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847A - 방수 통음막 및 그것을 사용한 방수 통음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 통음막 및 그것을 사용한 방수 통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847A
KR20160087847A KR1020167015941A KR20167015941A KR20160087847A KR 20160087847 A KR20160087847 A KR 20160087847A KR 1020167015941 A KR1020167015941 A KR 1020167015941A KR 20167015941 A KR20167015941 A KR 20167015941A KR 20160087847 A KR20160087847 A KR 2016008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orous film
ptfe porous
film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689B1 (ko
Inventor
유이치 아베
고우지 후루우치
고우세이 다키이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방수 통음막(1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다공질막(11)을 포함하는 통음 영역(13c)을 갖는다. PTFE 다공질막(1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2㎤/㎠/s 이상의 범위이다. 이에 의해, 생활 방수 레벨 이상의 방수성과, 소리 깨짐의 발생 억제에 적합한 방수 통음막을 제공할 수 있다. PTFE 다공질막(11)의 내수압은 3kPa 이상, 바람직하게는 20kPa 이상 50kPa 이하의 범위이다. 방수 통음막(10)은 그 주연 영역(13p)에 점착층(12)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Description

방수 통음막 및 그것을 사용한 방수 통음 구조{WATERPROOF SOUND-TRANSMITTING FILM AN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TRUCTURE USING SAME}
본 발명은, 방수 통음막 및 그것을 사용한 방수 통음 구조에 관계한다.
휴대 전화, 스마트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음향 장치가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은, 음성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물이 하우징 내에 인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개구에 소리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물의 통과를 저지하는 방수 통음막을 설치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방수 통음막으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다공질막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에는, 낮은 음향 전송 손실과 높은 내수압을 겸비한 방수 통음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초점을 좁혀야 할 중요한 파라미터는, 방수 통음막의 질량 및 두께이며, 통기성(막을 통과하는 공기류)은 아니다. 질량 및 두께를 모두 감소시키면, 방수 통음막의 진동에 의해 전파하는 음향 에너지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높은 내수 압을 실현하기 위하여 통기성을 저하시켜도, 음향 전송 손실이 증가하는 경우가 없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방수 통음막의 두께를 3 내지 33㎛, 질량을 40g/㎡ 이하로 하고, 또한 걸리수에 의해 표시한 통기도를 1초 이상(프래질 수에 의해 표시하여, 약 1.57㎤/㎠/s 이하)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2680호 공보
방수 통음막의 통음 특성은, 음향 전송 손실을 지표로 하여 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파하는 소리의 질, 구체적으로는, 소위 소리 깨짐의 정도도, 현실의 사용에 있어서는 중요한 특성이다. 한편, 방수 통음막에 요구되는 방수 특성의 정도는, 전자 기기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은 고려할 필요는 없지만, 빗물 등의 물방울에 접촉하는 것만이 상정되는 전자 기기에는, 100kPa 이상에 이르는 것과 같은 높은 내수압은 필요로 하지 않고, 소위 생활 방수 레벨의 내수압을 달성할 수 있는 방수 통음막이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생활 방수 레벨 이상의 방수성과, 소리 깨짐의 발생 억제에 적합한 방수 통음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소리 깨짐의 발생 억제에는, 방수 통음막의 통기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PTFE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통음 영역을 갖고,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인 A법(프래질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상기 다공질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2㎤/㎠/s 이상이고,
JIS L1092에 규정되어 있는 방수성 시험 방법인 B법(고수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상기 다공질막의 내수압이 3kPa 이상인, 방수 통음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방수 통음막을 구비하는 방수 통음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TFE 다공질막의 내수압이 3kPa 이상이고, 또한 PTFE 다공질막의 프래질 수에 의해 표시한 통기도가 2㎤/㎠/s 이상(걸리수에 의해 표시하여, 약 0.79초 이하)이기 때문에, 생활 방수 레벨 이상의 방수성과, 소리 깨짐의 발생 억제에 적합한 방수 통음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 통음막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 통음막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 통음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 통음막이 적용된 전자 기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방수 통음막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통기도와 소리 왜곡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방수 통음막(1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방수 통음막(10)의 사시도이다. 방수 통음막(10)은 소리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음 영역(13c)과, 통음 영역(13c)을 둘러싸는 주연 영역(13p)을 갖고 있다. 통음 영역(13c)은 단층의 PTFE 다공질막(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연 영역(13p)은 PTFE 다공질막(11)과, 점착층(12)을 구비하고 있다. 점착층(12)은 점착제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양면 테이프여도 된다.
