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577A -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577A
KR20160089577A KR1020150008709A KR20150008709A KR20160089577A KR 20160089577 A KR20160089577 A KR 20160089577A KR 1020150008709 A KR1020150008709 A KR 1020150008709A KR 20150008709 A KR20150008709 A KR 20150008709A KR 20160089577 A KR20160089577 A KR 2016008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inding
yarns
burn
n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디엔에이치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엔에이치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엔에이치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577A/ko
Publication of KR2016008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8Scaffolding threads, i.e. threads removed after weaving

Abstract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하고,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서로 뒤엉켜 혼섬된 복합 가연사를 제공하고, 상기 복합 가연사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직조된 직조물로서, 일부 권축사가 번-아웃 공정에 의하여 제거된 직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A Mixed Textured Yar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라멘트 원사가 갖는 고유한 물성을 유지하면서 천연 섬유와 같은 질감이 부여된 복합 가연사 및 권축(crimp) 효과 및 입체 효과가 유지되는 직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류 직물로서 적합한 보온성 등의 물성 및 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플랫한(flat) 합성 필라멘트 원사에 권축(crimp) 효과를 부여한다. 이러한 권축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가연(假撚)공정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가연 공정은 높은 사속도 및 높은 생산성 때문에 유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종래 가연 공정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를 복합 가연하여 복합 가연사를 제조하는 경우에 현실적인 많은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필라멘트 원사들의 거칠기 차이에 따라 과도하게 꼬여서 해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각각의 필라멘트 원사의 직경이나 인장강도 등의 차이에 따라 일부 필라멘트 원사가 끊어지거나, 또는 권축된 권축사의 클림프 율 등이 과도하게 상이하여 직조하였을 때 원하는 질감을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 복합 가연시 그 대상이 되는 필라멘트 원사 등의 종류가 극히 제한적이거나, 가연 공정에 수반되는 여러 공정상 비효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종래 복합 가연사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경우에도 복합 가연사의 물성적인 한계로 인하여, 직조물의 제조가 불가능하거나, 번-아웃 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질감과 투톤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웠다. 더군나다, 종래 복합 가연사를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NEP 등을 형성하여 천연 섬유와 같은 느낌을 부여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웠다.
따라서, 원하는 질감 및 색감을 갖는 직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우수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가연 공정이 갖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복합 가연사에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49312호 (2011. 06. 15.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0041156호 (2010. 07. 1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복합 가연 공정에 의하여 양호한 클림프율 및 천연 섬유와 유사한 질감이 부여된 복합 가연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번-아웃 공정에 의하여 질감 및 3 색(tone) 효과 등이 부여된 직조물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기술적 과제는, 상기 복합 가연사 및 상기 직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뒤엉켜 혼섬된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하되,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축사는 네프(NEP)를 포함하며, 상기 네프는 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로 1회 이상 교반 중첩되어 형성되는 복합 가연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뒤엉켜 혼섬된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한 위사 및 경사를 직조하여 얻어지되,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축사는 네프(NEP)를 포함하며,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번-아웃 권축사를 포함하며, 상기 번-아웃 권축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상기 직조물은 상기 번-아웃 권축사의 번-아웃 처리에 따른 번-아웃 제거부, 용해물, 또는 탄화물을 포함하는 직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가연사 및 상기 직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는 필라멘트 원사에 부여된 클림프(권축)과 네프(NEP)에 의하여 복합 가연사를 구성하는 합성 필라멘트 원사가 