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96A -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 Google Patents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96A
KR20150069596A KR1020130155444A KR20130155444A KR20150069596A KR 20150069596 A KR20150069596 A KR 20150069596A KR 1020130155444 A KR1020130155444 A KR 1020130155444A KR 20130155444 A KR20130155444 A KR 20130155444A KR 20150069596 A KR20150069596 A KR 2015006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shrinkage
poy
h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098B1 (ko
Inventor
민기훈
마진숙
김성열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0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Abstract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듸감 및 드레이프성을 동시에 가진다.

Description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Manufacturing mathod of polyester composite yarn having excellent shrinkage property and manufacturing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및 편물에서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을 가지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에 관한 것이다.
이수축혼섬사는 수출율이 서로 다른 2종이상의 원사를 혼섬하여 제직한 다음, 후가공 공정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수축율이 높은 원사가 많이 수축되면서 수출률이 낮은 다른 원사로 하여금 크림프(crimp)를 형성케 함으로써 사의 길이 방향으로 불규칙한 권축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고수축사가 갖춰야 할 성질은 건열 또는 비수 중에서 수축율이 높으면서 강력이 우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혼섬사는 벌키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므로 이것을 사용한 직·편물들은 여성용 정장, 바지, 자켓 등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1996-0027854는 이수축 혼섬사를 개시하고 있으나 루프가 많이 발생할 뿐 아니라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 성을 동시에 가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첫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직물 및 편물에서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을 동시에 갖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이며, 하기 (1) ~ (4)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를 제공한다.
(1) 잔존수축율 : 40 ~ 60%
(2) 리소나 수축율 : 5 ~ 15%
(3) 파단신도 : 25 ~ 45% :
(4) 교락수 : 70 ~ 90 개/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는 4500 ~ 6000mpm으로 고속방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는 이산화티탄을 0.2 ~ 2.5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성분과 초성분은 30 : 70 ~ 70 : 3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가연사의 모노섬도는 1 ~ 3데니어이고, 총섬도는 80 ~ 300 데니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인 원사를 가연공정 이전에 원사에 부여하는 오버피드율이 5 ~ 15%로 오버피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연공정 이후에 원사에 부여하는 오버피드율이 4%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는 이산화티탄을 0.2 ~ 2.5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는 4500 ~ 6000mpm으로 고속방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는직물 및 편물에서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듸감 및 드레이프성을 동시에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가공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는 이를 편물 등으로 제조할 경우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이 모두 우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이며, 하기 (1) ~ (4)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이 모두 우수하다.
(1) 잔존 수축율 : 40 ~ 60%
(2) 리소나 수축율 : 5 ~ 15%
(3) 파단신도 : 25 ~ 45% :
(4) 교락수 : 70 ~ 90 개/m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면도로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100)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가 심사(110)를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가 초사(120)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원사의 심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수축 특성을 활용한 심, 초 구조를 형성하여 마이크로 루프 발현을 통한 소프트 터치를 발현할 수 있다. 만일 심사(110)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 또는 폴리에스테르 연신사(FDY)인 경우에는 심, 초사의 염색차이에 의한 백화(Whiteness) 문제와 이수축 특성이 적게 발생할 수 있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먼저, 심사(110)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심사로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를 사용하여 심색 효과 및 가연시 수축 효과 극대화를 통한 이수축 특성을 달성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는 방사속도가 4500 ~ 6000 mpm(m/min)의 속도로 방사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듸감, 드레이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방사속도가 4500mpm 미만의 폴리에스테르 부분배향사를 사용하면 이수축 특성 발현이 적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000mpm을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를 사용하면 가연 작업시 장력이 높아지는 문제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초사(120)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는 통상적으로 심초형 복합섬유의 초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사용할 수 있다. 