PTFE 다공질막(1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인 A법(프래질법)에 의해 부여되는 값으로서, 2㎤/㎠/s 이상이다. PTFE 다공질막(1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3㎤/㎠/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방수 통음막(10)에서는, PTFE 다공질막(11)의 통기도 범위가 상기와 같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리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PTFE 다공질막(1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25㎤/㎠/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TFE 다공질막(11)의 내수압은, JIS L1092에 규정되어 있는 방수성 시험 방법인 B법(고수압법)에 의해 부여되는 값으로서, 3kPa 이상이다. PTFE 다공질막(11)의 내수압이 3kPa 이상이기 때문에, 적어도 JIS C0920에 규정되어 있는 물의 침입에 대한 보호 등급이 4급(IPX4, 생활 방수 레벨에 상당하는 보호 등급) 이상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PTFE 다공질막(11)의 내수압은, 15kPa 이상 75k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kPa 이상 50k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리 깨짐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방수성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PTFE 다공질막(11)은 5㎤/㎠/s 이상의 통기도를 갖고, 또한 20kPa 이상 50kPa 이하의 내수압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PTFE 다공질막(11)의 질량은, 예를 들어 4g/㎡ 이하이다. PTFE 다공질막(11)의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2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g/㎡ 이하이다. 또한, PTFE 다공질막(1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7㎛ 이하이다. PTFE 다공질막(1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방수 통음막(10)은, PTFE 다공질막(11)을 상대재(하우징 등)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12)으로서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양면 테이프는, PTFE 다공질막(11)의 주연부(11p)의 표면(11f)에 부착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층(12)은 통음 영역(13c)을 둘러싸도록 PTFE 다공질막(11)의 표면(11f)에 배치된다. 또한, 점착층(12)은 이면(11b)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표면(11f) 및 이면(11b)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PTFE 다공질막(11)은 발수 처리 또는 발유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발수 처리 또는 발유 처리는, 예를 들어 표면(11f) 및/또는 이면(11b)으로부터 PTFE보다도 표면 장력이 낮은 재료를 PTFE 다공질막(11)에 함침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PTFE 다공질막(11)은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염료로서는, 아조계 염료, 유용성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착색제의 일례는, 카본 블랙이다.
도 3에, 방수 통음막(10)이 배치된 방수 통음 구조(20)를 나타낸다. 방수 통음 구조(20)는 개구(22)를 갖는 하우징(21)과, 개구(22)를 막도록 하우징(21)에 설치된 방수 통음막(10)을 구비하고 있다. 방수 통음막(10)은 점착층(12)의 점착력에 의해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12)을 생략하여, 초음파 접착 등에 의해, PTFE 다공질막(11)을 하우징(21)에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수 통음막(10)은 주연 영역(13p)에 있어서도 단층의 PTFE 다공질막(11)에 의해 구성된다.
PTFE 다공질막(11)을 구비하는 방수 통음막(110)이 적용된 전자 기기의 예로서, 도 4에 휴대 전화(30)를 나타낸다. 또한, 휴대 전화(30) 중의 방수 통음막(110)은 PTFE 다공질막(11)의 이면(11b)에도 점착층(12)으로서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방수 통음막(10)과 마찬가지이다.
휴대 전화(30)의 하우징(38) 내에는, 마이크로폰(33)이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38)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성을 마이크로폰(33)으로 유도하는 제1 집음구(39)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폰(33)의 패키지(35) 내에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부(34)가 수용되어 있다. 패키지(35)의 하나의 면에는, 하우징(38)의 제1 집음구(39)로부터 도입된 음성을, 마이크로폰(33)의 집음부(34)로 유도하는 제2 집음구(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집음구(39) 및 제2 집음구(36)는 방수 통음막(110)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마이크로폰(33)은 패키지(35)의 저면에 설치된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휴대 전화(30)의 회로 기판(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집음부(34)에 의해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가, 단자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31)에 출력된다. 휴대 전화(30)에서는, 제1 집음구(39) 및 제2 집음구(36)를 막도록 배치된 방수 통음막(110)에 의해, 제1 집음구(39) 및 제2 집음구(36)로부터 마이크로폰(33)의 집음부(34)에의 진개나 물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집음부(34)에 음성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통음 영역이 단층의 PTFE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방수 통음막의 제조에 적합한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최초에, PTFE 미분말과 가공 보조제(액상 윤활제)를 소정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충분히 혼련하여, 압출 성형용의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이어서, 예비 성형된 페이스트를 공지된 압출법에 의해 성형하고, 시트 형상 또는 로드 형상의 성형체를 얻는다. 이어서, 시트 형상 또는 로드 형상의 성형체를 압연하고, 띠 형상의 PTFE 시트를 얻는다. 이어서, 압연된 PTFE 시트를 건조기 내에서 건조시킨다. 건조 공정에 의해 가공 보조제가 휘발하고, 가공 보조제의 함유량이 충분히 감해진 PTFE 시트가 얻어진다. 이어서, 건조시킨 PTFE 시트를 길이 방향(MD)과,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TD)에 대하여 각각 연신한다. 또한, 2축 방향으로 연신된 PTFE 시트를 PTFE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해도 된다.
