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943A -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943A
KR20160086943A KR1020167016443A KR20167016443A KR20160086943A KR 20160086943 A KR20160086943 A KR 20160086943A KR 1020167016443 A KR1020167016443 A KR 1020167016443A KR 20167016443 A KR20167016443 A KR 20167016443A KR 20160086943 A KR20160086943 A KR 2016008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reception frequency
frame
por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195B1 (ko
Inventor
도시유키 나카야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0Overload detection or protection within a single switching element
    • H04L49/505Corrective measures
    • H04L49/506Back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중계 장치(레이어 2스위치(20))로서, 프레임을 송수신 하는 복수의 통신 포트(211, 212,..., 21n)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 내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의 수신 빈도를 통신 포트마다 감시하여,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루프 검출부(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프레임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분야에 있어서도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 화가 진행되어, 제조 현장에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인버터, 센서 등의 FA(Factory Automation) 기기를 묶는 통신 네트워크(이하, FA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다. FA네트워크에서는,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는 FA기기 간을 이더넷으로 접속하여,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더넷을 베이스로 한 FA네트워크로서는, CC-Link IE(등록상표)가 알려져 있다.
CC-Link IE에서는, 제어 측의 통신 장치(이하, 마스터)와 제어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이하, 슬레이브)의 사이를 이더넷으로 접속하여, 멀티 캐스트 통신을 이용한 토큰 패싱 방식으로 통신을 실시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마스터는, 제어 대상인 슬레이브에 대해서, 네트워크 존재 확인 프레임(이하, TestData)을 정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로 송신하여, 슬레이브로부터의 응답인 TestDataAck에 포함되는 슬레이브의 접속 정보로부터 신규 접속 단말의 검출과 토큰 순회로의 설정을 실시한다.
마스터는, 토큰 순회로를 결정한 후, 슬레이브에 대해서 토큰의 송신처를 통지한다. 마스터는, 토큰 순회로를 슬레이브에 통지 후, 자신의 데이터와 토큰을 멀티 캐스트로 송신한다. 멀티 캐스트로 송신된 토큰에는, 다음에 송신권이 주어지는 슬레이브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가 격납되어 있다. 자신 앞으로 토큰을 수신한 슬레이브는, 자신이 송신권을 얻은 것을 인식하고,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다음의 슬레이브로 토큰을 멀티 캐스트로 송신한다. CC-Link IE에서는, 마스터가 토큰을 송신하고 나서 마스터가 자신 앞으로 토큰을 받을 때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 내에 들어가도록 제어한다. 이 일련의 처리를 반복해,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주기적으로 통신(이하, 사이클릭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레이어 2스위치 등의 중계 장치에 여러가지 FA기기를 접속하여 구성되는 FA네트워크에서는, 인위적인 미스 등으로 통신 경로가 잘못 접속되어 루프 경로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FA네트워크에서는, 루프 경로가 형성되어 스톰이 발생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운용에 지장을 초래한다. 스톰이란, 브로드 캐스트 프레임이나 멀티 캐스트 프레임의 전송, 복제 처리가 루프 경로상에서 무한하게 반복되어 네트워크의 대역을 압박하는 것이다. FA네트워크에서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검출해 해소하는 기구가 중요해진다.
종래의 이더넷(ethernet)에 있어서의 루프 경로의 검출 방식으로서 독자적으로 정의한 루프 검출용의 시험 프레임을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자신이 송신한 시험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루프 경로를 검출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JP 특허 제 5084915호 공보 JP 특개 2012-44384호 공보
그렇지만, CC-Link IE에서는, 통신 단말이 루프 경로를 검출해, 네트워크 관리자가 개재하는 일 없이, 루프 경로를 해소하는 수단이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자신이 송신한 시험 프레임을 수신 함으로써 루프를 검출하는 기술을 CC-Link IE에 적용했을 경우, 시험 프레임과 지연에 민감한 CC-Link IE의 제어 프레임이 충돌하지 않도록 시험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자적으로 정의한 시험 프레임을 이용했을 경우, 시큐리티의 관점으로부터 통신 단말로 전송시에 폐기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CC-Link IE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루프 경로를 검출하는 것과 아울러,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하는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중계 장치로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포트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 내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의 수신 빈도를 통신 포트 마다 감시하여,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수신 빈도 감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계 장치에 의하면, 루프 경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레이어 2스위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레이어 2스위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의 레이어 2스위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의 레이어 2스위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3의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로서의 CC-Link IE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C-Link IE 네트워크에서는, 복수의 통신 단말이 이더넷에 의해서 라인 모양 또는 스타 모양으로 접속된 동일 세그먼트(segment)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는 마스터로서 동작하는 통신 단말(10X)과,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10 A내지 10D)과, 중계 장치인 레이어 2스위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단말(10, 통신 단말(10X, 10A내지 10D))은 2개의 통신 포트를 가지고, 통신 단말(10)의 통신 포트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10)의 통신 포트 또는 레이어 2스위치의 통신 포트와 접속된다. 통신 단말(10)은 FA(Factory Automation) 기기에 접속되거나 FA기기에 내장되어, FA기기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다른 통신 단말(10)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다.
