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749A -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749A
KR20160085749A KR1020167008992A KR20167008992A KR20160085749A KR 20160085749 A KR20160085749 A KR 20160085749A KR 1020167008992 A KR1020167008992 A KR 1020167008992A KR 20167008992 A KR20167008992 A KR 20167008992A KR 20160085749 A KR20160085749 A KR 2016008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linear cutter
upper body
engagement structur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461B1 (ko
Inventor
기요시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1757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8574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8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6Mounting or replacement of th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커터를, 절단감이 좋은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회전체는, 예불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누름 금속 부재와, 상기 누름 금속 부재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누름 금속 부재에 결합되는 상부 보디와, 상기 상부 보디보다 대경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보다 소경의 하부 보디와 선형 커터가 걸리는 걸림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보디는, 그 외주면에,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이 인출되는 인출구를 복수 가진다. 상기 상부 보디와 상기 하부 보디가 상기 플랜지부를 협지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상기 선형 커터가,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ROTATING BODY, MOWER, AND GRASS-MOWING METHOD}
본 발명은,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선형 커터를 사용하여, 절단감 좋고 장기간에 걸쳐 풀베기를 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형 커터를 사용하여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풀베기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선형 커터를 장착한 회전체를, 예불기의 구동축에 장착하고, 회전체를 구동축과 함께 회전시킨다. 이로써, 회전체의 외주면(外周面)으로부터 인출되는 선형 커터로, 주위의 풀을 절단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8―148684호 참조).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8―148684호
전술한 종래의 회전체에 있어서는, 회전체의 외주면으로부터 크게 인출된 선형 커터가, 원심력(遠心力)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장(引張)됨으로써, 선형 커터와 지표면의 사이에서 소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선형 커터에는, 작업 중에 다양한 방향 및 크기로 부하가 걸린다. 그러므로, 선형 커터는, 작업 중에 불규칙하게 동작하기 쉬웠다. 또한, 실제의 지표면에는, 돌 등의 다양한 요철(凹凸)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종래의 회전체를 사용한 풀베기 작업에는, 풀베기 작업 중에 고속 회전하는 선형 커터가, 지표면에 닿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고속 회전하는 선형 커터가 지표면에 닿으면 그만큼 선형 커터가 탑 스피드를 유지하기 어려워져, 풀베기의 절단감이 떨어지는 동시에, 선형 커터의 수명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회전체에서는, 나일론 등으로 형성되는 선형 커터를, 절단감이 좋은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선형 커터를, 절단감이 좋은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을, 하기 구성을 구비하는 회전체로 한다.
제1 발명은, 예불기의 구동축에 장착되고,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로서,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누름 금속 부재와, 상기 누름 금속 부재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누름 금속 부재에 결합되는 상부 보디와, 상기 상부 보디보다 대경(大徑)으로 성형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보다 소경(小徑)으로 성형된 하부 보디와, 선형 커터가 걸리는 걸림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보디는, 그 외주면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린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이 인출되는 인출구를 복수 가지는 것이며, 상기 상부 보디와 상기 하부 보디가 상기 플랜지부를 협지(sandwich)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상기 선형 커터가,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금속 부재는, 상기 예불기가 가지는 받이 금속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날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고, 협지한 상기 회전날을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부는, 협지한 상기 회전날보다 소경이 되도록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보디는, 그 외주면에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오목홈은,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인출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보디,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하부 보디는 각각 별개로 성형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상부 보디와 상기 하부 보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보디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하부 보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보디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상부 보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걸림 구조와는 별도로, 상기 선형 커터가 걸리는 제2 걸림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보디는, 그 하면에 상기 걸림 구조를 가지고, 상기 하부 보디는, 중앙에 관통공을 가지는 도넛형의 접지 부분이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예불기의 상기 구동축의 단부(端部)를 수용하고, 또한, 상기 상부 보디가 가지는 상기 걸림 구조를 아래쪽에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상부 보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체에 중간 부분을 걸리게 한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을, 1개의 상기 인출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고, 또한, 상기 선형 커터의 타단측을, 별개의 상기 인출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발명을,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회전체를 장착한 예불기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3 발명을, 하기 구성을 구비하는 풀베기 방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회전체를 상기 구동축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린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을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에지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상기 선형 커터의 선단 부분에 의해 풀베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베기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를 상기 구동축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린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을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에지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상기 선형 커터의 선단부에 의해 풀베기를 행하고, 사용에 의해 짧아진 상기 선형 커터는, 상기 걸림 구조로부터 분리하고(detach), 상기 걸림 구조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선형 커터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에지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상부 보디를 경사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상부 보디를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하부 보디를 경사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하부 보디를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상부 보디에 인서트 성형하는 누름 금속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상부 보디에 인서트 성형하는 누름 금속 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예불기의 구동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장착한 예불기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주요부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예불기의 구동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선형 커터를 다른 형태로 장착했을 때의 하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회전체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에 장착되는 접지체(接地體)이다.
접지체는, 팁소(tipped saw)와 같은 원판형의 회전날(184)과 선형 커터(4)의 양쪽 또는 한쪽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선형 커터(4)는, 나일론 코드의 일단부에 걸림용의 대경부(大徑部)(78)를 고정한 부재이며, 가요성(可撓性) 및 탄성을 가진다.
