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446A -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446A
KR20160079446A KR1020140190799A KR20140190799A KR20160079446A KR 20160079446 A KR20160079446 A KR 20160079446A KR 1020140190799 A KR1020140190799 A KR 1020140190799A KR 20140190799 A KR20140190799 A KR 20140190799A KR 20160079446 A KR20160079446 A KR 2016007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unit
users
displa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647B1 (ko
Inventor
오우람
김현진
나기영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오우람
이상구
김현진
나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우람, 이상구, 김현진, 나기영 filed Critical 오우람
Priority to KR102014019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하도록 이용자의 진입을 시각적으로 유도하고,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에게 안전 속도록 이동하도록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제공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표시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에서의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이동식 계단으로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체인으로 연접식 계단을 구동시켜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등이나 지하철역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주로 설치되어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 특히 지하철역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바쁜 사람들을 배려하자는 취지로 1990년대 후반부터 '한 줄 서기'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캠페인이 빠르게 확산되어 자리를 잡으면서 최근에도 많은 이용자들이 한 줄로 서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서서 이용하게 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서서 타고 있는 이용자들의 옆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용자들간에 부딪힘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이용자들이 중심을 잃고 넘어져 다치는 보행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한 줄로 서서 타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의 체중으로 인한 하중이 에스컬레이터의 한 쪽으로 쏠리면서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 중 연접식 계단을 구동시키는 체인이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예기치 못한 고장은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나 역주행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서,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나 역주행이 발생되면 대형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큰 위험성이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빈번한 고장은 이용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며, 에스컬레이터를 수리 및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에스컬레이터를 운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하도록 하는 '두 줄 서기'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 줄 서기'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의 인식이나 습관이 쉽게 바뀌지 않아 '두 줄 서기' 캠페인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에서 이용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계속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이용과 관련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863호에는 에스컬레이터를 타는 한 줄 서기의 개선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863호, 공개일 2010.11.02.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863호에는 에스컬레이터의 한 줄 서기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교대로 타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홀수 날과 짝수 날로 날짜를 구분하거나 또는 오후와 오전으로 시간대를 구분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번갈아 한 줄로 서서 타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서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두 줄 서기' 캠페인과 마찬가지로 홍보 또는 계도에 따른 것으로서, 지속적인 홍보 또는 계도가 어렵고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의 인식이나 습관을 바뀌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진입 방향을 시각적으로 유도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의 이용자수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진입 방향을 실시간으로 재조정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빠르게 걷거나 뛰는 이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제공하여 안전 속도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유도하는 표시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에서의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매설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기호로 표시되는 진입 방향 표시 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는 진입 방지봉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센서기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2 센서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기와 상기 제2 센서기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접식 계단의 상측에서 상기 연접식 계단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칸막이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단부 각각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칸막이틀과, 상기 칸막이틀의 내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 조립체와,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광고판 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매설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측정부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음향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속도 측정부는 스피드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표시부를 통해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부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타는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속도 측정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음향 발생부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타고 있는 이용자들의 수가 허용 범위 내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쪽에서 이용자들의 진입이 유도되어 이용자들의 체중 등으로 인한 하중이 에스컬레이터의 한 쪽으로 치우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 특히 체인이 빈번하게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 또는 역주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수리, 관리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고장으로 인한 이용자들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이용자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 분리대에 광고 등을 실을 수 있어 광고 수익 등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빠르게 걷거나 뛰게 되면,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위험 상황과 안전 속도로 이동하라는 안내음을 발생하여 보행 사고와 관련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중앙 분리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10)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10)는 적어도 2명의 이용자가 나란히 옆에 서서 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컬레이터(10)는 입구 승강장(entrance landing)(11), 출구 승강장(exit landing)(12), 연접식 계단을 형성하는 디딤판(step)(13), 난간(balustrade)(14), 스커트(skirt)(15), 손잡이(handrail)(16) 등을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은 에스컬레이터의 플랫폼이다. 