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411A -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 Google Patents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411A
KR20160084411A KR1020167014461A KR20167014461A KR20160084411A KR 20160084411 A KR20160084411 A KR 20160084411A KR 1020167014461 A KR1020167014461 A KR 1020167014461A KR 20167014461 A KR20167014461 A KR 20167014461A KR 20160084411 A KR20160084411 A KR 2016008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rface
valve
triggering
triggering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366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브레우어
다니엘 크노들러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8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05B12/002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 B05B12/0024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 B05B12/0026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to inhibit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74)를 갖는 유입구 채널(73) 및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6)를 갖는 배출구 채널(75), 유입구(74)와 배출구(76)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 밸브(20), 밸브(20)를 개폐하기 위해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트리거링 부재(34), 트리거링 부재(34)를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고정 위치와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고정 부재(39), 및 밸브 건(10)을 홀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4)를 포함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10)에 관한 것이다. 핸들링하기 더 쉬운 방식으로 밸브 건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트리거링 부재(34)가 배출구(76)로부터 대향하는 손잡이(24)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 1 고정 부재(39)가 배출구(76)에 대면하는 손잡이(24)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VALVE GUN FOR A HIGH-PRESSUR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가압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를 갖는 유입구 채널 및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배출구 채널,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에 전방측된 밸브,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정지 위치 및 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트리거링 부재, 트리거링 부재를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고정 위치와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고정 부재, 및 밸브 건을 홀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에 관한 것이다.
고압 세정기에 의해 가압된 액체의 배출은 이러한 밸브 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유입구에 예를 들어 압력 호스가 연결될 수 있고, 배출구에 예를 들어 스프레이 랜스가 연결될 수 있다. 고압하에서의 액체는 압력 호스를 통해 밸브 건에 공급될 수 있고, 액체는 스프레이 랜스를 통해 대상체에 디렉팅될 수 있다. 액체의 압력은, 예를 들어, 100 bar 초과, 특히 200 bar 초과할 수도 있다. 액체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트리거링 부재를 이동시킬 가능성을 갖는다. 트리거링 부재는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 밸브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트리거링 부재의 정지 위치에서 밸브는 폐쇄되고, 트리거링 부재의 해제 위치에서 밸브는 개방된다. 트리거링 부재의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밸브 건은 고정 위치와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고정 부재를 갖는다. 트리거링 부재는 제 1 고정 부재에 의해 정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고정 부재가 그 고정 위치를 상정한다. 트리거링 부재를 고정해제하기 위해, 제 1 고정 부재는 트리거링 부재를 해제하는 고정해제 위치로 트랜스퍼되어야 한다.
밸브 건은, 피스톨 그립의 방식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갖는다.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밸브 건은 공보 DE 38 26 784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 건에서, 트리거링 부재는, 배출구에 대면하는 손잡이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손잡이를 파지할 때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배출구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후방 피봇할 수 있는, 피봇 레버의 형태로 구성된다. 피봇 아래에는, 피봇 레버를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 바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피봇 고정 부재가 배치된다. 피봇 레버를 그 해제 위치로 가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고정 부재를 피봇 레버의 오목부 밖으로 가압해야 한다. 이것은 밸브 건의 핸들링을 복잡하게 한다.
트리거링 부재가 밸브 건의 배출구에 대면하는 손잡이의 전방측에 배치된 피봇 레버의 형태로 또한 구성되는 밸브 건은, US 7,389,949 B2로부터 알려져 있다. 피봇 레버를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배출구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피봇 레버로부터 후방 돌출되는 제 1 위치에서, 피봇 레버 상에 피봇가능하게 탑재되는 안전 레버가 사용된다. 피봇 레버를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피봇하는 경우, 안전 레버가 피봇 레버와 평행하게 정렬되는 고정해제 고정 위치로, 사용자는 스프링 탄성 복원력에 대해 안전 레버를 트랜스퍼시켜야 한다. 피봇 레버의 작동은 안전 레버의 작지 않은 복원력의 작용에 대해 발생한다. 밸브 건의 장기간 동작 동안, 이것은 손가락으로 피봇 레버 및 안전 레버를 손잡이를 향해 당겨야 하는 사용자의 피로를 초래할 수 있어, 밸브 건의 핸들링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링하기에 더 쉬운 방식으로 일반 종류의 밸브 건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처음에 언급된 종류의 밸브 건에서, 트리거링 부재가 배출구로부터 대향하는 손잡이의 후방측에서 배치되고, 그리고 제 1 고정 부재가 배출구에 대면하는 손잡이의 전방측에서 배치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건에 의해, 사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고, 그렇게 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손의 힐로 손잡이의 후방측에 배치된 트리거링 부재를 작동시키고 그의 손가락으로 손잡이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 1 고정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으로 제 1 고정 부재를 파지하고 고정 위치로부터 고정해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리거링 부재를 직관적으로 고정해제할 수 있다. 트리거링 부재의 작동은 제 1 고정 부재의 작동과 반대 방향으로 일어난다. 트리거링 부재 및 제 1 고정 부재는 손잡이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이것은 밸브 건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한다.
정지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는 손잡이의 후방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위치에서, 제 1 고정 부재는 손잡이의 전방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가압된 액체가 밸브 건에 의해 배출되는 경우, 액체는 밸브 건에서 리코일(recoil)을 발휘한다. 손잡이의 후방측에서의 트리거링 부재의 포지셔닝은, 액체의 리코일의 영향하에서 사용자 손의 힐에 대해 밸브 건이 가압되는 결과를 갖는다. 사용자 손의 힐은, 결과적으로, 밸브 건이 지지되는 교대(abutment)의 방식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트리거링 부재는 사용자 손가락으로 손잡이에 대해 큰 힘으로 가압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건에서, 손잡이는 가동 트리거링 부재와 가동 제 1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밸브 건을 직관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고정 컴포넌트를 형성한다.
트리거링 부재는,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정지 위치와 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리거링 부재는 밸브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트리거링 부재는 예를 들어 선형 변위할 수 있도록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트리거링 부재는 제 1 피봇 축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탑재된다. 손잡이의 파지시, 사용자는, 제 1 고정 부재를 고정해제 위치로 미리 트랜스퍼시킨 후, 손의 힐로 트리거링 부재를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피봇할 수 있다.