소리 왜곡이 작은 방수 통음막을 제조하는 관점에서, PTFE의 융점(예를 들어, 327℃) 이하의 온도에서 PTFE 시트의 연신을 행한 후, PTFE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PTFE 시트를 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FE 시트를 연신할 때의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32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이다. 열 고정을 행할 때의 온도는, 예를 들어 330℃ 내지 400℃이고,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380℃이다.
실시예
(실시예 1)
PTFE 파인 파우더(F104, 다이킨 고교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윤활제(n-도데칸, 재팬 에너지사제) 2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린더에서 압축하고, 그 후 램 압출하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액상 윤활제를 포함한 상태에서, 금속제 압연롤 사이에 통과시켜 두께 0.2mm로 압축하고, 150℃에서의 가열에 의해 건조시켜서 액상 윤활제를 제거하였다. 이에 의해, 미소성의 시트 형상 성형체를 얻었다. 이 시트 형상 성형체를 300℃에서 길이 방향으로 10배의 배율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100℃에서 폭 방향으로 30배의 배율로 연신하였다. 그 후, PTFE의 융점 이상의 360℃에서 시트 형상 성형체를 정치하여 열 고정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실시예 2)
길이 방향으로 2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폭 방향으로 4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실시예 2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실시예 3)
길이 방향으로 25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폭 방향으로 4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실시예 3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실시예 4)
길이 방향으로 3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폭 방향으로 4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실시예 4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비교예 1)
길이 방향으로 3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폭 방향으로 4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비교예 1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비교예 2)
길이 방향으로 5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폭 방향으로 5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비교예 2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비교예 3)
길이 방향으로 8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폭 방향으로 10배의 배율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에 의해, 비교예 3의 PTFE 다공질막을 얻었다.
(비교예 4)
무공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루미러(등록 상표) F5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PTFE 다공질막, 비교예 4의 PET 필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해서, 두께, 중량, 통기도, 내수압, 소리 왜곡, 소리 손실 및 소리 깨짐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두께]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의 두께는, 눈금 간격 0.001mm, 측정자 외경 10mm의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중량]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의 중량은,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을 10cm 사방으로 오려내어, 중량을 측정한 후, 단위 면적당의 중량을 구하였다.
[통기도]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의 통기도는,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A법(프래질법)에 준거하여, 프래질 수(소정의 압력을 가했을 때의, 단위 면적·단위 시간당의,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을 투과하는 공기량)에 의해 구하였다.
[내수압]
PTFE 다공질막의 내수압은, JIS L1092에 규정되어 있는 방수성 시험 방법의 B법(고수압법)에 준거하여, 내수도 시험 장치(고수압용)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단 JIS L1092에 규정된 면적에서는 막이 현저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메쉬(개구 직경 2mm)를 막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설치하고, 변형을 억제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소리 왜곡]
샘플에 있어서의 소리 왜곡은,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최초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휴대 전화의 하우징을 모방한 모의 하우징(41)(아크릴제, 길이 70mm×폭 50mm×높이 15mm)을 준비하였다. 이 모의 하우징(41)은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을 포함하고,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은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다. 제1 부분(41a)에는, 설치 구멍(42)(구경 13mm)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을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모의 하우징(41) 내에, 설치 구멍(42) 및 리드선(44)의 도통구(43) 이외의 개구가 없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것과는 별도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작한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도 5에서는, PTFE 다공질막에 부호(211)를 첨부하고 있음)을 톰슨형을 사용하여 직경 16mm의 원형으로 펀칭하였다. 이어서, 펀칭한 PTFE 다공질막의 양쪽 주면의 주연부에, 외경 16mm, 내경 13mm의 링상으로 펀칭한 양면 테이프(212)를 각각 부착하였다. 그 후, 한쪽의 양면 테이프(212)를 개재하여 PTFE 다공질막을 음원이 되는 스피커(45)(스타 세이미쯔사제, SCC-16A, 구경 16mm)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PTFE 다공질막을 부착한 스피커(45)를 모의 하우징(41)의 제1 부분(41a)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42)에, PTFE 다공질막이 설치 구멍(42)에 면함과 함께 PTFE 다공질막이 설치 구멍(42)을 막도록, 제2 부분(41b)과 끼워 맞추게 했을 때에 내측이 되는 면으로부터 고정하였다. 스피커(45)의 제1 부분(41a)에의 고정은, PTFE 다공질막에 있어서의 스피커(45)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212)에 의해 행하고, 그때에, 양면 테이프(212)가 설치 구멍(42)에 걸리지 않도록 함과 함께, 설치 구멍(42)이 PTFE 다공질막에 의해 완전히 막히도록 주의하였다.
