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485A -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485A
KR20160081485A KR1020140195390A KR20140195390A KR20160081485A KR 20160081485 A KR20160081485 A KR 20160081485A KR 1020140195390 A KR1020140195390 A KR 1020140195390A KR 20140195390 A KR20140195390 A KR 20140195390A KR 20160081485 A KR20160081485 A KR 20160081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ancer
heterocycloalkyl
phenyl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진
손정범
박창희
강석종
최재율
김서희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485A/ko
Publication of KR2016008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AK1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티아졸리딘 유도체는 TAK1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THIAZOLIDINE DERIVATIVE COMPOUND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AK1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키나아제(protein kinase)는 단백질의 타이로신, 세린 또는 트레오닌 잔기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기의 인산화 반응을 통한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로서, 세포의 성장, 분화 및 증식 등에 깊숙이 관여한다.
세포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의 켜짐과 꺼짐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특정 단백질 키나아제의 과발현 또는 돌연변이에 의해 정상적인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이 붕괴(주로 세포 내 신호 전달이 계속 되는 상태)되면 각종 암, 염증성 질환, 대사성 질환 또는 뇌질환 등 다양한 질병이 유발된다. 단백질 키나아제는 인간 전체 유전자의 약 1.7%에 해당하는 518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크게 타이로신 단백질 키나아제(90종 이상)와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로 양분된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에는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의 패밀리가 포함되며, 이들은 다양한 생물학적 프로세스에 작용한다. MAPK는 특정한 티로신 및 트레오닌 잔기에서 MAPK 키나아제(MAPKK)에 의해 인산화됨으로써 활성화되며, MAPKK는 세린 및 세린/트레오닌 잔기에서 MAPKK 키나아제(MAPKKK)에 의해 인산화됨으로써 활성화된다. MAPKKK 군에는, MEKK1, MEKK3, NIK 및 ASK1 및 Raf를 포함한 몇 가지가 포함된다. 사이토카인, 증식인자 및 환경 스트레스를 포함한 여러 가지 세포외 자극에 따른 MAPKKK의 활성화에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이 관계한다.
트랜스포밍 증식 인자-β(TGF-β)-활성화 키나아제1(TGF beta-Activated Kinase-1, TAK1)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키나아제 키나아제(MAPKKK) 군의 일원이며, 트랜스포밍 증식인자-β, 인터루킨-1(IL-1), 종양괴사인자-α(TNF-α),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NF-κB 리간드의 수용체 활성제(activator)(예컨대,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를 조절한다) 및 IL-8에 의해 자극되는 신호 전달 경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TAK1은 c-Jun N 말단 키나아제(JNK) 및 p38 MAPK 양쪽의 단계반응(cascade)을 조절하고, 이때 MAPK 키나아제류인 MKK4 및 MKK3/6을 각각 인산화한다.
NF-κB 인자는, 아포토시스, 세포 주기, 형질 전환(transformation), 면역 응답 및 세포 접착에 관계하는 여러 가지의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TAK1은 IκB 키나아제(IKK) 신호 전달경로를 조절하여, 전사인자 AP-1 및 NF-κB의 활성화를 발생시킨다. 또한, TAK1은 Wnt 신호전달경로의 음성 조절인자(negative regulator)이며, TAK1은 β-카테닌 및 T-세포 인자/림프 증식 인자의 복합체에 의해 중개되는 전사 조절을 하향 조정(down-regulates)한다. TNF-α 및 IL-1β 유도에 의한 신호 전달에 있어서의 TAK1의 역할은 포유 동물 세포에 있어서의 TAK1 RNAi 실험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TNF-α 및 IL-1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및 MAPK의 활성화는 양쪽 모두 저해되었다.