도 1에 예시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10X)의 제1 통신 포트(Port_X1)와 통신 단말(10A)의 제2 통신 포트(Port_A2)가 접속되고, 통신 단말(10X)의 제2의 통신 포트(Port_X2)와 통신 단말(10B)의 제1 통신 포트(Port_B1)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10B)의 제2 통신 포트(Port_B2)는 레이어 2스위치(20)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10C)의 제1 통신 포트(Port_C1)는 레이어 2스위치(20)에 접속되고, 통신 단말(10D)의 제1 통신 포트(Port_D1)는 레이어 2스위치(20)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CC-Link IE의 마스터인 통신 단말(10X)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고 있는 네트워크 존재 확인 프레임(TestData)의 유량을 감시하여, 단위시간 당의 TestData 수신수가 임계치를 초과했을 경우에 루프 경로의 발생으로 판정하는 기구를 레이어 2스위치(20) 등의 중계 장치에 구비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존재 확인 프레임이란, 토큰 순회로에 등록되지 않은 신규 단말을 검출하기 위해서 마스터인 통신 단말(10X)에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프레임이다.
도 2는 레이어 2스위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와 같이, 레이어 2스위치(20)는, 복수의 통신 포트(21)(통신 포트(211 내지 21n))와, 수신 빈도 감시 수단으로서 동작하는 루프 검출부(22)와 프레임 중계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루프 검출부(22)는 각 통신 포트(21)로 수신된 프레임을 일단 받아, 수신한 프레임이 네트워크 존재 확인 프레임(TestData 프레임)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과 아울러, 당해 프레임의 수신 빈도(단위시간 당의 TestData 프레임 수신수)를 통신 포트(21)마다 산출한다. TestData 프레임의 수신 빈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초과했을 경우는 루프 경로가 형성되었다고 판단한다. 각 통신 포트(21)로부터 받은 프레임은 프레임 중계부(23)에 출력한다.
프레임 중계부(23)는 MAC 어드레스와 통신 포트(21)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MAC 어드레스 테이블)을 관리하고 있어, 각 통신 포트(21)가 수신한 프레임을 루프 검출부(22)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그 행선지의 MAC 어드레스와 연계되어 있는 통신 포트(21)로 프레임을 출력한다. Test Data 프레임 등의 브로드 캐스트된 프레임을 받았을 경우, 당해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21)를 제외한 모든 통신 포트(21)로 프레임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레이어 2스위치(20)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낸 구성의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레이어 2스위치(20)의 연장처에 루프 경로가 형성되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는, 마스터인 통신 단말(10X)과 슬레이브인 통신 단말(10A)이, 레이어 2스위치(20) 및 허브(HUB, 30)를 통해서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211)에 허브(30)가 접속되고, 허브(30)와 통신 단말(10A) 사이에 루프 경로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허브(30)는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한 통신 포트 이외의 모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3에 나타낸 구성의 통신 네트워크의 경우, 통신 단말(10X)이 송신한 TestData 프레임은, 루프 경로 상에서 전송과 복제가 반복된다. 그 결과,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211)에서는, 단위시간 당의 TestData 프레임의 수신수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어, 루프 검출부(22)는 루프 경로의 존재를 검출한다. 또한, 루프 검출부(22)는, 루프 경로를 검출하면, 검출한 통신 포트(211)를 폐색한다. 즉, 루프 검출부(22)는, 루프 경로를 검출한 통신 포트(211)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을 실시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이 지시를 받은 통신 포트(211)는,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루프 경로가 CC-Link IE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다.
