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220A -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220A
KR20160080220A KR1020140191811A KR20140191811A KR20160080220A KR 20160080220 A KR20160080220 A KR 20160080220A KR 1020140191811 A KR1020140191811 A KR 1020140191811A KR 20140191811 A KR20140191811 A KR 20140191811A KR 20160080220 A KR20160080220 A KR 2016008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gtase
asn
gly
thr
maltohepta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928B1 (ko
Inventor
심재훈
구예슬
변다혜
전혜연
이혜원
최혜정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9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glycosyl transferase, e.g. alpha-, beta- or gamma-cyclodextr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할 경우,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고순도의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만을 특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tion of maltoheptaose with high purity by CGTase mutant}
본 발명은 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말토올리고당은 단백질 변성방지, 냄새의 마스킹(masking) 및 부드러운 식감 부여 등의 목적으로 식품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능성 당류인데, 현재는 식품소재뿐만 아니라, 진단시약이나 바이오센서의 핵심 소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특정 사슬 길이를 지닌 말토헥소오스(maltohexose, G6),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 및 말토옥타오스(maltooxtaose, G8)와 같은 특수 말토올리고당의 경우에는 휴먼 세럼(human serum)이나 소변(urine)의 알파아밀레이즈의 역가측정을 위한 기질로 사용되고 있다.
특수 말토올리고당을 '전분'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산 가수분해 방법과 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산 가수분해 방법의 경우, 부산물이 많을 뿐 아니라 유기용매를 이용한 분리 및 정제 공정이 요구됨으로써 생산경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가수분해 과정에서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 외에 글루코오스(glucose, G1), 말토오스(maltose, G2),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G3) 등이 다량으로 생성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정제공정이 복잡하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분' 대신 저가의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기질로 하여 싸이클로말토덱스트리네이즈(cyclomaltodextrinase, CDase) 효소를 작용시켜 개환(ring-opening)함으로써, 말토헵타오스 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참고도 1).
[참고도 1]
Figure pat00001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반응과정에서 말토오스(maltose, G2),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G3), 말토테트라오스(maltotetraose, G4)가 다량으로 제조되어 수율이 저조하고, 부산물을 정제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환형의 베타 싸이클로덱스트린의 개환반응에는 신속히 반응하지만, 개환 후, 선형의 기질에는 반응속도가 느린 효소(PfTA)가 개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5819호). 하지만, 이 효소의 경우, 초고온성 미생물에서 유래하여 반응온도가 섭씨 90도 정도로 높아 에너지를 많이 필요하며, 열처리를 이용한 반응정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재조합 효소의 발현량이 적으며, 세포 내 발현 효소(intracellular enzyme)이기 때문에, 세포 외 분비가 어려워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효소의 산업적 생산 및 실용화에는 무리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말토헵타오스 등의 특수 올리고당은 가격은 다른 전분당에 대비하여 상당이 고가($ 700/g)이며, 이로 인해 기술 개발의 매력이 상당히 높은 분야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5819호(발명의 명칭: 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에는 파리로코커스 퓨리오서스(Pyrococcus furiosus)에서 분리된 신규 내열성 아밀레이즈를 이용한 고순도의 사슬형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파이로코커스 퓨리오서스에서 분리된 신규 내열성 아밀레이즈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의 환 구조를 개열하는 반응이 매우 빠르므로 이를 이용하여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기질로부터 글루코오스 분자수가 6 내지 9개인 사슬형 말토올리고당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 문헌에는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 없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921980호(발명의 명칭: 노스탁속 균주 유래 아밀로플루란네이즈 및 이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에는, 노스탁속 (Nostoc sp.) 균주 PCC73102 유래 아밀로플루란네이즈(amylopullulanase) 및 이를 이용하여 녹말로부터 말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노스탁속 균주 PCC73102에서 분리된 신규 아밀로플루란네이즈(amylopullulanase)를 이용하여 녹말을 포함하는 기질로부터 글루코오스 분자수 7 내지 11개인 고순도의 말토올리고당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 문헌에는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기질용액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를 넣어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 야생형 CGTase의 경우는 다양한 종류의 올리고당을 반응 산물로 생산하는 반면, 본 발명의 CGTase 변이효소는 개환반응을 통하여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만을 특이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이 본 발명을 통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는 야생형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의 아미노산 서열 중 233번이 His에서 Tyr로 변형된 것이다.
