(선행기술1) 및 공개특허 제10-2014-0118089호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선행기술2)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전동식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장치가 설치된 전동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후방측의 프레임 하단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 내부에서 승강되는 실린더로드와;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고정되고 유모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과 유압실린더 사이에서 실린더로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이중충격 완화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구동식 유모차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2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뒷바퀴 및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페달, 보호자 탑승용안장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영유아 탑승이 가능하고, 경사각 조절 및 회전되는 시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온/오프스위치와 제동레버 및 손잡이를 구성하는 조작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전방 앞바퀴에 결합되는 구동 휠;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으로부터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구동 휠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이다.
상기 선행기술1은 유모차의 후방측 프레임 하단에 유압실린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이중 완충장치가 장착되어 주행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고, 선행기술2는 수동 또는 전동으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3개의 바퀴로 구성된 자전거에 유아시트를 장착하여 유아를 탑승한 자전거처럼 운행하고, 유아의 탑승 없이 근거리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므로 본 발명과 같이 유모차의 발판에 동승한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유모차를 운전하거나 성장된 유아가 보호자 없이 혼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모차에 보호자와 유아가 함께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고, 보호자 없이 유아 혼자서도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체(10) 후방에 장착된 양쪽 뒷바퀴(40B)를 연결하는 구동축(41)에는 감속모터(42)가 장착되어 인버터(inverter)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고, 양쪽 앞바퀴(40A)들은 조향휠(20)의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향장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절되며, 차체(10)에는 유아용 시트(12)가 장착된 전동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20)과 연결된 조향축(21)의 하단에는 피트먼 암(22)이 장착되어 회전되며, 피트먼 암(22)의 양단에는 타이로드(23)들이 각각 축핀(p)으로 연결되고, 양쪽 타이로드(23)들은 앞바퀴(40A)의 축에 각각 결합된 너클 암(24)과 축핀(p)으로 결합되어 조향휠(20)을 좌우로 회전하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되며, 상기 차체(10)의 후방에는 핸들(30)이 장착되고, 핸들(30)의 하부에 연결된 지주프레임(31)의 하단에는 조향프레임(32)이 장착되어 전방의 피트먼 암(22)과 양쪽 링크(33)들로 연결되며, 차체(10)의 후방에는 발판(50)이 힌지(51) 결합되고, 발판(50)에는 보조바퀴(52)가 장착되어 발판에 탑승한 보호자가 핸들(30)을 좌우로 회전하면 조향프레임(32)과 링크(33)들로 연결된 피트먼 암(22)이 작동되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판(50)에 탑승한 보호자가 핸들(30)을 좌우로 회전하면서 레버(30a)를 조작하여 속도를 조절하면 조향프레임(32)과 링크(33)들로 연결된 피트먼 암(22)이 작동되어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고, 동승한 유아도 조향휠(20)을 조작하여 함께 운전할 수 있는 동시에 유아가 성장하는 경우에는 후방의 발판(50)을 위로 접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아 혼자서도 조향휠(20)을 조작하여 운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아동용 전동차량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다기능 전동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유모차의 조향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3b는 도 3a에서 앞바퀴의 방향이 전환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body)의 후방 양쪽에는 뒷바퀴(40B)들이 장착되어 있고, 양쪽 뒷바퀴(40B)를 연결하는 구동축(41)에는 감속모터(4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감속모터(42)는 유모차의 하부 섀시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감속 기어부가 구동축(41)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조이고, 인버터(inverter)의 제어에 의하여 감속모터(42)의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상기 앞바퀴(40A)들은 조향휠(20)의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향장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절되는 구조이고, 차체(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수납공간에는 유아용 시트(12)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모터(42)의 