초사로서 사용되는 부분 연신사는 직물 및 환편으로 사용하게 되었을 때, 마이크로 루프를 발현하여 소프트한 터치, 기능성 및 심색 효과를 향상시켜준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함되는 이산화티탄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 100 중량%에 대하여 0.2 ~ 2.5중량% 일 수 있다. 만일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촉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원사간의 마찰이 높아져서 장력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2.5중량%를 초과할 경우 원단에서 줄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난연성, 항균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인계 난연제, 무기 항균제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를 0.4 내지 10중량% 포함할 수 있다. 0.4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성 또는 항균성의 기능 발현이 미흡한 문제가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원가가 상승하게 되어 경쟁력을 잃게 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사(110)과 초사(120)는 30 : 70 ~ 70 : 3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심사(110)가 70 중량%를 초과하면 최종 가공지의 수축성이 너무 높아 촉감이 딱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 중량% 미만이면 최종 가공지의 수축성이 너무 낮아 드레이프성이 부족하고 심초사의 이수축 특성이 너무 작아 촉감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모노섬도는 1 ~ 3 데니어이고 총섬도는 80 ~ 300 데니어일 수 있다. 만일 복합가연사의 모노섬도가 1 데니어 미만이면 모우 및 루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 데니어를 초과하면 직물 및 환편의 촉감이 너무 거칠거칠(Harsh) 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총섬도가 80 데니어 미만이면 장력 저하로 인해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 데니어를 초과하면 촉감이 너무 거칠거칠(Harsh)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는 반드시 하기 (1) ~ (4)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 잔존 수축율 : 40 ~ 60%
(2) 리소나 수축율 : 5 ~ 15%
(3) 파단신도 : 25 ~ 45% :
(4) 교락수 : 70 ~ 90 개/m
먼저 (1) 조건과 관련하여 잔존(RESIDUAL) 수축율이란 원사의 크림프가 수축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료의 초기 길이는 (20.5÷0.0016÷de÷2)미터(m)의 길이를, 1회 회전시 1m인 타래에 감아 양끝을 연결하여 초기길이를 50cm로 하고, 1.5g 초기하중을 적용하여 82℃±2℃ 의 온수에 10분간 열처리하고 3~5분간 방치하여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방치) 길이를 측정하고 초기길이와 남아있는 길이를 측정하여 수축율을 구한다. 만일 비수수축율이 40 % 미만이면 너무 촉감이 두드러지고 거칠거칠한(Harsh)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0 %를 초과하면 균일성이 떨어지고 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ESIDUAL 수축율 = {초기 시료장(LO) - RESIDUAL 후 시료장(L1)}×100 / 초기 시료장(LO)
리소나 수축율이 5% 미만이면 직물에서의 수축이 적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를 초과하면 균일성이 떨어지고 촉감이 두드러지고 거칠거칠(Harsh)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단신도가 25 % 미만이면 모우가 발생할 수 있고, 45 %를 초과하면 경시변화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교락수가 70 개/m 미만이면 인터레이스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90 개/m를 초과하면 인터레이스로 인한 염색 결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인 원사를 가연공정 이전에 원사에 부여하는 오버피드율이 5 ~ 15%로 오버피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먼저, (1) 단계로서 심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 초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를 합사하여 심초형 복합사를 제조한다. 이 때 사용되는 심사 및 초사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심사 또는 초사를 별도로 연신 및/또는 열처리를 하고 이를 복합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사를 형성한 후 연신 및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원사의 오버피드를 높여주어 미세 루프 발현을 극대화 할 수 있고, 균일 혼섬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공정의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크릴(10)에 로딩(LOADING)된 원사가 가이드 튜브(20)와 제1 피드롤러(30)을 통과한다. 이 때 제1 피드롤러(30)에서의 속도는 330 ~ 660 mpm일 수 있다. 만일 제1 피드롤러(30)의 속도가 330 mpm 미만이면 오버피드가 너무 적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60 mpm을 초과하면 모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피드롤러(30)을 통과한 원사는 가이드 롤러(40)를 지나게 된다. 상기 (40)을 통과한 원사는 제2 피드롤러(50)를 통과한 후 제3 피드롤러(90)를 통과한다. 제2 피드롤러(50)와 제3 피드롤러(90)의 선속도 차이에 의하여 연신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원사는 제2 피드롤러(50)과 제3 피드롤러(90) 사이에 설치된 제1 히터(60)를 통과하여 원사의 온도를 올려주어 연신 및 가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히터(60)의 온도는 150 ~ 240 ℃ 일 수 있다. 만일 제1 히터(60)의 온도가 150 ℃ 미만이면 균일한 열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40 ℃를 초과하면 모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히터(60)을 통과한 원사는 냉각판(70)을 통과하며 이 때 원사의 온도를 2차 전이온도인 80 ℃ 근처까지 떨어뜨리게 된다. 그 뒤 가연부(80)로서 바람직하게는 트위스트 벨트(80)을 통과하면서 그 전후로 꼬임과 해연이 진행되어 원사에 권축성이 부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벨트 교차각이란 2개의 트위스트벨트가 배치되어 이루는 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벨트 교차각은 95 ~ 110°일 수 있다. 만일 벨트 교차각이 95°미만이면 꼬임이 너무 적게 되어 가연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10°를 초과하면 가연이 너무 과다해지게 되어 미해연(꼬임이 풀리지 않는 부분)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위스트 벨트(80)에서 부여되는 꼬임은 2200 ~ 3600 T/M 일 수 있다.
