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41Y1 - 다목적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41Y1
KR200390441Y1 KR20-2005-0010413U KR20050010413U KR200390441Y1 KR 200390441 Y1 KR200390441 Y1 KR 200390441Y1 KR 20050010413 U KR20050010413 U KR 20050010413U KR 200390441 Y1 KR200390441 Y1 KR 200390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brake
steering
sea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이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라 filed Critical 이소라
Priority to KR20-2005-0010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2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탑승가능한 레저수단 및 소화물 운반수단, 그리고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륜 및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 그리고 좌석이 장착된 본체 프레임과; 전륜을 조향하기 위한 조향핸들과, 후륜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및,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엑셀레이터가 구비된 주행장치에 있어서, 조향핸들은 그 조향축을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조향축 하단부에 링크체결수단이 구비되고, 좌석은 그 등받이를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철수단이 구비되며, 탑승치 않은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 후방으로 소정각 기울어진 채 고정되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와 와이어에 의해 각 연결된 브레이크 조절바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가 설치된 조종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조작바 및 엑셀레이터 조작바가 설치된 조종핸들이 구비됨으로써, 유아동반시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보호자가 직접 조작함으로써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고, 또,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조작할 수 있고, 조향핸들 및 좌석이 접혀짐으로써 소화물을 탑재하기 위한 탑재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소형 운반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정핸들을 접어 브레이크 조작바 및 엑셀레이터 조작바를 좌석에 앉은 채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가능한 레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주행장치 {Vehicle}
본 고안은 다목적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가능한 레저수단 및 소화물 운반수단, 그리고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근무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가족단위의 야외활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대형마트의 등장으로 인하여 주단위의 생활용품을 한번에 구매하는 경향이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신개념의 고안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야외활동시 탑승가능한 레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고, 소화물을 용이하게 탑재 운반시킬 수 있으며, 유아동반시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주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륜 및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 그리고 좌석이 장착된 본체 프레임과, 전륜을 조향하기 위한 조향핸들과, 후륜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및,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엑셀레이터가 구비된 주행장치에 있어서, 조향핸들은 그 조향축을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조향축 하단부에 링크체결수단이 구비되고, 좌석은 그 등받이를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철수단이 구비되며, 탑승치 않은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 후방으로 소정각 기울어진 채 고정되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와 와이어에 의해 각 연결된 브레이크 조절바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가 설치된 조종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링크체결수단은 조향축 하단부에 구비된 유니버설 조인트와, 조향축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된 안내고정편과, 조향축이 회동가능하되 안내고정편상에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내고정편의 일측과 타측에서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철수단은 등받이의 외각을 형성하며 좌석의 후방 측에 힌지결합된 등받이 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등받이를 회동시켜 세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 프레임을 관통하여서 좌석 상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조종핸들은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그 양단이 본체 프레임 상에 힌지결하된 'ㄷ'자 형상으로, 접힘상태시 브레이크 조절바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를 좌석에 앉은 채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레이크 조절바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를 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 바닥면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방 회동시 상기 브레이크 조절바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가 각각 그 저면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륜은 본체 프레임 전방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전륜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전륜 하우징과 본체 프레임 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조향핸들로부터 조향력을 전달받기 위한 전달부재와, 전달부재로부터 전달된 조향력에 의거 전륜이 조향되거나 프리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달부재와 전륜 하우징을 결속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결속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차량의 사시도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는 전륜(1) 및 엔진(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2), 그리고 좌석(3)이 장착된 본체 프레임(10)과; 전륜(1)을 조향하기 위한 조향핸들(20)과, 후륜(2)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미도시) 및,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엑셀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조향핸들(20)은 그 조향축(21)을 본체 프레임(10)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조향축(21) 하단부에 링크체결수단(30)이 구비되고, 좌석(3)은 그 등받이(3')를 본체 프레임(10)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철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며, 탑승치 않은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0) 후방으로 소정각 기울어진 채 고정되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와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각 연결된 브레이크 조절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42)가 설치된 조종핸들(4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엔진은 2행정 싸이클기관 또는 전동모터를 포함한다. 또,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엔진 등은 주행장치에 있어서 통상의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유아동반시 좌석(3)에 유아를 태우고 보호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조종핸들(40)을 파지한 채 밀고 다님으로써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좌석(3)을 접고 그 위에 물건을 탑재한 후 조종핸들(40)의 브레이크 조작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작바(42)를 조작하여 동력원을 갖는 운반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향핸들측 부분 상세도이다.