갖는 양호한 물성을 그대로 보유하면서, 질감 및 색감을 향상시켜서 천연섬유와 유사한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가연사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직조함으로써, 상기 우수한 클림프 특성이 부여된 천연섬유와 유사한 직조물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복합 가연사를 구성하는 일부 권축사를 번-아웃시킴으로써 입체적인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직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직조물의 평면도와,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 및 직조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는 2종 이상의 권축(클림프)사를 포함하며,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상호 뒤엉켜 혼섬된 복합 가연사일 수 있다.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권축성을 갖지 아니하는 2종 이상의 합성 필라멘트 원사가 동시에 하나의 가연 장치에 의한 복합 가연 공정을 통하여 권축성이 부여된 섬유이다. 즉, 복합 가연 공정을 통하여, 2종 이상의 플랫한 합성 필라멘트 원사는 권축성을 부여받을 뿐만 아니라, 상호 뒤엉켜 혼섬됨으로서 각 필라멘트 원사의 고유한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마치 하나의 탄성 섬유와 같은 복합 가연사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2종 이상의 합성 필라멘트 원사들의 복합 가연 공정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종 이상의 합성 필라멘트 원사는 그 재료 자체가 상이한 것일 수 있으나, 동일 재료의 원사이지만 광택도 또는 직경 등을 달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종 이상의 합성 필라멘트 원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 및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는 셀룰로오스, 즉 수산기가 15이상 치환되지 않은 β-D-글루코피라 노즈(β-D-glucopyranose)의 고분자로 만들어진 섬유를 통칭한다. 예들 들어,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는 셀룰로오스를 가성소다 수용액과 이황화탄소(CS2)를 사용하여 소듐 셀룰로오스 크산테이트(Sodium Cellulose Xanthate) 수용액으로 만든 후 황산과 황산아연의 수용액 중에 방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는 그 직경이 50 내지 90 데니어(D)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는 직조물로 제조된 후 번-아웃 공정에 의하여 없어지거나 다른 용해물 또는 탄화물로 변함으로써 직조물에 전체적인 입체 효과를 부여하는데,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의 직경이 50 데니어보다 작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 입체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90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께 복합 가연되는 다른 원사와 적절히 혼섬되기 어렵거나 네프(NEP)를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는 인위적으로 광택을 없애지 않은 브라이트 얀으로서, 그 직경은 75 데니어(D)정도가 사용될 수 있고(viscose rayon filament 75D BR), 또는 레이온 방적 원사(rayon spun 4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의 광택도는 브라이트(bright) 내지 세미덜(semidull)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또는 그의 유도체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제 3 성분을 첨가하고, 촉매 존재하에서 중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그 직경이 20 내지 40 데니어이고, 광택도가 브라이트(bright) 내지 세미덜(semidull)일 수 있다. 한편, 일부 소광처리된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사일 수 있으며, 또는 소광처리되지 아니한 Y자 단면을 갖는 원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20D TBR 또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20D SD일 수 있다.
상기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11, 나일론 12 및 나일론 4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그 직경이 20 내지 40 데니어이고 광택도가 브라이트(bright) 내지 세미덜(semidul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노 필라멘트 20D SD 또는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30D SPK 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의 측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 가연사는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권축사(1), 제2 권축사(2), 및 제3 권축사(3)의 3종의 권축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권축사(1)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게 제2권축사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제3 권축사(3)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권축사(1, 2, 3)은 각각의 권축사 자체가 클림프를 갖고 있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한 권축사, 예를 들어 제1 권축사(1)는 직경이 작은 권축사(2, 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림프 정도가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권축사(1, 2, 3)는 상호 귀엉켜 꼬인 형태를 띄고 있어서 복합 가연사 전체적으로도 클림프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는 권축 신장율이 3 내지 8%일 수 있다. 권축신장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10회의 측정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낸다.