이어서, 스피커(45)의 리드선(44)을 도통구(43)를 통하여 모의 하우징(41)의 외부로 도출하면서,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을 끼워 맞춰, PTFE 다공질막의 소리 손실을 측정하기 위한 모의 하우징(41)을 형성하였다. 도통구(43)는, 리드선(44)을 도출한 후, 퍼티로 막았다.
이어서, 리드선(44)과 마이크(B&K사제의 Type2669와 Type4192를 조합한 것)를 통음성 평가 장치(B&K사제, 3560-B-030)에 접속하고, 스피커(45)로부터 50mm 이격된 위치에 마이크를 배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PTFE 다공질막을 설치한 상태에서, 소리 왜곡으로서 고조파 왜곡(THD)을 평가하였다. 고조파 왜곡은 전고조파의 측정값의, 기본파의 측정값에 대한 비율(%)로 구하였다. 전고조파의 측정값은, 제2차 고조파 및 제3차 고조파를 측정한 측정값이다.
[소리 손실]
샘플에 있어서의 소리 손실은, 상술한 소리 왜곡의 평가 장치와 동일한 평가 장치를 준비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PTFE 다공질막을 설치한 상태에서 마이크가 수음(受音)한 음량과, PTFE 다공질막을 생략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상태에서 마이크가 수음한 음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차로부터 소리 손실(dB)을 평가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소리의 주파수는 1000Hz로 하였다. 손실이 5dB 이하이면 통음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소리 깨짐]
샘플에 있어서의 소리 깨짐의 정도는, 상술한 소리 왜곡의 평가 장치와 동일한 평가 장치를 준비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PTFE 다공질막을 설치한 상태에서, 귀로 들은 소리가 깨졌는지 여부를 감각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귀로 들은 소리가 깨지지 않았을 때, 소리 깨짐이 없다(○)고 판정하고, 귀로 들은 소리가 희미하게 깨졌을 때, 소리 깨짐이 약간 있다(△)고 판정하고, 귀로 들은 소리가 깨졌을 때, 소리 깨짐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PTFE 다공질막 및 PET 필름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해서, 두께, 중량, 통기도, 내수압, 소리 왜곡, 음압 손실 및 소리 깨짐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소리 왜곡 및 소리 손실이 작고, 소리 깨짐이 없다(○)고 판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의 PTFE 다공질막은, PTFE 다공질막을 통과할 때의 소리 손실을 저감하면서, 종래의 PTFE 다공질막보다도 소리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 소리 왜곡 및 소리 손실이 작았던 이유로서, 본 발명자들은, PTFE 다공질막의 통기도가 2㎤/㎠/s 이상이 되도록, PTFE 다공질막의 통기도가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래질 수에 의해 표시한 통기도가 0 내지 2㎤/㎠/s의 범위에서는, 통기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소리 왜곡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에 비해, 통기도가 2㎤/㎠/s 이상의 범위에서는, 소리 왜곡의 감소가 완만해진다. 막의 진동에 수반하는 소리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통기도를 2㎤/㎠/s 이상으로 조정하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PTFE 다공질막의 내수압이 3kPa 이상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PTFE 다공질막에 있어서 적어도 생활 방수 레벨에 상당하는 보호 등급인 IPX4 이상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 1 내지 4의 PTFE 다공질막은, 일상 생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충분한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의 PTFE 다공질막은, 보다 음향 특성을 중시하는 전자 기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통음막은, 음향 장치가 수용되어 있는 전자 기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 스마트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통음 영역을 갖고,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인 A법(프래질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상기 다공질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2㎤/㎠/s 이상이고,
    JIS L1092에 규정되어 있는 방수성 시험 방법인 B법(고수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상기 다공질막의 내수압이 3kPa 이상인, 방수 통음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6㎤/㎠/s 이하인, 방수 통음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3㎤/㎠/s 이상인, 방수 통음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의 내수압이 20kPa 이상 50kPa 이하인, 방수 통음막.