키나아제 실활(dead) TAK1의 과잉발현은 IL-1 및 TNK 유도에 의한 JNK/p38및 NF-κB 활성화를 양쪽 모두 저해한다. TAK1-/-마우스의 배아섬유아세포는 IL-1 유도에 의한 신호 전달이 감소하여 약하고, 미발달 치사(embryonic lethal)된다. 성체 마우스의 심근에서 압력 과부하 후의 TAK1가 활성화된다. 심근의 구성성 활성 TAK1의 발현은 형질전환 마우스의 심근비대 및 심부전을 유발한다.
TAK1은, TAK1 결합단백질(TAB1)이 TAK1의 N-말단 키나아제 도메인과 회합함으로써 활성화된다. TAK1의 회합 및 활성화에는 TAB1의 C-말단 68개의 아미노산으로 충분하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 TAB1 세그먼트에는 단지 잔기 480-495가 포함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TAB1의 결실변이체는, 방향족 Phe484 잔기가 TAK1 결합에 있어서 결정적임을 보여준다. 키나아제 활성화 고리에서의 트레오닌/세린잔기의 자기인산화는 TAB1-유발에 의한 TAK1 활성화에 필요하고, Ser192Ala 변이는 키나아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Ser192는 가장 가능성이 있는 후보라고 생각된다.
TAK1은 염증성 NF-κB 신호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핵심 분자이기 때문에, TAK1 저해제는 염증 및 조직파괴에 관련된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염증성장질환(클론병), 또한 세포 프로세스, 예컨대 스트레스 반응, 아포토시스, 증식 및 분화에 효과적이다.
여러가지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내독소가 내재성 TAK1의 키나아제 활성을 유발한다는 점, 및 TAK1의 초파리(drosophila) 상동이 초파리에서의 호스트 방어 신호 전달에 필수적인 분자임이 최근 확인되었다. TAK1의 천연 저해제인 5Z-7-옥소제아에놀(5Z-7-oxozeaenol)은 8 nM의 IC50 값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Z-7-옥소제아에놀은 MAPKKK 군 내에서 TAK1에 대하여 선택적인 것으로 보이고, 피크릴 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된 귀 부종 마우스 모델의 염증을 경감한다.
TAK1 중개에 의한 생존의 잠재적 메카니즘은, TAK1이 IKK 및 MKK를 인산화하고, 최종적으로 세포 생존에서 역할을 하는 전사 인자인 NF-κB 및 AP-1 양쪽의 활성화를 일으키는 능력에 의해서 추진된다.
또한, TAB1:TAK1:IKKβ:NF-κB 신호 전달축이 유방암 세포에서 이상 형성되어, 그 결과 TGF-β에 의한 발암성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TGF-β 신호 전달이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를 통한 메카니즘을 통해서 종상의 혈관 형성 및 침윤에 관여하고, 또한 TAK1은 TGFb1-중개에 의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의 조절 및 전이에 요구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TGF-β 신호 전달이 상피-간엽이행(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EMT)을 유도할 수 있어, 종상의 침윤 및 진행에 관여하는 것, 및 그 프로세스에 TAK1이 요구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TAK1은 TGF-β의 발암 촉진 기능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또한, MDP-NOD2 및 LPS-TLR4에 의해 IL-1β 및 TNFα의 생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경로가 TAK1의 레벨을 수렴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약제로서 효과적인 TAK1의 선택적 저해제를 발견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러 가지 세포 응답에 관여하는 다수의 단백질 키나아제가 있기 때문에, 비선택적 저해제는 원치 않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관해, 키나아제의 삼차원 구조는 저해제의 합리적인 설계를 도울 수 있다. TAK1의 결합 포켓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정 및 그들의 결합 포켓의 형상의 결정에 의해, 이 클래스의 효소에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선택적 저해제를 설계할 수 있다. TAK1의 결합 포켓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정 및 그들의 결합 포켓의 형상의 결정에 의해, 그들의 결합 포켓에의 화합물의 결합을 측정하고, 예컨대 TAK1에 결합할 수 있는 저해제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TAK1이 JNK, p38 및 NF-kB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염증성 신호 전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TAK1 저해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촉진되는 염증 및 조직파괴의 저지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p38의 저해제도 염증 및 알러지성 장애의 처치를 위해 제안되었다(US 2009/0124604; US 2009/0012079).
