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062A -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062A
KR20160087062A KR1020150004479A KR20150004479A KR20160087062A KR 20160087062 A KR20160087062 A KR 20160087062A KR 1020150004479 A KR1020150004479 A KR 1020150004479A KR 20150004479 A KR20150004479 A KR 20150004479A KR 20160087062 A KR20160087062 A KR 20160087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white balance
unit
bankno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277B1 (ko
Inventor
이춘우
채현욱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2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5/00Apparatus or devices for supporting or holding wrappers during wrapping op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는: 개방부가 형성된 백의 상부를 지지하는 백고정부와, 백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백의 양면부에 접한 상태로 백에 담긴 지폐를 지지하는 지폐지지부와, 백에 담기는 지폐량에 따라 지폐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1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PAPER MONEY STACKING APPARATUS OF PAPER MONEY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처리장치에 투입하여 처리된 지폐를 백의 내부에 가지런하게 적재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를 의미하고, 현금자동지급기, 현금자동입출금기, 현금자동입금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공통적으로 지폐계수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폐의 적합성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현금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 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는 장치이고, 현금자동입출금기는 현금자동지급기능에 입금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한 장치이다. 현금자동입금기는 현금을 입금하는 입금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현금자동입출금기나 현금자동입금기 등을 이용해 입금된 지폐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용, 운반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26583호(2005.10.28. 등록, 발명의 명칭: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에 대해 계수 또는 판별 처리를 수행한 후 백의 내부에 안정되게 집적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는: 개방부가 형성된 백의 상부를 지지하는 백고정부; 상기 백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백의 양면부에 접한 상태로 상기 백에 담긴 지폐를 지지하는 지폐지지부; 및 상기 백에 담기는 지폐량에 따라 상기 지폐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1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고정부는, 상기 백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백고정부; 상기 제1백고정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백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백고정부; 및 상기 제1백고정부와 상기 제2백고정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백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백고정부 또는 상기 제2백고정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백이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백에 탈착되는 회동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개폐조절부는, 상기 백이 통과되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홀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셋팅된 상기 제1백고정부와 상기 제2백고정부 중 적어도 일측을 상호 근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백고정부, 상기 제2백고정부 중 적어도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백고정부와 상기 제2백고정부를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이동장치; 및 상기 제1백고정부 또는 상기 제2백고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폐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폐지지부는, 상기 백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지폐지지부; 및 상기 제1지폐지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백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지폐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폐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폐지지부는, 상기 제1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승강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백과 접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는, 제2액추에이터; 상기 지폐지지부를 수평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수평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장치;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의 내부 공간을 설정 형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받침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고정부에 설치되고, 지폐가 담긴 상기 백을 밀봉시키는 백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밀봉부는, 상기 백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백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백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백고정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백밀봉부는, 상기 백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백고정부상에 상기 제1백고정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백을 상기 히터측으로 가압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는, 상기 지폐지지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지폐지지부가 설정 높이까지 하강된 것이 상기 센서에 감지되면 상기 백밀봉부를 구동시키는 밀봉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의하면, 백고정부로 백의 상부를 개방되게 지지하고, 개방부를 통해 백에 담기는 지폐를 지폐지지부로 지지한 상태에서, 백에 담기는 지폐량에 따라 지폐지지부를 점차적으로 하강시키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의하면, 지폐를 낱개로 떨어뜨리는 지폐적재장치로부터 백의 내부에 담긴 지폐 더미까지의 거리인 지폐 낙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지폐는 지폐 낙하 거리에 해당되는 일정한 거리만큼 낙하되는 과정에서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채 집적되지 않고 백의 내부에 수평되게 안착되면서 가지런하게 집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의하면, 다량의 지폐를 흐트러짐 없이 백의 내부에 안정되게 안착, 집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백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제1백고정부와 제2백고정부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제1백고정부와 제2백고정부의 회동커버부가 상향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제1백고정부와 제2백고정부가 상호 근접하게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백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지폐지지부와 제1승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지폐지지부와 제1승강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지폐가 집적됨에 따른 지폐지지부의 높이 변화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와 지폐적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의 노즐의 승강 및 수평 이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백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제1백고정부와 제2백고정부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제1백고정부와 제2백고정부의 회동커버부가 상향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제1백고정부와 제2백고정부가 상호 근접하게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백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지폐지지부와 제1승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의 지폐지지부와 제1승강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에 지폐가 집적됨에 따른 지폐지지부의 높이 변화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와 지폐적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의 노즐의 승강 및 수평 이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는 지폐집적장치(2), 지폐포장장치(3), 지폐적재장치(4)를 포함한다. 지폐적재장치(4)는 지폐계수장치 및/또는 지폐판별장치를 거친 다량의 지폐(5)를 한 장씩 낱개로 떨어뜨린다. 지폐집적장치(2)는 지폐적재장치(4)에서 떨어진 지폐(5)를 백(6)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집적한 후 백(6)을 밀봉한다. 지폐포장장치(3)는 상기와 같이 백(6)을 밀봉하기 전에 백(6)의 개방부(9)를 통해 백(6)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소정량을 밖으로 빼낸 후 밀봉함으로써 지폐(5)의 흐트러짐을 방지한다(도 9, 도 13 참조).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백(6)은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고, 열에 의해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고 전제한다. 백(6)은 그 일측부(7)와 타측부(8)가 상호 밀착된 납작한 형태의 초기 형상을 가진다. 백(6)을 세운 상태로 일측부(7)와 타측부(8)의 상부를 서로 이격되게 분리시키면, 일측부(7)와 타측부(8)의 사이에 지폐(5)가 유입될 수 있는 개방부(9)가 형성된다. 지폐(5)는 상기와 같이 백(6)의 상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부(9)를 통해 백(6)의 내부로 유입, 집적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지폐집적장치(2)는 백고정부(10), 지폐지지부(20), 제1승강부(30), 받침플레이트(40), 백밀봉부(50)를 포함한다.
