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138A -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138A
KR20160082138A KR1020140194662A KR20140194662A KR20160082138A KR 20160082138 A KR20160082138 A KR 20160082138A KR 1020140194662 A KR1020140194662 A KR 1020140194662A KR 20140194662 A KR20140194662 A KR 20140194662A KR 20160082138 A KR20160082138 A KR 2016008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kin
hydrangea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042B1 (ko
Inventor
양미숙
송민정
고재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9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여드름 개선 효과, 피부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피부 외용제로서 사용되어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EXTRACT OF HYDRANGEA SERRATA}
본 명세서는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및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J. Invest. Dermatol. 1983;80:44~49).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은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의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인,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여러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over rate)가 늦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즉 피부 장벽 기능이 와해된 상태의 피부를 갖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피부 장벽 기능이 와해되어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질환으로 가려움증을 흔히 동반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제2형 T 보조 림프구가 매개하는 면역학적 이상에 의해 발병하며, 더불어 환경적 알레르겐, 유전적인 소인, 심리적 요인 또는 약리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건선은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으로 원인으로는 아직 완벽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면역세포인 T 세포의 활동성이 증가되어 면역 물질이 피부 각질세포를 자극하여 과다한 증식과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에는 T 임파구의 활성과다 및 IgE의 과다 분비로 인한 과민반응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 반응이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질환의 주된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이들 피부질환을 치료하려는 접근법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및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제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 보유 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 만으로는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대표적인 피부 염증 질환의 하나인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피지의 과다 분비, 과도하게 분비된 피지로 인한 모공의 감염을 주요 원인으로 들 수 있다. 과도한 피지로 인해 pH가 높아진 피부 표면에서는 여드름의 원인균이 증식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고 증식한 여드름균은 약해진 피부를 통해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여드름의 치료는 국소 제제 도포 요법 및 경구 약물 복용 요법과 최근 시행되고 있는 레이저 시술, 박피술 등 수술 요법이 있다. 국소 도포 요법은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작용 목적으로 아젤라익 애씨드(azelaic acid), 살리실산 등의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면포 용해 작용을 위해 벤조일퍼록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외용 연고 타입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제형화, 화장품 원료 법규 등으로 제품화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경구 약물 복용 요법은 피지선의 기능 억제와 모낭벽 파괴 억제 목적으로 레티노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이용하는데, 이들 제제는 과량 복용시 피부 발진, 피부 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있고 개인에 따라 알러지 현상이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 등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식물로부터 피부 외용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KR2002-0070566 A
J. Invest. Dermatol. 1983;80:44~49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반복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산수국 추출물이 피부에 대하여 안전하면서 우수한 보습 효과와 피부 면역력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면역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 및 면역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산수국(Hydrangea serrat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피부상태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장벽기능강화, 항염, 항균, 피지분비 억제 또는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피부 건조증(xeroderma), 또는 건선(psoriasis)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인 것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항균은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인 조성물 일 수 있다. 상기 여드름 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수국은 식물 전체, 산수국 목본의 잎, 줄기, 가지, 수피, 꽃, 종자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은 잎, 열매 및 수피가 1~10:1~3:1 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6~8: 1.5~2.5: 1의 중량비 또는 7:2:1의 중량비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것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산수국(Hydrangea serrata)은 수국속(Hydrangea) 식물이고, 수국속은, 수국과(Hydrangeaceae)에 속하며, 약 23종의 목본성 관목으로 이루어진다. 서반구와 아시아 동부가 원산지이다. 한국에서 자라는 수국속 식물로는 산수국(H. serrata)과 등수국 등이 있다. 산수국과 등수국은 산이나 들에 자라며, 정원에 심는 종류들은 수국과 그 품종들이다. 산수국은 한국 곳곳에서 볼 수 있으나 등수국은 울릉도와 제주도에서만 자란다. 이밖에 나무수국과 미국수국 등을 외국에서 들여와 정원 등에 조경용으로 심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산수국(Hydrangea serrata)은,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아큐미나타(S. et z.)윌슨(Hydrangea Serrata for .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부에제리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buergeri Nakai.),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코리아나 티. 리(Hydrangea serrata for. coreana T. Lee) 및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퍼틸리스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fertilis Nakai.)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아큐미나타(S. et z.)윌슨(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는, 산수국(이창복, 대한식물도감, 1984) 또는 꽃산수국이라고도 불리며(송주택, 1980, 한국식물자원), 털수국으로 불리기도 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옆활엽관목이다. 한국의 중부 이남의 표고 200~1,400m에 자생하며, 일본, 대만 등지에도 분포한다. 통상 1m까지 생장하고, 줄기의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며 일년생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뿌리는 잔뿌리와 보통 뿌리가 있고,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예첨두이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5~15cm, 폭 2~10cm 로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측맥과 뒷면 맥위에 털이 나있다. 꽃은 7~8월에 당해에 자란 가지 끝에 큰 편평꽃차례가 달리며, 털이 있고 그 둘레에 있는 무성꽃은 지름 2~3cm이며 꽃받침 조각은 꽃잎같고 3~5개이며 백홍벽색이거나 벽색이다. 