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049A -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049A
KR20160078049A KR1020140188687A KR20140188687A KR20160078049A KR 20160078049 A KR20160078049 A KR 20160078049A KR 1020140188687 A KR1020140188687 A KR 1020140188687A KR 20140188687 A KR20140188687 A KR 20140188687A KR 20160078049 A KR20160078049 A KR 20160078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rtion
pacing
reinforcing
stiffene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to KR102014018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8049A/ko
Publication of KR2016007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10)로 하고, 이 페이싱 부재의 후방에 성토되는 성토체(G) 내에 매립되는 보강재(20)를 상기 페이싱 부재에 연결함과 동시에 시공시 상기 페이싱 부재의 형태 유지를 위한 고리 형태의 연결부재(30)를 사용하는 보가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0)는 페이싱 부재(10)의 금속 선재(12,14) 교차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걸리는 2개의 선단부(31,32), 상기 선단부(31,32)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부(33,34), 상기 중간부(33,34)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보강재(30)가 걸리는 후단부(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30)는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2개의 선단부(31,32)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연결부재(30,30')의 후단부(35,35')가 모여진 상태에서 이 후단부(35,35')에 보강재(20)의 선단이 연결된 것으로, 별도의 임시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페이싱 부재(10)가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성토체(G)의 침하시 보강재(20)의 선단이 아래로 슬라이딩 되어 전단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며, 더불어 페이싱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A Retaining earth system using metal mesh as facing member}
본 발명은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으로,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고, 이 페이싱 부재의 후방에 성토되는 성토체 내에 매립되는 보강재를 상기 페이싱 부재에 연결함과 동시에 시공시 상기 페이싱 부재의 형태 유지를 위한 고리 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페이싱 부재와의 결속력 향상과 시공시 별도의 임시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페이싱 부재가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축조 후 성토체의 침하시에도 보강재의 선단이 하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여 전단 응력이 보강재 선단부 및 페이싱 부재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깎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신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깎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된다.
이처럼 토사를 깎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원인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 경사면의 복구작업을 빈번히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경사면이 붕괴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경사면 상에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하여 경사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여야 한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문헌 1 내지 4를 들 수 있는데, 이들 선행기술에는 이와 같은 경사면 상에 설치되는 보강구조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페이싱 부재로 메탈 메쉬를 사용하며, 여기에 고리 형태의 링크 디바이스를 걸어 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사면에 이격 되게 철망 또는 섬유망을 설치하고,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을 지지하는 보강틀이 부설되며,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보강재를 충전하여서 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금속제의 L자형 망을 사용하여 성토 법면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그물 부재와 틀 부재를 사용하여 법면을 보강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사면 보강구조물 또는 보강방법에 있어서는 금속망과 보강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단순히 연결기능만을 발휘할 뿐 부가적인 기능이 없고, 금속망과의 연결구조 또한 단순한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부재 자체를 금속망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상태로 연결하거나 연결부위마다 독립적으로 보강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연결상태가 확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결강도도 떨어지는 것은 물론, 성토체의 다짐 후 성토체의 침하시 보강재도 함께 침하하게 되는데, 보강재의 선단 부분에 전단 응력이 집중되거나 보강재의 선단에 연결된 금속망이 변형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3152호(2012.08.22. 공개) 발명의 명칭; 보강된 흙 구조물을 위한 연결 디바이스와, 관련된 구조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7485호(2010.05.10. 공개) 발명의 명칭;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일본공개특허 제1996-218384호(1996.08.27. 공개) 발명의 명칭; 성토 법면 형성방법 및 성토 법면 형성 유닛 일본공개특허 제2000-273868호(2000.10.03. 