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335A -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335A
KR20150057335A KR1020130140561A KR20130140561A KR20150057335A KR 20150057335 A KR20150057335 A KR 20150057335A KR 1020130140561 A KR1020130140561 A KR 1020130140561A KR 20130140561 A KR20130140561 A KR 20130140561A KR 20150057335 A KR20150057335 A KR 2015005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body odor
deodorant
coniferous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448B1 (ko
Inventor
백석윤
장희경
양미숙
유세진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4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구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땀으로 인해 균이 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체취를 억제함으로써 체취에 대한 불쾌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향취 기호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사람의 체취 억제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VERING BODY ODOR COMPRISING EXTRACT OF KOREAN FIR}
본 명세서는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취는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이 미생물이나 세균 등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몸 전체에 분포하는 에크린 땀샘(eccrine sweat gland)과 겨드랑이 등 체모가 많은 부분에 분포하는 아포크린 땀샘(apocrine sweat gland) 등에서 분비되는 땀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과 단백질 그리고 피지, 오염물 등이 미생물이나 세균 등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액취, 족취, 두취 등 불쾌감을 일으키는 체취를 발생시킨다.
격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과도한 땀과 피지 분비, 느끼하고 기름진 음식 섭취에 따른 단백질과 지방이 땀과 함께 분비 등이 심한 체취의 원인이 되며 향취가 강한 양파, 마늘, 카레와 같은 식품이나 카페인이 많이 포함된 커피, 초콜렛, 콜라, 몸 속에 단백질과 지방을 늘려주는 음주와 그 자체가 쾌쾌한 냄새를 몸에 배게 하는 흡연 등도 체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체취는 남성, 여성, 아기, 노인 등 성별 및 나이에 따라 각기 다른 특이취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체취를 제어하기 위해 제한, 소취 항균, 마스킹 등의 방법이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마스킹 방법으로서, 향을 이용하여 체취를 마스킹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체취를 가리기 위해 잘못된 향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악취를 풍기게 되어 역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그 향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여러 가지 식물의 정유 성분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식물로부터 피부 외용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KR10-0785974 B1
본 명세서는 상기 합성 항균원료의 유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상나무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갖고, 체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구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땀으로 인해 균이 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체취를 억제함으로써 체취에 대한 불쾌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향취 기호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효과가 있는 구상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여 미생물에 의한 체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체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기호성이 우수한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구상나무(Abies Korean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체취 억제용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체취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마이크로코쿠스 속(Micrococcus)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코쿠스 속(Micrococcus)은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일 수 있고,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은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억제는 0.2mg/mL 이하의 최소저해농도(MIC)로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4mg/mL 이하의 최소저해농도(MIC)로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억제의 최소저해농도는 0.25mg/mL 이하, 0.2mg/mL 이하, 0.16mg/mL 이하, 0.15mg/mL 이하, 0.12mg/mL 이하, 0.10mg/mL 이하, 0.05mg/mL 이하, 0.04mg/mL 이하, 0.03mg/mL 이하, 0.02mg/mL 이하, 또는 0.01mg/mL 이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구상나무는 구상나무 목본의 잎, 수피 및 구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잎, 구과 및 수피가 7:2: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1~10:1~3:1 의 중량비, 또는 6~8: 1.5~2.5: 1의 중량비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것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고상 스틱 방취제, 액상 롤온 방취제, 에어로졸 방취제, 펌프 스프레이 방취제, 반고상 겔 방취제, 소프바, 연고, 현탁액, 경고제, 패치제, 물파스, 방취 로션 및 크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조성물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체취 억제용 식품 조성물은 이러한 식품 조성물을 경구로 섭취하고 체취를 개선하는 물질이 체표면으로 방출되어 체취를 개선하는 체내 섭취용 체취 개선제 일 수 있다. 이러한 체내 섭취용 체취 개선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26130에 개시되어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인체 체취 저감용 보조식품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구상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구상나무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그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또는 추출액 중에 포함되고 있는 주된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증류하여 얻는 오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상나무는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되거나, 생약 자체의 분쇄물, 또는 생약의 건조 분쇄물로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상나무는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목본의 지상부 또는 뿌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상부의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상나무 목본의 잎, 수피 및 구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구상나무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구상나무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의 일측면에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구상나무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구상나무를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구상나무를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5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상나무 추출물은 구상나무-C1~C6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상나무 추출물은 물, C1-C6 알콜,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구체적으로 메탄올일 수 있다. 