US 2009/0124604 US 2009/0012079
본 발명의 목적은 TAK1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티아졸리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pat00002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의미하고;
X는 CH 또는 N이고;
Y는 H, 할로겐,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C1-3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H,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CF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이고;
R1은 H 또는 C1-6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C1-6알킬이며;
R2는 H,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3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또는 5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고,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헥실, 페닐 또는 비페닐이며;
상기 R1 및 R2의 알킬과, R2의 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OH, 할로겐, C1-6알킬, 디C1-6알킬아미노, C1-6알콕시, 할로C1-3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디C1-6알킬아미노)헤테로사이클로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10사이클로알킬)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콕시,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설파모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보닐,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킬)아미노카보닐 및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C1-6알킬)아미노,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C3-10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및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1 또는 2이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탄소수 1 내지 6개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이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펜틸, iso-아밀, 헥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탄소수 3 내지 12개의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비-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으로,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탄소수 6 내지 12개의 방향족 그룹으로, 예를 들어, 페닐, 나프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O, N 및 S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예를 들어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3 내지 10원의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환상 알킬을 나타낸다. 모노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아모폴린일, 피롤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피페라진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O, N 및 S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예를 들어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2원의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방향족 그룹을 의미한다.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티아졸릴, 옥사졸릴, 티오펜일, 퓨란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리딘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피라진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인돌릴, 벤조티오펜일, 벤조퓨란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티아디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 퓨린일, 퓨로피리딘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티아졸리딘 유도체는 TAK1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AK1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졸리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pat00004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의미하고;
X는 CH 또는 N이고;
Y는 H, 할로겐,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C1-3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H,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CF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이고;
R1은 H 또는 C1-6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C1-6알킬이며;
R2는 H,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3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또는 5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고,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헥실, 페닐 또는 비페닐이며;
상기 R1 및 R2의 알킬과, R2의 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OH, 할로겐, C1-6알킬, 디C1-6알킬아미노, C1-6알콕시, 할로C1-3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디C1-6알킬아미노)헤테로사이클로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10사이클로알킬)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콕시,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설파모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보닐,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킬)아미노카보닐 및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C1-6알킬)아미노,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C3-10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및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졸리딘 유도체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05
은 이중결합이고, R1은 C1-6알킬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내지 4개의 N을 포함하는 3 내지 10원의 헤테로아릴기 및 C3-10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피라졸 및 이미다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는 사이클로프로필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피라졸 및 이미다졸은 1개 이상의 C1-6알킬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졸리딘 유도체에 있어서, 상기 R2는 사이클로헥실, 페닐 또는 비페닐이고, 상기 사이클로헥실, 페닐 및 비페닐은 각각 독립적으로 C3-10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2는 피페라진으로 치환된 페닐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피페라진은 1개 이상의 C1-6알킬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1)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디온;
(2)(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3)(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4) (R)-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디온;