구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주행되고, 유아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유모차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유모차의 후방에 결합된 발판(50)에 보호자가 동승할 수 있고, 핸들(30)에 의하여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상기 조향휠(20)의 하부에 결합된 조향축(21)의 하단에는 피트먼 암(pitman arm)이 장착되어 회전되는 구조이며, 피트먼 암(22)의 양단에는 타이로드(tie rod)들이 각각 축핀(p)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트먼 암(22)의 중앙 축은 섀시프레임(11)에 조향축(21)과 함께 결합되어 그 양단이 회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양쪽 타이로드(23)들은 앞바퀴(40A)의 축에 각각 결합된 너클 암(knuckle arm)과 축핀(p)으로 결합되어 있고, 너클 암(24)의 중앙은 섀시프레임(11)에 축핀(p)으로 결합되어 타이로드(23)가 너클 암(24)의 일단을 당기거나 밀면 앞바퀴(40A)와 함께 회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조향휠(20)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양측 타이로드(23)들에 의하여 너클 암(24)들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밀어지므로 양쪽 앞바퀴(40A)들이 동일한 경사를 이루어 회전되어 유모차의 운행방향이 조절되므로 조향(操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차체(10)의 후방에는 핸들(30)이 장착되어 있고, 핸들(30)의 하부에 결합된 지주프레임(31)의 하단에는 조향프레임(3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주프레임(31)의 하부 축은 섀시프레임(11)에 결합되어 조향프레임(32)과 함께 회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조향프레임(32)은 전방에 장착된 피트먼 암(22)과 링크(33)들로 연결되어 있고, 조향프레임(32)과 피트먼 암(22)의 양쪽을 연결하는 링크(33)들은 축핀(p)으로 연결되어 조향프레임(32)과 피트먼 암(22)은 동일 경사각을 이루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차체(10)의 후방에는 발판(50)이 힌지(51) 결합되어 있고, 발판(50)에는 보조바퀴(52)가 장착되어 보호자가 탑승하여 유아와 동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판에 탑승한 보호자가 핸들(30)을 좌우로 회전하면 조향프레임(32)과 링크(33)들로 연결된 피트먼 암(22)이 작동되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되어 보행자가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핸들(30)에는 감속모터(4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inverter)의 제어구성과 전원의 온(on), 오프(off)를 위한 가변용 레버(30a)가 장착되어 보호자가 유모차의 운행속도를 조절하면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발판(50)에 탑승한 보호자가 핸들(30)을 좌우로 회전하면서 레버(30a)를 조작하여 속도를 조절하면 조향프레임(32)과 링크(33)들로 연결된 피트먼 암(22)이 작동되어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고, 동승한 유아도 조향휠(20)을 조작하여 함께 운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발판(50)을 위로 접어 고정하고, 보호자는 유모차의 후방에서 걸어다니면서 핸들(30)을 조작하여 운행하고,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한 상태에서 보호자는 보행하면서 운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동유모차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가 성장하는 경우에는 후방의 발판(50)을 위로 접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아 혼자서도 조향휠(20)을 조작하여 운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아동용 전동차량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다기능 전동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차체 11 : 섀시프레임
12 : 유아용 시트 20 : 조향휠
21 : 조향축 22 : 피트컨 암
23 : 타이로드 24 : 너클 암
30 : 핸들 30a : 레버
31 : 지주프레임 32 : 조향프레임
33 : 링크 40A : 앞바퀴
40B : 뒷바퀴 41 : 구동축
42 : 감속모터 50 : 발판
51 : 힌지 52 : 보조바퀴
p : 축핀

Claims (2)

  1. 차체(10) 후방에 장착된 양쪽 뒷바퀴(40B)를 연결하는 구동축(41)에는 감속모터(42)가 장착되어 인버터(inverter)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고, 양쪽 앞바퀴(40A)들은 조향휠(20)의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향장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절되며, 차체(10)에는 유아용 시트(12)가 장착된 전동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20)과 연결된 조향축(21)의 하단에는 피트먼 암(22)이 장착되어 회전되며, 피트먼 암(22)의 양단에는 타이로드(23)들이 각각 축핀(p)으로 연결되고, 양쪽 타이로드(23)들은 앞바퀴(40A)의 축에 각각 결합된 너클 암(24)과 축핀(p)으로 결합되어 조향휠(20)을 좌우로 회전하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되며, 상기 차체(10)의 후방에는 핸들(30)이 장착되고, 핸들(30)의 하부에 연결된 지주프레임(31)의 하단에는 조향프레임(32)이 장착되어 전방의 피트먼 암(22)과 양쪽 링크(33)들로 연결되며, 차체(10)의 후방에는 발판(50)이 힌지(51) 결합되고, 발판(50)에는 보조바퀴(52)가 장착되어 발판에 탑승한 보호자가 핸들(30)을 좌우로 회전하면 조향프레임(32)과 링크(33)들로 연결된 피트먼 암(22)이 작동되어 양쪽 앞바퀴(40A)들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30)에는 감속모터(4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전원의 온(on), 오프(off)를 위한 레버(30a)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전동유모차.