손잡이는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에 할당된 상단 영역과 상단 영역으로부터 대향하는 하단 영역을 갖는다. 제 1 피봇 축이 손잡이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이롭다. 사용자가 엄지 및 집게 손가락으로 손잡이의 상단 영역을 파지하는 경우라면, 그는 이후 제 1 피봇 축으로부터 대향하는 트리거링 부재의 영역을 동시에 또한 파지할 수 있고 트리거링 부재를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용이하게 피봇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는 트리거링 부재를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 위치로부터 트리거링 부재를 해제하는 고정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고정 부재는 선형 변위될 수 있도록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 부재가 그 고정 위치에서 밸브 건의 배출구에 대면하는 손잡이의 전방측으로부터 돌출하여, 트리거링 부재를 해제하기 위해 손잡이의 방향으로 후방 변위할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가 제 2 피봇 축 주위에서 피봇할 수 있도록 탑재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밸브 건의 구성적으로 특히 간단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피봇 축은 바람직하게 제 1 피봇 축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는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에 할당된 상단 영역과 상단 영역으로부터 대향하는 하단 영역을 갖는다. 제 2 피봇 축은 바람직하게 손잡이의 상단 영역에 배치되거나 또는 손잡이의 상단 영역에 인접하는 밸브 건의 하우징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손잡이는 밸브 건의 배출구로부터 대향하는 밸브 건의 후방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돌출되고 제 2 피봇 축은 후방 하우징 영역에 배치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제 1 고정 부재는 작동 아암 및 고정 아암을 포함하며, 고정 아암은 제 1 고정 부재의 고정 위치에서, 손잡이의 전방측으로부터 돌출되고, 그리고 고정 아암은 제 1 고정 부재의 고정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의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고정 아암은 트리거링 부재에 대한 플레이를 가지고 또는 플레이 없이 놓일 수 있다.
고정 아암은 고정 부재의 고정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에 대한 플레이를 가지고 또는 플레이 없이 자유단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아암 및 고정 아암은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고정 부재는 L 형상의 구성이고, 작동 아암이 제 1 고정 부재의 제 1 레그를 형성하고 고정 아암이 제 2 레그를 형성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고정 아암은 바람직하게 그 자유단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롤러를 가지며, 그 롤러에 의해 고정 아암이 제 1 고정 부재의 고정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에 대한 플레이를 가지고 또는 플레이 없이 놓인다. 제 1 고정 부재가 고정 위치에서 고정해제 위치로 피봇되는 경우, 고정 아암의 자유단에서 배치된 롤러는 트리거링 부재로부터 롤링하고 그것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고정 아암은, 제 1 고정 부재의 고정해제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의 오목부로 연장된다. 트리거링 부재는 예를 들어 제 1 고정 부재의 고정해제 위치에서 고정 아암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질 수도 있다.
트리거링 부재의 우발적 작동의 위험을 매우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밸브 건은 고정 위치와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트리거링 부재는 제 2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 위치에서 고정가능하고 고정해제 위치에서 해제가능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밸브 건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2개의 고정 부재들을 갖는다. 트리거링 부재가 작동되어야 한다면, 사용자는 고정 위치에서 고정해제 위치로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의 양자를 이동해야 한다.
제 2 고정 부재는 트리거링 부재의 정지 위치에서 손잡이로부터 돌출되는 트리거링 부재의 영역 상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이 이로우며, 제 2 고정 부재는 그 고정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로부터 돌출되며 그 고정해제에서 트리거링 부재로 충분히 연장된다. 그 고정 위치에서, 제 2 고정 부재는 손잡이를 향한 방향으로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고, 그리고 제 2 고정 부재의 고정해제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는 제 1 고정 부재가 또한 그 고정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한, 손잡이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재는, 예를 들어, 제 1 피봇 축에 평행하게 변위가능하도록 트리거링 부재 상에 탑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링 부재는 손잡이로부터 돌출되는 영역에서 정지 위치에서 제 2 고정 부재가 변위가능하게 탑재되는 개방부를 갖는다.
처음에 언급한 밸브 건의 밸브는 바람직하게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에 대해 타이트하게 놓이는 폐쇄체를 포함하며, 밸브 시트로부터의 일정한 거리에서 개방 위치로 폐쇄체를 이동하기 위한 개방력을 가지고 밸브 플런저에 의해 작용될 수 있다. 밸브 시트는 밸브 건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다. 폐쇄체가 그 폐쇄 위치를 상정하는 경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흐름 연결을 중단시킨다. 폐쇄체가 그 개방 위치를 상정하는 경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흐름 연결을 해제시킨다.
트리거링 부재는 커플링 레버 축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탑재된 커플링 레버를 통해 밸브 플런저에 바람직하게 커플링된다.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트리거링 부재는 커플링 레버에 트리거링 힘을 발휘하여, 커플링 레베 축 주위에서 피봇되게 하고 이로써 폐쇄체에 개방력을 밸브 플런저를 통해 발휘하도록 한다. 트리거링 부재와 밸브 플런저 사이의 커플링 레버의 상호작용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 부재에 발휘되어야 하는, 밸브를 개방하는데 요구되는 작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트리거링 부재는, 커플링 레버를 통해 밸브 플런저에 커플링되는, 제 1 피봇 축 주위에서 피봇가능한 트리거링 레버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트리거링 부재가 손잡이 상에서 변위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로서 구성되는데, 커플링 레버를 통해 밸브 플런저에 커플링되고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의 트랜스퍼동안 손잡이 안으로 푸시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커플링 레버는 작동 부재를 가지며, 그 작동 부재를 통해 밸브 플런저가 개방력을 가지고 작용될 수 있다. 작동 소자가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소자가 조절 스크류로서 구성되는 것이 이로우며, 이것은 커플링 레버의 내부 스레드안으로 스크류 가능하다.