(5)(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6)(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7)(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피라졸-3-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8)(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사이클로프로필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체에 독성이 낮고 모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과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산부가염,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등)과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등), 유기염기와 화학식 1의 카복실산 구조와의 유기염기부가염, 아미노산부가염 등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염의 형태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때, 무기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산은 초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린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숙신산, 젖산, 구연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염기 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염기는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이다. 아미노산 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산은 알라닌, 글라이신 등의 천연아미노산이다. 상기 예시된 무기산, 유기산, 유기염기 및 아미노산 외에 다른 산 또는 염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1,4-디옥산과 같은 물과 섞일 수 있는 용매에 녹인 다음에 유리산 또는 유리염기를 가한 후에 결정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R 또는 S 이성질체 또는 라세믹 화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광학이성질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TAK1 키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암 또는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또한, 상기 암 또는 종양의 구체적인 예로는 간암(liver cancer),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갑상선암(thyroid cancer), 결장암(colorectal cancer), 고환암(testicular cancer), 골암(bone cancer), 구강암(oral cancer),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 난소암(ovarian cancer), 뇌종양(brain tumor), 담낭암(gallbladder carcinoma), 담도암(biliary tract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대장암(colorectal cancer), 방광암(vesical carcinoma), 설암(tongue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신경교종(glioma), 신경교아종(glioblastoma), 신장암(renal cancer), 악성흑색종(malignant melanoma), 위암(gastric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육종(sarcoma), 인두암(pharynx carcinoma), 자궁암(uterine cancer),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직장암(rectal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폐암(lung cancer), 또는 피부암(skin cancer)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고형암 등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제제는 유효성분 외에 통상의 무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예를 들면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 등이 첨가되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또는 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 또는 주사제 등의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택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부형제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염,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산염, 녹말,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알지닌산, 소듐 알진산염, 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가,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엣센스, 딸기 엣센스, 바닐라 향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가 경구 투여 형태인 경우, 사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규산칼슘,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인산칼슘,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젤라틴, 탈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가 주사제 형태인 경우 상기 담체로는 물,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유사 당수용액, 알콜, 글리콜, 에테르, 오일,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제제는 암 또는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항암제와 함께 병용 투여됨으로써, 병용 투여된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암 또는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항암제의 예로는 세포 신호 전달 억제제(이매티닙, 게피티닙, 볼테조밉, 얼로티닙, 소라페닙, 수니티닙, 다사티닙, 보리노스타트, 라파티닙, 템시로리무스, 닐로티닙, 에버롤리무스, 파조파닙, 트라스투주맵, 베바시주맵, 세툭시맵, 라니비주맵, 페갑타닙 및 파니투무맵 등), 유사분열 억제제(파클리탁셀, 빈크리스틴 및 빈블라스틴 등), 알킬화제(시스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크로마부실 및 카무스틴 등), 항-대사제(메쏘트렉세이트 및 5-FU 등), 삽입 항암제(액티노마이신, 안트라사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및 마이토마이신-C 등),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이리노테칸, 토포테간 및 테니포사이드 등), 면역요법제(인터루킨 및 인터페론 등) 및 항-호르몬제(타목시펜 및 랄록시펜 등) 계열의 약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약제가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와 복합 제제화되거나 또는 병용 처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는 이들 약제들을 유효성분으로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일반적으로 몸무게가 70 kg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1 mg/일 내지 1,000 mg/일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용량은 환자의 건강상태, 나이, 몸무게 및 성별과, 투여형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제시한 투여용량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3-일)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단계 1) 3-((터트-부틸다이페닐실릴)옥시)피롤리딘의 제조
Figure pat00006
DL-3-피롤리디놀 (2.0 g, 23.0 mmol)과 이미다졸 (1.6 g, 23.1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에 녹이고 0℃로 냉각한 후, 터트-부틸(클로로)다이페닐 실란 (5.93 mL, 23.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 20:1(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3.9 g, 12.2 mmol; 53%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64-7.61 (m, 4H), 7.45-7.36 (m, 6H), 4.49-4.46 (m, 1H), 3.47-3.41 (m, 1H), 3.35-3.31 (m, 1H), 3.17-3.15 (m, 2H), 1.93-1.85 (m, 2H), 1.06 (s, 9H).
단계 2) 4-(3-((터트-부틸다이페닐실릴)옥시)피롤리딘-1-일)-2,5-다이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Figure pat00007
단계 1)에서 수득한 3-((터트-부틸다이페닐실릴)옥시)피롤리딘 (2.66 g, 8.18 mmol)과 2,4,5-트리클로로피리미딘 (1.5 g, 8.18 mmol)을 1-프로판올(26 ml)에 녹이고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2.85 mL, 16.3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50:1(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2.91 g, 6.14 mmol; 7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96 (s, 1H), 7.68-7.60 (m, 4H), 7.43-7.36 (m, 6H), 4.50-4.48 (m, 1H), 4.05 (m, 1H), 4.00-3.80 (m, 2H), 3.70 (m, 1H), 2.00 (m, 1H), 1.90 (m, 1H), 1.06 (s, 9H).