구상나무를 용매로 추출 시, 구상나무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구상나무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상나무 추출물은 구상나무를 세절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구상나무에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넣고 환류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침적시킨 뒤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 하여 구상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상기 방법에 따라 감압 농축된 구상나무 농축물이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로 포함되도록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환 본 명세서의 구상나무 추출물의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절하고 건조된 구상나무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구상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100% 물, 70% 에탄올 또는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 온도는 물의 경우 18~80℃가 바람직하며 70% 에탄올과 부틸렌 글리콜의 경우는 18~40℃가 바람직하고, 추출 시간은 6~168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샘플 1kg을 물에 담가 수증기로 100도에서 2시간 동안 냉각하는 물의 온도는 4도씨로 하여 증류한 후, 수용성 분획을 포함하고 있는 휘발성 화합물들은 20분간 정치시키고, 정유층은 마이크로필트레이션으로 걸러낸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상기 구상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 0.1~1 중량%, 2~5 중량%, 0.5~10 중량%, 또는 1~50중량% 이 사용될 수 있다. 0.001 중량%이하의 경우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50중량% 포함 시에는 제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구상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0.01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3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0.8중량% 이상,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3중량% 이상, 4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35중량% 이상, 또는 40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60중량%이하 또는 50중량%이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5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0.0001 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5 중량% 초과이면 향취에 대한 기호성이 좋지 않다. 또한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이상, 0.001 중량%이상, 0.01 중량%이상, 0.1 중량%이상, 0.5 중량%이상, 1 중량%이상, 5 중량%이상, 7 중량%이상, 9 중량%이상, 10 중량%이상, 12 중량%이상, 또는 14 중량%이상 일 수 있으며 20중량%이하 또는 15중량%이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고상 스틱 방취제, 액상 롤온 방취제, 에어로졸 방취제, 펌프 스프레이 방취제, 반고상 겔 방취제, 소프바, 연고, 현탁액, 경고제, 패치제, 물파스, 방취 로션 및 크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명세서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는 구상나무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는 구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명세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구상나무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구상나무의 잎, 구과, 수피 를 7:2:1의 중량비로 총 1kg을 70 % 에탄올 수용액으로 24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45℃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60℃에서 3일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이 구상나무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로 포함되도록 에탄올을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구상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구상나무 추출물의 항균력 측정
실험에 사용한 땀의 물질을 분해시켜 악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액취균으로 알려져 있는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와 코리네박테리움을 공시균으로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ATCC 10240, 코람바이오텍에서 구입), 코리네 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ATCC 11951, 코람바이오텍에서 구입)는 브레인 허트 인퓨전(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ATCC 7711, 유전자은행에서 구입)는 브레인 허트 인퓨전(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 소혈청(calf serum)을 10% 첨가한 배지에 각각 접종하여 32℃에서 24시간 진탕 배양 한 배양액을 동일 배지로 각각 1/20 희석한 희석액을 시험용 균액으로 사용하였다.
각 배지용액 15 ml에 상기 시험균액을 0.15 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96 딥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 1번 행에 0.1 ug/mL 농도의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및 그 비교예로 살리실산을 16㎕씩 넣고, 희석용액을 184㎕씩 넣었다. 나머지 well들에는 희석용액 100㎕씩을 넣었다.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2배씩 희석시켰다. 32 ℃에서 48시간 배양한 후에 균 증식 여부를 현탁도와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최소저해농도(MIC) 값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질명
최소 저해 농도(MIC), mg/mL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 코리네 박테리움 디프테리아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0.04 0.16 0.04
살리실산 0.25 0.25 0.25
일반적으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살리실산의 최소저해 농도는 0.25mg/mL로 본 명세세에 따른 구상나무 추출물의 효능과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은 0.2mg/mL 이하의 적은 농도에서도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 및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 균에 대해서는 0.04mg/mL의 낮은 MIC 농도를 가지므로 살리실산에 비해 그 효과가 50배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땀이 나면서 발생하는 특유의 체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체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체취 방지제(데오도란트)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2(중량%) 비교예1(중량%)
1. 정제수 잔량 잔량
2. 계면 활성제 0.5 0.5
3. 폴리올 10 10
4. 알코올 70 70
5. 살리실산 - 0.5
6.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0.5 -
[시험예 2] 체취 억제효과 측정
제조된 실시예 2, 비교예 1의 체취 방지제를 직접 인체에 적용한 후 관능적으로 체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평소 겨드랑이나 발냄새가 자각적 또는 타각적으로 심하다고 느끼는 20세 이상의 일반인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쪽은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한쪽만 체취방지제 내용물을 사용하게 한 후 겨드랑이와 발에서 나는 냄새를 전문가 패널이 직접 맡아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체취방지제 조성물의 체취 억제 정도와 향에 대한 기호성은 각각 5점의 척도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체취가 억제 정도가 높고 기호성이 우수하다). 체취 방지제의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평가요원 체취억제정도 기호성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실시예 2