일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10)는 저층에서 고층으로 이용자를 이동시키는 상향식 에스컬레이터로서, 입구 승강장(11)은 저층에 위치되고 출구 승강장(11)은 고층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로서 상향식 에스컬레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딤판(13)은 이용자가 오르내릴 때 디디는 수평 부분으로서, 복수의 디딤판(13)이 결합되어 연접식 계단을 형성한다. 난간(14)은 에스컬레이터(10)의 양쪽 면에 있는 부분으로서, 통상 이용자의 가슴 높이까지 위치된다. 스커트(15)는 에스컬레이터(10)의 양쪽 면에서 돌출된 부분으로서 난간(14)을 고정한다. 손잡이(16)는 난간(14)을 따라 움직이는 부분이다. 또한, 에스컬레이터(10)는 미도시하였지만, 디딤판(13)의 홈에 꼭 들어맞는 이빨이 있는 부분으로서 물체가 에스컬레이터(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콤(comb)과, 난간(14)의 둥글려 있는 부분으로서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에 놓이는 엄지기둥(newel)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와, 센서부(200)와, 서버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속도 측정부(500)와 음향 발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주요 구성부(100 내지 600)들을 연결하는 실선(1)은, 실선(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요 구성부(100 내지 600)들이 전기적인 신호를 일방 또는 양방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전기적인 신호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의 구동부(20)는 체인(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10)의 구동 장치로서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에 포함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주요 구성부 중 서버부(300)와 제어부(400)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10)가 지하철역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황실(2)(도 2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에 설치되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들의 진입을 유도한다. 여기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LP)은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에 치우쳐 탈 수 있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디딤판(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좌측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우측(RP)은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에 치우쳐 탈 수 있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디딤판(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우측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00)는 에스컬레이터의 좌측(LP)과 우측(RP)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110)과 제2 디스플레이(120)는 이용자들의 통행에 불편함이 생기지 않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11)에 매설된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는 각각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아 진입 방향 표시 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또는 진입 불가 방향 표시)를 기호로 나타내며, 이때 기호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입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가 사용되며,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가 사용된다. 하지만, 진입 방향 표시 및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00)는 작동 시에, [제1 디스플레이(110)에서의 표시,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의 표시]를 [×, ×], [×, ↑], [↑, ×], [↑, ↑]와 같이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및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을 금지할 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으로의 진입은 허용하고 우측(RP)으로의 진입을 금지할 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으로의 진입을 금지하고 우측(RP)으로의 진입을 허용할 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및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을 모두 허용할 때 나타낼 수 있다.
표시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나타내어지는 기호는, 이용자들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깜박거릴 수 있으며, 진입 방향 표시와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다른 색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 이용자들에게 진입 방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100)에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청각적인 안내를 병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100)에서 유도되는 진입 방향을 따라서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에 진입하고, 유모차 등이 에스컬레이터(1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진입 방지봉(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 방지봉(700)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에 각각 설치되며, 디딤판(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진입 방지봉(700)는 다양한 형상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센서부(200)는 표시부(100)를 통해 진입이 유도된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또는 우측(RP)에서 타고 내리는지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2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 타는지 또는 우측(RP)에 타는지를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센서기(210)와, 에스컬레이터(10)의 출구 승강장(12)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서 내리는지 또는 우측(RP)에서 내리는지를 감지하는 한 쌍의 제2 센서기(2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센서기(210)와 한 쌍의 제2 센서기(220)는 진입 방지봉(70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 센서기(210)와 제2 센서기(220)는 다양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기(210)와 제2 센서기(220)에는, 그 앞을 통과하는 이용자들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211, 22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센서(211, 221)로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211, 221)에서 감지된 신호는 실시간으로 서버부(300)로 전송된다.