권축신장율(%)=(ℓ-ℓ0)/ℓ0 ×100
여기서, ℓ0: 표준 초하중으로서, 2mg/D에서의 사길이, ℓ: 신장하중으로서, 100mg/D에서의 사길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를 구성하는 2종 이상의 권축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축사는 네프(4, 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프(4, 5)는 권축사의 길이방향에 따라 전 후로 1회 이상 교번 중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네프는 사의 표면의 무늬와는 달리 합사 등에 따라 사의 굵기에 차이가 나타나는 사의 특정 부분에서의 형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권축사는 상기 네프(4, 5)를 포함함으로써 마 또는 모와 같은 천연섬유가 갖는 질감이 부여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권축사에 새로운 색감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섬유 조각과 같은 네프를 별도로 부착시켰으나, 이 경우 네프의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사와 네프 사이의 이질감으로 인하여 자연스러운 천연섬유의 느낌을 얻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네프(4, 5)는 네프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권축사(2, 3) 자체를 이용하여 굵기의 변화를 부여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복합 가연사는 제1 권축사(1)의 일부에 형성된 네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네프가 형성된 부분(6)에서 상기 제1 권축사(1)가 1회 이상 교번 중첩됨에 따라 나머지 다른 권축사(2, 3)의 진행방향도 적어도 1회 이상 교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권축사(1, 2, 3)가 서로 뒤엉켜 꼬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권축사(1)에 네프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네프가 형성된 부분(6)에서도 상기 제1 내지 제3 권축사(1, 2, 3)가 서로 뒤엉켜 꼬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권축사는 다른 권축사(2, 3)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권축사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권축사(1)은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게 제2권축사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제3 권축사(3)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네프는 상기 네프가 형성된 권축사의 1M 당 5개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네프와 인접하는 다른 네프와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직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직조물(10)은 상기 본 발명의 복합 가연사를 위사(20) 및 경사(30)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사(20) 및 경사(30)는 서로 동일한 복합 가연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복합 가연사이기만 하면 족하고, 예를 들어 권축신장율이 상이한 본 발명의 복합 가연사를 각각 위사(20) 및 경사(30)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직조물(50)의 평면도와, 상기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번-아웃 처리 전의 직조물을 구성하는 복합 가연사는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하며, 이 중 적어도 1종 이상은 번-아웃 처리에 의하여 제거될 번-아웃 권축사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조물(50)은 적어도 1종 이상의 권축사가 번-아웃 처리되어 제거되고, 제거된 부분에 번-아웃 제거부(100) 또는 상기 번-아웃 권축사가 일부 다른 화합물의 형태로 잔존하는 용해물, 또는 탄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번-아웃 권축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권축사일 수 있다.
번-아웃 처리되지 아니한 권축사(2, 3)은 본래의 클램프 율을 유지하면서, 직조물(50)의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므로, 직조물 강도와 반복 사용에 있어서의 내구성이나 신장성이 개선된다. 나아가, 직조 후에 일부 권축사가 제거되므로 상기 직조물(50)으로 제조된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 착용감이 부드러워지고, 내부가 은은히 비치는 시각적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다. 특히, 제거되지 아니한 권축사(2, 3)의 일부 표면에는 네프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조물의 벌키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천연섬유와 같은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 가연사로 직조된 직조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각 별개의 방사구(spinnerette)로부터의 압출에 의해 제조된 2종 이상의 연속 단섬유, 필라멘트 원사가 서로 다른 투입구를 통하여 가연(假撚)장치에 투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라멘트 원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연장치 내에서 상기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를 서로 꼬아서 복합 연사(撚絲)를 제조하게 된다. 나아가, 가연 장치 내에서 복합 연사는 일정한 사속, 예를 들어 사속 50RPM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연사의 연사율(꼬임수)은 2000T/M ∼3000T/M 일 수 있다. 상기 연사율은 후술할 가연 처리 온도와 연계되어 설정될 수 있는데, 가연 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연사율을 높이고, 반대로 가연 처리 온도가 낮을수록 연사율을 낮추는 것이 네프의 형성 및 고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복합 연사에 대하여 180℃ ∼250℃의 가연 온도로 열처리할 수 있다. 가연온도가 180℃ 미만에서는 복합 가연사의 원하는 권축신장율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가연온도가 2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일론 권축사가 과하게 까칠까칠해 질 뿐만 아니라, 비스코스 레이온 권축사는 그 특유의 부드러운 감촉이 없어질 수 있다. 나아가 신도가 약해져서 절사 현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 처리 이후에 상기 가열된 복합 연사에 대하여 냉각 처리할 수 있다. 본 냉각 처리에 의하여 상기 연사에 의하여 각 필라멘트 원사에 가하여진 클림프 및 각 필라멘트 원사 상호간의 뒤엉킨 상태가 고정된다. 냉각 온도는 필라멘트 원사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80∼100℃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원사의 제조 이전에, 또는 상기 열처리 이후 및 냉각 처리 이전에 상기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 중 하나 이상의 원사에 네프(NEP)를 부여하는 공정을 하나의 가연 장치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원사를 제조하기 이전에 네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네프를 형성하고자 하는 필라멘트 원사가 가연 장치의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후에 원사의 일부분을 걸어서 원사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틀어준 다음에, 후속 원사에 교번 중첩시킨다. 여기서, 사의 진행 속도에 의하여 네프의 길이가 결정된다. 복합 원사는 방사액 등의 접착성 용매가 잔존하므로 원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 후로 1회 이상 교번 중첩된 네프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열처리 및 냉각 처리 공정을 거쳐서 상기 네프는 고정이 된다.