백고정부(10)는 개방부(9)가 형성된 백(6)의 상부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고정부(10)는 제1백고정부(11), 제2백고정부(15), 백개폐조절부(16)를 포함한다.
제1백고정부(11)는 백(6)의 일측부(7)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백고정부(11)는 지지부(12), 걸림부(13), 회동커버부(14)를 포함한다.
지지부(12)는 백(6)의 상부를 받칠 수 있는 받침면과, 백밀봉부(50)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요소이다. 지지부(12)는 백(6)의 일측부(7)와 타측부(8)를 외측으로 젖힌 상태로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백(6)의 상부를 지지부(12)의 상면부에 걸치면 자연히 'ㄱ'자 형상으로 젖혀지게 된다. 지지부(12)의 측면부에는 백밀봉부(50)가 설치된다.
걸림부(13)는 백(6)의 상부가 걸리는 요소로, 지지부(12)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13)는 복수개가 이격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백(6)의 상부 중 걸림부(1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백(6)의 일측부(7)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걸림부(13)에 끼우면, 백(6)의 일측부는 자연히 지지부(12)에 걸쳐진 상태가 되고, 자중이나 지폐(5)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회동커버부(14)는 상기와 같이 백(6)을 걸림부(13)에 건 상태에서 백(6)이 걸림부(13)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상기와 같이 백(6)의 이탈을 구속하는 기능은, 특히 백(6)의 내부에 지폐(5)가 담기지 않은 경량의 상태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회동커버부(14)는 걸림부(13)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141)를 구비하여 지지부(12)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커버부(14)는 상하로 회동되면서 지지부(12)에 걸쳐진 상태의 백(6)에 탈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커버부(14)를 상측으로 젖힌 상태에서 백(6)의 일측부(7)를 걸림부(13)에 걸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커버부(14)를 하향 회동시켜 지지부(12)에 안착시키면, 백(6)의 일측부(7)를 정위치(正位置)에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제2백고정부(15)는 백(6)의 타측부(8)를 지지하는 장치로, 제1백고정부(11)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2백고정부(15)는 제1백고정부(11)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2), 걸림부(13), 회동커버부(14)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지지부(12), 걸림부(13), 회동커버부(14)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백개폐조절부(16)는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백개폐조절부(16)의 작동에 의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근접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개폐조절부(16)는 베이스부(17)와 동력전달부(18)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7)는 동력전달부(18)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요소로, 평탄한 패널 형상을 가지고 지폐지지부(20)의 상측에 설치된다. 베이스부(17)상에는 백(6)이 통과되는 통과홀부(171)가 형성된다.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는 통과홀부(17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셋팅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에 백(6)의 상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백(6)의 하부는 통과홀부(171)를 통과하여 베이스부(17)의 하측에 위치된다.
동력전달부(18)는 통과홀부(17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셋팅된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 중 적어도 일측을 상호 근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8)는 제1액추에이터(181), 개폐이동장치(182), 개폐가이드부(189)를 포함한다.
제1액추에이터(181)는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1액추에이터(181)로는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개폐이동장치(182)는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가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제1액추에이터(181)의 구동에 연동하여 제1백고정부(11), 제2백고정부(15) 중 적어도 일측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이동장치(182)는 캠(183), 동력전달핀(184), 연장바(185), 연결바(186), 동력전달홀부(187)을 포함한다.
캠(183)은 통과홀부(171)의 일측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백고정부(11)측에 설치된 상태로, 제1액추에이터(181)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동력전달핀(184)은 캠(183)의 회전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다.
연장바(185)는 제2백고정부(15)의 지지부(12)의 양단부에서 캠(183)측으로 연장되고, 연결바(186)는 한 쌍의 연장바(185)를 상호 연결한다. 동력전달홀부(187)는 연결바(186)상에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력전달핀(184)이 끼워진다.