KR1020150010559A 2015-01-22 2015-01-22 다기능 전동유모차 KR10170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59A KR101708759B1 (ko) 2015-01-22 2015-01-22 다기능 전동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59A KR101708759B1 (ko) 2015-01-22 2015-01-22 다기능 전동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86A true KR20160090586A (ko) 2016-08-01
KR101708759B1 KR101708759B1 (ko) 2017-02-21

Family

ID=5670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59A KR101708759B1 (ko) 2015-01-22 2015-01-22 다기능 전동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7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924A (zh) * 2018-02-12 2018-07-20 东莞市智乐堡儿童玩具有限公司 一种具有转向调节功能的童车
KR101932596B1 (ko) * 2017-11-28 2019-03-20 진상욱 실내용 전동식 저상 작업 고소차
KR102133955B1 (ko) *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조향기능을 갖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KR20200088644A (ko) * 2019-01-15 2020-07-23 (주)에어박스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전동 승용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41Y1 (ko) * 2005-04-14 2005-07-22 이소라 다목적 주행장치
KR20130058958A (ko) * 2011-11-28 2013-06-05 라파엘 주식회사 탑승 가능한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41Y1 (ko) * 2005-04-14 2005-07-22 이소라 다목적 주행장치
KR20130058958A (ko) * 2011-11-28 2013-06-05 라파엘 주식회사 탑승 가능한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96B1 (ko) * 2017-11-28 2019-03-20 진상욱 실내용 전동식 저상 작업 고소차
CN108297924A (zh) * 2018-02-12 2018-07-20 东莞市智乐堡儿童玩具有限公司 一种具有转向调节功能的童车
CN108297924B (zh) * 2018-02-12 2024-02-09 东莞市智乐堡儿童玩具有限公司 一种具有转向调节功能的童车
KR20200088644A (ko) * 2019-01-15 2020-07-23 (주)에어박스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전동 승용물
KR102133955B1 (ko) *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조향기능을 갖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759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1973B (en) Three-wheel rolling vehicle with two front steering wheels
KR101708759B1 (ko) 다기능 전동유모차
CN203996627U (zh) 轻便四轮电瓶车
JP6153049B1 (ja) 三輪車両
JP2013233895A (ja) 車両
JP7188951B2 (ja) 一人乗り電動車両
JP2013144513A (ja) 車両
JP6482163B2 (ja) 折畳式車両
CN103253332A (zh) 座驾式电动摩托车
JP6903311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6856874U (zh) 一种应用于全自动折叠代步车的多连杆折叠机构
JP6669002B2 (ja) 走行装置
CN205675158U (zh) 一种设有可整体倾斜行驶的倒三轮前转向机构
CN105923085B (zh) 一种设有可整体倾斜行驶的倒三轮前转向机构
CN207631319U (zh) 一种可爬楼梯的婴儿推车
JP5052972B2 (ja) 電気自動車の懸架装置
CN214216049U (zh) 电动车四轮前部转向减震结构
WO2011099194A1 (ja) 車椅子搬送装置
JP2006062526A (ja) リカンベント型自転車
JP3541587B2 (ja) 電動車椅子の後輪懸架装置
CN216994690U (zh) 基于倒三轮结构的前驱代步车
CN203681625U (zh) 婴儿车
EP4316966A1 (en) Vehicle
CN212637778U (zh) 一种儿童玩具车
CN211223724U (zh) 一种电动车及其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