한편, 상기 열처리 이후 및 냉각 처리 이전에 네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를 가연 장치의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시키고, 롤러 및 샤프트(shaft)를 거쳐 전술한 180℃ ∼250℃의 온도로 열처리하게 된다. 이어 상기 열처리에 의하여 연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스핀들을 통과시키고, 스피나(spinar)를 통하여 연사시키게 된다. 이후 연사된 복합사를 냉각하고 해연하면, 1M당 5개 미만으로 불규칙하게 네프가 형성된 복합 가연사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가연을 위하여 기왕에 수행되는 열처리 및 냉각 처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
상기 복합 가연사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도 2와 같은 직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가연사는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하는데, 이 중 1종 이상은 번-아웃 공정에 의하여 제거되는 번-아웃 권축사일 수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번-아웃 권축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유래 권축사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 유래 권축사를 제거하기 위한 처리제는 산성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성염으로서는 황산, 황산수소나트륨, 황산제이철, 황산알미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산성염 이외에서 비스코스 레이온이 제거될 수 있는 무기산 및 유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처리제를 직조물의 양면에 도포하거나, 상기 직조물을 처리제가 담긴 용기에 함침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번-아웃 권축사와 상기 처리제를 접촉, 반응시킨다. 이 때 온도를 상온 이상으로 승온시켜서 상기 번-아웃 권축사와 상기 처리제의 산화 반응 내지 가수분해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60~180℃에서 1~5분정도 접촉시키면 직조물의 직조에 사용된 비스코스 레이온 권축사가 산분위기 하에서 가수분해반응이 일어나면서 중합도가 저하되어 물에 용해되거나, 셀롤로스 섬유의 탈수화반응이 진행되어 섬유소가 탄화되면서 수세에 의해 쉽게 제거되게 하며, 이때 산분위기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한 폴리에스테르사는 물성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직조물을 구성하는 일부 번-아웃 권축사가 제거된 직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제1 권축사
2: 제2 권축사
3: 제3 권축사
4, 5: 네프
6: 네프 형성 부분
10, 50: 직조물
20: 위사
30: 경사
100: 번-아웃되어 제거된 번-아웃 권축사

Claims (10)

  1. 서로 뒤엉켜 혼섬된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하되,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축사는 네프(NEP)를 포함하며,
    상기 네프는 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로 1회 이상 교번 중첩되어 형성되는 복합 가연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사는 권축 신장율이 3 내지 8%인 복합 가연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제1 권축사, 제2 권축사 및 제3 권축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축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게 제2권축사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제3 권축사는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인 복합 가연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는 그 직경이 50 내지 90 데니어(D)이고, 광택도가 브라이트(bright) 내지 세미덜(semidull)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그 직경이 20 내지 40 데니어(D)이고, 광택도가 브라이트(bright) 내지 세미덜(semidull)이며,
    상기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원사는 그 직경이 20 내지 40 데니어(D)이고, 광택도가 브라이트(bright) 내지 세미덜(semidull)인 복합 가연사.