한편 제2 피드롤러(50)의 속도는 300 ~ 500 mpm이고, 제3 피드롤러(90)의 속도는 350 ~ 600 mpm일 수 있다. 만일 제2 피드롤러(50)의 속도가 300 mpm 미만이면 생산성이 너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0 mpm을 초과하면 과도한 속도로 실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3 피드롤러(90)의 속도가 350 mpm 미만이면 원가 상승이 많게 되어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00 mpm을 초과하면 장력이 상승하게 되어 실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신비는 제3 피드롤러의 속도/제2 피드롤러의 속도로 정의되는데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연신비는 1.1 ~ 1.6일 수 있다. 만일 연신비가 1.1배 미만이면 장력이 낮아지게 되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6배를 초과하면 과도한 장력으로 실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3 피드롤러(90)를 통과한 원사는 제2 히터(100)를 통과하게 되나,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는 부여하지 않고 보통 40 ~70 ℃ 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제2 히터의 온도를 180℃ 이상 부여하게 되면 심, 초사간의 이수축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히터(100)을 통과한 원사는 제4 피드롤러(110)을 통과한다. 이 때 속도는 353 ~ 618 mpm일 수 있다. 만일 제4 피드롤러(110)의 속도가 353 mpm 미만이면 원가상승이 많아지게 되어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18 mpm을 초과하면 실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4 피드롤러(110)을 통과한 원사는 오일링 롤러(120)을 통과하면서 오일이 부여되고 이후 와인더(130)에서 권취된다.
한편, 제1 오버피드율(OF 1)은 (제 1 피드롤러의 속도 - 제 2 피드롤러의 속도)/제1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하고 제2 오버피드율(OF 2)은 (제 3 피드롤러의 속도 - 제 4 피드롤러의 속도)/제3 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하며 제3 오버피드율(OF 3)은 (제 4 피드롤러의 속도 - 와인더 속도)/제4 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오버피드율은 가연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것인 반면에, 제2 오버피드율 및 제3 오버피드율은 가연공정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연공정 이전의 제1 오버피드율(OF 1)은 5 ~ 15 %일 수 있다. 만일 제1 오버피드율이 5 % 미만이면 인터레이스가 너무 적어지게 되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 %를 초과하면 장력이 저하되어 실의 사절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연공정 이후인 제2 오버피드율 및 제3 오버피드율은 4 %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제2 오버피드율 및 제3 오버피드율이 4 %를 초과하면 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각 피드롤러의 속도는 상술한 오버피드율의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가연장치를 이용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심사로서 5500mpm의 방사속도로 방사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웅진케미칼㈜, NPY 90/24) 및 초사로서 이산화티탄을 1.5 중량%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웅진케미칼㈜, POY 120/48) 사용하였다. 이후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에서, 제 1 오버피드를 12% 부여한 후, 연신비 1.4 로 연신하고 3000 T/M으로 가연하여 심성분이 43 중량%이고 초성분이 57 중량%인 170 데니어/72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섬유를 100%로 하여 환편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여 편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심사로서 4000mpm의 방사속도로 방사된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초사로서 이산화티탄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 5>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시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심사로서 HOY가 아닌 일반 폴리에스테르(웅진케미칼㈜, SD 90/2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3>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시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촉감(소프트성)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소프트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소프트 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소프트 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2. 드레이프성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3. 잔존(RESIDUAL) 수축율(RES 수축율)
시료의 초기 길이는 (20.5÷0.0016÷de÷2)미터(m)의 길이를, 1회 회전시 1m인 타래에 감아 양끝을 연결하여 초기길이를 50cm로 하고, 1.5g 초기하중을 적용하여 82℃±2℃ 의 온수에 10분간 열처리하고 3~5분간 방치하여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방치) 길이를 측정하고 초기길이와 남아있는 길이를 측정하여 수축율을 구하였다.
잔존(RESIDUAL) 수축율 = {초기 시료장(LO) - RESIDUAL 후 시료장(L1)}× 100 / 초기 시료장(LO)
4. 파단 신도의 측정
파단 신도의 측정은 자동 인장시험기(Textechno 社)를 사용하여 50cm/min의 속도, 50cm의 파지거리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5. 표면효과(자연스러운 외관)
편물의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정도를 10명의 전문가에 의하여 10점 만점으로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평균점수로 나타내었다.
6. 리소나(LEESONA) 수축율
시료의 초기 길이는 (20.5÷0.0016÷de÷2)미터(m)의 길이를, 1회 회전시 1m인 타래에 감아 양끝을 연결하여 초기길이를 50cm로 하고, 20.5g 초기하중을 적용하여 82℃±2℃ 의 온수에 10분간 열처리하고 3~5분간 방치하여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방치) 길이를 측정하고 초기길이와 남아있는 길이를 측정하여 수축율을 구하였다.