공개) 발명의 명칭; 벽면 보강 부재, 그것을 이용한 옹벽 구조 및 틈 막이 보강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면 또는 수직으로 성토되는 보강토의 전면 부재를 금속망을 사용하되 보강토 즉, 성토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보강재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 연결부재의 연결방식을 달리하여 연결부재와 페이싱 부재와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시 별도의 임시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페이싱 부재가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보강토 축조 후 성토체의 침하시 보강재의 선단이 아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여 전단 응력이 집중되거나 페이싱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보강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금속 선재가 종횡으로 교차 형성된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페이싱 부재와, 상기 페이싱 부재의 후방에 성토되는 성토체 내에 매립되는 보강재와, 상기 페이싱 부재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보강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금속망의 금속 선재 교차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걸리는 2개의 선단부와, 상기 2개의 선단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예각을 형성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보강재가 걸리는 후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페이싱 부재의 후방에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2개의 선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연결부재의 후단부가 모여진 상태에서 이 후단부에 보강재의 선단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선단부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U자형 선단부와, U자형 선단부의 말단을 다시 사선방향으로 벤딩하여 나선형을 이루도록 한 나선형 선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U자형 선단부와 나선형 선단부는 좌측 또는 우측의 동일 방향으로 벤딩 형성되거나 좌우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상기 U자형 선단부와 나선형 선단부는 회전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벤딩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페이싱 부재의 종횡 교차부에 연결부재의 선단부 즉, U자형 선단부와 나선형 선단부가 연결되므로 연결강도의 증대가 가능하고, 이에 의해 페이싱 부재의 국부적인 변위 및 좌굴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페이싱 부재의 선재 굵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재료비 및 물류비의 절감이 가능하고, 페이싱 부재와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 또한 향상됨은 물론 성토체의 침하시 보강재의 선단부가 연결부재의 후단부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페이싱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가 페이싱 부재의 지지대 역할 및 기울기의 조절역할도 겸하므로 시공이 용이한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페이싱 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측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타측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보강토체의 침하시 보강재 선단의 슬라이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페이싱 부재의 상하 연결구조 및 연결부재와 보강재와의 연결상태를 함께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결부재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금속 선재(12,14)가 종횡으로 교차 형성된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페이싱 부재(10)와, 상기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성토되는 성토체(G) 내에 매립되는 보강재(20)와, 상기 페이싱 부재(10)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보강재(20)에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0)는 페이싱 부재(10)의 금속 선재(12,14) 교차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걸리는 2개의 선단부(31,32), 상기 2개의 선단부(31,32)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예각을 형성하는 중간부(33,34), 상기 중간부(33,34)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보강재(20)가 걸리는 후단부(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30)는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2개의 선단부(31,32)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연결부재(30,30')의 후단부(35,35')가 모여진 상태에서 이 후단부(35,35')에 보강재(20)의 선단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도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사용하는 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싱 부재와 보강재를 연결하는 점에 있어서는 기존의 보강토 시스템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연결부재의 구조와 이 연결부재를 페이싱 부재에 연결하는 구체적인 방식 및 보강재를 연결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이싱 부재(10)도 기본적으로 메탈 메쉬(metal mesh) 즉, 금속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선상의 금속 선재(12,14)가 종횡으로 교차되어 전기 저항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외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뻗은 금속 선재(12)가 평행하게 일정 간격(약 100mm내외)으로 배치되고, 내측으로는 수직방향으로 뻗은 금속 선재(14)가 평행하게 일정 간격(약 100mm내외)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페이싱 