앞에서 언급한 종류의 밸브 건으로, 특히 제 1 및 제 2 힘 수용 소자를 포함하는 커플링 레버에 의한 상술된 종류의 밸브 건으로 특히 용이한 핸들링이 달성되며, 제 1 힘 수용 소자는 트리거링 부재가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후속하여 트리거링 힘으로 제 1 및 제 2 힘 수용 소자에 작용되며, 제 1 힘 수용 소자는 제 2 힘 수용 소자보다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 더 큰 거리에 있다. 커플링 레벨을 커플링 레버 축 주위에서 피봇하기 위해서, 그것은 트리거링 힘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플링 레버는 제 1 힘 수용 소자 및 제 2 힘 수용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힘 수용 소자는 제 2 힘 수용 소자보다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 더 큰 거리에 배치된다. 트리거링 부재가 그 정지 위치에서 그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레버는 제 1 힘 수용 소자를 통해 트리거링 힘으로 먼저 작용되고, 그리고 트리거링 부재가 더욱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레버는 제 2 힘 수용 소자를 통해 트리거링 힘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커플링 레버의 레버 비율들은 트리거링 부재의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의 천이동안 변화한다. 천이의 제 1 페이즈에서, 제 1 힘 수용 소자와 커플링 레버 축 사이의 비교적 큰 거리로부터 초래되는 유리한 레버 비율로 인해, 사용자가 단지 비교적 낮은 작동력으로 트리거링 부재에 작용하는 경우라도 큰 개방력이 밸브 플런저에 발휘될 수 있다. 제 1 힘 수용 소자와 커플링 레버 축 사이의 큰 거리는,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1 페이즈 동안 밸브 플런저의 단지 비교적 작은 스트로그, 즉 밸브 플런저의 단지 비교적 작은 변위 경로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비교적 작은 스트로크는, 밸브 시트의 액체 업스트림의 압력이 상당히 감소되는 정도로 밸브의 밸브 시트로부터 폐쇄체를 리프트하기에 충분하다.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2 페이즈에서, 제 2 힘 인가 소자를 통해 커플링 레버가 작용되며, 그것은 제 1 힘 수용 소자보다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 더 짧은 거리에 있다. 제 2 힘 수용 소자의 보다 짧은 거리는, 밸브 플런저의 보다 큰 변위 경로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가지며, 그래서 밸브의 폐쇄체는 밸브 시트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로 트랜스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폐쇄체의 개방 위치에서, 밸브 시트로부터의 폐쇄체의 거리는 적어도 1 mm, 특히 대략 2 mm 이다. 밸브를 통해 흐르는 동안 액체의 흐름 손실은 이로써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는 손잡이의 후방측에 배치된 트리거링 부재에 비교적 낮은 작동력을 발휘하기만 하면 되고 밸브 플런저는 높은 개방력에 의해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건은 특히 용이한 핸들링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의 리코일은 사용자 손의 힐에 대해 밸브 건을 가압하고, 이로써 트리거링 부재의 작동을 지지하며, 이것은 트리거링 부재를 고정해제하는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미리 고정해제되어야 한다.
밸브 건의 작동을 위한 힘 비율은 커플링 레버의 구성에 의해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영향받으며, 커플링 레버를 통해 트리거링 부재가 밸브 플런저에 커플링된다. 밸브 플런저는 커플링 레버의 작동 소자에 의해 개방력으로 작용된다. 작동 소자의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의 거리는 작은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작동 소자의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의 거리는 제 1 힘 인가 소자의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대략 1/10 이다.
제 2 힘 인가 소자의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제 1 힘 인가 소자의 커플링 레버 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대략 40% ~ 80%, 특히 대략 65% ~ 75% 이다.
트리거링 부재가 제 1 및 제 2 힘 인가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플링 레버의 제 1 힘 수용 소자는 제 1 힘 인가 소자 상에 위치가능하고, 커플링 레버의 제 2 힘 수용 소자는 제 2 힘 인가 소자 상에 위치가능하다. 트리거링 부재가 그 정지 위치에서 그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레버의 제 1 힘 수용 소자는 트리거링 부재의 제 1 힘 인가 소자에 먼저 컨택하며, 그래서 커플링 레버는 커플링 레버 축 주위에서 피봇되어 높은 개방력으로 밸브 플런저에 작용한다.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1 페이즈의 완료 이후, 커플링 레버의 제 2 힘 수용 소자는 트리거링 부재의 제 2 힘 인가 소자에 컨택하며, 그래서 커플링 레버의 피봇 이동이 계속되고, 낮은 개방력이 커플링 레버의 작동 소자에 의해 밸브 플런저에 이제 발휘되지만, 밸브 플런저가 상당한 거리로 변위될 수 있다.
제 1 힘 수용 소자 및 제 1 힘 인가 소자가 제 1 가이드면 및 제 1 가이드면에 컨택하고 제 1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1 컨택 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이롭고, 그리고 제 2 힘 수용 소자 및 제 2 힘 인가 소자가 제 2 가이드면 및 제 2 가이드면에 컨택하고 제 2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컨택 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이롭다.
사용자가 트리거링 부재에 발휘해야 하는, 폐쇄체를 밸브 시트로부터 리프트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작동력을 특히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배출구 채널의 종축에 평행하게 배열된 기준선과 관련된 제 1 컨택 소자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제 1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 각도가 기준선과 관련된 제 2 컨택 소자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이로운 구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서, 트리거링 부재가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컨택 소자는 먼저 제 1 가이드면에 컨택하면서 제 1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고, 후속하여 제 2 컨택 소자는 제 2 가이드면에 컨택하면서 제 2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한다. 제 1 가이드면은, 제 1 컨택 소자가 제 1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할 때 제 1 가이드면에 컨택하는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 제 1 가이드면의 탄젠트가 기준선에 대해 일정한 경사에 있는 그러한 구성이다. 제 2 가이드면은, 제 2 컨택 소자가 제 2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할 때 제 2 가이드면에 컨택하는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도 또한 기준선에 대해 일정한 경사에 있는 그러한 구성이다. 제 1 가이드면의 탄젠트와 기준선 사이의 경사 각도는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와 기준선 사이의 경사 각도보다 더 작다. 기준선은 배출구 채널의 종축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1 페이즈 동안, 제 1 컨택 소자는 제 1 가이드면에 따라 이동하며, 그리고 제 1 가이드면 및 제 1 컨택 소자를 통해, 제 1 트리거링 힘이 트리거링 부재로부터 커플링 레버 상으로 트랜스퍼된다.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2 페이즈 동안, 제 2 컨택 소자는 제 2 가이드면에 따라 이동하며, 그리고 제 2 가이드면 및 제 2 컨택 소자를 통해, 제 2 트리거링 힘이 트리거링 부재로부터 커플링 레버 상으로 트랜스퍼된다. 제 1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보다 작은 경사 각도는,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1 페이즈 동안,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2 페이즈 동안처럼 큰 정도로 커플링 레버가 피봇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갖는다. 따라서, 트리거링 부재는 그 이동의 the 제 1 페이즈 동안 비교적 적은 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의 제 2 페이즈 동안,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보다 큰 경사 각도로 인해 커플링 레버가 보다 큰 정도로 피봇되며, 그래서 폐쇄체의 상당한 리프트가 달성될 수 있다. 제 1 컨택 소자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제 1 가이드면의 탄젠트와 기준선 사이의 경사 각도는 트리거링 부재의 제 1 페이즈에서의 커플링 레버의 피봇 이동의 정도에 결정적이다. 경사 각도가 클수록, 커플링 레버의 피봇 이동의 정도가 크다.