제1액추에이터(181)가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도 2상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캠(183)이 제1액추에이터(18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183)에 결합된 동력전달핀(184)이 제1백고정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력전달홀부(187)에 의해 동력전달핀(184)에 결속된 상태의 연결바(186)는, 동력전달핀(184)의 호 형상의 궤적 중 제1백고정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연장바(185)에 의해 연결바(186)와 연결된 제2백고정부(15)도 동일한 거리만큼 제1백고정부(1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제1액추에이터(181)가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캠(183)이 제1액추에이터(181)의 회전에 연동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력전달핀(184)이 제1백고정부(11)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백고정부(15)가 제1백고정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이동장치(182)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18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백고정부(15)를 제1백고정부(11)에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백고정부(15)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백고정부(11)가 이동하여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를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백(6)의 개방부(9)를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시킬 수 있다.
개폐가이드부(189)는 제1백고정부(11) 또는 제2백고정부(1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가이드부(189)는 바(bar) 형상을 가지고, 제2백고정부(15)에서 제1백고정부(11)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백고정부(15)는 개폐가이드부(189)에 그 양단부가 관통된 상태로 제1액추에이터(181) 및 개폐이동장치(182)의 작동에 연동하여 개폐가이드부(189)를 따라 제1백고정부(11)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정되게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8)는 캠(183)을 이용하여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간의 간격을 조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부(18)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8)를 포함하여,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8)의 개폐이동장치(182)는 제1스프라켓(183a), 제2스프라켓(184a), 동축바(185a), 벨트(186a)를 포함한다.
제1스프라켓(183a)는 제1백고정부(11)측에 설치된 상태로, 제1액추에이터(181)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제2스프라켓(184a)은 제2백고정부(15)측에 설치된 상태로, 벨트(186a)를 통해 제1스프라켓(183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스프리켓(183a)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제1스프라켓(183a)과 제2스프라켓(184a) 각각은 제1백고정부(11)과 제2백고정부(15)의 양단부측에 위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제1스프라켓(183a)과 한 쌍의 제2스프라켓(184a)은 동축바(185a)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벨트(186a) 또한 제1백고정부(11)과 제2백고정부(15)의 양단부측에 위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1백고정부(11)는 그 양단부가 벨트(186a)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백고정부(15)는 그 양단부가 벨트(186a)의 상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액추에이터(181)의 정방향 구동 시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가 도 6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액추에이터(181)의 역방향 구동 시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를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백(6)의 개방부(9)를 개폐시킬 수 있다.
지폐지지부(20)는 백고정부(10)의 하측에 설치되고, 백(6)의 양면부에 접한 상태로 백(6)에 담긴 지폐(5)를 지지한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지지부(20)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를 포함한다.
제1지폐지지부(21)는 백(6)의 일측면과 접한다. 제2지폐지지부(24)는 제1지폐지지부(21)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백(6)의 타측면과 접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백(6)의 일측면은 백(6)의 일측부(7)의 외면부를 의미하고, 백(6)의 타측면은 백(6)의 타측부(8)의 외면부를 의미한다.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사이에는 백(6)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에 백(6)의 상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백(6)의 하부는 통과홀부(171),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사이를 통해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백(6)을 설치한 상태에서 백(6)의 개방부(9)를 통해 백(6)의 내부에 지폐(5)를 유입, 적재하면, 지폐(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에 의해 수평을 이룬 상태로 안정되게 받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는 수평바(22)와 회전롤러(23)를 포함한다.
수평바(22)는 통과홀부(171)의 하측에 수평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가 제1승강부(30)의 수평지지대(32)와 연결된다. 회전롤러(23)는 수평바(22)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외면부가 백(6)과 접하게 된다. 이때, 제1지폐지지부(21)의 회전롤러(23)는 백(6)의 일측면과 접하게 되고, 제2지폐지지부(24)의 회전롤러(23)는 백(6)의 타측면과 접하게 된다.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를 점차 하강시키면, 한 쌍의 회전롤러(23)는 백(6)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지지부(20)는 상기와 같이 회전롤러(23)에 의해 백(6)과 구름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폐지지부(20)가 백(6)과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는 과정에서 백(6)이 쓸리면서 손상되는 것, 예를 들어 비닐 소재의 백(6)에 스트래치가 생기거나 찢어지는 등의 마찰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승강부(30)는 백(6)에 담기는 지폐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폐지지부(20)를 하강시키는 장치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승강부(30)는 제2액추에이터(31), 수평지지대(32), 승강이동장치(33), 롤러가이드부(34), 센서(35), 밀봉제어부(36)를 포함한다.
제2액추에이터(31)는 지폐지지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2액추에이터(31)로는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수평지지대(32)는 지폐지지부(20)를 수평되게 지지하는 요소이다. 수평지지대(32)는 지폐지지부(20)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32)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를 설치할 수 있는 수평 방향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한다. 수평지지대(32)의 일측부에는 제1지폐지지부(21)의 수평바(22)가 결합되고, 그 타측부에는 제2지폐지지부(24)의 수평바(22)가 결합된다.
승강이동장치(33)는 제2액추에이터(31)의 구동에 연동하여 수평지지대(32)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이동장치(33)는 제3스프라켓(331), 제4스프라켓(332), 제1벨트(333), 제5스프라켓(334), 제2벨트(335), 회전바(336), 제6스프라켓(337), 제7스프라켓(338), 제3벨트(339)를 포함한다.