서버부(300)는 센서부(200)의 센서(211, 221)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서 타고 있는 총 이용자수(이하, '좌측 이용자수'라고 한다)와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RP)에서 타고 있는 총 이용자수(이하, '우측 이용자수'라고 한다)를 각각 계측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센서기(210)에 각각 설치된 센서(211)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때마다 좌측(LP)과 우측(RP)을 구분하여 이용자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가산하고, 한 쌍의 제2 센서기(220)에 각각 설치된 센서(221)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때마다 좌측(LP)과 우측(RP)을 구분하여 이용자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감산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계측한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를 이용하여,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이하, '좌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 또는 간단히 '차이값'이라고도 한다)을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산출된 차이값을 서버부(300)에 미리 설정된 허용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좌측 이용자수, 우측 이용자수, 차이값, 허용값은 0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로 나타내어진다. 허용값은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어느 한 쪽에 타는 이용자수가 다른 쪽에 타는 이용자수보다 많을 경우, 에스컬레이터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의 최대 인원수를 허용하는 예상값으로서,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허용값보다 같은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에 이용자들이 두 줄로 서서 균형있게 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에 이용자들이 두 줄로 서서 타고 있더라도 불균형하게, 즉 에스컬레이터(10)의 어느 한 쪽으로 하중이 쏠릴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1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게 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부(300)는, 미도시되었지만,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를 계측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허용값 등을 저장부에 설정되도록 입력하는 입력부와, 이용자수와 관련한 계측 결과, 산출 결과 및 비교 결과 등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서버부(300)에서의 차이값과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이나 우측(RP)에 이용자들이 균형있게 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한 쪽에만 진입 방향을 표시함에도 불구하고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를 모두 제어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에 진입 방향 표시를 나타내고 제2 디스플레이(120)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한 대의 에스컬레이터(10)에서의 이용자의 진입 방향을 유도하였지만, 에스컬레이터(10)가 복수 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에스컬레이터(10) 각각에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의 에스컬레이터(10)에 설치된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하고, 공통의 서버부(300)를 통해 이용자수가 가장 적은 쪽의 에스컬레이터로 이용자의 진입을 먼저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부(300)의 비교연산부에서는 복수의 에스컬레이터(10) 각각에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계측하고, 계측된 값들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에스컬레이터(10)에서의 진입을 우선 순위를 두고 유도함에 따라 일부의 에스컬레이터에 이용자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원활한 이용을 도모하고, 이용자들에게 향상된 이동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어느 한 쪽으로의 진입을 유도하여 실제 이용자가 좌측(LP) 또는 우측(RP)에 타더라도,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10) 내에서 위치를 변경[좌측(LP)에서 우측(RP)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우측(RP)에서 좌측(LP)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를 정확하게 계측하기 어려워 좌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이러한 이용자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분리대(8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와 우측(RP)을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중앙 분리대(800)는 에스컬레이터(10)에 있어서의 연접식 계단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접식 계단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칸막이(810)와,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에 각각 설치되고, 칸막이(810)의 양단부 각각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820)를 포함한다. 칸막이(81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연접식 계단이 구동하는데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쌍의 지지대(820)에 의해 계단 상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10)의 난간(14)과 마주하는 칸막이(8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틀(811)과, 프레임틀(811)의 내측에 결합되는 롤러 조립체(812)와, 프레임틀(811)의 가장자리에 씌워지는 손잡이(813)를 포함한다.
프레임틀(811)은 수평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811a)과,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81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811b)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틀(811)의 수평 프레임(811a)과 수직 프레임(811b)는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을 재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811a)은 수직 프레임(811b)의 단부가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H'자 형상을 갖는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프레임(811a)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손잡이(813)가 결합된다. 손잡이(813)는 수평 프레임(811a)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평 프레임(811a)에 마주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813)는 이용자가 붙잡을 수 있는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손잡이(813)에는, 손잡이(8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813a)가 구비된다. 홈부(813a)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광고판 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813b)가 교체가능하게 매설될 수 있다(도 5 참조).