예불기(180)는, 주축부(主軸部)(186)와, 상기 주축부(186)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동축(182)(도 10 참조)을 구비한다. 이 구동축(182)에 대하여, 접지체인 회전체를 사용하여, 회전날(18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예불기(180)에 있어서는, 주축부(186)의 도중에 핸들(188)을 설치하고, 주축부(186)의 후단 부분에 엔진(190)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190)의 출력을 구동축(182)에까지 전달함으로써, 회전체가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이 때, 회전날(184)이나 선형 커터(4)가,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축(26)(도 10 참조)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는, 합성 수지제인 본체부(28)와, 본체부(28)에 결합되는 누름 금속 부재(8)로 형성된다. 본체부(28)는, 누름 금속 부재(8)가 결합되는 부분인 상부 보디(30)와, 상부 보디(30)보다 대경으로 성형된 플랜지부(32)와, 플랜지부(32)보다 소경으로 성형된 하부 보디(34)로 형성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누름 금속 부재(8)의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본체부(28)를 이루는 상부 보디(30), 플랜지부(32) 및 하부 보디(34)의 각각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문 중에서 사용하는 「상하 방향」은, 회전체의 회전축(26)이 연직(沿直) 방향으로 세팅된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누름 금속 부재(8)는,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이 삽통(揷通)되고,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구동축(182)과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9a, 도 9b에는, 누름 금속 부재(8)를 나타내고 있다. 누름 금속 부재(8)는,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을 삽통시키는 중앙공(14)을 그 중앙 부분에 가지고, 이 중앙공(14)을 에워싸는 복수 개소에, 단차(step)가 형성된의 관통공(16)을 가진다.
관통공(16)은, 주위 방향으로 등 간격(等間隔)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의 본체부(28)를 형성하는 상부 보디(30)의 합성 수지 부분이, 각 관통공(16)에 충전됨으로써, 상부 보디(30)에 대하여 누름 금속 부재(8)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금속 부재(8)는, 회전날(184)을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면(18)을 상면에 가지고, 링형(ring shape) 인 제1 장착면(18)의 내측에, 제1 장착면(18)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장착면(20)을 가진다. 제2 장착면(20)은, 회전날(184)을 벗겨냈을 때, 이 회전체를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에 장착하기 위한 링형의 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에는, 보스(192)를 돌출시킨 받이 금속 부재(194)가 결합되어 있다. 받이 금속 부재(194) 중, 단차(段差)를 통하여 보스(192)를 에워싸는 면이, 회전날(184)을 장착했을 때 이 회전날(184)을 받는 제1 받이면(196)이다. 보스(192)의 선단면이, 회전날(184)을 벗겨냈을 때 누름 금속 부재(8)의 제2 장착면(20)을 받는 제2 받이면(198)이다.
누름 금속 부재(8)가 가지는 관통공(16)은, 인서트 성형용으로서,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 방향의 일단부가 제1 장착면(18) 상에서 개구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면(18)의,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관통공(16) 사이의 부분에는, 다른 것보다 높은 맞닿음 리브(rib)(22)를 형성하고 있다. 모두 8개소의 맞닿음 리브(22)는, 관통공(16)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분단(分斷)되어 있지만, 전체로서 대략 환형(環形)을 이룬다. 대략 환형으로 배치되는 맞닿음 리브(22)는, 회전날(184)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맞닿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의 선단부는, 수나사 형상을 가진다. 회전날(184)이 가지는 중앙의 관통공에 받이 금속 부재(194)의 보스(192)를 끼워넣어, 보스(192)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82)의 선단부를, 본체부(28)에 결합하는 누름 금속 부재(8)의 중앙공(14)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이 구동축(182)의 돌출 부분에 대하여, 본체부(28)의 아래쪽으로부터 너트(24)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구동축(182)에 대하여 회전체와 회전날(184)을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체의 본체부(28)는, 아래쪽으로 개구된 오목부(10)를 가지고, 이 오목부(10) 내에, 구동축(182) 중 누름 금속 부재(8)의 중앙공(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부분과, 이 부분에 나사결합하는 너트(24)가 수용된다. 본체부(28)의 오목부(10)를 에워싸도록 가지는 주위면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테이퍼형의 접지면(接地面)(12)이다.
다음에, 합성 수지제인 본체부(28)의 구조나, 이 본체부(28)에 대하여 선형 커터(4)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되는 본체부(28)는, 상부 보디(30), 플랜지부(32) 및 하부 보디(34)의 3블록에서 형성된다. 이들 각 블록은,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성형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보디(30), 플랜지부(32) 및 하부 보디(34)가 이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연속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본체부(28)는, 가장 큰 직경인 플랜지부(32)를, 서로 대략 같은 직경인 상부 보디(30)와 하부 보디(34)로 상하로 끼워넣은 구조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상부 보디(30)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보디(3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누름 금속 부재(8)와 일체로 성형되는 원판형의 중앙부(36)와, 이 중앙부(36)를 에워싸 위치하는 원환형(圓環形)의 외주부(38)와, 중앙부(36)와 외주부(38)를 직경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성형되는 한 쌍의 연결부(40)와, 동일하게 중앙부(36)와 외주부(38)를 직경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성형되는 한 쌍의 삽통부(揷通部)(4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연결부(40)는, 원판형인 중앙부(36)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부(40)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는, 원환형인 외주부(38)의 내주면(內周面)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부(40)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구(44)(도 1, 도 10 등 참조)를 삽통시키기 위한 고정공(46)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삽통부(42)는, 동일하게 중앙부(36)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며, 각각의 삽통부(42)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는, 외주부(38)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삽통부(42)에는, 선형 커터(4)를 삽통할 수 있는 삽통공(揷通孔)(48)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다.