일반적인 CGTase의 경우, 하기 참고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올리고당으로부터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합성하는 방향의 반응이 더 우세하나, 본 발명의 233번이 His에서 Tyr으로 변형된 CGTase 변이효소의 경우, 하기 참고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싸이클로덱스트린에서 올리고당을 생성하는 쪽의 방향이 더 우세한 것으로 바뀌어, 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기질로 하여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가 생산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참고도 2]
Figure pat00002
또한, 본 발명의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할 경우, 반응이 말토헵타오스 올리고당의 생산에서 멈추고, 추가적인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소당류의 생산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있던 정제 공정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기질용액은 바람직하게 pH 5.0~7.0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 30~60℃에서 0.5~7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한 후,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키는 것이 좋다. 가열을 하면 효소가 실활되어 반응이 정지된다. 가열시 온도는 효소 실활 온도 이상으로 수행하면 되는데, 일 예로는 반응액을 끓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할 경우,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고순도의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만을 특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CGTase 변이효소가 삽입된 벡터 맵이다.
도 2는 시그날 펩타이드 포함 CGTase 변이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도 3은 정제된 CGTase 변이효소의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4 형질전환되지 않은 CGTase(CGTase I-5 wild type), CGTase 변이효소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된 반응물을 각 반응 시간에 따라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HPAEC)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비교 샘플인 야생형 CGTase(CGTase I-5)와 본 발명의 CGTase 변이효소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된 반응물 및 C18-카트리지(cartridge)를 사용하여 정제한 정제산물의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분석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제조예 1: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 CGTase ) 변이효소의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하기의 말토헵타오스 생산 공정에서 사용될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호알칼리성 바실러스 균(Bacillus sp.)Ⅰ-5로부터 유래한 CGTase 유전자의 특정부위변이(site-directed mutagenesis)를 위하여 하기 표 1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다. 돌연변이를 주기 위하여 원본 DNA(pR2CGT Ⅰ-5)에 하기 표 1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95℃에서 2분 동안 1회 실시한 후, 95℃에서 30초, 53.5℃에서 45초, 72℃에서 7분을 30회 PCR을 실시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5'-GTC AAG TAT ACG CCA TTC GGC TGG-3'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 5'-GTT CGT ATA CGG TAA GCC GAC CG-3'
상기 반응이 끝난 후 PCR 산물을 벡터 (도 1)에 클로닝하고, CaCl2법을 이용하여 대장균(E. coli) MC1016에 형질전환 하였다. 형질전환 유전자를 지니는 대장균 균주를 스크리닝(screening) 하기 위하여 앰피실린 (최종농도 100 ㎍/㎖)을 함유한 LB agar 배지에 평판 도말하여 내성을 지니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아미노산 서열 중 233번 아미노산이 His에서 Tyr로 변형된 상태인데, 서열번호 1과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도 2 참조). 도 1은 CGTase 변이효소가 삽입된 벡터 맵이고, 도 2는 시그날 펩타이드 포함 CGTase 변이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상기 선별된 균주를 1 L의 LB 배지에 접종하여 24시간 가량 37℃에서 교반(200 rpm)하여 키운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다시 pH 6.0의 50 mM NaOAC 완충용액에 재부유(resuspension)한 후, 초음파로 세포파쇄를 실시하였다.
세포파쇄로부터 수득된 조효소액을 12,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이를 베타(beta)-CD가 결합된 세파덱스 수지(sephadex resin)가 담긴 컬럼에 흡착시킨 후, 다시 1% 베타(beta)-CD를 포함하는 pH 6.0의 50 mM NaOAC 완충용액을 주입하는 '베타(beta)-CD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CGTase 변이효소를 수득하였다 (도 3 참조). 도 3은 정제된 CGTase 변이효소의 전기영동 사진이다.