양성의 꽃은 꽃받침 조각이 작고 꽃잎과 함께 각각 5개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3~4mm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소형의 거꿀달걀모양 삭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부에제리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buergeri Nakai.)는 꽃산수국(이창복, 대한식물도감, 1984) 또는 고려수국(송주택, 1980, 한국식물자원)이라고도 불린다. 한국 제주도를 포함한 중부 이남 및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생육온도는 16~30℃이며, 토양수분이 많은 물가나 골짜기에서 잘 자란다. 높이 1m까지 생장한다. 잎은 마주나고 긴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의 길이는 5~15cm, 폭은 2~10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백색 또는 청보라색이며, 7~8월에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주변의 중성화(中性花)는 꽃받침조각이 3~5개로 톱니가 있고 꽃잎처럼 생겼다. 중앙에 양성화가 달리며,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개이다. 열매는 삭과(朔果)로 10월에 익으며, 잔뿌리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코리아나 티. 리(Hydrangea serrata for. coreana T. Lee)는, 떡잎산수국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1984) 또는 긴잎산수국(송주택, 한국식물자원, 1980)으로 불리며,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옆활엽관목이다. 한국 중부 이남에 분포하며, 통상 1m까지 생장하고, 줄기의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며 일년생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뿌리는 잔뿌리와 보통 뿌리가 있고,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예첨두이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5~15cm, 폭 2~10cm 로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측맥과 뒷면 맥위에 털이 나있고, 잎이 특히 두껍다. 개화기는 7~8월로 당해에 자란 가지 끝에 장식꽃과 함께 다수의 양성의 꽃이 편평꽃차례를 이룬다. 장식꽃은 꽃받침 조각이 꽃잎 모양이고 3~5개이며 청색 또는 백색이다. 양성의 꽃은 꽃받침 조각이 작고 꽃잎과 함께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길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가을에 익으며 달걀모양 삭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퍼틸리스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fertilis Nakai.)는, 탐라수국(송주택, 한국식물자원, 1980) 또는 섬산수국으로 불리며,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이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분포하며, 산기슭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까지 생장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며 일년생 가지에 잔털이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점첨두이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5~15 cm , 폭 2~10 c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의 측맥과 뒤면 맥위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당해에 자란 가지끝에 큰 편평꽃차례가 달리며 털이 있다. 지름 2~3cm의 무성꽃과 함께 다수의 양성꽃이 큰 편평 꽃차례를 이룬다. 무성꽃은 꽃받침 조각이 꽃잎 모양이고 3~5개 이며 청색 또는 자주색이다. 양성꽃은 꽃받침 조각이 작고 꽃잎과 함께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달걀모양으로 가을에 익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산수국은 제주 서광다원 오설록 티뮤지엄에 관상수로 식재된 것을 시료화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산수국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산수국 추출물은 산수국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그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또는 추출액 중에 포함되고 있는 주된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산수국은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되거나, 생약 자체의 분쇄물, 또는 생약의 건조 분쇄물로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산수국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목본의 전체, 지상부 또는 뿌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상부의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수국 목본의 잎, 꽃, 가지, 줄기, 뿌리, 수피, 종자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산수국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산수국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산수국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서, 산수국 추출물은 산수국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산수국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산수국을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5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수국 추출물은 산수국-C1~C6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산수국 추출물은 물, C1-C6 알콜,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구체적으로 메탄올일 수 있다. 산수국을 용매로 추출 시, 산수국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산수국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산수국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의 산수국 추출물은 산수국을 세절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산수국에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넣고 환류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침적시킨 뒤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 하여 산수국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은 상기 방법에 따라 감압 농축된 산수국 농축물이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로 포함되도록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산수국 추출물의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절하고 건조된 산수국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산수국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100% 물, 70% 에탄올 또는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 온도는 물의 경우 18~80℃가 바람직하며 70% 에탄올과 부틸렌 글리콜의 경우는 18~40℃가 바람직하고, 추출 시간은 6~168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동결건조 시에는 -50 내지 -70℃ 에서 3~4일 동안 동결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상기 산수국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 또는 0.5~10 중량%이 사용될 수 있다. 0.001 중량%이하의 경우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50중량% 포함시에는 제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산수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0.01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3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0.8중량% 이상, 1중량% 이상, 3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35중량% 이상, 또는 40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60중량%이하 또는 50중량%이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의 농도는 0.01ug/mL 내지 100ug/mL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수국 추출물의 농도는 0.01ug/mL 이상, 0.1ug/mL 이상, 0.3ug/mL 이상, 0.4ug/mL 이상, 0.5ug/mL 이상, 0.6ug/mL 이상, 0.7ug/mL 이상, 1ug/mL 이상, 5ug/mL 이상, 10ug/mL 이상, 100ug/mL 이상, 또는 1000ug/mL 이상일 수 있으며 100mg/mL 이하 또는 10mg/mL 이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명세서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는 산수국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는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시험예 및 제조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시험예 및 제조예는 본 명세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명세서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아큐미나타(S. et z.)