덧붙여, 레이어 2스위치(20)에 있어서는 루프 검출부(22)와 프레임 중계부(23)를 별도의 구성으로 했지만, 루프 검출부(22)의 기능을 프레임 중계부(23)가 가지는(프레임 중계부(23)가 루프 검출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루프 검출부(22)는 단위시간 부근의 TestData 프레임의 수신수와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루프 경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각 통신 포트에 있어서의 TestData 프레임의 수신수끼리 비교함으로써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TestData 프레임의 수신수의 불균형이 큰 경우, 수신수가 많은 것은 루프 경로의 발생이 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포트#1에서#3이 있는 경우에, 통신 포트#2에서의 TestData 프레임 수신수가 통신 포트#1이나#3에서의 수신수 보다 많은 경우, 루프 경로 발생이라고 판단해, 통신 포트#2를 폐색하도록 해도 괜찮다.
TestData 프레임을 이용해 루프 경로의 발생을 판별하는 것으로 했지만, 마찬가지의 제어 프레임(마스터의 통신 단말(10X)로부터 정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되는 프레임)이 있는 경우, 그것을 이용해 루프 경로의 발생을 판별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가 CC-Link IE 네트워크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제어 프레임을 정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하는 통신 단말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이면, 중계 장치(2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중계 장치(20)의 루프 검출부(22)는 브로드 캐스트되는 제어 프레임의 수신 상태(수신수)를 감시함으로써, 루프 경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레이어 2스위치(20)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마스터의 통신 단말로부터 정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되는 제어 프레임의 단위시간 당의 수신수에 기초하여, 루프 경로의 유무를 판별하고, 루프 경로를 검출했을 경우, 루프 경로를 검출한 통신 포트를 폐색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CC-Link IE 네트워크에 있어서 루프 경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계속해서, 실시 형태 2의 중계 장치(레이어 2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레이어 2스위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도 2 참조).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루프 검출 조건(TestData 프레임의 단위시간 당의 수신수>임계치)을 충족한 것이 단일의 통신 포트의 경우의 레이어 2스위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루프 검출 조건을 채운 통신 포트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레이어 2스위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루프 검출 조건을 충족한 통신 포트가 복수 개 존재하는 구성으로서 도 4에 나타낸 경우, 구체적으로는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 사이에 루프 경로가 형성되었을 경우와 도 5에 나타낸 경우, 구체적으로는 레이어 2스위치(20)의 연장처에 루프 경로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는,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213)에 마스터의 통신 단말(10X)이 접속되고, 통신 포트(211 및 212)에는 슬레이브의 통신 단말(10A)이 접속된 구성이다. 도 4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211 및 212)와 통신 단말(10A)의 사이에 루프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는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213)에 마스터의 통신 단말(10X)이 접속되고, 통신 포트(211)에 허브(30A)가 접속되고, 통신 포트(212)에 허브(30B)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허브(30A)에 슬레이브의 통신 단말(10A)이 접속되고, 허브(30B)에 슬레이브의 통신 단말(10B)이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허브(30A)와 통신 단말(10A) 사이에 루프 경로가 형성되는 것과 아울러, 허브(30B)와 통신 단말(10B) 사이에 루프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레이어 2스위치(20)는, 복수의 통신 포트(21)가 루프 검출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 도 4에 나타낸 케이스와 도 5에 나타낸 케이스 가운데, 어느 쪽의 루프 형상이 되어 있는지 판별할 수 없다. 여기서, 레이어 2스위치(20)는, 복수의 통신 포트(21)가 루프 검출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 루프 검출 조건을 충족한 통신 포트(21) 가운데, 임의로 선택한 1개의 통신 포트 이외의 모든 통신 포트를 폐색한다.
도 4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의 경우, 레이어 2스위치(20)의 루프 검출부(22)는, 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잠시 후에, 통신 포트(211 및 212)가 루프 검출 조건을 충족한 것을 검지하여, 통신 포트(211 및 212)의 어느 한쪽을 폐색한다. 예를 들면, 통신 포트(212)를 폐색한다. 그 결과, 레이어 2스위치(20)의 통신 포트(211)와 통신 포트(212)의 사이의 루프 경로가 해소된다. 또한, 이것에 수반하여, 폐색하지 않았던 통신 포트(211)에서는, 단위시간 당의 TestData 수신수가 임계치 이하의 정상치가 되기 때문에, 다시 루프 경로를 검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루프 경로상의 1개의 지점을 폐색하는 것만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통신 단말(10X))와 슬레이브(통신 단말(10A)) 사이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의 경우, 레이어 2스위치(20)의 연장처에 루프 경로가 복수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레이어 2스위치(20)의 루프 검출부(22)가 도 4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의 경우와 동일한 절차로 통신 포트(212)를 폐색했다고 해도, 통신 포트(211)의 연장처의 루프 경로가 해소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신 포트(211)에서는 단위시간 당의 TestData 수신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가 계속된다. 그 때문에, 루프 검출부(22)는 단위시간 당의 TestData 수신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통신 포트(211)를 추가로 폐색한다. 이 결과, 루프 경로가 해소된다.