기준선에 대한 제 1 컨택 소자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제 1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는 예를 들어 대략 10° ~ 45°, 특히 대략 15° ~ 35°일 수 있다.
기준선에 대한 제 2 컨택 소자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는 예를 들어 55° ~ 85°, 특히 60° ~ 80°일 수 있다.
제 1 가이드면 및/또는 제 2 가이드면은 아치형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가이드면 및 제 2 가이드면은 평면 구성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2개의 가이드면들 각각은 경사면을 형성하며 그 경사면을 따라 트리거링 부재가 이동될 때 제 1 컨택 소자 및 제 2 컨택 소자가 각각 이동한다. 제 1 가이드면은 제 1 컨택 소자와 조합하여 제 1 웨지 기어를 형성하고, 제 2 가이드면은 제 2 컨택 소자와 조합하여 제 2 웨지 기어를 형성한다. 트리거링 부재는 2개의 웨지 기어들을 통해 커플링 레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 1 가이드면 및/또는 제 2 가이드면은 바람직하게 커플링 레버 축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제 1 가이드면 및 제 2 가이드면이 트리거링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컨택 소자와 제 2 컨택 소자가 커플링 레버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제 1 가이드면 및 제 2 가이드면이 커플링 레버 상에 배치되고 제 1 컨택 소자와 제 2 컨택 소자가 트리거링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제 1 컨택 소자 및/또는 제 2 컨택 소자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컨택 롤러들로서 구성된다. 컨택 롤러들은 예를 들어 커플링 레버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제 1 가이드면 및 제 2 가이드면은 커플링 레버에 대면하는 트리거링 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된다.
밸브의 폐쇄체가 그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가압된 액체는 그 둘레를 흐르고, 바람직하게 추가하여 밸브의 폐쇄 스프링에 의해 폐쇄력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폐쇄체를 그 개방 위치에서 홀딩하기 위해서 트리거링 부재에 소정의 홀딩력으로 작용해야 한다. 이것은 사용자 피로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밸브 건의 특히 간단한 핸들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홀딩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트리거링 부재의 해제 위치에서 지지면에 대해 놓이는 제 2 컨택 소자에 대한 이로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된 기준선과 관련된 지지면의 탄젠트의 경사 각도가 기준선과 관련된 제 2 컨택 소자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면과 제 2 컨택 소자의 제공으로 인해,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제 2 페이즈 동안, 밸브 플런저의 비교적 큰 변위 경로가 비교적 큰 값을 갖는 기준선과 관련하여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 각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폐쇄체가 트리거링 부재의 이동의 말미에서 그 개방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밸브 플런저의 추가 변위가 더 이상이 필요하지 않으며 폐쇄체는 그 개방 위치에서 홀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리거링 부재의 해제 위치에서, 제 1 컨택 소자는 지지면에서의 위치를 상정한다. 기준선에 대한 지지면의 경사는 기준선에 대한 제 2 가이드면의 탄젠트의 경사보다 작다. 지지면의 탄젠트의 경사 각도가 작을수록, 사용자가 트리거링 부재에 발휘해야 하는 홀딩력은 더 낮다.
지지면은 바람직하게 평면 구성이다.
제 2 커플링 소자는 바람직하게 커플링 레버 상에 배치되고 지지면은 트리거링 부재 상에 배치된다.
제 1 가이드면과 제 2 가이드면 사이의 커플링 레버에 대면하는 트리거링 부재의 단부면에 지지면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가이드면과 지지면 모두가 커플링 레버에 대면하는 트리거링 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지지면은 제 1 가이드면과 제 2 가이드면 사이의 위치를 상정한다.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형태의 하기 설명이 추가 설명을 위한 도면과 함께 제공될 것이다. 이들은 다음에서 도시된다:
도 1은 밸브 건의 이로운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제 2 고정 부재가 고정 위치를 상정하는, 도 1의 2-2 선에 따른 밸브 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고정 부재가 고정해제 위치를 상정하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트리거링 부재가 정지 위치를 상정하는, 도 1의 밸브 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트리거링 부재가 중간 위치를 상정하는, 도 1의 밸브 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트리거링 부재가 해제 위치를 상정하는, 도 1의 밸브 건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건의 이로운 실시형태가 도 1 내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그 전체가 참조 번호 10으로 도면에 표시된다. 밸브 건(10)은, 제 1 하우징 쉘(14) 및 제 2 하우징 쉘(15)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전방 하우징 영역(18)과 후방 하우징 영역(22) 사이에 배치된 중앙 하우징 영역(16)을 갖는다. 전방 하우징 영역(18)은 밸브(20)를 수용하고,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4)는 후방 하우징 영역(22)으로부터 돌출된다. 손잡이는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에 할당되고 후방 하우징 영역(22)에 인접하는 상단 섹션(25)을 갖는다. 상단 영역(25)으로부터 대향하여, 손잡이(24)는 하단 영역(26)을 가지며, 하단 영역으로부터 가드 블래킷(28)이 전방 하우징 영역(18)으로 연장된다. 가드 블래킷(28), 중앙 하우징 영역(16) 및 손잡이(24)는, 사용자가 손잡이(24)를 파지할 때 그의 손가락과 계합할 수 있는 파지 개방부(30)를 둘러싼다.
중앙 하우징 영역(16)은 커플링 레버(32)를 수용하고,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트리거링 레버(34)로 구성되는 가동 트리거링 부재가 손잡이(24)에 배치된다. 트리거링 레버(34)는 제 1 피봇 축(36)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2개의 하우징 쉘에 탑재되고,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중간 위치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해제 위치까지 사용자 손의 힐로 피봇될 수 있다. 제 1 피봇 축(36)은 손잡이(24)의 하단 영역(26)에 배치된다. 정지 위치에서, 트리거링 부재(34)는 밸브(20)로부터 대향하는 손잡이(24)의 후방측으로부터 후방 레버 영역(37)으로 돌출된다.