동도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적 구성중 링크체결수단(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체결수단(30)은 조향축(21) 하단부에 유니버설 조인트(22)가 구비되고, 유니버설 조인트(22)를 기점으로 조향축(21)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장홈(23')이 형성된 안내고정편(23)과, 조향축(21)이 회동가능하되 안내고정편(23)상에 조향축(2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내고정편(23)의 일측과 타측에서 체결되는 고정부재(24), 예컨대 조향축(21)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채 암수로 나뉜 볼트부재(24a)와 너트부재(24b)가 구비된다. 여기서 안내고정편(23)은 본체 프레임상에 고정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조행핸들(20)의 조향각은 조향축(21)-유니버설 조인트(22)-조향기어(25)를 통해 전륜(1)에 전달되고, 소화물 탑재시 탑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행핸들(20)을 접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재(24)의 볼트부재(24a)와 너트부재(24b)를 풀어 조향축(21)이 안내고정편(23)상에서 유격되도록 하고, 이어서 유니버설 조인트(22)를 기점으로 조향축(21)을 접은 다음 고정부재(24)의 볼트부재(24a)와 너트부재(24b)를 조여 조향축(21)을 안내고정편(23)에 고정시킬 경우 조향핸들(20)은 본체 프레임(10)상에 접혀지게된다. 미설명부호 24는 와셔이다.
다음,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접철 가능한 좌석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3)의 접철수단은 등받이(3')의 외각을 형성하며 좌석(3)의 후방 측에 힌지결합된 등받이 프레임(3'a)과, 등받이 프레임(3'a)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등받이(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세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 프레임(3'a)을 관통하여서 좌석 프레임(3a) 상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3b)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라, 화물적재시 조향핸들(20) 뿐만 아니라 좌석(3) 또한 접어 본체 프레임(10)상에 밀착시킴으로써 소화물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고, 탑승가능한 레저수단으로 활용시 좌석(3)을 세워 안정적으로 주행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다음,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조종핸들을 도시한 상세도이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구조만을 도시하였음).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핸들(40)은 본체 프레임(10)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그 양단이 본체 프레임(10) 양단에 힌지결합되고, 접힘상태시 브레이크 조절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42)를 좌석(3)에 앉은 채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조향핸들(20)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스탠딩 상태에서 조종핸들(40)을 파지할 경우, 조종핸들(40)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본체 프레임(10)과 조종핸들(40)을 관통하여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핀(43)이 구비된다.
즉, 결속핀(43)은 스프링(43')에 의해 탄지된 채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조종핸들(40)의 결속상태를 해소시키고, 조종핸들(40)을 본체 프레임(10)상에 위치시킨 채 놓으면 전진하여 조종핸들(40)을 관통하여서 조종핸들(40)을 본체 프레임(10)상에 결속시킨다. 이에 따라, 스탠딩 상태에서 조종핸들(40)을 파지하고 밀더라도 접히지 않게된다.
다음,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페달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핸들(40)을 접었을 때 브레이크 조절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는 조향핸들(20)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브레이크 조절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를 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0) 바닥면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방 회동시 브레이크 조절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가 각각 그 저면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페달(44) 및 엑셀레이터 페달이 구비된다(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구조는 동일하므로 참조부호를 부기하여 브레이크 페달만을 설명하였음).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44) 및 엑셀레이터 페달(45)을 회동시켜 각각 브레이크 조작바(41) 및 엑셀레이터 조작바(42)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적정 조작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탑승가능한 레이수단으로 활용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된다(도 3 참조).
다음,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전륜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은 본체 프레임(10) 전방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전륜 하우징(50) 내에 장착되고, 전륜 하우징(50)과 본체 프레임(10) 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조향핸들(20)로부터의 조향력을 전달받기 위한 전달부재(60)와, 전달부재(60)로부터 전달된 조향력에 의거 전륜(1)이 조향되거나 프리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달부재(60)와 전륜 하우징(50)을 결속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결속부재(70)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25는 조향기어, 26은 로드부재, 27은 로드엔드부재로 조향기어의 운동변위를 전륜에 전달하기 위한 것들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결속부재(70)를 조일 경우 전륜 하우징(50)은 전달부재(60)와 일체로 결속되고, 그 결과 본체 프레임(10)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엔드부재(27)로부터 전달된 조향기어(25)의 운동변위에 의해 전달부재(60)가 제어됨으로써 전륜(1)은 조향되게 된다.
따라서 탑승가능한 레저수단으로 활용시 결속부재(70)를 이용하여 전달부재(60)와 전륜 하우징(50)을 일체로 결속시킴으로써, 조향핸들(20)의 조작에 따라 조향력을 발휘할 수 있게된다.
한편, 결속부재(70)를 풀 경우 전륜 하우징(50)과 전달부재(60)는 결속상태가 해제되고, 그 결과 조향핸들(20)의 조향력과 관계없이 전륜(1)은 프리상태에 놓이게된다.