프레임틀(811)의 내측, 즉 한 쌍의 수평 프레임(811a)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811b)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빈 공간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조립체(812)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 조립체(812)는 복수의 롤러(812a)와, 복수의 롤러(812a)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립체틀(812c)을 포함한다. 롤러(812a)의 양단에는 눌림이 가능한 장착핀(812b)이 구비되며, 장착핀(812b)은 롤러(812a)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외부에서의 눌림에 대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받는다. 즉, 롤러(812a)는 장착핀(812b)을 통해 조립체틀(812c)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칸막이(810)의 양측, 즉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LP)에 노출되는 복수의 롤러(812a)는 에스컬레이터(10)의 이용자들에 접촉되었을 때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롤러(812a)는 이용자들의 의류 등이 칸막이(810)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용자들의 의류 등이 칸막이(81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롤러(812a)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10)의 구동 장치가 이용자들의 하중에 의해 고장이 생기지 않도록 또한 이용자들 간의 부딪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에스컬레이터(10)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하게끔 유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빠르게 걷거나 뛰는 이용자들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속도 측정부(500) 및 음향 발생부(600)를 포함한다.
속도 측정부(5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상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된다. 속도 측정부(500)는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서버부(300)로 전송한다. 속도 측정부(500)가 하나의 에스컬레이터(10)에 대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속도 측정부(5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저층부에서의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속도 측정부(5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고층부에서의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속도 측정부(500)는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스피드건을 포함한다.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음향 발생부(600)는 속도 측정부(500)를 통해 감지한 이용자들 중의 이동 속도가 서버부(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10)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또는 이용자들)와, 그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이용자들에게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알리고, 속도를 줄이도록 안내하는 안내음을 발생시킨다. 음향 발생부(600)는 에스컬레이터(10) 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주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음향 발생부(600)가 스커트(15)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음향 발생부(6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은 진입 방향 유도 단계(S100)와, 이용자 감지 단계(S200)와,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 이용자수의 균형을 확인하는 단계(S300)와,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 이용자수에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에 진입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은 이용자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500)와, 이용자들 중에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 주의를 주기 위해 안내음을 내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진입 방향 유도 단계(S100)에서는, 표시부(1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적어도 한 쪽으로의 이용자들의 진입이 유도된다. 또한, 이용자 감지 단계(S200)에서는, 센서부(2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또는 우측(RP)에 타고 내리는 이용자들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2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 타는 이용자,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RP)에 타는 이용자,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서 내리는 이용자,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RP)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 이용자수의 균형을 확인하는 단계(S300)는 서버부(3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서버부(3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에 타고 있는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가 각각 계측되고, 이들의 차이값(좌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이 산출된다(S310). 또한, 서버부(300)에서는 산출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허용값과 비교된다(S320).
진입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S400)에서는, 제어부(400)를 통해 차이값과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100)가 제어된다. 즉,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차이값이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우 양쪽에 이용자들의 수가 비슷하게 유지되는 상태로서,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가 제어된다(S410). 그런데,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우 양쪽 중 어느 한 쪽에 이용자들의 수가 허용 범위보다 더 많아진 상태로서,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을 판단하고(S420),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가 제어된다(S430, S440). 전술한 단계(S100 내지 S400)들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이 개시(S10)된 후,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이 판단(S15) 및 정지(S20)될 때까지 실시간으로 반복된다.