부재(10)는 격자형을 이루어 내측에 설치되는 식생매트와 이 식생매트 내측의 성토체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아연도 강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선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페이싱 부재(10)를 형성하는 금속 선재(12,14)는 3~8mm내외의 직경으로 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메탈 메쉬에서 사용하고 있는 선재의 굵기보다는 상대적으로 가늘어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이러한 재료비의 절감에도 불구하고 연결부재의 지지력 향상에 의해 변형이나 좌굴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사면 또는 수직 성토체를 구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페이싱 부재(10)는 직교하는 금속 선재(12,14)가 상호 교차부에서 용접된 상태이며 외곽은 별도의 벤딩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편평한 금속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순한 생산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별도의 벤딩공정이 필요 없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운반 및 보관을 위하여 다단으로 적층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류비의 절감 또한 가능하며, 시공 현장에서도 외곽 부위의 벤딩 등이 없어 서로 얽히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페이싱 부재(10)의 형태가 금속 선재(12,14)가 종횡으로 교차하여 상호 용접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망체 형태로 형성한 메탈 라스(metal lath)는 물론이고, 합성수지재 망체 등을 페이싱 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된 보강재(20)는 띠형 섬유보강재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강판 스트립 보강재나 그리드형 섬유보강재 등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보강재 대신 쏘일 네일에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 등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연결부재(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직경 6~12mm의 강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선재를 벤딩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대체로 V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선단부(31,32)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U자형 선단부(31)와, U자형 선단부의 말단을 다시 사선방향으로 벤딩하여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나선형 선단부(32)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2의 배면 사시도에서와 같이 나선형 선단부(32)가 상대적으로 페이싱 부재(10)의 상부 측에 연결되고, U자형 선단부(31)가 상대적으로 페이싱 부재(10)의 하부 측에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나선형 선단부(32)를 페이싱 부재(10)의 하부 측에 연결하고, U자형 선단부(31)를 상부 측에 연결할 수도 있으며, 최하단이나 최상단 등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3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우측(도 3) 또는 좌측(도 4)의 동일 방향으로 벤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회전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 즉, 오른나사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후에 설명되는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기본적으로 사선방향으로 벤딩됨으로써 페이싱 부재(10)의 금속 선재(12,14)가 교차하는 부위에 연결되어 성토체(G)에 매립된 보강재(20)의 수동 저항력을 페이싱 부재(10)의 종횡방향으로 균일하게 전달하여 페이싱 부재의 지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나선형 선단부(32)는 페이싱 부재(10)의 교차부 전방에만 걸리는 것이 아니고 마치 식물 넝쿨이 휘감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연결부재(20)를 좌우로 회동시키더라도 나선형 선단부(32)가 페이싱 부재(10)의 교차부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시공중 연결부재(30)의 회동이 가능하며, 인접하는 연결부재(30) 간의 설치 간격은 옹벽 높이 등의 현장 여건에 따라서 좁거나 넓게 세팅할 수 있고, 연결부재(30)의 좌우 설치 간격도 적정하게 세팅하면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0)의 중간부(33,34)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으로 형성하거나 중간부의 일부를 곡면형으로 형성하여 탄성을 보유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는 양측 중간부(33,34)를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 중간부(33,34)에서 소정 각도로 벤딩되어 있으며, 이 후단부(35)는 연결부재(30)를 페이싱 부재(10)에 세워서 연결한 상태에서 이 후단부(35)도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 후단부(35)에 걸린 보강재(20)가 상하로 슬라이딩 변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35)의 상하 길이와 중간부(33,34)와의 벤딩 각도 등은 페이싱 부재(10)의 입설 각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따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재(30)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좌우 반대 방향으로 즉, 하부의 U자형 선단부(31)는 중간부(33)의 선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벤딩되어 있으나, 나선형 선단부(32)는 중간부(34)의 선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벤딩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재(30)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U자형 선단부와 나선형 선단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즉, 중?