트리거링 레버(34)는 스프링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 1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작용된다.
트리거링 부재(3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정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고정 부재(39)는 밸브(20)에 대면하는 손잡이(24)의 전방측에서 배치되고, 제 2 고정 부재(40)는 후방 레버 영역(37)에 배치된다.
제 1 고정 부재(39)는, 실질적으로 L 형상의 구성이며 제 2 피봇 축(41)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탑재된다. 제 1 고정 부재(39)의 제 1 레그(42)는 작동 아암을 형성하고,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 고정 부재(39)의 고정 위치에서, 밸브(20)에 대면하는 손잡이(24)의 전방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 고정 부재(39)의 제 2 레그(46)의 자유단(44)에는, 제 1 고정 부재(39)의 고정 위치에서 트리거링 레버(34)에 대해 느슨하게 놓이고 그 피봇 이동을 방지하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고정 롤러(45)가 배치된다. 제 2 레그(46)는 제 1 고정 부재(39)의 고정 아암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손잡이(24)를 파지하는 경우, 그는 그의 손가락으로 제 2 리턴 스프링(48)의 스프링 탄성 복원력에 대해 제 1 고정 부재(39)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고정해제 위치로 직관적으로 피봇하며, 여기에서 제 1 고정 부재(39)의 제 2 레그(46)는 트리거링 레버(34)의 오목부(50)로 연장되어 트리거링 레버(34)가 그 정지 위치로부터 그 해제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24)를 다시 해제하는 경우, 트리거링 레버(34)는 제 1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그 정지 위치로 자동 피봇되고, 제 1 고정 부재(39)는 제 2 리턴 스프링(48)에 의해 자동 피봇되어, 트리거링 레버(34)가 다시 고정된다.
제 2 고정 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제 1 피봇 축(36)과 평행하게 변위되도록, 후방 레버 영역(37)의 개방부(43)에 탑재된다. 후방 레버 영역(37)에서의 포지셔닝으로 인해, 개방부(43)는 트리거링 레버(34)의 정지 위치에서 손잡이(24) 뒤에 배치된다. 따라서, 트리거링 레버(34)의 정지 위치에서, 볼트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제 2 고정 부재(40)는, 개방부(43)로부터 부분 영역(49)으로 돌출되어 손잡이(24)의 후방 에지(47)에 대항하여 놓이는,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트리거링 레버(34)는 차단되고 그 정지 위치에서 그 해제 위치로 피봇될 수 없다. 트리거링 레버(34)를 해제하기 위해, 제 2 고정 부재(40)는, 제 2 고정 부재(40)가 손잡이(24)의 후방 에지(47)를 해제하도록 개방부(43) 안으로 충분히 푸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정해제 위치에서, 트리거링 레버(34)는 제 2 고정 부재(4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해제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34)는 제 1 피봇 축(36)으로부터 대향하고 커플링 레버(32)에 대면하는 그 단부면(52)에서 제 1 평탄 가이드면(54) 형태의 제 1 힘 인가 소자 및 제 2 평탄 가이드면(56) 형태의 제 2 힘 인가 소자를 가지며, 트리거링 레버(34)의 단부면(52)에서 제 1 가이드면(54) 및 제 2 가이드면(56) 사이에 평탄 지지면(58)이 배치된다.
커플링 레버(32)는 커플링 레버 축(60)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다. 커플링 레버 축(60)은 제 1 피봇 축(36)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밸브(20)의 밸브 하우징(62) 상에 배치된다. 커플링 레버 축(60)으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커플링 레버(32)는 밸브 플런저(66)에 대해 놓이는 조절 스크류의 형태로 조절가능한 작동 소자(64)를 갖는다. 밸브 플런저(66)는 밸브 하우징(62)에서 변위를 위해 탑재되고 밸브(20)의 구형 폐쇄체(68)에 대해 작동 소자(64)로부터 대향하는 단부에 놓이며, 이것은 밸브 시트(72)를 향한 방향으로 스프링 탄성 폐쇄력을 이용하여 제 3 리턴 스프링(70)에 의해 작용된다.
밸브 하우징(62)은 유입구(74)를 갖는 밸브 건(10)의 유입구 채널(73) 및 배출구(76)를 갖는 밸브 건(10)의 배출구 채널(75)을 형성한다. 유입구(74)는 전방 하우징 영역(18)의 하부측(78)으로부터 돌출되고, 배출구(76)는 전방 하우징 영역(18)의 전방측(80)으로부터 돌출된다. 액체 공급 라인, 예를 들어, 압력 호스가 유입구(74)에 연결될 수 있고, 가압된 액체가 액체 공급 라인을 통해 밸브 건(10)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랜스가 배출구(76)에 연결될 수 있고, 가압된 액체는 스프레이 랜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밸브 시트(72)는 유입구(74)와 배출구(76)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다. 폐쇄체(68)가 도 4에 도시된 그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그것은 밸브 시트(72)에 대해 타이트하게 놓여서, 유입구(74)과 배출구(76) 사이의 흐름 연결이 중단된다. 그 폐쇄 위치에서, 폐쇄체(68)는 밸브 시트(72)의 액체 우세의 업스트림의 압력에 의해 작용된다. 밸브 플런저(66)에 의해, 폐쇄체(68)가 제 3 리턴 스프링(70)의 회복력에 대항하여 및 폐쇄체(68)에 작용하는 액체의 압력에 대항하여 밸브 시트(72)로부터 리프트될 수 있어, 유입구(74)와 배출구(76) 사이의 흐름 연결을 해제한다. 이로써 폐쇄체(68)의 폐쇄 위치에서의 밸브 시트(72)의 액체 압력 우세 업스트림이 감소된다.
커플링 레버(32)는 작동 소자(68)로부터 대향하는 그 단부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 레버(3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자유 탑재된 제 1 컨택 롤러(84)로서 구성되는, 제 1 컨택 소자(82)의 형태로 제 1 힘 수용 소자를 갖는다.