윌슨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아큐미나타(S. et z.)윌슨(Hydrangea Serrata for .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의 잎, 열매, 수피 를 7:2:1의 중량비로 총 1kg을 70 % 에탄올 수용액으로 24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45℃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60℃에서 3일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이 산수국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로 포함되도록 에탄올을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부에제리 나카이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부에제리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buergeri Nakai.)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코리아나 티. 리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코리아나 티. 리(Hydrangea serrata for. coreana T. Lee)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퍼틸리스 나카이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퍼틸리스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fertilis Nakai.)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본 명세서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4의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명시된 조성에 따라 크림으로 제조하였다(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아큐미나타(S. et z.)윌슨(실시예 1),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부에제리 나카이(실시예 2),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코리아나 티. 리(실시예 3),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퍼틸리스 나카이(실시예 4)). 비교를 위하여, 산수국 추출 포함하지 않은 크림 제형을 비교예로 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내지 4 (중량%) 비교예 1(중량%)
정제수 to 100 to 100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한가지 산수국 추출물 0.5 -
식물성 경화유 1.5 1.5
스테아린산 0.6 0.6
스테아릴 알코올 2.0 2.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 1.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 1.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1.0 1.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2.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 1.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1 11
사이클로메디콘 6 6
트리에탄올아민 0.1 0.1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 내지 4에서 산수국을 버드나무로 하여 동일한 방법을 통해 버드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피부 보습 효능 실험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30~40대 성인 남, 녀 50명에게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의 화장품 조성물을 얼굴 및 전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1)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되었다.
3)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12시간,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피부수분량(%)
도포전 12시간 후 24시간 후
실시예 1 24.1 37.2 34.0
실시예 2 23.9 37.1 33.7
실시예 3 24.2 37.5 34.1
실시예 4 24.5 37.9 34.3
비교예 1 25.4 33.1 26.0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비교예 1을 도포한 경우는 도포 후 12시간 경과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지만, 24시간 경과 후에는 도포 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반면,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4를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 또한 비교예 1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측면에 따른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하게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 건조증(또는 건선) 개선 효과에 대한 평가
상기 시험예 1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을 사용하고 난 후의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피부 건조함 개선 효과 정도에 대하여 만족도를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및 미흡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응답자 수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 1 8 29 12 1
실시예 2 9 28 12 1
실시예 3 9 29 11 1
실시예 4 10 29 9 2
비교예 1 5 19 18 7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은 양호 이상으로 표시한 사람의 수가 24명인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4은 각각 37명, 37명, 38명, 39명으로서 비교예 1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1의 경우보다 본 명세서에 의한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가 피부 건조증(또는 건선)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평가
급성 악화된 아토피 피부염을 나타내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4를 사용하고 난 후의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의 사용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서 아침에 1회 도포 후 저녁에 1회 도포하였다. 도포 시에는 화장품 크림을 사용하듯 피부에 직접 상기 크림을 도포하였으며,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에 상기 크림을 도포하였다. 한 명의 동일한 검사자가 환자의 피부 병변의 호전 정도, SCORAD(SCORing Atopic Dermatitis) 점수를 평가하였고, 환자는 가려움증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각적 아날로그 스케일(visual analogue scale, VAS, 0~10 cm)을 기록하였다. 상기 평가 및 기록은 도포 후 1시간 이내에 이루어진 것이다. 실험 후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도포전 1회 도포 후 2회 도포 후
SCORAD 스코어 실시예 1 53.10 41.80 36.50
실시예 2 53.10 40.20 34.30
실시예 3 53.10 40.12 33.90
실시예 4 53.10 37.50 34.00
VAS 스코어 실시예 1 9 6 4
실시예 2 9 6 4
실시예 3 9 5 3
실시예 4 9 5 2
SCORAD 스코어의 경우 40이상이면 아토피 증상이 심각한 것으로서 판단된다.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53.10이던 스코어가 모두 40이하로 감소하여 아토피 상태가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VAS 스코어의 경우 10에 가까울수록 그 통증 정도가 매우 극심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도포 전 9점이있던 것이 2회 도포 후에는 모두 4점 이하로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환자가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해 느끼는 통증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의 반복 도포를 실시함으로 인하여 SCORAD 스코어, VAS 스코어 모두 감소하여 체내 염증 반응, 가려움증을 비롯한 전반적인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개선, 예방, 치료되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가지고 여드름 원인 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ATCC 6919: 배지-BHI 브로쓰(broth)>에 대하여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시험 균액 준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BHI 브로쓰에 접종하여 혐기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2)희석 용액 준비
BHI 브로쓰(pH 6.8) 또는 LB 브로쓰(pH 4.5) 15ml에 상기 시험 균액을 0.15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3)시료 준비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인 크림을 원액 그대로 시료로 사용하였다.