부(33,34)에서 우측 방향으로 벤딩이 되어 있지만, 벤딩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는바, U자형 선단부(31)는 왼나사 방향으로, 나선형 선단부(32)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선단부(331,32)의 벤딩방향과 회전방향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은 시공현장의 다양성 및 시공자의 편의와 상기 선단부의 연결순서 등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연결부재(30)를 페이싱 부재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페이싱 부재(10)를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약 70°내외의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세우되 페이싱 부재(10)의 후면에 연결부재(3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번갈아 1쌍씩)를 좌우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상부의 나선형 선단부(32)를 먼저 페이싱 부재(10)의 상부 측 교차부에 걸어주고 하부의 U자형 선단부(31)를 하부 측 교차부에 걸어주면 되는바, 좌우로 인접하는 연결부재(30.30')의 후단부(35,35')가 모아지도록 연결부재(30)를 회동시켜서 C자형 단면형태를 갖는 플라스틱 클립(C)이나 결속선 등을 사용하여 후단부(35,35')를 모은 상태에서 고정하면 상기 연결부재(30,3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페이싱 부재(10)를 받쳐주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상태에서는 페이싱 부재(10)의 4개소에 연결부재(30,30')의 선단부(31,32)가 연결되고 연결부재(30,30')의 후단부(35,35')는 하나로 모여서 고정되게 되므로 2개의 연결부재(30,30')가 마치 하나의 피라미드형 구조물과 같은 지지체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임시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페이싱 부재(10)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페이싱 부재(10)의 후방 측에 식생 매트(M)를 깔아서 세워 성토체(G)의 포설시 페이싱 부재(10)의 전방으로 성토체의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또, 보강재(20)의 선단은 상술한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에 걸어주고 이를 성토체(G)의 바닥에 깔아주면 되며, 그 위에 다시 성토체(G)를 덮고 다지면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재(20)는 띠형 섬유보강재로 선단부를 폭방향으로 반 폭 또는 1/4폭으로 접어 세워서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에 걸어주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체(G)의 침하시 보강재(20)의 선단이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에서 하부로 자연스레 슬라이딩 됨으로써 보강재(20)의 선단부에 전단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보강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페이싱 부재(10)의 형태적인 변형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는 페이싱 부재(10)의 상하 연결구조 및 연결부재(30)와 보강재(20)와의 연결상태가 함께 도시되어 있는데, 페이싱 부재(10)가 2단 이상으로 세워지게 될 때, 하부 측의 페이싱 부재(10)와 상부 측의 페이싱 부재(10')는 적어도 1칸 이상이 겹친 상태가 되도록 적층하며, 이렇게 적층된 상태에서 2단 위치에서 연결부재(30)를 연결하면 되는바, 연결부재(30) 상부 측의 나선형 선단부(31)는 2단 위치의 페이싱 부재(10') 상부 측에 교차부에 걸고, 하부 측의 U자형 선단부(32)는 2단 위치의 페이싱 부재(10')와 1단 위치의 페이싱 부재(10) 사이의 겹침 부위의 교차부에 걸어주게 되면 페이싱 부재(10,10')를 상하 연속으로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성토체르 수직으로 성토한 것이며,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소정의 기울기와 소정의 폭으로 현장에서 발생한 암버럭 등과 골재(S)를 채워서 수직 옹벽을 구축함으로써 부지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시스템에서도 상술한 첫 번째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연결부재(30)를 사용하여 보강재(20)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마찬가지이며, 다만, 페이싱 부재(20)를 수직으로 입설하고 그 후방에 현장에서 발생한 암버럭 등과 골재(S)를 채우는 것만 상이할 뿐 연결부재(30)의 연결방법이나 시공 순서 등은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시스템은 수직 성토나 소정 기울기로의 성토시 페이싱 부재의 종횡 교차부에 연결부재의 선단부가 연결되므로 연결강도의 증대가 가능하고, 보강재의 수동 저항력이 페이싱 부재의 종횡으로 고르게 분산됨은 물론 보강재의 선단부는 후단부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성토체의 침하시에도 페이싱 부재의 국부적인 변위 및 좌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페이싱 부재의 선재 굵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재료비 및 물류비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페이싱 부재와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 또한 향상됨은 물론 성토체의 침하시 보강재의 선단부가 연결부재의 후단부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가 페이싱 부재의 지지대 역할 및 기울기의 조절역할도 겸하므로 시공 또한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 : 페이싱 부재
12,14 : 금속 선재
20 : 보강재
30 : 연결부재
31,31' : U자형 선단부
32,32' : 나선형 선단부
33,33',34,34' : 중간부
35 : 후단부
C : 클립
G : 성토체
M : 식생 매트
S : 배수골재

Claims (8)