제3스프라켓(331)은 통과홀부(171)의 후방에, 즉 지폐지지부(20)의 후방에 설치된 제2액추에이터(31)의 출력축과 동축상에 설치된다. 제4스프라켓(332)은 제3스프라켓(331)의 전방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벨트(333)는 제3스프라켓(331)의 회전력을 제4스프라켓(332)으로 전달한다.
제5스프라켓(334)은 제4스프라켓(332)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2벨트(335)는 제4스프라켓(332)과 제5스프라켓(334)에 상부와 하부가 결속된 상태로 회전된다. 제3스프라켓(331), 제4스프라켓(332), 제1벨트(333), 제5스프라켓(334), 제2벨트(335)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에 위치되고, 제6스프라켓(337), 제7스프라켓(338), 제3벨트(339)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에 위치된다.
회전바(336)는 제5스프라켓(334)과 제6스프라켓(337)을 동축상에 연결한다. 제6스프라켓(337)은 회전바(336)를 통해 제5스프라켓(33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7스프라켓(338)은 제6스프라켓(337)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3벨트(339)를 통해 제6스프라켓(337)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32)는 각각 제2벨트(225)와 제3벨트(339)에 연결된 상태로, 제2벨트(225)와 제3벨트(339)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일한 변위로 승강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액추에이터(31)의 정방향 회전 시,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는 도 7, 도 8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변위로 하강하게 되고, 제2액추에이터(31)의 역방향 회전 시,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는 동일한 변위로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이동장치(33)는 복수개의 스프라켓부재와 벨트부재를 이용하여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를 승강시키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승강이동장치(33)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승강부(3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2액추에이터(31)와 승강이동장치(33)를 정방향으로 구동,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6)의 내부에 담기는 지폐량에 따라 지폐지지부(20)를 점차 하강시키면서, 백(6)에 담긴 지폐(5) 더미의 상면부의 높이(H1)를 소정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 높이(H2)상에 위치되는 지폐폐적재장치(4)로부터의 지폐 낙하 거리(d)를 소정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백(6)의 내부에 담기는 지폐량에 대한 정보는 통상적으로 지폐집적장치(2) 및 지폐적재장치(4)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지폐계수장치 등에서 계수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센서부재를 이용하여 지폐(5)의 높이나 무게를 직접 측정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지폐 낙하 거리(d)는 지폐(5)가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지 않고 백(6)의 내부에 수평되게 안착될 수 있는 거리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폐 낙하 거리(d)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다량의 지폐(5)를 흐트러짐 없이 백(6)의 내부에 안정되게 안착, 적재시킬 수 있다.
롤러가이드부(34)는 수평지지대(3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가이드부(34)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플레이트부재상에 가이드홀부(34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가이드홀부(341)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수평바(22)는 가이드홀부(341)를 관통하여 수평지지대(3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는 수평지지대(32)를 승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31)와 승강이동장치(33)의 작동에 연동하여 롤러가이드부(34)의 가이드홀부(341)를 따라 상하로 안정되게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센서(35)는 지폐지지부(20)의 높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35)는 수평지지대(32)상에 설치된다. 롤러가이드부(34)상에는 센서(35)와 접촉되는 접촉부(342)가 설치된다. 센서(35)는 수평지지대(32)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고, 접촉부(342)는 롤러가이드(34)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수평지지대(32)가 최고로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수평지지대(32)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35)는 롤러가이드부(34)의 상부에 설치된 접촉구(342)와 접촉되어 그 감지 신호가 전환된다. 또한 수평지지대(32)가 최저로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수평지지대(32)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35)는 롤러가이드부(34)의 하부에 설치된 접촉구(342)와 접촉되어 그 감지 신호가 전환된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대(32)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35)의 감지 신호로부터 지폐지지부(20)가 도 7,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최고의 높이로 상향 이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수평지지대(32)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35)의 감지 신호로부터 지폐지지부(20)가 도 7,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최저의 높이로 하향 이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31)와 승강이동장치(3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다가 센서(35)에 지폐지지부(20)가 최고의 높이로 상향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제2액추에이터(31)와 승강이동장치(3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지폐지지부(20)를 항상 일정한 높이에 셋팅할 수 있다.
또한, 백(6)의 내부에 담기는 지폐량에 비례하여 지폐지지부(20)를 점차 하강시키다가, 센서(35)에 지폐지지부(20)가 최저의 높이로 하향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제2액추에이터(31)와 승강이동장치(3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백밀봉부(50)를 이용해 백(6)을 밀봉시키는 등의 다음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최저 높이까지 하향 이동되기 전에 최저 높이에서 소정 높이 위의 지점에 또다른 접촉부를 설치하여 그 지점에 이르렀을 때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지점에서 지폐지지부(20)의 위치를 검출하여 출력시키는 구성도 가능하여,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백(6)의 지폐집적상태를 미리 인지하여 적당한 시점에 백(6)을 교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백(6)은 그 내부에 지폐(5)가 최대 적재가능량만큼 적재된 상태로 밀봉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알람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백 밀봉 모드를 수행하여 밀봉이 이루어진다.