[ 실시예 1: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수득한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를 사용하여 말토헵타오스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pH 6.0의 50 mM NaOAC 완충용액에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1%)과 상기 CGTase 변이효소(0.1 unit)를 넣고, 45℃에서 각각 0.5시간, 1.5시간, 3.5시간, 5시간 동안 나누어 반응시킨 후, 5분간 끓여 반응을 정지함으로써,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를 제조하였다.
일반 CGTase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올리고당을 생산하는 반면, 본 발명의 CGTase 변이효소는 개환반응을 통하여 말토헵타오스만을 특이적으로 생산한다. 생산된 산물의 분석은 하기 실험예 1의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확인하였다.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생산된 말토헵타오스의 순도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 반응액의 순도를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PAEC)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수득된 말토헵타오스 반응액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하여 박막여과필터(0.45 ㎛)로 여과한 후, 20 L를 기기에 주입하였고, 유속은 분당 1 mL로 하였다. HPAEC 분석은 다이오넥스(Dionex)사의 'GP40 그래디언트 펌프'와 'ED40 전기화학적 검출기' 및 카보팩-컬럼(Carbo-PacPA1)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A 용매로는 150 mM의 수산화나트륨(NaOH)용액을 사용하였으며, A 용매에 600 mM 아세트산 나트륨(Na-acetate)을 녹인 것을 B 용매로 하여, 30분 후에 B 용매가 0%에서 30%가 되도록 직선적으로 농도를 높여 주었다. 이때, 비교 샘플로는 형질전환 되지 않은 CGTase(CGTase I-5 wild type)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응물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형질전환되지 않은 CGTase(CGTase I-5 wild type)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응물에서는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CGTase 변이효소의 경우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생산량은 5시간 반응에서 가장 많으나, 이때는 다른 소당류가 생산되어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의 순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탔으며, 3.5시간에서 반응이 가장 효과적인 것(순도 92%)으로 나타났다 (도 4).
도 4는 형질전환되지 않은 CGTase(CGTase I-5 wild type), CGTase 변이효소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된 반응산물을 각 반응 시간에 따라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HPAEC)로 분석한 결과이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 인해, 본 발명에서 CGTase 변이효소는 개환 반응을 통하여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만을 특이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TLC 를 통한 말토헵타오스의 생성 확인 및 정제]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반응물의 성분을 분석해 보았다. 실험결과, 도 5의 좌측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CGTase I-5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응물 비교 샘플의 경우, 여러 종류의 소당류를 생산하였으나, 본 발명의 CGTase 변이효소를 사용하였을 경우,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를 특이적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생산된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는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과 분자량은 유사하나, 수용성이 다르므로 이를 활용하여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를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말토헵타오스를 함유한 반응액을 C18-카트리지(cartridge) 컬럼에 주입한 후,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반응 후 남은 기질을 씻어내었다. 그 후, 다시 물을 흘려주어 수용성이 높은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를 정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남은 기질(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은 제거되고, 고순도의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G7)만이 남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의 우측). 도 5는 비교 샘플인 야생형 CGTase(CGTase I-5)와 본 발명의 CGTase 변이효소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된 반응물 및 C18-카트리지(cartridge)를 사용하여 정제한 정제산물의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분석 사진이다.