제 1 컨택 소자(82)로부터의 거리에서, 커플링 레버(32)는 손잡이(24)에 대면하는 그 하부측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 레버(3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자유 탑재된 제 2 컨택 롤러(88)로서 구성되는, 제 2 컨택 소자(86)의 형태로 제 2 힘 수용 소자를 갖는다. 제 2 컨택 롤러(88)의 커플링 레버 축(60)으로부터의 거리는 제 1 컨택 롤러(84)의 커플링 레버 축(60)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제 2 컨택 롤러(88)의 커플링 레버 축(60)으로부터의 거리는 제 1 컨택 롤러(84)의 커플링 레버 축(60)으로부터의 거리의 대략 40% 내지 80% 이다.
작동 소자(64)와 커플링 레버 축(6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제 1 컨택 롤러(84)와 커플링 레버 축(60) 사이의 거리의 약 10%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트리거링 레버(34)의 정지 위치에서, 제 1 컨택 롤러(84)는 트리거링 레버(34)의 제 1 가이드면(54)에 대항하여 놓이거나 또는 제 1 가이드면으로부터의 짧은 거리를 상정한다. 트리거링 레버(34)가 그 정지 위치로부터 제 1 피봇 축(36) 주위에서 피봇되는 경우, 제 1 컨택 롤러(84)는, 제 1 컨택 롤러(84)가 지지면(58)으로부터 대향하는 제 1 가이드면(54)의 후방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가이드면(54)을 따라 롤링한다. 제 1 컨택 롤러(84)가 제 1 가이드면(54)에 순간 컨택하는, 제 1 가이드면(54)의 영역은 순간적인 제 1 컨택 포인트(90)를 형성한다. 제 1 컨택 롤러(84)의 위치 변화에 의해, 순간적인 제 1 컨택 포인트(90)의 위치도 또한 변화한다. 트리거링 레버(34)의 피봇 이동의 이러한 제 1 페이즈 동안, 폐쇄체(68)가 밸브 시트(72)로부터 리프트되고 결과적으로 밸브 시트(72)의 액체 우세 업스트림의 압력이 감소되는 정도로, 커플링 레버(32)가 커플링 레버 축(60) 주위에서 피봇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택 롤러(84)가 밸브(20)로부터 대향하는 제 1 가이드면(54)의 후방 단부에 도달하는 경우, 제 2 컨택 롤러(88)는 밸브(20)에 대면하는 제 2 가이드면(56)의 전방 단부에 컨택한다. 제 2 컨택 롤러(88)가 제 2 가이드면(56)에 순간 컨택하는, 제 2 가이드면(56)의 영역은 순간적인 제 2 컨택 포인트(92)를 형성한다. 트리거링 레버(34)가 그 해제 위치로 더욱 피봇되는 경우, 제 2 컨택 롤러(88)는 제 2 가이드면(56)을 따라 롤링되고, 커플링 레버(32)는 커플링 레버 축(60) 주위에서 더욱 피봇되며, 이로써 밸브 플런저(66)를 변위시켜 폐쇄체(88)가 밸브 시트(72)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최종 상정하게 한다.
트리거링 레버(34)가 도 6에 도시된 해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 2 컨택 롤러(88)는 지지면(58) 상의 위치를 상정한다.
제 1 가이드면(54), 그리고 제 2 가이드면(56)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 1 가이드면(54)은 제 1 컨택 포인트(90)에서 제 1 탄젠트(94)를 가지며, 제 2 가이드면(56)은 제 2 컨택 포인트(92)에서 제 2 탄젠트(96)를 갖는다. 배출구 채널(75)의 종축(100)에 평행하게 배열된 기준선(98)과 관련하여, 제 1 탄젠트(94)는 제 1 경사 각도(102)로 경사진다. 제 2 탄젠트(96)는 기준선(98)과 관련하여 제 2 경사 각도(104)로 경사진다. 제 1 경사 각도(102)는 제 2 경사 각도(104)보다 더 작다. 예를 들어, 제 1 경사 각도(102)는 10° ~ 45°이고, 특히 15° ~ 35°인 반면, 제 2 경사 각도(104)는 예를 들어 55° ~ 85°이고, 특히 60° ~ 80°이다.
제 1 경사 각도(102)가 제 2 경사 각도(104)보다 더 적게 선택되기 때문에, 트리거링 레버(34)의 피봇 이동의 제 1 페이즈 동안, 커플링 레버(32)는 제 1 컨택 롤러(84)가 제 1 가이드면(54) 상에서 롤링하는 한 비교적 작은 피봇 각도 주위에서 피봇되며, 그리고 후속하여, 트리거링 레버(34)의 피봇 이동의 제 2 페이즈 동안, 커플링 레버(32)는 제 2 컨택 롤러(88)가 제 2 가이드면(56) 상에서 롤링하는 한 보다 큰 피봇 각도 주위에서 피봇된다. 보다 작은 경사의 각도(102)와 조합한 제 1 컨택 롤러(84)와 제 2 피봇 축(60) 사이의 보다 큰 거리의 결과는, 사용자가 트리거링 레버(34)에 비교적 낮은 작동력을 발휘하여 밸브(20)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밸브 건(1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트리거링 레버(34)의 피봇 이동의 제 1 페이즈 동안, 폐쇄체(68)는 밸브 시트(72)의 액체 우세 업스트림의 압력이 상당히 감소되는 정도로 밸브 시트(72)로부터 리프트되고, 그리고 후속하여 폐쇄체(68)는 제 2 가이드면(56) 상에 롤링하는 제 2 컨택 롤러(88)에 의해 작은 개방력을 이용하여 그 개방 위치로 더욱 이동될 수 있다.
폐쇄체(68)가 그 개방 위치를 상정하는, 트리거링 레버(34)가 도 6에 도시된 그 해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커플링 레버(32)는 지지면(58) 상에 제 2 컨택 롤러(88)를 통해 지지된다. 평면 지지면(58)은, 기준선(98)과 관련하여 제 2 경사 각도(104)보다 더 작은 제 3 경사 각도(106)를 갖는 제 3 탄젠트(105)를 갖는다. 제 3 경사 각도(106)가 약 15° 내지 대략 40°, 특히 약 20° 내지 대략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선(98)에 대한 지지면(58)의 비교적 작은 각도로 인해, 폐쇄체(68)를 그 개방 위치에서 홀딩하기 위해서, 비교적 작은 유지력만이 트리거링 레버(34) 상에 사용자에 의해 발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밸브 건(10)의 핸들링은 매우 용이하며, 특히 밸브 건은 낮은 힘으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밸브 건(10)의 핸들링은 또한 밸브(20)로부터 대향하는 손잡이(24)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트리거링 부재(34)에 의해 용이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밸브 배출구(76)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리코일의 영향하에서 손잡이(24)를 파지하는 사용자 손 바닥으로 밸브 건(10)이 가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트리거링 레버(34)를 그 해제 위치에서 홀딩하기 위해서 높은 정도의 힘으로 손잡이(24)를 손가락으로 잡을 필요가 없다.