  5.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1항에 기재된 방수 통음막을 구비하는 방수 통음 구조.
KR1020167015941A 2013-11-18 2014-11-14 방수 통음막 및 그것을 사용한 방수 통음 구조 KR102287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7867 2013-11-18
JPJP-P-2013-237867 2013-11-18
PCT/JP2014/005740 WO2015072149A1 (ja) 2013-11-18 2014-11-14 防水通音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通音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847A true KR20160087847A (ko) 2016-07-22
KR102287689B1 KR102287689B1 (ko) 2021-08-06

Family

ID=5305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941A KR102287689B1 (ko) 2013-11-18 2014-11-14 방수 통음막 및 그것을 사용한 방수 통음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68153B2 (ko)
EP (1) EP3073756B1 (ko)
JP (2) JP6744697B2 (ko)
KR (1) KR102287689B1 (ko)
CN (1) CN105765992B (ko)
TW (1) TWI699121B (ko)
WO (1) WO2015072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8153B2 (en) * 2013-11-18 2019-07-30 Nitto Denko Corporatio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rane an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WO2015105052A1 (ja) * 2014-01-13 2015-07-16 セーレン株式会社 通音防水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110981B2 (en) * 2015-06-30 2018-10-23 W. L. Gore & Associates, Inc. Vibro acoustic cover using expanded PTFE composite
US11343413B2 (en) 2015-07-02 2022-05-24 Gopro, Inc. Automatically determining a wet microphone condition in a camera
US9769364B2 (en) 2015-07-02 2017-09-19 Gopro, Inc. Automatically determining a wet microphone condition in a sports camera
KR102569879B1 (ko) * 2015-11-24 2023-08-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수 통음막, 방수 통음 부재 및 전자 기기
JP6656110B2 (ja) 2016-07-27 2020-03-04 日本ゴア株式会社 防水通音カバー、防水通音カバー部材および音響装置
US20180077477A1 (en) * 2016-09-15 2018-03-15 Nokia Technologies Oy Porous audio device housing
US9807501B1 (en) 2016-09-16 2017-10-31 Gopro, Inc. Generating an audio signal from multiple microphones based on a wet microphone condition
US10271121B2 (en) * 2016-09-23 2019-04-23 Apple Inc. Shock mounted transducer assembly
CN107369300A (zh) * 2017-06-09 2017-11-2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落水检测装置、检测方法和电子设备
CN110359182B (zh) * 2018-04-09 2021-09-28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纺丝纤维防水透声膜及其制备方法
CN108559418A (zh) * 2018-06-28 2018-09-21 上海市凌桥环保设备厂有限公司 一种手机透气防水膜及其制备工艺
KR102297943B1 (ko) 2018-12-28 2021-09-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KR20220005034A (ko) * 2019-04-26 2022-01-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변환 소자 부재와 이것을 구비하는 변환 소자 모듈 및 전자 기기
CN110275575B (zh) * 2019-05-23 2021-03-26 深圳市伊声声学科技有限公司 防水透气膜的制造方法
CN110278513A (zh) * 2019-05-23 2019-09-24 深圳市伊声声学科技有限公司 防水透气膜及其制造方法以及微型扬声器
CN110248290A (zh) * 2019-05-23 2019-09-17 深圳市伊声声学科技有限公司 防水透气膜及其模具和制造方法以及扬声器
CN110271119B (zh) * 2019-05-23 2021-07-20 深圳市伊声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模具制造防水透气膜的方法
CN110324778A (zh) * 2019-08-09 2019-10-11 沈阳蓝光网络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出入口装置的声码接收器及其制作方法和安装方法
US10741160B1 (en) * 2019-09-25 2020-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US11417311B2 (en) * 2020-08-03 2022-08-16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structure
CN114071326B (zh) * 2020-08-04 2024-02-23 杭州安普鲁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透声膜组件
CN114193871B (zh) * 2020-09-02 2024-04-16 杭州安普鲁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膜组件
US20230023601A1 (en) * 2021-07-21 2023-01-26 Em-Tech Co., Ltd. Microspeaker Enclosure Including Block Formed of Porous Particles
WO2024101280A1 (ja) * 2022-11-10 2024-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ッ素樹脂膜、フッ素樹脂膜部材及び電子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2561A (ja) * 1996-05-31 2002-01-22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音響伝達特性を有する保護カバー組立品
KR20080086487A (ko) * 2005-12-08 2008-09-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필터 부착 하우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통기 필터부착 하우징의 제조 방법