단계 3) 4-(3-((터트-부틸다이페닐실릴)옥시)피롤리딘-1-일)-5-클로로- N -(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피리미딘-2-아민의 제조
Figure pat00008
단계 2)에서 수득한 4-(3-((터트-부틸다이페닐실릴)옥시)피롤리딘-1-일)-2,5-다이클로로피리미딘 (2.91 g, 6.16 mmol)과 4-(4-메틸피페라진-1-일)아닐린 (1.18 g, 6.16 mmol)을 2-부탄올(30 ml)에 녹이고 2,2,2-트리플루오로아세틱산 (472 μ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 묽힌 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 20:1(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3.3 g, 5.3 mmol; 86%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84 (s, 1H), 7.69-7.62 (m, 4H), 7.42-7.35 (m, 8H), 6.90-6.86 (m, 2H), 6.67 (bs, 1H), 4.47-4.44 (m, 1H), 3.99-3.73 (m, 4H), 3.17-3.14 (m, 4H), 2.60-2.57 (m, 4H), 2.36 (s, 3H), 1.97-1.95 (m, 1H), 1.87-1.83 (m, 1H), 1.06 (s, 9H).
단계 4) 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올의 제조
Figure pat00009
단계 3)에서 수득한 4-(3-((터트-부틸다이페닐실릴)옥시)피롤리딘-1-일)-5-클로로-N-(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피리미딘-2-아민 (3.3 g, 5.26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33 ml)에 녹이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7.89 mL, 7.8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 묽힌 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 20:1(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79 g, 4.63 mmol; 88%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δ 8.94 (s, 1H), 7.87 (s, 1H), 7.54-7.51 (m, 2H), 6.84-6.81 (m, 2H), 4.98-4.96 (d, 1H), 4.32 (m, 1H), 3.77-3.76 (m, 3H), 3.63-3.59 (m, 1H), 3.03-3.00 (m, 4H), 2.44 (m, 4H), 2.20 (s, 3H), 1.90-1.86 (m, 2H).
단계 5)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3-일)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단계 4)에서 수득한 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올 (1.79 g, 4.60 mmol), 2,4-티아졸리딘다이온 (647 mg, 5.52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 (3.62 g, 13.81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에 녹이고 0℃로 냉각한 후,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2.72 mL, 13.8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 묽힌 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 20:1(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67 g, 3.40 mmol; 7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89 (s, 1H), 7.42-7.38 (m, 2), 6.92-6.88 (m, 2H), 6.74 (bs, 1H), 4.93-4.88 (m, 2H), 4.19-4.04 (m, 2H), 3.95 (s, 2H), 3.19-3.14 (m, 4H), 2.60-2.56 (m, 4H), 2.35 (s, 3H), 2.20 (m, 1H), 2.10 (m, 1H).
실시예 2 : ( Z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0
실시예 1의 단계 5)에서 수득한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3-일)티아졸리딘-2,4-다이온 (200 mg, 0.41 mmol)과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32 mg, 1.23 mmol)을 에탄올(5 ml)에 녹이고 피페리딘 (2~3 drops, catalytic amount)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상온에서 생성된 고체를 필터하여 목적 화합물 (54 mg, 0.09 mmol; 23%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δ 8.98 (bs, 1H), 8.76-8.75 (m, 1H), 7.93-7.87 (m, 4H), 7.53-7.50 (d, 2H), 7.42 (m, 1H), 6.84-6.81 (m, 2H), 5.00 (m, 1H), 4.30 (m, 1H), 4.10-3.90 (m, 2H), 3.80 (m, 1H), 3.02-2.99 (m, 4H), 2.42-2.39 (m, 4H), 2.18 (m, 5H).