(4)항균력 시험
1)96웰의 세포배양관(96well plate) 1번 행에 출발 농도 0.4%에 맞도록 시료를 넣고 희석용액으로 총량을 200ul로 맞춘다. 나머지 웰들에는 희석용액 100ul씩을 넣는다.
2)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u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ul를 취하여 3번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 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한다.
3)32℃에서 24시간 및 48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 농도를 MIC(최소저지농도;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값으로 결정한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한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pH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실시예 실시예 1 5.37 <5ppm
실시예 2 5.32 <4.9ppm
실시예 3 5.33 <5ppm
실시예 4 5.29 <4.8ppm
비교예 1 5.63 <10ppm
실시예 1 내지 4는 시험균에 대해 각각 MIC 5, 4.9, 5, 4.8ppm의 항균력이 있었다. MIC에서 ppm농도가 적을수록 더 적은 농도에서 여드름균에 대해 유효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여드름균을 항균하는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에 비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억제하는 MIC 농도가 약 2배 낮으므로 이러한 여드름균을 항균함에 있어서 약 2배 높은 현저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여드름 개선과 피지분비 감소 및 자극 유무의 시험
여드름을 보유하고 있는 12명에게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인 크림을 한 달간 사용하게 하였다. 여드름 개선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12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여드름 소멸 시기는 소멸이 판독된 일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드름 재발은 유무로 1개월 뒤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피지 분비감소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12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반응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보았다.
염증성 여드름 개선 면포성 여드름 소멸 시기 여드름 재발 피지 분비 감소 자극 유무
실시예 실시예 1 4.37 4일 4.03 1/12
실시예 2 4.5 4일 4.05 1/12
실시예 3 4.44 3일 4.09 2/12
실시예 4 4.62 3일 4.11 1/12
비교예 1 3.1 8일 2.97 3/12
상기 표 6에 나타나듯이,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에 비해 여드름이 재발되지 않았고, 염증성 여드름 개선에 대해 평균 4점 이상, 면포성 여드름 소멸시기에 대해 평균 4일 이하, 피지분비 감소에 대해 평균 4점 이상을 획득하여, 여드름 개선, 예방 치료에 대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지분비 억제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극 여부, 개선 속도, 개선 정도, 피지분비 감소정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볼 때 산수국 추출물이 여드름 피부의 환자에게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염증 개선 효과
항염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전기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식세포(ATCC로부터 구매)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마우스의 복강에서 채취한 대식세포에 최종농도가 500M이 되도록 아스피린을 첨가해 세포에 잔존하는 시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현탁액을 96웰의 세포배양관의 각 웰에 100㎕를 넣어 5% CO2와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 세포를 용기 표면에 부착시켰다. 이어, 부착된 대식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 이를 추출물의 효과 시험에 사용하였다. 전기 배양된 대식세포 5x104셀(cell)/㎖에 LPS를 1%(w/v)로 포함하는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배지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유발하고 제조예 1 내지 4의 산수국 추출물과 비교예 2의 버드나무 추출물을 0.5ug/mL의 농도로 100㎕처리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을 효소면역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때,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효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블랭크(Blank) 100%
대조군(아스피린 처리군) 25%
제조예 제조예 1 35.5%
제조예 2 37.8%
제조예 3 38.0%
제조예 4 37.9%
비교예 2 21.5%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결과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제조예 1 내지 4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산수국 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4의 경우 버드나무 추출물인 비교예 2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산수국 추출물은 뛰어난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한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제형예 2] 정제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드링크제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4] 과립제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형예 6] 건강기능식품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20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7] 건강 음료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제형예 8]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9]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0] 영양크림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1] 마사지 크림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추출물 2.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2] 팩