각 삽통공(48)은, 아래쪽을 향해 개구되도록 상부 보디(30)에 성형되어 있다. 이 개구는, 플랜지부(32)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32)의 상면에서 막힌다.
각 삽통공(48)은,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에 도입구(導入口)(50)를 가지고,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에 인출구(52)를 가진다. 중앙부(36)의 하면에는, 누름 금속 부재(8)의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원형상의 오목부(54)가 성형되어 있고, 원형으로 오목한 오목부(54)의 내주면에, 각각의 도입구(50)를 위치시키고 있다. 상부 보디(30)의 오목부(54)는, 하부 보디(34)와 결합되었을 때 본체부(28)의 오목부(10)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외주부(38)의 외주면에는, 전체 주위에 걸쳐 오목홈(56)이 성형되어 있다. 선형 커터(4)보다 광폭(廣幅)의 홈인 오목홈(56)의 바닥면에, 각 인출구(52)가 위치한다. 오목홈(56)은, 고속 회전 시의 선형 커터(4)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도 6에는, 플랜지부(32)를 나타내고 있다. 플랜지부(32)는 원판형이며, 하부 보디(34)의 상단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공(58)을, 중앙에 가지고 있다. 끼워맞춤공(58)은, 원형공(60)의 외주 에지로부터 한 쌍의 슬릿구멍(62)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한 형상이다. 슬릿구멍(62)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하부 보디(34)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 보디(34)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64)을 중앙에 가지는 도넛형의 수지 부재이며, 접지체로서의 주요부를 이룬다. 관통공(64)은, 상부 보디(30)와 결합되었을 때 본체부(28)의 오목부(10)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관통공(64)을 에워싸도록 위치하는 주위면이, 테이퍼형의 접지면(12)이 된다.
하부 보디(34)는 평탄한 상면(66)을 가지고, 상면(66)의 중앙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일단(一段) 높은 끼워맞춤부(68)를 설치하고 있다. 끼워맞춤부(68)는, 관통공(64)의 상단(上端) 개구를 중앙에 가지는 링형의 돌기체(70)와, 돌기체(70)의 외주(外周)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 돌출부(72)로 이루어진다. 연결 돌출부(72)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링형인 돌기체(7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절결(切缺)(74)을 설치하고 있다. 하부 보디(34)에 설치한 각각의 절결(74)은, 하부 보디(34)가 상부 보디(30)와 결합되었을 때, 상부 보디(30)의 도입구(50)와 1 대 1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연결 돌출부(72)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구(44)를 삽통시키기 위한 고정공(76)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공(76)은, 고정구(44)를 이루는 고정 나사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공이며, 연결 돌출부(72)가 가지는 평탄한 상면에 개구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를 구비하는 상부 보디(30), 플랜지부(32) 및 하부 보디(34)를 일체로 결합시키려면, 먼저, 하부 보디(34)가 가지는 끼워맞춤부(68)를, 플랜지부(32)가 가지는 끼워맞춤공(58)에 끼워맞춘다. 이때, 끼워맞춤부(68)의 돌기체(70)가, 끼워맞춤공(58)의 원형공(60)에 끼워맞추어지고, 끼워맞춤부(68)의 연결 돌출부(72)가, 끼워맞춤공(58)의 슬릿구멍(62)에 1대 1로 끼워맞추어진다. 이들의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 보디(34)에 대하여 플랜지부(32)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어서, 상부 보디(30)를, 플랜지부(32)를 협지하여 하부 보디(34)의 위쪽으로 세팅한다. 이 때, 상부 보디(30)의 연결부(40)에 설치한 고정공(46)이, 하부 보디(34)의 연결 돌출부(72)에 설치한 고정공(76)과 1대 1로 연통되도록 세팅한다.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는 고정공(46, 76)에 대하여 고정구(44)를 나사삽입하고, 고정구(44)를 고정공(46, 76)에 체결함으로써, 하부 보디(34)에 대하여 상부 보디(30)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랜지부(32)는, 하부 보디(34)가 가지는 평탄한 상면(66)과, 상부 보디(30)가 가지는 평탄한 하면[즉, 상부 보디(30)가 가지는 중앙부(36), 외주부(38), 연결부(40) 및 삽통부(42)의 하면]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된다.