MS : [M+H]+ m/z 577.2
실시예 3 : ( Z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 H -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1
실시예 2에서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1-메틸-2-이미다졸-카복스알데하이드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적 화합물 (52 mg, 0.09 mmol; 22%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δ 8.98 (bs, 1H), 7.91 (s, 1H), 7.70 (s, 1H), 7.53-7.50 (d, 2H), 7.43 (s, 1H), 7.26 (s, 1H), 6.84-6.81 (d, 2H), 5.01-4.96 (m, 1H), 4.22-4.16 (m, 1H), 4.08-4.05 (m, 1H), 3.94 (m, 1H), 3.82-3.78 (m, 4H), 3.02-2.99 (m, 4H), 2.42-2.39 (m, 4H), 2.25-2.18 (m, 5H).
MS : [M+H]+ m/z 580.2
실시예 4 : ( R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2
실시예 1에서 DL-3-피롤리디놀 대신에 (S)-3-피롤리디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적 화합물 (2.46 g, 5.04 mmol; 9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90 (s, 1H), 7.43-7.39 (m, 2), 6.93-6.89 (m, 2H), 6.76 (bs, 1H), 4.94-4.89 (m, 2H), 4.21-4.07 (m, 2H), 3.96 (s, 2H), 3.18-3.14 (m, 4H), 2.62-2.58 (m, 4H), 2.36 (s, 3H), 2.22 (m, 1H), 2.13 (m, 1H).
실시예 5 : ( R , Z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3
실시예 2에서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3-일)티아졸리딘-2,4-다이온 대신에 (R)-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다이온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적 화합물 (44 mg, 0.08 mmol; 2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 δ 8.99 (bs, 1H), 8.76-8.75 (m, 1H), 7.96-7.85 (m, 4H), 7.53-7.50 (m, 2H), 7.44-7.40 (m, 1H), 6.84-6.81 (m, 2H), 5.02-4.95 (m, 1H), 4.18-4.16 (m, 1H), 4.08-3.90 (m, 2H), 3.81 (m, 1H), 3.02-2.99 (m, 4H), 2.42-2.39 (m, 4H), 2.20-2.15 (m, 5H).
MS : [M+H]+ m/z 577.2
실시예 6 : ( R , Z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 H -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4
실시예 5에서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에 1-메틸-2-이미다졸-카복스알데하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적 화합물 (30 mg, 0.05 mmol; 1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 δ 8.99 (bs, 1H), 7.89 (s, 1H), 7.70 (s, 1H), 7.53-7.50 (m, 2H), 7.43 (s, 1H), 7.26 (s, 1H), 6.84-6.81 (m, 2H), 5.04-4.96 (m, 1H), 4.20-4.16 (m, 1H), 4.08-4.05 (m, 1H), 3.94 (m, 1H), 3.82-3.78 (m, 4H), 3.02-2.99 (m, 4H), 2.42-2.39 (m, 4H), 2.25-2.18 (m, 5H).
MS : [M+H]+ m/z 580.2
실시예 7 : ( R , Z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 H -피라졸-3-일)메틸렌)쌍이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5
실시예 5에서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에 1-메틸-1H-피라졸-3-카복스알데하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적 화합물 (42 mg, 0.09 mmol; 2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 δ 8.98 (bs, 1H), 7.91 (s, 1H), 7.83-7.82 (m, 1H), 7.73 (s, 1H), 7.53-7.50 (m, 2H), 6.84-6.81 (m, 2H), 6.67 (s, 1H), 5.00-4.95 (m, 1H), 4.16-4.13 (m, 1H), 4.07-4.04 (m, 1H), 3.96-3.91 (m, 4H), 3.80 (m, 1H), 3.02-2.99 (m, 4H), 2.42-2.39 (m, 4H), 2.23-2.16 (m, 5H).