  5. 직조물에 있어서,
    상기 직조물은
    서로 뒤엉켜 혼섬된 2종 이상의 권축사를 포함한 위사 및 경사를 직조하여 얻어지되,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축사는 네프(NEP)를 포함하며,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번-아웃 권축사를 포함하며,
    상기 번-아웃 권축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상기 직조물은 상기 번-아웃 권축사의 번-아웃 처리에 따른 번-아웃 제거부, 용해물, 또는 탄화물을 포함하는 직조물.
  6.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를 서로 다른 투입구를 통하여 가연(假撚)장치에 투입하고;
    상기 가연장치 내에서 상기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에 대한 복합 연사(撚絲)를 제조하고;
    상기 복합 연사를 열처리 및 냉각 처리하고;
    상기 열처리 및 냉각 처리된 복합 연사를 해연하여 2종 이상의 권축사가 서로 뒤엉켜 혼섬된 복합 가연사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사를 제조하기 이전에, 또는 상기 열처리 이후 및 냉각 처리 이전에 상기 2종 이상의 필라멘트 원사 중 하나 이상의 원사에 네프(NEP)를 부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프(NEP)를 부여하는 공정은 하나의 가연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9. 서로 뒤엉켜 혼섬된 2종 이상의 권축사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직조물을 직조하고;
    상기 직조물에 대하여 번-아웃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2종 이상의 권축사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번-아웃 권축사를 포함하고, 상기 번-아웃 공정에 의하여 상기 번-아웃 권축사가 제거되는 직조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번-아웃 권축사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원사로부터 유래된 것인 직조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08709A 2015-01-19 2015-01-19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9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09A KR20160089577A (ko) 2015-01-19 2015-01-19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09A KR20160089577A (ko) 2015-01-19 2015-01-19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025A Division KR20160101711A (ko) 2016-07-07 2016-07-07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577A true KR20160089577A (ko) 2016-07-28

Family

ID=5668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09A KR20160089577A (ko) 2015-01-19 2015-01-19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5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156A (ko) 1998-12-21 2000-07-15 조정래 폴리에스테르 권축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010049312A (ko) 1999-11-20 2001-06-15 이.파우. 뢰르허 합성사를 권축사로 가연 텍스쳐링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156A (ko) 1998-12-21 2000-07-15 조정래 폴리에스테르 권축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010049312A (ko) 1999-11-20 2001-06-15 이.파우. 뢰르허 합성사를 권축사로 가연 텍스쳐링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67612A1 (en) Multilobal filament, fabric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N1514892A (zh) 弹力皮芯型复合纱以及机织-针织弹力织物
EP3933080A1 (en) Crimped polester-based fiber, method for producing same, pile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pile fabric
KR20160101711A (ko)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9577A (ko)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9587B1 (ko) 소프트한 촉감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JP4084260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加工糸
KR101136694B1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JP2007231452A (ja) 複合繊維
JP6234771B2 (ja) 杢調布帛の製造方法
JPS6189320A (ja) ポリエステル太細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4388B1 (ko) 폴리에스테르와 코폴리에스테르가 혼합 방사된 아세테이트조 재생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재생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JP4084258B2 (ja) 綿調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3236221B2 (ja) 割裂性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5797A (ja) 複合撚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CN1038857C (zh) 复合纤维自然开纤的制法
JP4833141B2 (ja) 異染性複合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それを用いた織編物および織編物の製造方法
KR101943925B1 (ko) 소모조용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528A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6056484A (ja) ポリエステル製礼服の製造方法
KR100691478B1 (ko) 고탄성사 및 고탄성사를 이용한 고탄성직물의 제조방법
JP4387230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加工糸
KR20150069596A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JP3493831B2 (ja) ポリエステルシックアンドシン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08740A (ja) 絹紡野蚕調複合加工糸、その製造法及び絹紡野蚕調織物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