이와 같이, 상부 보디(30), 플랜지부(32) 및 하부 보디(34)를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회전체에 있어서는, 상부 보디(30)의 외주면에 설치한 한 쌍의 인출구(52)가, 함께 플랜지부(32)의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 보디(34)의 관통공(64)과 상부 보디(30)의 오목부(54)가 연통함으로써, 회전체의 오목부(10)가 형성된다. 오목부(10)는, 아래쪽으로 개구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선형 커터(4)의 선단측을 회전체의 오목부(10) 내에 삽입하고, 선형 커터(4)의 선단측을, 도입구(50)를 통해 삽통공(48) 내에 삽입하고, 인출구(52)를 통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한다. 인출구(52)로부터 인출된 선형 커터(4)는, 플랜지부(32)의 위쪽에 위치한다. 나일론 코드인 선형 커터(4)의 기단측(基端側)에는 대경부(78)를 설치하고 있고, 이 대경부(78)가, 도입구(50)의 주위 에지의 단차(段差)부분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선형 커터(4)가 걸린다(도 3 참조). 즉, 오목부(10)에 있는 도입구(50)의 주위 에지의 단차 부분이, 선형 커터(4)를 본체부(28)에 거는 걸림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보디(30)의 외주면에 성형된 오목홈(56)은, 플랜지부(32)의 위쪽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인출구(52)간에 있어서 고속 회전 시의 선형 커터(4)의 권첨부를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선형 커터(4)를 걸리게 한 회전체를,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의 선단부에 결합시켜, 풀베기 작업을 행한다. 도 10이나 도 11에서는, 회전체를 사용하여 회전날(184)을 장착하고 있지만, 회전날(184)을 장착하지 않고 선형 커터(4)만으로 풀베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체를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 구동시키면, 회전체의 인출구(52)로부터 인출되는 선형 커터(4)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선형 커터(4)의 선단부는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된다. 선형 커터(4) 중 선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에서는, 그 아래쪽에 플랜지부(32)가 위치한다. 선형 커터(4)는, 그 선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에서, 플랜지부(32)에 의해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선형 커터(4)는 플랜지부(32)와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선형 커터(4)는, 플랜지부(32)의 존재에 의해 대략 수평인 자세로 유지되어, 작업 중에 다양한 방향 및 크기로 부하가 걸리는 경우나, 지표면에 큰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선형 커터(4)가 지표면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의하면, 선형 커터(4)가 지표면에 닿기 어렵고, 그 선단부를 탑 스피드로 유지하면서 고속 회전하므로, 플랜지부(3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 부분으로 양호한 절단감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선형 커터(4)를 종래보다 3배 정도로 오래가게 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는, 플랜지부(32)보다 아래쪽에 접지면(12)을 가지므로, 회전체를 지표면에 닿게하면서 풀베기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자의 노력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가하여, 플랜지부(32)는, 상부 보디(30)나 하부 보디(34)와는 별개로 성형된 것이며, 이 플랜지부(32)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이므로, 상황에 따라서 플랜지부(32)를 다른 치수 형상의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2)의 성형은, 상부 보디(30)나 하부 보디(34)와는 별도로 프레스 성형으로 행할 수 있고, 이로써, 플랜지부(32)에 휨 등의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접지면(12)을 가지는 하부 보디(34)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의해 접지면(12)의 마찰 감소나 파손이 생긴 경우에는, 이 하부 보디(34)만을 교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2)와 상부 보디(3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플랜지부(32)와 일체로 성형한 상부 보디(30)에 대하여, 하부 보디(34)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플랜지부(32)와 하부 보디(34)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플랜지부(32)와 일체로 성형한 하부 보디(34)에 대하여, 상부 보디(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부 보디(30)와 플랜지부(32)와 상부 보디(3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대하여, 도 12a~도 12d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구성 중, 기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는 상위한 특유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서는, 도 12a~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공(8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한 플랜지부(32)를 사용한다. 걸림공(80)은, 선형 커터(4)가 통할 수 있고 또한, 대경부(78)가 걸리는 치수 형상이다. 도 12a~도 12d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이 걸림공(80)에 의해, 선형 커터(4)를 플랜지부(32)에 거는 제2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12a~도 12d에 나타낸 플랜지부(32)는, 걸림공(80)의 배치만이 서로 상위하게 되어 있다.
도 12a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끼워맞춤공(58)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180° 어긋난 2개소의 영역에, 걸림공(80)을 설치하고 있다.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는, 걸림공(80)을, 직경 방향을 따라 2개 병설하고 있다. 병설되는 2개의 걸림공(80) 중, 직경 방향 내측의 걸림공(80)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선형 커터(4)의 선단측을 통하고, 플랜지부(32)의 아래쪽을 통한 후에, 직경 방향 외측의 걸림공(80)을 통해 선형 커터(4)의 선단측을 위쪽으로 꺼내면, 이 개소(箇所)에 선형 커터(4)를 걸고, 선형 커터(4) 중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선단부에 의해, 풀베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선형 커터(4)의 이탈 방지는, 기단측의 대경부(78)가 플랜지부(32)의 상면에 닿음으로써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의하면, 먼저, 선형 커터(4)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걸리게 하여 사용하고, 선형 커터(4)의 선단측이 마모되어 짧아지면, 걸림공(80)을 사용하여 플랜지부(32)에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b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끼워맞춤공(58)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90°씩 어긋난 4개소의 영역에, 각각 2개의 걸림공(80)을 설치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32)를 이용하면, 마모되어 짧아진 선형 커터(4)를, 모두 4개소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2c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도 12a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각각 3개의 걸림공(80)을 직경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있다. 병설되는 3개의 걸림공(80) 중 임의의 것을 2개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형 커터(4)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플랜지부(32)에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d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도 12b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각각 3개의 걸림공(80)을 직경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32)에 의하면, 마모되어 짧아진 선형 커터(4)를, 모두 4개소에 걸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병설되는 3개의 걸림공(80)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형 커터(4)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플랜지부(32)에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대하여, 도 13a~도 13d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구성 중, 기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는 상위한 특유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서는, 도 13a~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훅(82)을 가지는 플랜지부(32)를 사용한다. 