밀봉제어부(36)는 지폐지지부(20)가 설정 높이까지 하강된 것이 센서(35)에 감지되면 백고정부(10)와 백밀봉부(50)를 구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설정 높이는 상기와 같이 지폐(5)가 백(6)의 내부에 최대 적재가능량만큼 적재되어 지폐지지부(20)가 최대로 하강된 높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폐(5)가 백(6)의 내부에 최대 적재가능량만큼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백밀봉부(50)의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밀봉제어부(36)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백(6)의 개방부(9)를 폐쇄시키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근접하게 위치된다. 다음으로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에 설치된 백밀봉부(50)의 작동에 의해 폐쇄된 백(6)의 상부를 밀봉시키는 작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센서(35)와 밀봉제어부(36)를 이용해, 백(6)의 내부에 설정량만큼의 지폐(5)가 적재 시, 예를 들어 최대 적재가능량만큼 또는 소정 량만큼 적재 시 백(6)의 개방부(9)를 폐쇄, 밀봉시키는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40)는 백(6)의 내부 공간을 설정 형태로 유지하도록 백(6)의 내부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플레이트(40)는 지폐(5)에 대응되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지폐(5)보다 먼저 백(6)의 내부에 안착된다. 이때, 받침플레이트(40)는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받침플레이트(40)의 소재로는 종이, 합성수지, 금속 등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40)를 구비함으로써, 지폐(5)가 담기는 백(6)의 내부 공간을 설정 형태로, 예를 들어 지폐(5)에 대응되는 너비의 사각 박스 형태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지폐(5)를 흐트러짐 없이 일렬로 수직되게 적재시키는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받침플레레이트(40)가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간의 이격 공간부를 커버하게 되므로, 지폐(5)가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프레이트(40)는 주변으로부터의 획득과 가공이 용이한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플레이트(40)는 백(6)의 내부 공간을 설정 형태로 유지하거나, 지폐(5)가 제1지폐지지부(21)와 제2지폐지지부(24)의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백밀봉부(50)는 지폐(5)가 담긴 백(6)의 개방부(9)를 밀봉시키는 장치로, 백고정부(10)상에 설치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밀봉부(50)는 히터(51), 밀착부재(52), 기밀부재(53)를 포함한다.
히터(51)는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 중 일측에 설치된다. 히터(51)는 백(6)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밀착부재(52)는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 중 타측에 설치되고, 히터(51)와 마주하게 된다. 밀착부재(52)는 백(6)을 히터(51)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히터(51)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백개폐조절부(16)의 제1액추에이터(18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근접해지고, 백(6)의 개방부(9)가 폐쇄된다. 이때, 백(6)의 일측부(7)와 타측부(8)는 히터(51)와 밀착부재(52)의 사이에 끼여 상호 밀착된 상태가 된다.
열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비닐 소재의 백(6)을 적용하고, 상기와 같이 히터(51)와 밀착부재(52), 백(6)의 일측부(7)와 타측부(8)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히터(51)를 구동시키면, 히터(51)에서 생성된 열에 의해 백(6)의 일측부(7)와 타측부(8)를 융착시켜 견고하게 접합, 밀봉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히터(51)와 밀착부재(52)에 상응하는 백(6)의 어느 한쪽의 안쪽면에 열을 받으면 접착성을 띠는 띠형 접착부재(미도시)가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기밀부재(53)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 및 복원될 수 있는 탄력을 가지는 쿠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히터(51)의 상측에 설치된다. 기밀부재(53)는 제1백고정부(11), 제2고정부(15) 각각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60)의 노즐(62)을 기밀부재(53)보다 아래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를 상호 근접시키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에 설치된 한 쌍의 기밀부재(53)는 노즐(62)의 외면부를 감싸면서 상호 접하게 된다.
즉, 기밀부재(53)는 노즐(62)의 측면부와 접한 상태로 백(6)의 상부를 기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밀부재(53)로 백(6)의 상부를 기밀시킨 상태에서 노즐(62)을 통해 백(6) 내부의 공기를 설정량만큼 안정되게 백(6)의 외부로 흡입,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지폐포장장치(3)는 흡입부(60), 제2승강부(70), 흡입제어부(80), 수평이동지지부(90)를 포함하여, 지폐적재장치(4)의 측면부상에 설치된다.
노즐부(60)는 백(6)의 개방부(9)를 통해 백(6)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로, 지폐집적장치(2)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부(60)는 흡입펌프(61), 노즐(62), 연결튜브(64)를 포함한다.
흡입펌프(61)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흡입펌프(61)로는 진공펌프를 적용할 수 있다.
노즐(62)은 개방부(9)를 통해 백(6) 내부로 진입하여 백(6)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이다. 노즐(62)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하여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승강부(70)에 의해 승강된다. 노즐(62)의 하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63)가 형성된다.