MS : [M+H]+ m/z 580.2
실시예 8 : ( R , Z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사이클로메틸렌)티아졸리딘-2,4-다이온의 제조
Figure pat00016
실시예 5에서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에 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알데하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적 화합물 (61 mg, 0.11 mmol; 37%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6 ): δ 8.98 (bs, 1H), 7.90 (s, 1H), 7.52-7.49 (m, 2H), 6.84-6.81 (m, 2H), 6.62-6.59 (d, 1H), 4.96-4.91 (m, 1H), 4.12 (m, 1H), 4.04 (m, 2H), 3.78 (m, 1H), 3.03-3.00 (m, 4H), 2.45-2.39 (m, 5H), 2.21-2.18 (m, 5H), 1.17 (m, 2H), 0.90 (m, 2H).
MS : [M+H]+ m/z 540.2
상기 제조된 화합물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번호 화학구조 화합물명
1
Figure pat00017
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디온
2
Figure pat00018
(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3
Figure pat00019
(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4
Figure pat00020
(R)-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디온
5
Figure pat00021
(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6
Figure pat00022
(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7
Figure pat00023
(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피라졸-3-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8
Figure pat00024
(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사이클로프로필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시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화합물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효능을 평가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1: TAK1 키나아제 저해 활성 평가
화합물의 TAK1 저해활성 평가는 Life Technologies사에 의해 개발된 란타스크린(LanthaScreen) 기술을 기반으로, TAK1-TAB1 단백질을 이용하였다. 이 평가법은 Alexa Fluor® 647-라벨된, ATP-경쟁적 키나아제 저해제(kinase tracer-236)의 TAK1-TAB1에 대한 결합(binding)을 기반으로, 유로피움-결합항체(europium-conjugated antibody)의 존재 하에 FRET(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신호(signal)를 측정한다. 실험은 38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20 mM HEPES pH 7.5, 10 mM MgCl2, 0.01% BSA, 0.0005% Tween-20 및 2% DMSO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기저신호(Background signal)를 TAK1-TAB1 단백질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고, 비저해신호로서 용매(2% DMSO)만을 첨가하여 측정한 후에, 평가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설정된 농도(예를 들면, 1000 또는 100 nM) 등에서 처리하여 화합물의 TAK1-TAB1 저해활성을 %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1000 nM 100 nM
실시예 5 60 16
실시예 6 72 1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화합물은 TAK1 키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의 티아졸리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pat00026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의미하고;
    X는 CH 또는 N이고;
    Y는 H, 할로겐,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C1-3알킬이며;
    R1은 H 또는 C1-6알킬이며;
    R2는 H, C1-6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3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또는 5 내지 12원의 헤테로아릴이며;
    상기 R1 및 R2의 알킬과, R2의 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OH, 할로겐, C1-6알킬, 디C1-6알킬아미노, C1-6알콕시, 할로C1-3알킬, C3-10사이클로알킬, (디C1-6알킬아미노)헤테로사이클로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10사이클로알킬)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콕시,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설파모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보닐, ((헤테로사이클로알킬)C1-6알킬)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C1-6알킬)아미노,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Y가 H,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C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Y는 클로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1은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C1-6알킬이고,
    상기 알킬은 1개 내지 4개의 N을 포함하는 3 내지 10원의 헤테로아릴기 및 C3-10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피라졸 및 이미다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는 사이클로프로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졸 및 이미다졸은 1개 이상의 C1-6알킬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R2가 사이클로헥실, 페닐 또는 비페닐이고, 상기 사이클로헥실, 페닐 및 비페닐은 각각 독립적으로 C3-10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6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2아릴, 헤테로아릴 및 (C1-6알킬)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피페라진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페라진은 C1-6알킬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n이 0,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디온;
    (2)(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3)(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4) (R)-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티아졸리딘-2,4-디온;