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llym University <120> Method for production of maltoheptaose with high purity by CGTase mutant <130> AP-2014-0252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685 <212> PRT <213> Bacillus sp. 1-5 <400> 1 Ala Pro Asp Thr Ser Val Ser Asn Lys Gln Asn Phe Ser Thr Asp Val 1 5 10 15 Ile Tyr Gln Ile Phe Thr Asp Arg Phe Ser Asp Gly Asn Pro Ala Asn 20 25 30 Asn Pro Thr Gly Ala Ala Phe Asp Gly Ser Cys Thr Asn Leu Arg Leu 35 40 45 Tyr Cys Gly Gly Asp Trp Gln Gly Ile Ile Asn Lys Ile Asn Asp Gly 50 55 60 Tyr Leu Thr Gly Met Gly Ile Thr Ala Ile Trp Ile Ser Gln Pro Val 65 70 75 80 Glu Asn Ile Tyr Ser Val Ile Asn Tyr Ser Gly Val His Asn Thr Ala 85 90 95 Tyr His Gly Tyr Trp Ala Arg Asp Phe Lys Lys Thr Asn Pro Ala Tyr 100 105 110 Gly Thr Met Gln Asp Phe Lys Asn Leu Ile Asp Thr Ala His Ala His 115 120 125 Asn Ile Lys Val Ile Ile Asp Phe Ala Pro Asn His Thr Ser Pro Ala 130 135 140 Ser Ser Asp Asp Pro Ser Phe Ala Glu Asn Gly Arg Leu Tyr Asp Asn 145 150 155 160 Gly Asn Leu Leu Gly Gly Tyr Thr Asn Asp Thr Gln Asn Leu Phe His 165 170 175 His Tyr Gly Gly Thr Asp Phe Ser Thr Ile Glu Asn Gly Ile Tyr Lys 180 185 190 Asn Leu Tyr Asp Leu Ala Asp Leu Asn His Asn Asn Ser Ser Val Asp 195 200 205 Val Tyr Leu Lys Asp Ala Ile Lys Met Trp Leu Asp Leu Gly Val Asp 210 215 220 Gly Ile Arg Val Asp Ala Val Lys Tyr Met Pro Phe Gly Trp Gln Lys 225 230 235 240 Ser Phe Met Ser Thr Ile Asn Asn Tyr Lys Pro Val Phe Thr Phe Gly 245 250 255 Glu Trp Phe Leu Gly Val Asn Glu Ile Ser Pro Glu Tyr His Gln Phe 260 265 270 Ala Asn Glu Ser Gly Met Ser Leu Leu Asp Phe Arg Phe Ala Gln Lys 275 280 285 Ala Arg Gln Val Phe Arg Asp Asn Thr Asp Asn Met Tyr Gly Leu Lys 290 295 300 Ala Met Leu Glu Gly Ser Glu Val Asp Tyr Ala Gln Val Asn Asp Gln 305 310 315 320 Val Thr Phe Ile Asp Asn His Asp Met Glu Arg Phe His Thr Ser Asn 325 330 335 Gly Asp Arg Arg Lys Leu Glu Gln Ala Leu Ala Phe Thr Leu Thr Ser 340 345 350 Arg Gly Val Pro Ala Ile Tyr Tyr Gly Ser Glu Gln Tyr Met Ser Gly 355 360 365 Gly Asn Asp Pro Asp Asn Arg Ala Arg Ile Pro Ser Phe Ser Thr Thr 370 375 380 Thr Thr Ala Tyr Gln Val Ile Gln Lys Leu Ala Pro Leu Arg Lys Ser 385 390 395 400 Asn Pro Ala Ile Ala Tyr Gly Ser Thr Gln Glu Arg Trp Ile Asn Asn 405 410 415 Asp Val Ile Ile Tyr Glu Arg Lys Phe Gly Asn Asn Val Ala Val Val 420 425 430 Ala Ile Asn Arg Asn Met Asn Thr Pro Ala Ser Ile Thr Gly Leu Val 435 440 445 Thr Ser Leu Pro Gln Gly Ser Tyr Asn Asp Val Leu Gly Gly Ile Leu 450 455 460 Asn Gly Asn Thr Leu Thr Val Gly Ala Gly Gly Ala Ala Ser Asn Phe 465 470 475 480 Thr Leu Ala Pro Gly Gly Thr Ala Val Trp Gln Tyr Thr Thr Asp Ala 485 490 495 Thr Ala Pro Ile Ile Gly Asn Val Gly Pro Met Met Ala Lys Pro Gly 500 505 510 Val Thr Ile Thr Ile Asp Gly Arg Ala Ser Ala Arg Gln Gly Thr Val 515 520 525 Tyr Phe Gly Thr Thr Ala Val Thr Gly Ala Asp Ile Val Ala Trp Glu 530 535 540 Asp Thr Gln Ile Gln Val Lys Ile Leu Arg Val Pro Gly Gly Ile Tyr 545 550 555 560 Asp Ile Arg Val Ala Asn Ala Ala Gly Ala Ala Ser Asn Ile Tyr Asp 565 570 575 Asn Phe Glu Val Leu Thr Gly Asp Gln Val Thr Val Arg Phe Val Ile 580 585 590 Asn Asn Ala Thr Thr Ala Leu Gly Gln Asn Val Phe Leu Thr Gly Asn 595 600 605 Val Ser Glu Leu Gly Asn Trp Asp Pro Asn Asn Ala Ile Gly Pro Met 610 615 620 Tyr Asn Gln Val Val Tyr Gln Tyr Pro Thr Trp Tyr Tyr Asp Val Ser 625 630 635 640 Val Pro Ala Gly Gln Thr Ile Glu Phe Lys Phe Leu Lys Lys Gln Gly 645 650 655 Ser Thr Val Thr Trp Glu Gly Gly Ala Asn Arg Thr Phe Thr Thr Pro 660 665 670 Thr Ser Gly Thr Ala Thr Val Asn Val Asn Trp Gln Pro 675 680 685

Claims (4)

  1.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기질용액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를 넣어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기질용액은,
    pH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 변이효소는,
    야생형 싸이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CGTase)의 아미노산 서열 중 233번이 His에서 Tyr로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30~60℃에서 0.5~7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한 후,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의 제조방법.