연결튜브(64)는 노즐(62)과 흡입펌프(61)를 연통되게 연결한다. 연결튜브(64)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연통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노즐(62)과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흡입펌프(61)와 연결된다. 연결튜브(64)로는 노즐(62)의 승강 이동에 따라 유연하게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고무 소재의 튜브부재를 적용하거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주름관을 적용할 수 있다.
제2승강부(70)는 노즐(62)을 백(6)의 내외측으로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승강부(70)는 베이스부재(71), 액추에이터(72), 노즐연결부재(73), 노즐이동장치(76)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71)는 액추에이터(72)와 노즐이동장치(76)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7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지폐적재장치(4)의 측면부상에 결합된다.
액추에이터(72)는 노즐(62)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액추에이터(72)로는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노즐연결부재(73)는 노즐(62)과 연결되는 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연결부재(73)는 노즐이동장치(76)의 승강부재(77)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74)와, 노즐(6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연결부를 구비하여 제1연결부재(74)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75)를 포함한다.
제2연결부재(75)의 노즐연결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연통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노즐연결부의 상부에는 연결튜브(6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노즐연결부의 하부에는 노즐(6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노즐연결부의 하부에는 노즐(62)을 나사체결할 수 있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되어, 노즐(62)을 나사체결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 및 교체할 수 있다.
노즐이동장치(76)는 액추에이터(72)의 구동에 연동하여 노즐연결부재(73)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이동장치(76)는 승강부재(77), 노즐승강장치(78), 승강가이드부(79)를 포함한다.
승강부재(77)는 노즐연결부재(73)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구비하여 베이스부재(71)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재(77)는 노즐승강장치(78)를 통해 액추에이터(7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노즐승강장치(78)는 승강부재(77)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승강장치(78)는 액추에이터(72)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웜(781), 웜(781)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웜휠(782), 웜휠(782)과 동축상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승강부재(77)의 가장자리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783)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72)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웜(781)과 웜휠(782)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랙기어(783)와 승강부재(77)가 함께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노즐(62)도 승강부재(77)와 함께 하향 이동하게 된다. 액추에이터(72)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웜(781)과 웜휠(782)이 도 11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랙기어(783)와 승강부재(77)가 함께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노즐(62)도 승강부재(77)와 함께 상향 이동하게 된다.
승강가이드부(79)는 승강부재(77)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부(79)는 수직연장홀부(791)과 승강스토퍼부(792)를 포함한다.
수직연장홀부(791)는 승강부재(77)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승강스토퍼부(792)는 베이스부재(71)상에 수직연장홀부(79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승강스토퍼부(792)의 일측부는 지폐적재장치(4)의 측면부 또는 베이스부재(71)에 고정되고, 그 타측부는 수직연장홀부(791)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승강스토퍼부(792)의 단부에는 수직연장홀부(791)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스토퍼부재가 결합되어 승강부재(77)의 이탈을 구속한다.
액추에이터(72)와 노즐이동장치(76)가 정방향으로 작동 시, 수직연장홀부(791)가 형성된 승강부재(77)는 승강스토퍼부(79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방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77)에 결합된 노즐연결부재(73)와 노즐(62)이 함께 동일 변위만큼 하강하게 된다.
액추에이터(72)와 노즐이동장치(76)가 역방향으로 작동 시, 승강부재(77)는 승강스토퍼부(79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상방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77)에 결합된 노즐연결부재(73)와 노즐(62)이 함께 동일 변위만큼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노즐(62)은 승강가이드부(79)에 가이드된 상태로, 액추에이터(72) 및 노즐승강장치(78)의 작동에 연동하여 백(6)의 내외부를 향해 안정되게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노즐제어부(80)는 백밀봉부(50)로 백(6)을 밀봉시키기 이전에 백(6)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부(60)와 제2승강부(70)의 작동을 제어한다. 흡입제어부(80)로 흡입부(60)와 제2승강부(70)의 작동을 제어함에 있어서는, 노즐하강단계, 공기흡입단계, 노즐상승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친다.
노즐하강단계에서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부(70)를 하강 구동시켜 노즐(62)을 백(6)의 내부로 진입시킨 후,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6)의 개방부(9)를 폐쇄시킨다. 이때, 백(6)의 상부는 한 쌍의 기밀부재(53) 사이에 끼여 기밀되게 폐쇄된 상태가 되고, 노즐(62)의 하단부에 형성된 흡입구(63)는 백(6)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가 된다.
공기흡입단계에서는 흡입부(60)를 흡입 구동시켜 백(6) 내부의 공기량을 줄인다. 흡입부(60)를 이용해 백(6)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에 있어서는, 백(6)의 내부에 설정량의 공기가 일정하게 남도록 백(6)에 담긴 지폐량에 따라 흡입부(60)에 의한 공기흡입량을 다르게 조절한다.