훅(82)은, 선형 커터(4)를 통할 수 있고 또한, 대경부(78)는 걸리는 치수 형상이다. 도 13a~도 13d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이 훅(82)에 의해, 선형 커터(4)를 플랜지부(32)에 거는 제2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13a~도 13d에 나타낸 플랜지부(32)는, 훅(82)의 배치만이 서로 상위하게 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끼워맞춤공(58)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180° 어긋난 2개소의 영역의 상면에, 훅(82)을 1개씩 고정하고 있다.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 훅(82)에 선형 커터(4)를 통해 세팅하면, 선형 커터(4) 중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선단부에 의해, 풀베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의하면, 먼저, 선형 커터(4)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걸리게 하여 사용하고, 선형 커터(4)가 마모되어 짧아지면, 훅(82)을 사용하여 플랜지부(32)에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b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끼워맞춤공(58)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90°씩 어긋난 4개소의 영역에, 훅(82)을 1개씩 고정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32)를 이용하면, 마모되어 짧아진 선형 커터(4)를, 모두 4개소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3c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도 13a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각각 2개의 훅(82)을 직경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있다. 병설되는 걸림공(80)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형 커터(4)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플랜지부(32)에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d에 나타낸 플랜지부(32)에서는, 도 13b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각각 2개의 걸림공(80)을 직경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32)에 의하면, 마모되어 짧아진 선형 커터(4)를, 모두 4개소에 걸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병설되는 걸림공(80)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형 커터(4)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플랜지부(32)에 걸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대하여, 도 14~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구성 중, 기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는 상위한 특유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가 가지는 오목부(10)의 바닥면[즉, 상부 보디(30)가 가지는 오목부(54)의 바닥면]에는, 선형 커터(4)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당겨거는 걸림체(132)를 4개 설치하고 있다. 4개의 걸림체(132)는,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한 원(圓) 상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각각의 걸림체(132)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선단부를 절곡한 L자형의 형상을 가진다. 걸림체(13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면이, 선형 커터(4)가 걸리는 걸림면(133)이다.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10)에는, 선형 커터(4)를 삽통할 수 있는 치수 형상의 도입구(50)를, 4개소에 설치하고 있다. 4개소의 도입구(50)는,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한 원 상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선형 커터(4)를 삽통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치수 형상의 인출구(52)를,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개소에 설치하고 있다. 4개소의 인출구(52)는, 각각 오목홈(56)의 홈바닥에 형성된다. 도입구(50)와 인출구(52)는, 4개소에 관통 형성한 삽통공(48)을 통하여, 1대 1로 연통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서는, 오목부(10) 내에 배치한 복수의 걸림체(132)나 도입구(50)에 의해, 선형 커터(4)를 본체부(28)에 거는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를 회전축(26)의 축 방향으로부터(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각각의 걸림체(132)와, 각 삽통공(48)의 도입구(50)는, 주위 방향으로 교호적(交互的)으로 위치한다. 걸림체(132)는, 그 걸림체(132)를 협지하여 주위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2개의 도입구(50) 중, 회전 방향(200) 측에 위치하는 도입구(50)와의 사이의 거리가, 회전체의 회전 방향(200)과는 반대 방향(이하 「반회전 방향(300)」) 측에 위치하는 도입구(50)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각각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삽통공(48)에 있어서, 삽통공(48)의 도입구(50)로부터 인출구(52)를 통하여 신장되도록 제1 가상선(400)을 그렸을 때, 이 제1 가상선(400)이, 회전축(26)으로부터 그 삽통공(48)의 도입구(50)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제2 가상선(500)에 대하여, 회전체의 반회전 방향(300)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고 있다.
각 삽통공(48)에 있어서, 제1 가상선(400)이 방사형의 제2 가상선(500)에 대하여 경사지는 각도는, 동일한 각도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각도는 40°정도이다.
도 14와 도 15에는, 2개의 선형 커터(4)를 사용하여, 회전체의 외주의 4개소로부터 선형 커터(4)의 단부를 인출한 장착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는, 1개의 선형 커터(4)를 사용하여, 회전체의 외주의 2개소로부터 선형 커터(4)의 단부를 인출한 장착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커터(4)를 2개 장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체에는,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삽통공(48)이 2쌍 있고, 이 중 한 쌍의 삽통공(48)을 통하여, 1개의 선형 커터(4)를 장착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한 쌍의 삽통공(48)을 통하여, 다른 1개의 선형 커터(4)를 장착한다.
각각의 선형 커터(4)는,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쌍을 이루는 삽통공(48)의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체(132)에 걸리게 한다. 선형 커터(4)는, 걸림체(132)가 가지는 걸림면(133)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凸)을 이루도록 휜 자세로 당겨걸려진다.
이때, 선형 커터(4)는 한쪽의 삽통공(48)과 걸림체(132)와의 사이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을 이루도록 제1 각도 α만큼 절곡된다. 이 선형 커터(4)는, 다른 쪽의 삽통공(48)과 걸림체(132)와의 사이에서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을 이루도록 제2 각도 β만큼 절곡된다.
걸림체(132)에 대하여 양측의 삽통공(48)은 비대칭이므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커터(4)의 절곡되는 제1 각도 α와 제2 각도 β는, 서로 상위하다. 제1 각도 α는 130°정도의 둔각(鈍角)이며, 제2 각도 β는 50°정도의 예각(銳角)이다.
각각의 선형 커터(4)를 회전체로 유지하는 유지력은, 걸림체(132)와 삽통공(48)의 사이에서 선형 커터(4)가 제2 각도 β로 절곡되는 부분에서, 그 대부분이 발생한다.
그런데, 도 14나 도 15에 나타낸 장착 형태에서는, 2개의 걸림체(132)가 미사용으로 된다. 이들 미사용의 걸림체(132)는, 도 16에 나타낸 장착 형태에서는 사용하는 부재이며, 바꾸어 말하면, 보조 걸림체(146)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도 16에 나타낸 장착 형태에서는, 회전축(26)을 협지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삽통공(48)을 통하여, 1개의 선형 커터(4)를 장착한다.