KR1020140191811A 2014-12-29 2014-12-29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KR10170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11A KR101707928B1 (ko) 2014-12-29 2014-12-29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11A KR101707928B1 (ko) 2014-12-29 2014-12-29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220A true KR20160080220A (ko) 2016-07-07
KR101707928B1 KR101707928B1 (ko) 2017-02-17

Family

ID=5649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811A KR101707928B1 (ko) 2014-12-29 2014-12-29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9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19B1 (ko) 2005-07-07 2007-07-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KR100921980B1 (ko) 2007-02-01 2009-10-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노스탁속 균주 유래 아밀로플루란네이즈 및 이를 이용한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19B1 (ko) 2005-07-07 2007-07-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KR100921980B1 (ko) 2007-02-01 2009-10-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노스탁속 균주 유래 아밀로플루란네이즈 및 이를 이용한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반연구자지원사업(신진연구) 최종결과보고서(2014.05.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928B1 (ko) 201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525B2 (en) Method for producing 2-O-glyceryl-alpha-D-glucopyranoside
CN111394330B (zh) 环糊精葡萄糖基转移酶突变体t168a及其制备方法
CN111712570A (zh) 一种生产阿洛酮糖及其衍生物的工程菌株及其构建方法和应用
JP6165872B2 (ja) 単糖類の製造方法
EP1109916A1 (en)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an amylosucrase
JP2022520791A (ja) マンノースの酵素的生産
WO1995034642A1 (fr) Nouvelles transferase et amylase, procede de production de ces enzymes, utilisation, et genes les codant
Agarwal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mylosucrase gene from the metagenome of a thermal aquatic habitat, and its use in turanose production from sucrose biomass
JP7000327B2 (ja) 小分子グリコシル化のための方法
CN114480465A (zh) 一种产生2’-岩藻糖基乳糖的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CN110885809A (zh) α-L-岩藻糖苷酶及其相关生物材料与应用
CN110229800B (zh) 一种产麦芽六糖能力提高的直链麦芽低聚糖生成酶突变体
Su et al. Heterogeneous expression, molecular modification of amylosucrase from Neisseria polysaccharea, and its application in the preparation of turanose
KR101707928B1 (ko) CGTase 변이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헵타오스의 제조방법
CN109337882A (zh) 一种α-1,2-岩藻糖基转移酶及制备人乳寡糖中的应用
Lu et al. Recent Progress on galactooligosaccharides synthesis by microbial β-galactosidase
KR100735819B1 (ko) 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KR100921980B1 (ko) 노스탁속 균주 유래 아밀로플루란네이즈 및 이를 이용한고순도 말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KR100387286B1 (ko)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제조 방법
KR20210096084A (ko) 타가토스의 효소적 생산
JP5356704B2 (ja) 希少糖を含む二糖類の生産方法
CN111548978B (zh) 一种产甘露聚糖的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CN113201512B (zh) 一种产蔗果三糖的菊糖蔗糖酶突变体
CN111560361B (zh) 一种提高aa-2g产量的环糊精葡萄糖基转移酶突变体
JP2004097233A (ja) 新規イソマルトオリゴ糖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