    (5)(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피리딘-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6)(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7)(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1-메틸-1H-피라졸-3-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8)(R,Z)-3-(1-(5-클로로-2-((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5-(사이클로프로필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12.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TAK1 키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암 또는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 또는 종양이 간암(liver cancer),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갑상선암(thyroid cancer), 결장암(colorectal cancer), 고환암(testicular cancer), 골암(bone cancer), 구강암(oral cancer),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 난소암(ovarian cancer), 뇌종양(brain tumor), 담낭암(gallbladder carcinoma), 담도암(biliary tract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대장암(colorectal cancer), 방광암(vesical carcinoma), 설암(tongue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신경교종(glioma), 신경교아종(glioblastoma), 신장암(renal cancer), 악성흑색종(malignant melanoma), 위암(gastric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육종(sarcoma), 인두암(pharynx carcinoma), 자궁암(uterine cancer),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직장암(rectal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폐암(lung cancer), 또는 피부암(skin canc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6. 제12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제제가 정제, 환제, 산제, 캡슐제, 시럽 또는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세포 신호 전달 억제제, 유사분열 억제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삽입 항암제,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면역요법제, 항-호르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KR1020140195390A 2014-12-31 2014-12-31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81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90A KR20160081485A (ko) 2014-12-31 2014-12-31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90A KR20160081485A (ko) 2014-12-31 2014-12-31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85A true KR20160081485A (ko) 2016-07-08

Family

ID=5650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390A KR20160081485A (ko) 2014-12-31 2014-12-31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48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2079A1 (en) 2006-02-09 2009-01-08 Russell Andrew Lewthwaite Triazolopyridine Compounds
US20090124604A1 (en) 2005-02-26 2009-05-14 Ian Alun Nash 4-oxoquinazolin-3-yl benz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ytokine disea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4604A1 (en) 2005-02-26 2009-05-14 Ian Alun Nash 4-oxoquinazolin-3-yl benz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ytokine diseases
US20090012079A1 (en) 2006-02-09 2009-01-08 Russell Andrew Lewthwaite Triazolopyridine Compou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1799B2 (ja) ピリミジン化合物及びその医薬用途
RU2719428C2 (ru) Индазо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киназы fgfr, их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RU2656591C2 (ru) Модуляторы протеин-тирозинкиназ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WO2018148204A1 (en) Ask1 inhibiting agents
AU2009272033B2 (en) Nitrogenated heterocyclic compound
KR102558308B1 (ko) 3-아자바이사이클로[3,1,1]헵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A2946833C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s for prevention of tumors based on nae inhibitory effect
RU2669696C2 (ru) КОНФОРМАЦИОННО ОГРАНИЧЕННЫЕ ИНГИБИТОРЫ PI3K И mTOR
CN109535164B (zh) Jak激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在医药领域的应用
US9359300B2 (en) Methyl/difluorophenyl-methoxy substituted pyridinone-pyridinyl compounds, methyl-pyridinyl-methoxy substituted pyridinone-pyridinyl compounds, and methyl-pyrimidinyl-methoxy substituted pyridinone-pyridinyl compounds
MX2014009524A (es) Derivados de triazolopiridina como un inhibidor de quinasa tirosina.
CN113735837B (zh) 哒嗪类化合物及其用途
KR20160081485A (ko)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ES2710199T3 (es) Nuevos inhibidores de PI3K/AKT/mTOR y usos farmacéuticos de los mismos
KR20150113801A (ko) Tak1 저해 활성을 갖는 피라진 접합고리 유도체
JP2023507028A (ja) 複素環式化合物とその医薬組成物、調製方法、中間体及び使用
KR20160002318A (ko)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539761B1 (ko) 2-티옥소티아졸리딘-4-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44875A (ko) Fgfr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한 헤테로시클릭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50047855A (ko) 단백질 카이네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 2-사이아노-아크릴아마이드 유도체
WO2022060764A1 (en) Modified benzofuran-carboxamides as glucosylceramide synthase inhibitors
KR20200069687A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제인 신규한 페녹시 아로마틱 아마이드 유도체
JP2014214138A (ja) ヒドロキシル基を有するピペラジン誘導体及びその塩
KR20140118488A (ko) Fms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티에노피리미딘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