이 장착 형태에서는, 선형 커터(4)의 중앙 부분을,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걸림체(132)에 당겨건다. 선형 커터(4)는, 인접하는 2개의 걸림체(132)가 가지는 걸림면(133)에 대하여, 각각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을 이루도록 휘어져 당겨걸려진다.
이 1개의 선형 커터(4)는, 삽통되는 한쪽의 삽통공(48)과, 이 삽통공(48)에 인접하는 측의 걸림체(132)와의 사이에서, 제1 각도 α만큼 절곡되어 유지된다. 선형 커터(4)가 삽통되는 다른 쪽의 삽통공(48)과, 이 삽통공(48)에 인접하는 측의 걸림체(132)와의 사이에서는, 제2 각도 β만큼 절곡되어 유지된다. 여기서의 제1 각도 α는 130°정도의 둔각이다. 제2 각도 β는 50°정도의 예각이다.
도 16의 장착 형태에 있어서, 선형 커터(4)를 회전체로 유지하는 유지력은, 걸림체(132)와 삽통공(48)과의 사이에서 선형 커터(4)가 제2 각도 β로 절곡되는 부분과, 선형 커터(4)가 한 쌍의 걸림체(132)에 각각 당겨걸려지는 부분에서 대부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의하면, 2개의 선형 커터(4)를 걸리게 하는 장착 형태와 1개의 선형 커터(4)를 걸리게 하는 장착 형태 중 한쪽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어느 장착 형태에 있어서도, 선형 커터(4)를 복수 개소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여 유지할 수 있고, 인출한 선형 커터(4)는,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배치로 된다.
선형 커터(4)는, 장척(長尺)의 나일론 코드로부터 적절히 길이만큼 절단한 것을 이용하면 된다. 사용에 의해 선형 커터(4)가 마모나 열화(劣化)가 생겼을 때는, 그 선형 커터(4)를 회전체의 오목부(1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선형 커터(4)를 장착하면 된다.
이상,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는,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에 장착되고,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서,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하는 누름 금속 부재(8)와, 누름 금속 부재(8)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부(28)를 구비한다. 본체부(28)는, 누름 금속 부재(8)에 결합되는 상부 보디(30)와, 상부 보디(30)보다 대경으로 성형된 플랜지부(32)와, 플랜지부(32)보다 소경으로 성형된 하부 보디(34)와, 선형 커터(4)가 걸리는 걸림 구조를 구비한다. 상부 보디(30)는, 그 외주면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린 선형 커터(4)의 일단측이 인출되는 인출구(52)를 복수 가지는 것이며, 상부 보디(30)와 하부 보디(34)가 플랜지부(32)를 협지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인출구(52)로부터 인출된 선형 커터(4)가, 플랜지부(3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의하면, 선형 커터(4)와 지표면과의 사이에 대경의 플랜지부(32)를 위치시키면서 풀베기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선형 커터(4)가 지표면에 닿기 어렵고, 선형 커터(4)의 절단감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선형 커터(4)의 절단감 향상과 고수명화가 달성된다.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있어서, 누름 금속 부재(8)는, 예불기(180)가 가지는 받이 금속 부재(194)와의 사이에서 회전날(184)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고, 협지한 회전날(184)을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플랜지부(32)는, 협지한 회전날(184)보다 소경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로써, 선형 커터(4)를 사용한 풀베기 작업에 더하여, 회전날(184)을 사용한 풀베기 작업이 가능해진다. 선형 커터(4)와 회전날(184)은 착탈 가능하므로, 선형 커터(4)만으로의 풀베기 작업과 회전날(184)만으로의 풀베기 작업과 선형 커터(4)와 회전날(184)을 함께 사용한 풀베기 작업이 선택 가능하다.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있어서, 상부 보디(30)는, 그 외주면에 오목홈(56)을 가진다. 오목홈(56)은,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인출구(5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플랜지부(32)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플랜지부(32)의 위쪽에 위치하는 오목홈(56)에 의해 선형 커터(4)의 권첨부를 가이드시켜, 작업 중에 선형 커터(4)가 불규칙하게 동작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있어서, 상부 보디(30), 플랜지부(32) 및 하부 보디(34)는 각각 별개로 성형되어 플랜지부(32)는, 상부 보디(30)와 하부 보디(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상황에 따라서 플랜지부(32)를 다른 치수 형상의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나, 사용에 의해 마찰 감소나 파손이 생긴 하부 보디(34)만을 교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부가하여, 플랜지부(32)의 성형은, 상부 보디(30)나 하부 보디(34)와는 별도로 프레스 성형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플랜지부(32)에 휨 등의 문제점이 생기는 것도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 보디(30)가 플랜지부(32)와 일체로 성형되어 하부 보디(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보디(34)가 플랜지부(32)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부 보디(3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상황에 따라서 플랜지부(32)를 다른 치수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나, 사용에 의해 마찰 감소나 파손이 생긴 부분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있어서, 플랜지부(32)는, 상기 걸림 구조와는 별도로, 선형 커터(4)가 걸리는 제2 걸림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먼저, 선형 커터(4)를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리게 하여 사용하고, 선형 커터(4)가 마모되어 짧아진 단계에서, 제2 걸림 구조를 사용하여, 플랜지부(32)에 선형 커터(4)를 걸리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있어서, 상부 보디(30)는, 그 하면에 상기 걸림 구조를 가진다. 하부 보디(34)는, 중앙에 관통공(64)을 가지는 도넛형의 접지 부분이다. 관통공(64)은, 예불기(180)의 구동축(182)의 단부를 수용하고, 또한, 상부 보디(30)가 가지는 상기 걸림 구조를 아래쪽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이보다, 회전체의 하부 보디(34)를 접지 부분으로서 이용하고, 회전체를 지표면에 닿게 하면서 풀베기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자의 노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부 보디(34)의 관통공(64)을 통하여, 선형 커터(4)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는, 상부 보디(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체(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체(132)에 중간 부분을 걸리게 한 선형 커터(4)의 일단측을, 1개의 인출구(5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고, 또한, 선형 커터(4)의 타단측을, 별개의 인출구(5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선형 커터(4)를, 걸림체(132)에 당겨 걸어 간단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사용한 풀베기 방법에서는, 회전체를 구동축(182)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건 선형 커터(4)의 일단측을 인출구(52)로부터 인출하고, 이 상태에서 회전체를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선형 커터(4)의 선단 부분에 의해 풀베기를 행한다.