한편, 이용자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500)는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개시(S10) 후 에스컬레이터(10)의 진입을 유도하는 단계(S100)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자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500)에서는 속도 측정부(500)를 통해 이용자들 각각에 대한 에스컬레이터(10) 내에서의 이동 속도가 감지된다. 속도 측정부(500)에서 감지된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는 서버부(300)로 전송되며, 서버부(300)에서는 이용자들 중에 허용하는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가 있는지 확인되고(S610), 이용자들 중에 이동 속도가 서버부(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는 음향 발생부(600)를 통해 안내음을 발생시킨다(S620). 전술한 단계들(S500, S600)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이 개시(S10)된 후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 여부가 판단(S15) 및 정지(S20)될 때까지 실시간으로 반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진입이 유도되어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서서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서 빠르게 걷거나 뛰는 이용자들에게 안전 속도로 이동하도록 안내음을 제공하여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보행 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에스컬레이터 100: 표시부
200: 센서부 300: 서버부
400: 제어부 500: 속도 측정부
600: 음향 발생부 700: 진입 방지봉
800: 중앙 분리대 1000: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Claims (13)

  1.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유도하는 표시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에서의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매설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기호로 표시되는 진입 방향 표시 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가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는 진입 방지봉을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센서기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2 센서기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기와 상기 제2 센서기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장착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접식 계단의 상측에서 상기 연접식 계단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칸막이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단부 각각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칸막이틀과,
    상기 칸막이틀의 내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 조립체와,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광고판 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매설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측정부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음향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측정부는 스피드건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12.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표시부를 통해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부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타는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속도 측정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음향 발생부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90799A 2014-12-26 2014-12-26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8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99A KR101685647B1 (ko) 2014-12-26 2014-12-26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99A KR101685647B1 (ko) 2014-12-26 2014-12-26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46A true KR20160079446A (ko) 2016-07-06
KR101685647B1 KR101685647B1 (ko) 2016-12-13

Family

ID=5650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99A KR101685647B1 (ko) 2014-12-26 2014-12-26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6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8011A (zh) * 2018-04-25 2018-08-03 大连华齐泰精密仪器有限公司 扶梯速度、同步率、制动距离检测装置
CN110615345A (zh) * 2019-09-11 2019-12-27 吴江市苏奥电梯配件有限公司 减少逆向乘入的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
KR102330493B1 (ko) * 2021-08-31 2021-11-23 신양건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290A (ja) *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20100116863A (ko) 2009-04-23 2010-11-02 이권재 한 줄서기 방법
JP2011011901A (ja) * 2009-07-06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JP2013056735A (ja) * 2011-09-07 2013-03-28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装置、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方法及び乗客コンベア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290A (ja) *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20100116863A (ko) 2009-04-23 2010-11-02 이권재 한 줄서기 방법
JP2011011901A (ja) * 2009-07-06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JP2013056735A (ja) * 2011-09-07 2013-03-28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装置、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方法及び乗客コンベアの運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8011A (zh) * 2018-04-25 2018-08-03 大连华齐泰精密仪器有限公司 扶梯速度、同步率、制动距离检测装置
CN110615345A (zh) * 2019-09-11 2019-12-27 吴江市苏奥电梯配件有限公司 减少逆向乘入的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
CN110615345B (zh) * 2019-09-11 2024-05-28 吴江市苏奥电梯配件有限公司 减少逆向乘入的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
KR102330493B1 (ko) * 2021-08-31 2021-11-23 신양건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647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647B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22825B1 (ko) 무게감지센서 및 변속수단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운행시스템
JP5795088B2 (ja) 乗客コンベア
FI127157B (en) Monitoring arrangement for a passenger carrier
JP2007161440A (ja) 乗客コンベア
JP6262287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1195290A (ja) エスカレータ監視装置
FI127155B (en) Conveyor control system
FI127156B (en) Conveyor control system
JPWO2019016884A1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CN107792769A (zh) 乘客输送机
CN111320064B (zh) 乘客输送机
CN110562834B (zh) 乘客输送机
JP5623492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3056735A (ja) 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装置、乗客コンベアの利用人数計測方法及び乗客コンベアの運転方法
JP2012218878A (ja) 乗客コンベア
JP5567064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客カウント装置
JP4855991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の踏み部材変位規制構造
JP6985467B1 (ja) 乗客コンベア
JP2018122944A (ja) 乗客コンベアの自動隙間測定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自動隙間測定方法
JP2012236660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08247547A5 (ko)
JPH02300089A (ja) マン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3914247B1 (ja) エスカレータの非常時の自動停止装置
JP2022014592A (ja) 乗客コンベヤの逆進入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