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107A -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107A
KR20160084107A KR1020150000598A KR20150000598A KR20160084107A KR 20160084107 A KR20160084107 A KR 20160084107A KR 1020150000598 A KR1020150000598 A KR 1020150000598A KR 20150000598 A KR20150000598 A KR 20150000598A KR 20160084107 A KR20160084107 A KR 2016008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tor
fixing
rotation shaft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847B1 (ko
Inventor
강병수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8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는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외주면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내부에 수용하되, 내면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커플링; 일단은 상기 커플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과 상기 회전축을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모터와 커플링 간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MOTOR AND COUPLING}
본 발명은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와 커플링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는 펌프 등을 구동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터가 구동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터는 회전축과 체결되는 커플링에 의하여 구동대상과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 간 결합이 미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와 커플링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모터와 커플링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구동안정성 및 운전자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와 커플링 간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외주면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내부에 수용하되, 내면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커플링; 일단은 상기 커플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과 상기 회전축을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원통형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커플링은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고정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편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부와 체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며,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커플링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상기 중심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축을 커플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커플링과 회전축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의 길이는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상기 커플링의 최외곽 까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축과 커플링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편을 이용하여 회전축과 커플링 사이의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구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문제 및 소음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고정편이 회전축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별다른 고정물 없도 고정편과 회전축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고정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를 IV - IV'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100)는 모터와 커플링 간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모터(미도시)와 회전축(110)과 커플링(120)과 고정편(130)과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회전축(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축(110)은 상술한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축 구조물이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 회전축(110)은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직경은 후술하는 커플링(12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플링(12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단면이 고리형태인 공간이 형성된다.
회전축의 종단부에는 둘레면을 따라서 체결홈(111)이 형성되며, 체결홈(111)은 후술하는 고정편(130)의 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체결홈(111)의 폭은 고정편(13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편(130)과 체결홈(111) 간의 자세한 삽입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커플링(120)은 회전축(110)과 연결되어, 외부의 구동대상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부(121)와 플랜지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21)는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회전축(110)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배치된다. 바디부(121)는 회전축(110)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은 아니고, 내벽면과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10)의 외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디부(121)의 내경은 회전축(110)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22)는 바디부(121)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고정편(130)이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이다.
플랜지부(122)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40)가 통과하여 고정편(130)과 체결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관통공(123)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관통공(123)은 고정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고정부재(14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한다.
한편, 플랜지부(122)는 후술하는 고정편(130)에 의하여 회전축(110)과 연결됨으로써, 회전축(110)으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을 지지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회전수, 토크 등의 모터 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고정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편(130)은 커플링(120)과 회전축(110) 간을 견고히 연결함으로써 회전축(110)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커플링(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부(131)와 연장부(133)와 돌출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31)는 플랜지부(122)에 접촉한 상태로 플랜지부(122)와 긴밀히 결합하는 것으로서, 플랜지부(122)를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갖는 원호(圓弧)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부(131)에는 플랜지부(122)에 형성되는 관통공(123)과 대응하여 복수개 의 나사홈(132)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재(140)와 체결된다.
상기 연장부(133)는 베이스부(131)로부터 회전축(110) 측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체결홈(111) 내에 삽입 수용된다. 연장부(133)는 베이스부(131)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이러한 단차의 정도는 체결홈(111)과 플랜지부(122) 간의 구조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34)는 연장부(133)로부터 회전축(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것으로서, 회전축(110)과 커플링(120) 사이의 이격공간 내에 수용된다. 이때, 돌출부(134)는 커플링(120)과 회전축(110) 사이의 이격공간에 긴밀히 삽입됨으로써, 구동시에 회전축(110)과 커플링(120) 사이의 미세한 유격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120)에 결합된 상태의 고정편(130)은 회전축(11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가 회전축(110)의 체결홈(111) 내부로부터 플랜지부(122)까지의 길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정편(130)의 길이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성요소 소재의 강성,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고정편(130)의 베이스부(131)를 커플링(120)의 플랜지부(122)에 체결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 환봉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머리가 구비되는 나사구조로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의 결합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를 IV - IV'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모터(미도시)와 회전축(110)의 결합구조에 커플링(120)을 배치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링(120)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회전축(110)이 수용되도록 하고, 회전축(110)과 커플링(120)의 바디부(121) 사이에는 직경과 내경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형(換刑)의 이격공간이 마련된다.
고정편(130)의 종단부, 즉, 연장부(133)의 단부를 체결홈(111)에 삽입한다. 체결홈(111)의 폭이 베이스부(131)의 두께보다 작으나, 베이스부(13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33)는 베이스부(131)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단차를 형성하므로, 연장부(133)가 체결홈(11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133)가 체결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31)는 플랜지부(122) 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머리(나사머리)를 플랜지부(122)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40)를 관통공(123)을 통과시킨 후에 베이스부(131)의 나사홈(132)에 체결시킨다. 따라서, 고정부재(140)가 플랜지부(122)를 먼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플랜지부(122)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도 베이스부(131)와 플랜지부(122) 간의 견고한 고정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커플링(120)과 고정편(130) 간의 체결과정에서 연장부(133)로부터 하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4)가 회전축(110)과 커플링(120) 사이의 이격공간 내에 삽입됨으로써, 모터(미도시)의 구동시에 회전축(110)과 커플링(12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사전에 방지하고, 부품 마모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130)은 총 3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각 고정편(130)이 플랜지부(122)에 체결되면, 고정편(130)의 단부인 연장부(133)는 체결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110)을 중심방향으로 더욱 가압하게 되고, 총 3개의 연장부(133) 각각이 회전축(110)을 가압하는 구조에 의하여 회전축(110)과 고정편(130)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나사와 같은 체결용 보조부재 없이도 등방향으로 배열되는 고정편(130)의 가압구조에 의하여 회전축(11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130)은 3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편(130)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및 커플링의 전체적인 크기, 이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여러 개의 고정편이 커플링에 견고히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회전축과 커플링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과 커플링 사이의 이격공간에 고정편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유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 등이 차단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회전축 120 : 커플링
130 : 고정편 140 : 고정부재