일정한 사양의 백(6)을 적용하고, 지폐지지부(20)가 백(6)의 하측까지 최대로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백(6)의 내부 체적은 일정하므로, 백(6)에 담긴 지폐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폐(5)가 담기지 않은 부분의 체적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 지폐(5)가 백(6)의 내부에 최대 적재가능량만큼 적재된 상태에서 백(6)의 내부로부터 흡출(吸出)시킨 공기의 양보다, 지폐(5)가 그보다 적게 적재된 상태에서 흡출시킨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백(6)의 내부에 설정량의 공기를 일정하게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제어부(80)는 [(백의 부피 - 지폐의 부피) ㅧ 상수 / 흡입펌프 성능(L/min) = 흡입부 작동 시간]에 따라 연산된 흡입부 작동 시간만큼 흡입부(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수는 실험치에 따라 설정된다. 백(6) 내부의 여유공간부의 체적에 비례하고, 흡입펌프(61)의 성능에 반비례하여 흡입펌프(61)의 구동시간을 증감조절함으로써, 백(6)의 내부에 설정량의 공기를 일정하게 남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6)을 밀봉시키기 전에 백(6)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백(6)은 지폐(5) 더미의 외면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지폐 운반자가 밀봉된 상태의 백(6)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백(6)이 흔들리거나 충격력 등이 가해지더라도 지폐(5) 더미는 백(6)에 그 외면부가 밀착되어버린 상태로 임의로 유동되는 일 없이 적재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즉, 백(6)의 내부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으로 인해 지폐(5)가 임의로 유동되면서 흐트러지거나 그 적재 상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량으로 지칭된 공기량은, 즉 백(6) 내부에 잔존하게 되는 공기의 양은 지폐(5)의 유동을 구속하면서도 지폐(5)를 구겨질 정도로 압박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변경될 수 있다.
노즐상승단계에는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부(70)를 상승 구동시켜 노즐(62)을 백(6)의 외부로 인출한다. 노즐(62)을 백(6)의 외부로 인출하더라도, 백(6)의 내부는 기밀부재(53)에 의해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백(6)의 내부에는 설정량만큼의 공기만이 잔존하게 된다. 이후 히터(51)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백(6)을 기밀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수평이동지지부(90)는 노즐(6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이동지지부(90)는 노즐(62)이 결합되는 노즐연결부재(7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지지부(90)는 수평연장홀부(91)와 스토퍼부(92)를 포함한다.
수평연장홀부(91)는 노즐연결부재(73)의 제1연결부재(74)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스토퍼부(92)는 승강부재(77)상에 수평연장홀부(9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부(92)의 일측부는 승강부재(77)에 고정되고, 그 타측부는 수평연장홀부(91)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노즐(62)을 백고정부(10)의 상측에 배치함에 있어서, 노즐(62)을 직하방으로 하강시키는 것만으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정확하게 셋팅하기 위해서는, 백고정부(10) 또는 제2승강부(70) 전체의 수평 방향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번거로운 조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지지부(90)를 형성하면, 노즐(62)이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다른 수평 방향 위치상에 그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라 할지라도, 제1백고정부(11) 또는 제2백고정부(15)의 이동 시, 노즐(62)이 제1백고정부(11) 또는 제2백고정부(15) 밀려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자연히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62)을 정위치에 셋팅시키는데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의 조립, 제작에 대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62)이 정위치에 셋팅되지 않은 경우, 노즐(62)이 제1백고정부(11)와 제2백고정부(15)에 의해 무리하게 가압,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폐처리장치 2 : 지폐집적장치
3 : 지폐포장장치 4 : 지폐적재장치
5 : 지폐 6 : 백
7 : 백의 일측부 8 : 백의 타측부
9 : 개방부 10 : 백고정부
11 : 제1백고정부 12 : 지지부
13 : 걸림부 14 : 회동커버부
15 : 제2백고정부 16 : 백개폐조절부
17 : 베이스부 18 : 동력전달부
20 : 지폐지지부 21 : 제1지폐지지부
22 : 수평바 23 : 회전롤러
24 : 제2지폐지지부 30 : 제1승강부
31 : 제2액추에이터 32 : 수평지지대
33 : 승강이동장치 34 : 롤러가이드부
35 : 센서 36 : 밀봉제어부
40 : 받침플레이트 50 : 백밀봉부
51 : 히터 52 : 밀착부재
53 : 기밀부재 60 : 흡입부
61 : 흡입펌프 62 : 노즐
63 : 흡입구 64 : 연결튜브
70 : 제2승강부 71 : 베이스부재
72 : 액추에이터 73 : 노즐연결부재
74 : 제1연결부재 75 : 제2연결부재
76 : 노즐이동장치 77 : 승강부재
78 : 노즐승강장치 79 : 승강가이드부
80 : 흡입제어부 90 : 수평이동지지부
91 : 수평연장홀부 92 : 스토퍼부
141 : 홀부 171 : 통과홀부
181 : 제1액추에이터 182 : 개폐이동장치
189 : 개폐가이드부 341 : 가이드홀부
342 : 접촉구 791 : 수직연장홀부
792 : 승강스토퍼부

Claims (13)

  1. 개방부가 형성된 백의 상부를 지지하는 백고정부;
    상기 백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백의 양면부에 접한 상태로 상기 백에 담긴 지폐를 지지하는 지폐지지부; 및
    상기 백에 담기는 지폐량에 따라 상기 지폐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1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고정부는,
    상기 백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백고정부;
    상기 제1백고정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백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백고정부; 및
    상기 제1백고정부와 상기 제2백고정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백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백고정부 또는 상기 제2백고정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백이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백에 탈착되는 회동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개폐조절부는,
    상기 백이 통과되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홀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셋팅된 상기 제1백고정부와 상기 제2백고정부 중 적어도 일측을 상호 근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백고정부, 상기 제2백고정부 중 적어도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백고정부와 상기 제2백고정부를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이동장치; 및
    상기 제1백고정부 또는 상기 제2백고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폐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지지부는,