하기 표 1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산수국 0.2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명세서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산수국(Hydrangea serr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수국은,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아큐미나타(S. et z.)윌슨(Hydrangea Serrata for .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부에제리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buergeri Nakai.),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코리아나 티. 리(Hydrangea serrata for. coreana T. Lee) 및 하이드란제 세라타 포 퍼틸리스 나카이(Hydrangea serrata for. fertilis Naka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장벽기능강화, 항염, 항균, 피지분비 억제 또는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피부 건조증(xeroderma), 또는 건선(psoriasis)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항균은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여드름 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산수국은 산수국 전체, 목본의 잎, 줄기, 가지, 수피, 뿌리, 종자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산수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 중량%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40194662A 2014-12-31 2014-12-31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62A KR102348042B1 (ko) 2014-12-31 2014-12-31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62A KR102348042B1 (ko) 2014-12-31 2014-12-31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138A true KR20160082138A (ko) 2016-07-08
KR102348042B1 KR102348042B1 (ko) 2022-01-10

Family

ID=5650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62A KR102348042B1 (ko) 2014-12-31 2014-12-31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46A1 (ko) * 2017-11-02 2019-05-0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 손상 개선용 조성물
WO2019088720A1 (ko) * 2017-11-06 2019-05-09 (주)아모레퍼시픽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6347B1 (ko) * 2018-12-20 2020-05-27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효능과 열안정성이 강화된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개선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200058301A (ko) * 2018-11-19 2020-05-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1080129A1 (ko) * 2019-10-22 2021-04-2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10085175A (ko) 2019-12-30 2021-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10086768A (ko) * 2019-12-30 2021-07-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50893B1 (ko) * 2022-03-16 2022-10-06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수국 잎 유래 엑소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359A (ja) * 1998-09-30 2000-06-20 Kao Corp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2001039848A (ja) * 1999-07-27 2001-02-13 Kao Corp 皮膚外用剤
JP2001261543A (ja) * 2000-03-17 2001-09-26 Kao Corp 皮膚化粧料
JP2002226386A (ja) * 2001-01-30 2002-08-14 Rohto Pharmaceut Co Ltd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KR20020070566A (ko) 2001-03-02 2002-09-10 조천호 피부개선제용 조성물
JP2014214139A (ja) * 2013-04-26 2014-11-1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Nadh産生促進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359A (ja) * 1998-09-30 2000-06-20 Kao Corp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2001039848A (ja) * 1999-07-27 2001-02-13 Kao Corp 皮膚外用剤
JP2001261543A (ja) * 2000-03-17 2001-09-26 Kao Corp 皮膚化粧料
JP2002226386A (ja) * 2001-01-30 2002-08-14 Rohto Pharmaceut Co Ltd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KR20020070566A (ko) 2001-03-02 2002-09-10 조천호 피부개선제용 조성물
JP2014214139A (ja) * 2013-04-26 2014-11-1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Nadh産生促進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Invest. Dermatol. 1983;80:44~49
Journal of fish pathology, 2009, 22(1), 53-65* *
Natural Product Sciences, 2005, 11(1), 16-21* *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46A1 (ko) * 2017-11-02 2019-05-0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 손상 개선용 조성물
CN111315353A (zh) * 2017-11-02 2020-06-19 科丝美诗生物有限公司 包含粗齿绣球提取物的因紫外线引起的人皮肤细胞损伤改善用组合物
CN111315353B (zh) * 2017-11-02 2021-08-13 科丝美诗生物有限公司 包含粗齿绣球提取物的因紫外线引起的人皮肤细胞损伤改善用组合物
WO2019088720A1 (ko) * 2017-11-06 2019-05-09 (주)아모레퍼시픽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1350A (ko) * 2017-11-06 2019-05-15 (주)아모레퍼시픽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15354A (zh) * 2017-11-06 2020-06-1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粗齿绣球提取物的用于皮肤抗老化及保湿的化妆料组合物
KR20200058301A (ko) * 2018-11-19 2020-05-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96347B1 (ko) * 2018-12-20 2020-05-27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효능과 열안정성이 강화된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개선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WO2021080129A1 (ko) * 2019-10-22 2021-04-2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10085175A (ko) 2019-12-30 2021-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10086768A (ko) * 2019-12-30 2021-07-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50893B1 (ko) * 2022-03-16 2022-10-06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수국 잎 유래 엑소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042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40410B1 (ko)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50057335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5645B1 (ko) 천연식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KR102534945B1 (ko) 상동나무캘러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959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06459B1 (ko) 잣잎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3749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