이 풀베기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커터(4)와 지표면과의 사이에 대경의 플랜지부(32)를 위치시켜,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연장된 선형 커터(4)의 선단 부분에 의해 풀베기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선형 커터(4)가 지표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탑 스피드를 유지하는 선형 커터(4)의 선단 부분에 의해, 양호한 절단감으로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나 제3 실시형태의 회전체를 사용한 풀베기 방법에서는, 회전체를 구동축(182)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건 선형 커터(4)의 일단측을 인출구(52)로부터 인출하고, 이 상태에서, 회전체를 구동축(182)과 일체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선형 커터(4)의 선단부에 의해 풀베기를 행하고, 사용에 의해 짧아진 선형 커터(4)는, 상기 걸림 구조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걸림 구조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걸림 구조에 걸리게 함으로써, 선형 커터(4)의 선단부가, 플랜지부(32)의 외측 에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한다.
이 풀베기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리게 한 선형 커터(4)의 선단 부분으로 풀베기 작업을 행하고, 선형 커터(4)가 마모되어 짧아졌을 때는,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선형 커터(4)를 걸리게 하여, 이 선형 커터(4)의 선단 부분으로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누름 금속 부재(8)를 상부 보디(30)에 결합시키는 수단은 인서트 성형에 한정되지 않고, 압입(壓入)이나 나사 고정 등의 다른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상부 보디(30)와 하부 보디(34)를 결합시키는 수단에 대해서도, 고정구(44)를 사용한 실시형태의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부 보디(30)와 하부 보디(34)의 한쪽에 수나사 구조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이것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보디(30)와 하부 보디(34)를 직접적으로 결합시킨다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환 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오목홈을 하부 보디(34)에 설치하지 않지만, 하부 보디(34)의 상면[접지면(12)의 이면측(裏面側)의 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고, 접지면(12)이 어느 정도 마모된 단계에서, 상기 오목홈이 접지면(12) 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이면, 각 예에 있어서 적절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나, 각 예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시켜 적용할 수 있다.
4: 선형 커터
8: 누름 금속 부재
28: 본체부
30: 상부 보디
32: 플랜지부
34: 하부 보디
78: 대경부(大徑部)
180: 예불기
182: 구동축
184: 회전날
186: 주축부(主軸部)

Claims (12)

  1. 예불기(mower)의 구동축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로서,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누름 금속 부재; 및
    상기 누름 금속 부재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누름 금속 부재에 결합되는 상부 보디와,
    상기 상부 보디보다 대경(大徑)으로 성형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보다 소경(小徑)으로 성형된 하부 보디와,
    선형 커터가 걸리는 걸림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보디는, 그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린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이 인출되는 인출구를 복수 가지며,
    상기 상부 보디와 상기 하부 보디가 상기 플랜지부를 협지(sandwich)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상기 선형 커터가,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회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금속 부재는, 상기 예불기가 가지는 받이 금속 부재와의 사이에서 회전날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고, 협지한 상기 회전날을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부는, 협지한 상기 회전날보다 소경(小經)이 되도록 성형된 것인, 회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디는, 그 외주면에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오목홈은,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인출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인, 회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디,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하부 보디는 각각 별개로 성형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상부 보디와 상기 하부 보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디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하부 보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디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상부 보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걸림 구조와는 별도로, 상기 선형 커터가 걸리는 제2 걸림 구조를 가지는, 회전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디는, 그 하면에 상기 걸림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보디는, 중앙에 관통공을 가지는 도넛형의 접지 부분이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예불기의 상기 구동축의 단부(端部)를 수용하고, 또한, 상기 상부 보디가 가지는 상기 걸림 구조를 아래쪽으로 노출시키는 것인, 회전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상부 보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체에 중간 부분을 걸리게 한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을, 1개의 상기 인출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고, 또한, 상기 선형 커터의 타단측을, 별개의 상기 인출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설치한, 회전체.
  10. 제1항에 기재된 회전체를 장착한, 예불기.
  11. 제1항에 기재된 회전체를 상기 구동축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구조에 걸리게 된 상기 선형 커터의 일단측을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에지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상기 선형 커터의 선단 부분에 의해 풀베기를 행하는,
    풀베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걸림 구조와는 별도로, 상기 선형 커터가 걸리는 제2 걸림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사용에 의해 짧아진 상기 선형 커터는, 상기 걸림 구조로부터 분리하고(detach), 상기 걸림 구조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선형 커터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에지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하는, 풀베기 방법.