더욱이, 밸브 건(10)의 핸들링은 배출구(76)에 대면하는 손잡이(24)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부재(39)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고정 아암을 형성하는 제 2 레그(46)가 트리거링 레버(34)를 해제하는 제 2 피봇 축(41) 주위에서 이러한 정도까지 손잡이(24)를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경우, 제 1 고정 부재(39)의 제 1 레그(42)는 사용자에 의해 피봇될 수 있는 작동 아암을 형성한다. 따라서, 트리거링 레버(34) 및 제 1 고정 부재(39)의 작동은 손잡이(24)를 파지하는 경우 직관적으로 일어나며, 트리거링 레버(34)를 고정해제하기 위해 손잡이(24)에 손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밸브 건(10)은 제 1 고정 부재(39)에 부가하여 제 2 고정 부재(40)를 포함한다. 우연히 작동되는 트리거링 레버(34)의 위험이 이로써 특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22)

  1.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gun)으로서,
    가압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74)를 갖는 유입구 채널(73) 및 상기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6)를 갖는 배출구 채널(75), 상기 유입구(74)와 상기 배출구(76)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 밸브(20), 상기 밸브(20)를 개폐하기 위해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트리거링 부재(34),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를 상기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고정 위치와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고정 부재(39), 및 상기 밸브 건(10)을 홀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4)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링 부재(34)가 상기 배출구(76)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손잡이(24)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39)가 상기 배출구(76)에 대면하는 상기 손잡이(24)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는 제 1 피봇 축(36)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4)가 상기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에 할당된 상단 영역(25)과 상기 상단 영역(25)으로부터 대향하는 하단 영역(26)을 가지며, 상기 제 1 피봇 축(36)이 상기 하단 영역(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39)는 제 2 피봇 축(41)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4)는 상기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에 할당된 상단 영역과 상기 상단 영역으로부터 대향하는 하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2 피봇 축(41)이 상기 하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39)는 작동 아암(42) 및 고정 아암(46)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아암(42)은 상기 제 1 고정 부재(39)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24)의 전방측으로부터 돌출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아암(46)은 상기 제 1 고정 부재(39)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아암(46)은 그 자유단(44)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롤러(4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아암(46)은, 상기 제 1 고정 부재(39)의 상기 고정해제 위치에서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오목부(50)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건(10)은 고정 위치와 고정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고정 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는 상기 제 2 고정 부재(40)에 의해 상기 고정 위치에서 고정가능하고 상기 고정해제 위치에서 해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40)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24)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영역(37) 상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40)는 그 고정 위치에서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로부터 돌출되며, 그리고 그 고정해제에서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로 충분히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40)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개방부(43)에 변위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는,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72)에 대해 타이트하게 놓이는 폐쇄체(68)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체(68)를 상기 밸브 시트(72)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개방력으로 밸브 플런저(66)에 의해 작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는 커플링 레버 축(60)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탑재된 커플링 레버(32)를 통해 상기 밸브 플런저(66)에 커플링되고 상기 커플링 레버(32) 는 작동 소자(64)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소자(64)를 통해 상기 밸브 플런저(66)가 상기 개방력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커플링 레버(64)는 제 1 및 제 2 힘 수용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힘 수용 소자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가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후속하여 트리거링 힘으로 제 1 및 제 2 힘 수용 소자에 작용되며, 상기 제 1 힘 수용 소자는 상기 제 2 힘 수용 소자보다 상기 커플링 레버 축(60)으로부터 큰 거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부재(34)는 제 1 및 제 2 힘 인가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힘 수용 소자는 상기 제 1 힘 인가 소자 상에 위치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힘 수용 소자는 상기 제 2 힘 인가 소자 상에 위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힘 수용 소자 및 상기 제 1 힘 인가 소자는 제 1 가이드면(54) 및 상기 제 1 가이드면(54)에 컨택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54)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1 컨택 소자(8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힘 수용 소자 및 상기 제 2 힘 인가 소자는 제 2 가이드면(56)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56)에 컨택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컨택 소자(8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채널(75)의 종축(100)에 평행하게 배열된 기준선(98)과 관련된 상기 제 1 컨택 소자(82)의 순간 컨택 포인트(90)에서의 상기 제 1 가이드면(54)의 탄젠트(94)의 경사 각도(102)가 상기 기준선(98)과 관련된 상기 제 2 컨택 소자(86)의 순간 컨택 포인트(92)에서의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의 탄젠트(96)의 경사 각도(10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면(54)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은 평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면(54) 및/또는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은 상기 커플링 레버 축(60)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면(54)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이 상기 트리거링 부재(34)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컨택 소자(82)와 상기 제 2 컨택 소자(86)가 상기 커플링 레버(32)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면(54)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은 상기 커플링 레버(32)에 대면하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단부면(5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 소자(82)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상기 해제 위치에서 지지면(58)에 대해 놓이고, 상기 기준선(98)과 관련된 상기 지지면(58)의 탄젠트(110)의 경사 각도(106)가 상기 기준선(98)과 관련된 상기 제 2 컨택 소자(86)의 순간 컨택 포인트에서의 상기 제 2 가이드면(56)의 탄젠트(96)의 경사 각도(10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58)은 평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58)은, 상기 제 1 가이드면(54)과 상기 제 2 가이드면(56) 사이의 상기 커플링 레버(32)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트리거링 부재(34)의 단부면(5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KR1020167014461A 2013-12-12 2013-12-12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KR101859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76456 WO2015086084A1 (de) 2013-12-12 2013-12-12 Ventilpistole für ein hochdruckreinigungs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411A true KR20160084411A (ko) 2016-07-13