    상기 백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지폐지지부; 및
    상기 제1지폐지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백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지폐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폐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폐지지부는,
    상기 제1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승강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백과 접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8. 제1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는,
    제2액추에이터;
    상기 지폐지지부를 수평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수평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장치;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의 내부 공간을 설정 형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받침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고정부에 설치되고, 지폐가 담긴 상기 백을 밀봉시키는 백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밀봉부는,
    상기 백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백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백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백고정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백밀봉부는,
    상기 백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백고정부상에 상기 제1백고정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백을 상기 히터측으로 가압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는,
    상기 지폐지지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지폐지지부가 설정 높이까지 하강된 것이 상기 센서에 감지되면 상기 백밀봉부를 구동시키는 밀봉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KR1020150004479A 2015-01-12 2015-01-12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KR10170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479A KR101700277B1 (ko) 2015-01-12 2015-01-12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479A KR101700277B1 (ko) 2015-01-12 2015-01-12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62A true KR20160087062A (ko) 2016-07-21
KR101700277B1 KR101700277B1 (ko) 2017-02-02

Family

ID=5668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479A KR101700277B1 (ko) 2015-01-12 2015-01-12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5555A1 (en) * 2016-10-17 2018-04-26 Crane Payment Innovations Rapid vacuum sealing system for cash bag
EP3560867A1 (en) * 2018-04-27 2019-10-30 Glory Ltd. Sheet storag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3396A (ja) 2018-01-31 2019-08-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方法
KR102074355B1 (ko) * 2018-03-15 2020-02-06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KR102117091B1 (ko) * 2018-09-07 2020-05-29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01A (ja) * 1997-10-15 1999-04-27 Tiger Kawashima Co Ltd 穀粒計量袋詰め機
KR20090086782A (ko) * 2008-02-11 2009-08-14 (주)지엠시스템 양파 선별기용 양파 계량장치
JP2014174581A (ja) * 2013-03-06 2014-09-22 Glory Ltd 収納袋および紙葉類収納装置
WO2014191922A1 (en) * 2013-05-28 2014-12-04 Cima S.P.A. Device for the insertion of paper valuables in closable containers, with control and storage of valuables entering the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01A (ja) * 1997-10-15 1999-04-27 Tiger Kawashima Co Ltd 穀粒計量袋詰め機
KR20090086782A (ko) * 2008-02-11 2009-08-14 (주)지엠시스템 양파 선별기용 양파 계량장치
JP2014174581A (ja) * 2013-03-06 2014-09-22 Glory Ltd 収納袋および紙葉類収納装置
WO2014191922A1 (en) * 2013-05-28 2014-12-04 Cima S.P.A. Device for the insertion of paper valuables in closable containers, with control and storage of valuables entering the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5555A1 (en) * 2016-10-17 2018-04-26 Crane Payment Innovations Rapid vacuum sealing system for cash bag
US11321986B2 (en) 2016-10-17 2022-05-0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Rapid vacuum sealing system for cash bag
EP3560867A1 (en) * 2018-04-27 2019-10-30 Glory Ltd. Sheet storage apparatus
US11059613B2 (en) 2018-04-27 2021-07-13 Glory Ltd. Sheet stor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277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277B1 (ko)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집적장치
JP2018181137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101700278B1 (ko)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
JPH11278700A (ja) 紙幣繰り出し装置
KR20010030307A (ko) 지폐용 배출 장치
US20170073101A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100953576B1 (ko) 매체처리장치
JP2005018667A (ja) シート状商品の自動払出装置
US6981698B2 (en) Automatic dispensing machine of substantially flat goods
JP4193707B2 (ja) 紙葉類収納機構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JP2011102178A (ja) 紙葉類取出し装置
JP2908852B2 (ja) 紙葉類堆積装置
KR20200082845A (ko) 지폐 분리 장치
KR20090092638A (ko) 종이매체 저장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90012510U (ko) 벨트형 지폐 계수기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050957B2 (ja) 紙幣収納装置
JP7015941B2 (ja) 紙葉類格納装置
EP3671677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0552232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초기화 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기화 방법
JP6922305B2 (ja) 書類状荷物搬送装置、書類状荷物搬送装置の制御方法
JP5239035B2 (ja) 扁平物品の自動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