KR20100103557A (ko) * 2007-12-07 2010-09-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공질막과 그 제조 방법, 및 방수 통기 필터
JP2011142680A (ja) 1999-07-07 2011-07-2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微多孔質メンブラ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4733A (en) * 1967-06-15 1970-12-01 Minnesota Mining & Mfg Electrostatic acoustic transducer
JP2815618B2 (ja) * 1989-07-08 1998-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材
JPH10165787A (ja) * 1996-12-11 1998-06-23 Nitto Denko Corp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04738A1 (en) * 2006-11-03 2008-05-08 Conley Jill A Liquid water resistant and water vapor permeable garments
WO2009011315A1 (ja) * 2007-07-18 2009-01-22 Nitto Denko Corporation 防水通音膜、防水通音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製品
JP2009111993A (ja) * 2007-10-09 2009-05-21 Nitto Denko Corp 防水通音膜を用いた通音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58860B2 (ja) * 2008-05-12 2015-01-28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濾材
JP5155927B2 (ja) * 2009-04-08 2013-03-06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膜とそれを用いた防水通音部材および電気製品
US10099182B2 (en) * 2010-02-02 2018-10-16 EF-Materials Industries Inc. Water-proof and dust-proof membrane assembly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2985153B (zh) * 2010-06-16 2015-02-11 日东电工株式会社 防水透气过滤器及其用途
JP2012114747A (ja) * 2010-11-25 2012-06-14 Kyocera Corp 開口用の被覆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3168203A1 (ja) * 2012-05-08 2013-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防水通気部材
CN105682914A (zh) * 2013-10-15 2016-06-15 唐纳森公司 用于声音放出的微孔膜层压物
US10368153B2 (en) * 2013-11-18 2019-07-30 Nitto Denko Corporatio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rane an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2561A (ja) * 1996-05-31 2002-01-22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音響伝達特性を有する保護カバー組立品
JP2011142680A (ja) 1999-07-07 2011-07-2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微多孔質メンブラン
KR20080086487A (ko) * 2005-12-08 2008-09-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필터 부착 하우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통기 필터부착 하우징의 제조 방법
KR20100103557A (ko) * 2007-12-07 2010-09-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공질막과 그 제조 방법, 및 방수 통기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5992B (zh) 2019-08-20
US10368153B2 (en) 2019-07-30
JP2015119474A (ja) 2015-06-25
EP3073756A4 (en) 2017-06-28
EP3073756A1 (en) 2016-09-28
CN105765992A (zh) 2016-07-13
EP3073756B1 (en) 2020-04-22
TWI699121B (zh) 2020-07-11
JP7061828B2 (ja) 2022-05-02
WO2015072149A1 (ja) 2015-05-21
US20160301998A1 (en) 2016-10-13
JP2019041407A (ja) 2019-03-14
TW201534132A (zh) 2015-09-01
JP6744697B2 (ja) 2020-08-19
KR102287689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1828B2 (ja) 防水通音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通音構造
JP5947926B2 (ja) 防水通音膜を用いた通音部材の製造方法
EP2914015B1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film,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provided with same, electronic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case, an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tructure
US6932187B2 (en) Protective acoustic cover assembly
KR102320057B1 (ko) 방수 통음 커버, 방수 통음 커버 부재 및 음향 장치
CN103404166B (zh) 防水透声膜及电气产品
EP3337180A1 (en) Waterproof sound-passing film, waterproof sound-passing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JP6069078B2 (ja) 防水通音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水通音部材
JP2004083811A (ja) 防水通音膜
KR20160052593A (ko) 방수 통기막과 그것을 구비하는 방수 통기 부재 및 방수 통기 구조, 그리고 방수 통음막
KR101948969B1 (ko) 통음막, 및 통음막을 구비한 전자 기기
JP2005334758A (ja) 通気フィルタ
JP2003250188A (ja) 通気性通音膜
JP6324109B2 (ja) 防水通音膜の製造方法、防水通音膜及び電子機器
KR20170008436A (ko) 방수 통음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