이와 같이, 레이어 2스위치(20)의 루프 검출부(22)는 복수의 통신 포트(21)에서 루프 경로를 검출했을 경우, 우선, 루프 경로를 검출한 복수의 통신 포트(21) 중, 임의로 선택한 1개의 통신 포트 이외의 모든 통신 포트를 폐색하고, 루프 경로의 검출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추가로, 폐색하지 않았던 1개의 통신 포트에 대해서도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통신 포트를 폐색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할 수 있다.
덧붙여, 루프 검출부(22)는 복수의 통신 포트(21)에서 루프 경로를 검출했을 경우, 선택한 1개의 통신 포트 이외의 모든 통신 포트를 일제히 폐색하는 것이 아니라, 1 통신 포트씩 차례로 폐색하도록 해도 괜찮다. 즉, 루프 경로를 검출한 복수의 통신 포트 중 1개를 최초로 폐색하고, 나머지의 통신 포트(루프 경로를 검출한 통신 포트 가운데, 폐색하지 않았던 통신 포트)의 상태를 소정 기간에 걸쳐서 감시하여, 루프 경로가 해소되지 않으면, 추가로 1개의 통신 포트를 폐색하고 상태를 보는(루프 경로가 해소되었는지를 소정 기간에 걸쳐서 감시하는) 동작을, 루프 경로가 완전하게 해소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루프 경로를 검출한 복수의 통신 포트를 1개씩 차례로 폐색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통신 포트를 폐색해 버리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레이어 2스위치(20)가 루프 경로를 검출하여,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했지만, 루프 경로를 해소하는 것과 아울러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루프 경로의 검출을 통지하도록 해도 괜찮다.
도 6은 CC-Link IE 네트워크 상의 경보 정보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를 포함한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통신 네트워크는 마스터로서 동작하는 통신 단말(10X)과,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10A 내지 10C)과, 중계 장치인 레이어 2스위치(20)와, 네트워크 관리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예시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10X)의 제1 통신 포트(Port_X1)와 네트워크 관리 장치(40)의 통신 포트(Port_1)가 접속되고, 통신 단말(10X)의 제2 통신 포트(Port_X2)와 통신 단말(10A)의 제1 통신 포트(Port_A1)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10A)의 제2 통신 포트(Port_A2)는 레이어 2스위치(20)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10B)의 제1 통신 포트(Port_B1)는 레이어 2스위치(20)에 접속되고, 통신 단말(10C)의 제1의 통신 포트(Port_C1)는 레이어 2스위치(20)에 접속되어 있다. 레이어 2스위치(20)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2와 같다(도 2 참조).
도 6에 나타낸 레이어 2스위치(20)에 있어서, 루프 검출부(22)는, 루프 경로를 검출했을 경우, 실시 형태 1 및 2와 동일한 절차로 통신 포트(21)를 폐색하고, 추가로, 네트워크 관리 장치(40) 앞으로 루프 검출 통지 프레임을 생성하여, 프레임 중계부(23) 및 통신 포트(21)를 통해서 송신한다. 네트워크 관리 장치(40)는 루프 검출 통지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루프 경로가 검출된 것을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하는 등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에 의하면, 자율적으로 루프 경로를 해소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루프 경로를 검출한 것을 네트워크 관리자(네트워크 관리 단말(40))에게 조속히 통지할 수 있다.