7. 청량감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청량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청량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청량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OF1 12 % 12 % 12 % 12 % 12 % 12 % 3 % 18 %
OF2 1.77 % 1.77 % 1.77 % 4.7 % 1.77 % 1.77 % 1.77 % 1.77 %
OF3 1.94 % 1.94 % 1.94 % 1.94 % 4.7% 1.94 % 1.94 % 1.94 %
가열온도 180 180 180 180 180 180 180 180
잔존 수축율 50 % 47 % 50 % 45 % 42 % 35 % 40 % 66 %
리소나수축율 10 % 9 % 10 % 10 % 8 % 7 % 3.5 % 12 %
파단신도(%) 38 % 40 % 38 % 35 % 33 % 32 % 38 % 47 %
교락수(개/m) 80 개/m 80 개/m 80 개/m 80 개/m 75 개/m 80 개/m 65 개/m 95 개/m
청량감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소프트감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우수
드레이프성 우수 보통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표면효과 10 9 8 7.5 7.5 5 5.5 6.5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OF 1의 오버피드율이 5% 이상인 실시예들이 이를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2 ~ 3에 비하여 우수한 표면효과 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심사로서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HOY를 사용한 실시예 1의 물성이 우수하였다. 나아가 OF 2 및 OF 3의 범위를 벗어난 실시예 4 ~ 5에 비하여 이를 만족하는 실시예 1의 물성이 더욱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듸감, 드레이프성이 우수하고 결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섬유산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인 원사를 가연공정 이전에 원사에 부여하는 오버피드율이 5 ~ 15%로 오버피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공정 이후에 원사에 부여하는 오버피드율이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는 이산화티탄을 0.2 ~ 2.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는 4500 ~ 6000mpm으로 고속방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5.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이며, 하기 (1) ~ (4)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1) 잔존수축율 : 40 ~ 60%
    (2) 리소나 수축율 : 5 ~ 15%
    (3) 파단신도 : 25 ~ 45% :
    (4) 교락수 : 70 ~ 90 개/m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사(Highly oriented yarn, HOY)는 5000 ~ 6000mpm으로 고속방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7.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8. 제7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는 이산화티탄을 0.2 ~ 2.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성분과 초성분은 30 : 70 ~ 70 : 3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가연사의 모노섬도는 1 ~ 3데니어이고, 총섬도는 80 ~ 3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를 포함하는 직물.
  12.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를 포함하는 편물.
KR1020130155444A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KR10155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44A KR101555098B1 (ko)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44A KR101555098B1 (ko)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96A true KR20150069596A (ko) 2015-06-24
KR101555098B1 KR101555098B1 (ko) 2015-09-23

Family

ID=5351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444A KR101555098B1 (ko)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97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대영합섬 마섬유특성을 부여한 ity복합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97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대영합섬 마섬유특성을 부여한 ity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867327B1 (ko) * 2016-08-29 2018-07-19 주식회사 대영합섬 마섬유특성을 부여한 ity복합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098B1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121B1 (ko)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20170059059A (ko) 보온성을 가지는 고신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38840B1 (ko) 자연스러운 감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555099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8584A (ko) 다중 수축 폴리에스테르 고신축성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TW202124799A (zh) 一種複合紗線及由其製得的面料
KR101555098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KR101938818B1 (ko) 수축률이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42857B1 (ko) 은은한 광택을 갖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38842B1 (ko) 라이오셀 단섬유, 스판덱스사 및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의 장단섬유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CN110029419B (zh) 一种涤纶混纤假捻加工丝、制备方法及其织物
JP3793288B2 (ja) ポリエステル系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JP2015193951A (ja) 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複合仮撚糸を用いた織編物
KR20150058781A (ko) 볼륨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6234771B2 (ja) 杢調布帛の製造方法
JP4056356B2 (ja) 流体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同加工糸を含む織編物
KR101989745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신축성 및 멜란지톤 발현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 가공사의 제조방법
JPS5921970B2 (ja) ポリエステルケンシユクシノセイゾウホウ
KR102085053B1 (ko) 고기능 및 고감성 발현을 위한 라이오셀과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JPS6245326B2 (ko)
KR101938838B1 (ko) 심색성과 냉감특성을 갖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20150069595A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 가연사
JPH04352835A (ja) ポリエステル特殊混繊糸
TW202227687A (zh) 聚酯複合混纖紗及其製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