1 3 5 3 4
2 3 4 3 4
3 3 4 3 4
4 2 5 2 5
5 4 5 2 5
6 3 5 4 4
7 4 5 3 4
8 3 4 3 5
9 4 4 3 4
10 3 4 2 5
11 4 3 2 4
12 3 4 4 4
13 3 4 3 5
14 3 4 2 4
15 3 5 3 4
평균 3.2 4.3 2.8 4.3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사용한 체취 방지제는 체취 억제 정도가 3.2점인 살리실산을 사용한 내용물보다 체취 억제 정도가 4.3점으로 높았으며 향의 기호성도 4.3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여 만든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적용한 체취 방지제는 체취 억제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기호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은 좋지 않은 체취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체취에 대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향취 기호성 또한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체취 방지제(데오도란트)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체취방지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계면 활성제 0.5
폴리올 10
알코올 70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0.5
[제형예 2] 인체 체취 저감용 보조식품 조성물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섭취하여 체취를 저감화 할 수 있는 보조식품 조성물로서 정제(tablet)를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mg)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300
유당 100
전분 100
탈크 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제형예 3]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영양크림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마사지 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2.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팩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0.2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8] 바디클린저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바디클린저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구상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 0.3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0.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20.0
글리세린 15.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명세서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 일 뿐이며, 이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구상나무(Abies Korean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마이크로코쿠스 속(Micrococcus)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는 0.2mg/mL(w/v) 이하의 최소저해농도(MIC)로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는 0.04mg/mL(w/v) 이하의 최소저해농도(MIC)로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구상나무는 구상나무 목본의 잎, 수피 및 구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상 스틱 방취제, 액상 롤온 방취제, 에어로졸 방취제, 펌프 스프레이 방취제, 반고상 겔 방취제, 소프바, 연고, 현탁액, 경고제, 패치제, 물파스, 방취 로션 및 크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30140561A 2013-11-19 2013-11-19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10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561A KR102101448B1 (ko) 2013-11-19 2013-11-19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561A KR102101448B1 (ko) 2013-11-19 2013-11-19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35A true KR20150057335A (ko) 2015-05-28
KR102101448B1 KR102101448B1 (ko) 2020-04-17

Family

ID=5339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561A KR102101448B1 (ko) 2013-11-19 2013-11-19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10A1 (ko) * 2020-07-21 2022-01-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140B1 (ko) 2024-01-19 2024-05-08 주식회사 에바스코스메틱 원적외선 방사 발효를 이용한 체취 제거 개선효과를 갖는 감압농축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압농축발효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92A (ja) * 1993-03-08 1994-09-13 Honsyu Kosan Kk 抗菌性薬用洗浄剤
KR100785974B1 (ko) 2006-12-28 2007-12-14 김종관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1633A (ko) * 2007-03-06 2008-09-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비누 조성물
KR100992088B1 (ko) * 2010-02-08 2010-11-04 장문식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1418A (ko) * 2009-07-28 2011-02-08 (주)웰바이코리아 애견의 냄새와 세균성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피톤치드 활용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92A (ja) * 1993-03-08 1994-09-13 Honsyu Kosan Kk 抗菌性薬用洗浄剤
KR100785974B1 (ko) 2006-12-28 2007-12-14 김종관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1633A (ko) * 2007-03-06 2008-09-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비누 조성물
KR20110011418A (ko) * 2009-07-28 2011-02-08 (주)웰바이코리아 애견의 냄새와 세균성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피톤치드 활용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KR100992088B1 (ko) * 2010-02-08 2010-11-04 장문식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10A1 (ko) * 2020-07-21 2022-01-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448B1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9445987B2 (en) Ceramide production enhancer and moisturizer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9271A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01448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150125242A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4767600A (zh) 含有柠檬桃金娘和绣球菌混合提取物的抗氧化、抗炎、抗污染的组合物
KR101189794B1 (ko) 양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144688A (ko)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e)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5450A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62362B1 (ko) 참외 줄기 또는 오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600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3499A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TWI685355B (zh) 以大星芹(Peucedanum Ostruthium)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美白肌膚、減少黑色素及抑制色素沉著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