Claims (7)

  1.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외주면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내부에 수용하되, 내면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커플링;
    일단은 상기 커플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과 상기 회전축을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원통형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커플링은 내부에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고정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편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부와 체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며,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커플링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상기 중심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축을 커플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커플링과 회전축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길이는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상기 커플링의 최외곽 까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KR1020150000598A 2015-01-05 2015-01-05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KR10169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98A KR101697847B1 (ko) 2015-01-05 2015-01-05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98A KR101697847B1 (ko) 2015-01-05 2015-01-05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07A true KR20160084107A (ko) 2016-07-13
KR101697847B1 KR101697847B1 (ko) 2017-01-18

Family

ID=5650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598A KR101697847B1 (ko) 2015-01-05 2015-01-05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8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701U (ko) * 1996-10-29 1998-07-25 김종진 감속기 테스트기의 동력전달 장치
KR20010001506U (ko) * 1999-06-29 2001-01-15 이구택 시일 접촉부의 이동이 가능한 슬리이브 장치
KR20110072304A (ko) * 2009-12-22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와 변속기 연결구조
KR20130024927A (ko) * 2011-03-31 2013-03-0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발전기 모터
KR20140106400A (ko) * 2013-02-25 2014-09-03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701U (ko) * 1996-10-29 1998-07-25 김종진 감속기 테스트기의 동력전달 장치
KR20010001506U (ko) * 1999-06-29 2001-01-15 이구택 시일 접촉부의 이동이 가능한 슬리이브 장치
KR20110072304A (ko) * 2009-12-22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와 변속기 연결구조
KR20130024927A (ko) * 2011-03-31 2013-03-0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발전기 모터
KR20140106400A (ko) * 2013-02-25 2014-09-03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847B1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28480A1 (en) Rotary tool, in particular a drill, and a cutting head for said rotary tool
US10404130B2 (en) Electric motor
JP2006109690A (ja) モータ
US10040132B2 (en) Rotary tool, in particular a drill for such a rotary tool
US9384921B2 (en) Break-off-resistant control device
EP1314904B1 (en) A method for mounting a sleeve on a shaft and a sleeve device for such mounting
KR101697847B1 (ko) 모터 커플링간 고정구조
KR20170031036A (ko) 유체 구동 장치,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원심 마찰 클러치
JP2017017959A (ja) 電動機本体に脱着可能なシャフト支持装置およびシャフト支持装置を備える電動機
JP2010174966A (ja) 空調機用の動力伝達部材の固着装置
WO2018043338A1 (ja) 回転機械
JP2007325449A (ja) 片持ち軸回転電動機及びその輸送保護装置
KR101838740B1 (ko)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JP2010074951A (ja) アウタロータ型回転電機回転子
JP2007330084A (ja) ロータ
CN209916261U (zh) 震动轴与牙刷头的连接结构、电动牙刷及其手柄和刷头
JP4214762B2 (ja) トルク伝達具の組み付け方法
JP7069357B2 (ja) ファンブレード軸およびそれとファンブレードの組立構造、並びに軸受スリーブ
JP6581725B2 (ja) 動力工具
KR20170142403A (ko) 진공펌프의 샤프트 조립체
KR20170004392U (ko) 액츄에이터
KR20150052436A (ko) 워터펌프
JP2011094766A (ja) 出力軸と入力軸の継ぎ手構造
US10630125B2 (en) Rotor with magnet protection mechanism
JP6246049B2 (ja) 締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