KR1020167008992A 2013-09-10 2013-09-10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KR102209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5348 WO2015037030A1 (ja) 2013-09-10 2013-09-10 回転体、刈払機及び草刈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749A true KR20160085749A (ko) 2016-07-18
KR102209461B1 KR102209461B1 (ko) 2021-01-28

Family

ID=5117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92A KR102209461B1 (ko) 2013-09-10 2013-09-10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25981B2 (ko)
JP (1) JP5525667B1 (ko)
KR (1) KR102209461B1 (ko)
CN (1) CN105764324B (ko)
AU (1) AU2013400359B2 (ko)
WO (1) WO2015037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9496A1 (it) * 2014-12-22 2017-06-16 Arnetoli Motor Srl Testina tosaerba a filo con lama di taglio
US11818979B2 (en) 2016-01-22 2023-11-21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Grass trimmer
EP3400776B1 (de) * 2017-05-09 2020-11-18 Andreas Stihl AG & Co. KG Fadenmähkopf für einen freischneider
CN109561653B (zh) 2017-08-07 2022-05-20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打草头和包含该打草头的打草机
USD971704S1 (en) * 2017-12-04 2022-12-06 Wen-Chang Wang Grass trimmer handle
CN109429675B (zh) * 2018-12-08 2024-01-12 怡天技动力机械研发(临沂)有限公司 割草机用的旋转体、旋转割刀
JP6758701B1 (ja) 2019-10-08 2020-09-23 株式会社北村製作所 回転体、刈払機及びボビン
US11679443B1 (en) 2022-01-25 2023-06-20 Lemco Products LLC Apparatus for a quick release cutting device blade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3758A1 (ja) * 2005-08-22 2007-03-01 Sakuji Yamada 刈払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刈払機
JP2008148684A (ja) 2006-11-24 2008-07-03 Kitamura Seisakusho:Kk 刈払機の接地体及び刈払機
KR20090017481A (ko) * 2006-03-20 2009-02-18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잔디깍기의 지면 활동(滑動) 가이드 및 잔디깍기
JP2010178751A (ja) * 2010-04-05 2010-08-19 Yamada Kikai Kogyo Kk 刈払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刈払機
WO2013100059A1 (ja) * 2011-12-28 2013-07-04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草刈り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り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4867B1 (it) 1998-07-07 2001-04-05 Arnetoli Motor Testina tagliaerba con ricarica del filo senza estrazione delrocchetto
US6298642B1 (en) * 2000-09-15 2001-10-09 Mitchell A. Harb Cutting blade attachment for adjustable height string trimmer head
DK1357782T3 (da) 2001-02-03 2006-11-27 Gardena Mfg Gmbh Körbart underlagsbearbejdningsapparat, navnlig plæneklipper
US6857480B2 (en) * 2002-03-12 2005-02-22 Barry E. Thompson, Sr. Adjustable head edger
WO2007052311A1 (en) * 2005-11-02 2007-05-10 Arnetoli Motor Grass-cutting head with spiral guide channels for the cutting line
US9078394B2 (en) * 2010-09-24 2015-07-14 Ambush Heads, Llc Cutting head for string trimm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3758A1 (ja) * 2005-08-22 2007-03-01 Sakuji Yamada 刈払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刈払機
JP5042838B2 (ja) * 2005-08-22 2012-10-03 策次 山田 刈払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刈払機
KR20090017481A (ko) * 2006-03-20 2009-02-18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잔디깍기의 지면 활동(滑動) 가이드 및 잔디깍기
JP2008148684A (ja) 2006-11-24 2008-07-03 Kitamura Seisakusho:Kk 刈払機の接地体及び刈払機
JP2010178751A (ja) * 2010-04-05 2010-08-19 Yamada Kikai Kogyo Kk 刈払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刈払機
WO2013100059A1 (ja) * 2011-12-28 2013-07-04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草刈り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461B1 (ko) 2021-01-28
CN105764324A (zh) 2016-07-13
WO2015037030A1 (ja) 2015-03-19
JP5525667B1 (ja) 2014-06-18
AU2013400359B2 (en) 2017-11-23
AU2013400359A1 (en) 2016-05-05
AU2013400359A2 (en) 2016-05-12
JPWO2015037030A1 (ja) 2017-03-02
US10225981B2 (en) 2019-03-12
US20160219783A1 (en) 2016-08-04
CN105764324B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5749A (ko)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CN111390841B (zh) 用于修剪器的修剪器头组件
KR101735139B1 (ko) 밀링 커터
KR101700027B1 (ko)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US9686910B2 (en) Trimmer head
KR20220121588A (ko) 예초기 헤드
AU2019469864B2 (en) Rotating body, brush cutter, and bobbin
JP4669488B2 (ja) 刈払機の接地体及び刈払機
JP4886341B2 (ja) 刈払機、及び線状刃回転ユニット
EP3536140A1 (en) String trimmer attachment for a trimmer head
JPH07177812A (ja) 動力刈払機の回転刈刃
JP4533425B2 (ja) 刈刃回転体
KR101691924B1 (ko) 회전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JP3170246B2 (ja) 刈刃体
JP4413985B2 (ja) 刈払機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刈払機
TWI608794B (zh) Rotary body, mower and mowing method
KR102070792B1 (ko) 예초기용 나일론 커터 헤드
CN109429675B (zh) 割草机用的旋转体、旋转割刀
JP5758822B2 (ja) 刈払機の締結部材が接地するのを防止する保護カバー
CA1125522A (en) Rotary cutting assembly with filament feed
TWM598593U (zh) 具簡便更換割草繩之割草盤改良結構
JPH0555839U (ja) コード式草刈り機における回転盤
JP2008263854A (ja) 草刈り・稲刈り用の刃物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