KR101859366B1 KR101859366B1 (ko) 2018-05-21

Family

ID=4984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461A KR101859366B1 (ko) 2013-12-12 2013-12-12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93832B2 (ko)
EP (1) EP3079832B1 (ko)
KR (1) KR101859366B1 (ko)
CN (1) CN106232241B (ko)
AU (1) AU2013407398B2 (ko)
DK (1) DK3079832T3 (ko)
HU (1) HUE037647T2 (ko)
RU (1) RU2635234C1 (ko)
WO (1) WO2015086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5023B4 (de) 2015-03-31 2023-06-29 Alfred Kärcher SE & Co. KG Spritzpistole für Hochdruckreinigungsgerät
DK3433023T3 (da) * 2016-03-23 2021-05-03 Kaercher Alfred Se & Co Kg Ventilpistol til en højtryksrenser
CA3002468C (en) * 2017-04-25 2020-07-07 Fna Group, Inc. Pressure washer safety lock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952C (de) 1922-07-22 1923-05-03 Alexander Grube Druckluftzerstaeuber
US2079933A (en) 1932-04-21 1937-05-11 Saylor Beall Mfg Company Spray gun
DE690762C (de) 1937-12-23 1940-05-06 Leipziger Tangier Werk Akt Ges Spritzpistole
GB513013A (en) 1938-03-29 1939-10-02 Basil Marv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controlled nozzles for the delivery of fluids or powdered material
US2497625A (en) 1944-08-03 1950-02-14 Henrietta M Norwick Spray gun
US2690321A (en) * 1953-04-28 1954-09-28 Stewart Warner Corp Hand valve
GB826699A (en) 1956-02-25 1960-01-20 Waldemar Foerstn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gulators for nozzles
US4225087A (en) * 1977-02-22 1980-09-30 The Sherwin-Williams Company Lock-off means for airless sprayer
DE3518492A1 (de) 1985-05-23 1986-11-27 Kopperschmidt-Mueller Gmbh & Co Kg, 4800 Bielefeld Spritzpistole
DE3527922A1 (de) 1985-08-03 1987-02-12 Kaercher Gmbh & Co Alfred Handwerkzeug, insbesondere handspritzpistole fuer hochdruck-reinigungsfluessigkeit
DE3826784C2 (de) * 1988-08-06 1994-01-05 Uraca Pumpen Pistolengriff zur Steuerung von Spritzpistolen
DE3926461A1 (de) 1989-07-15 1991-01-24 Suttner Gmbh & Co Kg Ventilpistole, insbesondere fuer ein hochdruckreinigungsgeraet
US5091448A (en) * 1990-04-24 1992-02-25 Phillips Petroleum Company Suspending medium for water soluble polymer
DE9316533U1 (de) 1993-10-28 1994-01-27 Kraenzle Josef Spritzpistole für Hochdruckreiniger
DE19614663C2 (de) 1996-04-13 2003-11-20 Suttner Gmbh & Co Kg Ventilpistole für ein Wasser-Hochdruckreinigungsgerät
DE10159680C1 (de) 2001-11-30 2003-05-08 Kaercher Gmbh & Co Alfred Schließvorrichtung für die Flüssigkeitsabgabeleitung eines Hochdruckreinigungsgerätes
GB0210448D0 (en) * 2002-05-08 2002-06-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Valve closure for spray gun reservoir
US6929151B1 (en) * 2003-06-21 2005-08-16 Richard A. Clayton Water projecting toy
US7389949B2 (en) * 2004-12-14 2008-06-24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Pressure washer trigger lock
US20070080242A1 (en) 2005-10-11 2007-04-12 Xuedong Wang Faucet side spray with metal plated exterior and interior structures, and with inert internal waterway
US8225964B2 (en) * 2008-06-13 2012-07-24 Nordson Corporation Self-locking handheld adhesive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such adhesive dispensers
US7866573B2 (en) 2008-07-10 2011-01-11 Gp Companies, Inc. Ergonomic spray gun
ATE532584T1 (de) * 2008-09-17 2011-11-15 Nilfisk Advance As Hochdruckauslösehebel mit kraftbetätigungsmechanismus mit doppeltem übersetzungshebel
EP2165768B1 (en) 2008-09-17 2012-08-08 Nilfisk-Advance A/S High-pressure trigger with force actuating mechanism using a single-elbow mechanism
US9038928B2 (en) * 2012-01-28 2015-05-26 Xiaodong YE Spray gun
GB2502338A (en) * 2012-05-25 2013-11-27 Ningbo Daye Garden Ind Co Ltd Spray gun
WO2017025138A1 (en) * 2015-08-11 2017-02-16 Edker B.V. Automatic trigger-lock safety mechanism, device comprising an automatic triggerlock safety mechanis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cking a device such as an airless spray gun or a high pressure spray gu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2241B (zh) 2018-12-28
DK3079832T3 (en) 2018-01-08
AU2013407398B2 (en) 2017-05-25
WO2015086084A1 (de) 2015-06-18
AU2013407398A1 (en) 2016-06-02
RU2635234C1 (ru) 2017-11-09
US9993832B2 (en) 2018-06-12
CN106232241A (zh) 2016-12-14
US20160279655A1 (en) 2016-09-29
HUE037647T2 (hu) 2018-09-28
EP3079832A1 (de) 2016-10-19
EP3079832B1 (de) 2017-10-25
KR101859366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8148A1 (en) Valve gun for a high-pressure cleaner
KR101859366B1 (ko) 고압 세정기용 밸브 건
KR101763211B1 (ko) 레버식 액체 분사 장치
US8499802B2 (en) Fuel pump nozzle with manually operated switch lever and hold-open aid
CA2529537A1 (en) A power hand tool having a retractable front stand
NO342503B1 (no) Modifisert utløser
CA2997942A1 (en) Sampling pipette comprising a control member with double function for ejecting a cone and unlocking the system for volume adjustment
US20020036243A1 (en) Fire hose nozzle comprising a safety device to prevent it from being displaced through the action of the water supplying it
US6425538B1 (en) Nozzle with automatic disengaging bale
CN107427855B (zh) 手持式液体分配装置
EP3919182A1 (en) Water spray gun
CA3100224C (en) Water spray gun
KR102454414B1 (ko)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US10239075B2 (en) Nozzle gun and lever lock mechanism
CN108698055B (zh) 用于高压清洁设备的阀枪
TWI636831B (zh) 具有符合人體工學之制止按鈕的灑水裝置
JP5865315B2 (ja) 噴霧器
CN109070108B (zh) 用于高压清洁设备的阀枪
US9423048B1 (en) Handle with flow control
KR20230139671A (ko) 반자동식 실리콘 건
JP2015073929A (ja) 噴霧器
JPH091002A (ja) スプレー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