이에 따라, 유모차나 운반수단으로 활용시 스탠딩 상태에서 조종핸들(40)의 조작만으로 다목적 주행장치의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조작바 및 엑셀레이터 조작바가 설치된 조종핸들이 구비됨으로써, 유아동반시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보호자가 직접 조작함으로써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고,
또,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조작할 수 있고, 조향핸들 및 좌석이 접혀짐으로써 소화물을 탑재하기 위한 탑재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소형 운반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정핸들을 접어 브레이크 조작바 및 엑셀레이터 조작바를 좌석에 앉은 채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가능한 레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은 생활패턴에 따라 유모차, 소형 운반수단, 탑승가능한 레저수단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고안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향핸들측 부분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접철 가능한 좌석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조종핸들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페달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행장치의 전륜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륜
2 : 후륜
3 : 좌석
10: 본체 프레임
20: 조향핸들
40: 조종핸들
41: 브레이크 조절바
42: 엑셀레이터 조절바

Claims (6)

  1. 전륜 및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 그리고 좌석이 장착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전륜을 조향하기 위한 조향핸들과, 상기 후륜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및,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엑셀레이터가 구비된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은 그 조향축을 상기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조향축 하단부에 링크체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좌석은 그 등받이를 상기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철수단이 구비되며, 탑승치 않은 스탠딩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및 상기 엑셀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 후방으로 소정각 기울어진 채 고정되며 상기 브레이크 및 상기 엑셀레이터와 와이어에 의해 각 연결된 브레이크 조절바 및 엑셀레이터 조절바가 설치된 조종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주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결수단은 상기 조향축 하단부에 구비된 유니버설 조인트와, 상기 조향축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된 안내고정편과, 상기 조향축이 회동가능하되 상기 안내고정편상에 상기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고정편의 일측과 타측에서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주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은 상기 등받이의 외각을 형성하며 상기 좌석의 후방 측에 힌지결합된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켜 세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관통하여서 상기 좌석 상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주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핸들은 상기 본체 프레임 바닥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그 양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 상에 힌지결하된 'ㄷ'자 형상으로, 접힘상태시 상기 브레이크 조절바 및 상기 엑셀레이터 조절바를 상기 좌석에 앉은 채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주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절바 및 상기 엑셀레이터 조절바를 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 바닥면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방 회동시 상기 브레이크 조절바 및 상기 엑셀레이터 조절바가 각각 그 저면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주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은 상기 본체 프레임 전방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전륜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전륜 하우징과 상기 본체 프레임 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향핸들로부터 조향력을 전달받기 위한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전달된 조향력에 의거 상기 전륜이 조향되거나 프리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전륜 하우징을 결속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결속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주행장치.
KR20-2005-0010413U 2005-04-14 2005-04-14 다목적 주행장치 KR200390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13U KR200390441Y1 (ko) 2005-04-14 2005-04-14 다목적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13U KR200390441Y1 (ko) 2005-04-14 2005-04-14 다목적 주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711A Division KR100609741B1 (ko) 2005-02-25 2005-02-25 다목적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41Y1 true KR200390441Y1 (ko) 2005-07-22

Family

ID=4369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413U KR200390441Y1 (ko) 2005-04-14 2005-04-14 다목적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76B1 (ko) * 2009-03-02 2009-12-11 주식회사 대경어린이교통안전교육원 교통안전교육용 체험차량
KR20160090586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다기능 전동유모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76B1 (ko) * 2009-03-02 2009-12-11 주식회사 대경어린이교통안전교육원 교통안전교육용 체험차량
KR20160090586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다기능 전동유모차
KR101708759B1 (ko) 2015-01-22 2017-02-21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다기능 전동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5471B2 (ja) 小型電動車両
JP5722763B2 (ja) 動力式折り畳みスクーター
CA2694421C (en) Modular recumbent vehicle
US4674762A (en) Four-wheel, reclining position cycle
EP3333057B1 (en) Foldable personal vehicle
KR20050090227A (ko) 차륜 가변형 스쿠터
TW200410861A (en) Folding bicycle
JP2014129077A (ja) 乳母車
WO2004067352A1 (en) Infant carriage convertible for use as rider operated transport
KR100920263B1 (ko) 접철식 자전거
KR200390441Y1 (ko) 다목적 주행장치
KR100609741B1 (ko) 다목적 주행장치
JPH06329068A (ja) カート兼用自転車
WO2017104193A1 (ja) 複輪車両
JPH08290791A (ja) 折りたたみ二輪車
TW580471B (en) Vehicle body structure in saddle-riding type vehicle
WO2007032629A1 (en) Hands and legs drive folding cycle
CN210707576U (zh) 一种婴幼儿推车
US20220194458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JP2006062526A (ja) リカンベント型自転車
JP4215528B2 (ja) 三輪自転車
JP2016055833A (ja) 自転車
KR20120100346A (ko) 자전거 유모차
CN209192126U (zh) 折叠电动代步车
KR102488862B1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