덧붙여 각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레이어 2스위치가 1대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레이어 2스위치가 2대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의 각 레이어 2스위치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는, 이더넷을 베이스로 한 FA네트워크를 실현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10X 통신 단말(마스터),
10A, 10B, 10C, 10D통신 단말(슬레이브),
20 레이어 2스위치,
211, 212, 213, 21n 통신 포트,
22 루프 검출부,
23 프레임 중계부,
30, 30A, 30B 허브(HUB),
40 네트워크 관리 장치

Claims (8)

  1.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중계 장치로서,
    프레임을 송수신 하는 복수의 통신 포트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 내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의 수신 빈도를 통신 포트마다 감시하여,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수신 빈도 감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청구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신 빈도 감시 수단은,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복수의 통신 포트 중, 1개의 통신 포트를 제외한 모든 통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신 빈도 감시 수단은,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복수의 통신 포트 중, 1개의 통신 포트를 제외한 모든 통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에 대해서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빈도 감시 수단은, 상기 수신 빈도가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의 통신 포트를 검출했을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FA(Factory Automation) 기기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CC-Link I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KR1020167016443A 2013-11-25 2014-06-04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 KR101751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2753 2013-11-25
JP2013242753 2013-11-25
PCT/JP2014/064855 WO2015075959A1 (ja) 2013-11-25 2014-06-04 中継装置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943A true KR20160086943A (ko) 2016-07-20
KR101751195B1 KR101751195B1 (ko) 2017-06-26

Family

ID=5317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443A KR101751195B1 (ko) 2013-11-25 2014-06-04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254980A1 (ko)
JP (1) JP6087447B2 (ko)
KR (1) KR101751195B1 (ko)
CN (1) CN105794151B (ko)
DE (1) DE112014005365B4 (ko)
TW (1) TWI593254B (ko)
WO (1) WO2015075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7261B2 (en) 2015-11-26 202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JP6898742B2 (ja) * 2017-01-19 2021-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処理装置およびパケットの処理方法
CN106888118A (zh) * 2017-02-15 2017-06-23 金钱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环路的检测方法及装置
DE102019114309A1 (de) * 2019-05-28 2020-12-03 Beckhoff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Routen von Telegrammen in einem Automatisierungsnetzwerk, Datenstruktur, Automatisierungsnetzwerk und Netzwerkverteiler
CN111427317B (zh) * 2020-03-23 2021-10-15 深圳赛动生物自动化有限公司 主从控制器的通信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396348B (zh) * 2022-08-25 2024-05-10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传感器网络的测试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915A (ja) 1991-09-27 1993-04-06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2012044384A (ja) 2010-08-18 2012-03-01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3964B2 (ja) * 2004-09-29 2009-07-08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プ接続検出方法及び装置
JP5065941B2 (ja) 2008-02-29 2012-11-07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074314B2 (ja) * 2008-07-07 2012-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レーム転送装置
KR101277368B1 (ko) 2008-12-25 2013-06-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관리 장치, 통신 노드와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208230B1 (ko) * 2009-05-11 2012-12-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노드 장치, 노드 장치의 실행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JP2011018969A (ja) * 2009-07-07 2011-01-27 Nec Corp スイッチ装置、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CN101707538B (zh) * 2009-11-25 2011-09-14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以太网环路并且自动恢复的方法
CN102055525B (zh) * 2010-12-17 2016-03-16 北京格林伟迪科技股份有限公司 环路检测和控制方法
JP2012227772A (ja) * 2011-04-20 2012-11-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レーム転送装置及び保守監視システム
CN102347865B (zh) * 2011-11-04 2015-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以太网环路定位方法、交换设备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915A (ja) 1991-09-27 1993-04-06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2012044384A (ja) 2010-08-18 2012-03-01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4980A1 (en) 2016-09-01
WO2015075959A1 (ja) 2015-05-28
CN105794151A (zh) 2016-07-20
TW201536003A (zh) 2015-09-16
DE112014005365B4 (de) 2021-11-18
JPWO2015075959A1 (ja) 2017-03-16
KR101751195B1 (ko) 2017-06-26
JP6087447B2 (ja) 2017-03-01
CN105794151B (zh) 2018-02-09
TWI593254B (zh) 2017-07-21
DE112014005365T5 (de)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195B1 (ko) 중계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
US10567261B2 (e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246385A1 (en) Industrial controller employing the network ring topology
US8213296B2 (en) Link aggregation protection
EP2282452B1 (en) Data transmission in a ring-type communication network
RU262593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для эксплуатируемой с избыточностью промышленной сети связи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US2016018239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and Coupling Communication Device
KR101935188B1 (ko) 중계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N102918809B (zh) 网络和扩展单元以及运行网络的方法
JP6388434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438367B2 (ja) ネットワーク、中継伝送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光信号制御方法
US20190238406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3223077A (ja) シャーシ型スイッチ
CN105376130A (zh) 中继系统以及中继装置
JP7285697B2 (ja) 監視システム
JP398981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スパニングツリー用ブリッジ装置のポート状態変更方法
KR20120063603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경로 다중화 장치
JP2001339411A (ja) デジタル無線通信監視方式
JP202211024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JP2006050222A (ja) パケットの無限ループ回避方法
US20090245273A1 (en) Frame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