  1. 금속 선재(12,14)가 종횡으로 교차 형성된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페이싱 부재(10)와, 상기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성토되는 성토체(G) 내에 매립되는 보강재(20)와, 상기 페이싱 부재(10)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보강재(20)에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페이싱 부재(10)의 금속 선재(12,14) 교차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걸리는 2개의 선단부(31,32), 상기 2개의 선단부(31,32)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예각을 형성하는 중간부(33,34), 상기 중간부(33,34)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보강재(20)가 걸리는 후단부(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30)는 페이싱 부재(10)의 후방에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2개의 선단부(31,32)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연결부재(30,30')의 후단부(35,35')가 모여진 상태에서 이 후단부(35,35')에 보강재(20)의 선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31,32)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U자형 선단부(31)와, U자형 선단부의 말단을 다시 사선방향으로 벤딩하여 나선형을 이루도록 한 나선형 선단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좌측 또는 우측의 동일 방향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좌우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회전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6.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선단부(31)와 나선형 선단부(32)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는 양측 중간부(33,34)를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 중간부(33,34)에서 소정 각도로 벤딩되고, 상기 후단부(35)는 연결부재(30)를 페이싱 부재(10)에 세워서 연결한 상태에서 이 후단부(35)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는 띠형 섬유보강재이고, 이 보강재(20)의 선단이 폭 방향으로 접혀 세워진 상태로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에 걸려 성토체(G)의 침하시 보강재(20)의 선단이 연결부재(30)의 후단부(35)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KR1020140188687A 2014-12-24 2014-12-24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KR20160078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87A KR20160078049A (ko) 2014-12-24 2014-12-24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87A KR20160078049A (ko) 2014-12-24 2014-12-24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049A true KR20160078049A (ko) 2016-07-04

Family

ID=5650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687A KR20160078049A (ko) 2014-12-24 2014-12-24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80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643A (ko)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한포스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84A (ja) 1995-02-20 1996-08-27 Maeda Kousen Kk 盛土法面形成方法および盛土法面形成用ユニット
JP2000273868A (ja) 1999-03-23 2000-10-03 Bridgestone Corp 壁面補強部材、それを用いた擁壁構造および盛土補強方法
KR20100047485A (ko)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20120093152A (ko) 2009-07-22 2012-08-22 테르 아르메 엠떼르나시오날 보강된 흙 구조물을 위한 연결 디바이스와, 관련된 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84A (ja) 1995-02-20 1996-08-27 Maeda Kousen Kk 盛土法面形成方法および盛土法面形成用ユニット
JP2000273868A (ja) 1999-03-23 2000-10-03 Bridgestone Corp 壁面補強部材、それを用いた擁壁構造および盛土補強方法
KR20100047485A (ko)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20120093152A (ko) 2009-07-22 2012-08-22 테르 아르메 엠떼르나시오날 보강된 흙 구조물을 위한 연결 디바이스와, 관련된 구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643A (ko)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한포스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7064B1 (en) Reinforcement of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EA007124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грунтовых покрывающих, удерживающих и укрепля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JP5526231B2 (ja) 補強された地盤構造物のための連結装置、関連する構造物および方法
KR20160078049A (ko)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CA2531547C (en) Reinforcement for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KR10235206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20110000311A (ko) 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JP3853304B2 (ja) 補強土構造物
JP2007239238A (ja) 補強土壁構築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補強土壁
KR20220135682A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JP6721185B2 (ja) 布団篭の本体パネル、布団篭、および土木構造物
JP5986967B2 (ja) 分割された盛土構築用壁面材ユニット
JP3495781B2 (ja) 植生土留構造
JP6371123B2 (ja) 盛土構造、盛土構造の構築工法および盛土構造用の壁部構成体
JPH0953240A (ja) 土留構造体
JP2006037507A (ja) 石詰籠および仕切パネル
JP4409151B2 (ja) 盛土補強装置
JP2006328720A (ja) 補強土擁壁
KR20190091643A (ko)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JP2001049668A (ja) 壁面材と地盤補強材の接続方法
US11454043B2 (en) Fence panel
WO2011098748A2 (en) Structural reinforcement device
KR101217975B1 (ko)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4077378B2 (ja) ブロック塀構築方法およびブロック塀のための補強金具
CN210827554U (zh) 一种复合型新型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