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485A -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485A
KR20100047485A KR1020080106399A KR20080106399A KR20100047485A KR 20100047485 A KR20100047485 A KR 20100047485A KR 1020080106399 A KR1020080106399 A KR 1020080106399A KR 20080106399 A KR20080106399 A KR 20080106399A KR 20100047485 A KR20100047485 A KR 2010004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reinforcement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황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황규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Priority to KR102008010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485A/ko
Publication of KR2010004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이 붕괴 되지 않도록, 상기 사면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을 지지하는 보강틀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은, 다수개가 지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다수개가 상기 가로부재에서 상기 사면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재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다수개가 상기 세로부재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부설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되어, 경사사면에 대응할 수 있어, 사면보강공사 및 보강토공사 공법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보강틀의 적재, 운반, 하역이 편리하여 많은 양의 보강틀을 빠른 시간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틀, 가로부재, 세로부재, 경사부재, 사면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with reinforce frame of dividing}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틀의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세로부재와 경사부재를 분리 가능하며, 사면에 대응하게 회전가능한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 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경사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원인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 경사면의 복구작업을 빈번히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경사면이 붕괴 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경사면상에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하여 경사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구조물로는 경사면의 표면을 그물 형태로 덮는 각종 네트(Net)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가로철봉(또는, 강봉)과 세로철봉을 일체로 연결시킨 다음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 형태로 절곡시킨 철봉격자나, 경사면상에서 사각 또는 육각 등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각종 규격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철강 또는 콘크리트 블록등이 알려져 있으며, 경사면에 요구되는 시공강도와 시공규모에 따라 적절한 보강구조물(보통, 네트〈플라스틱 블록〈철봉격자 〈콘크리트 및 철강블록의 순이다)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경사면 보강구조물 중에서 철봉격자를 이용한 것으로서, 가로철봉과 세로철봉으로 이루어지는 철봉 격자를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 형태로 절곡하여 철봉격자에 의한 전방벽과 바닥벽을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된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높이에 맞도록 적층시키되, 전방벽과 바닥벽의 사이에는 철봉격자의 강도보강을 위한 연결봉을 가로지게 설치하고, 철봉격자의 전방벽에는 녹화시트 또는 그린식생토와 같은 식물후리스를 덮게 되며, 철봉격자의 바닥벽 하측에는 보강섬유로서 부직포가 기초지반상에 덮혀지도록 한 다음, 철봉격자의 후방으로 토사를 성토 다짐시키도록 한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13625호(1992. 8.4 공개)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는 사면이 붕괴 되지 않도록, 일정부분 사면을 절개하여 절개된 공간에 다수개를 적층시킨다.
사면보강용 보강구조는 사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철망 또는 섬유망(3)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3)을 지지하도록 가로철봉과 세로철봉을 절곡시킨 철봉격자4)와 가로격자(2)로 이루어진 보강틀(1)이 포함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보강틀의 철봉격자는 사면에 경사정도에 상관없이 절곡된 각도가 일정하므로, 실제 공사현장에서 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절곡 각도를 보정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철봉격자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철봉격자를 공장에서 공사현장으로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하지 못하며, 적재 및 하역시 불편한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사용되는 보강틀을 분리가능하게 제작하여,
첫째, 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도록 보강틀의 절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둘째, 보강틀을 적재, 운반, 하역시 편의성이 도모되는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면이 붕괴 되지 않도록, 상기 사면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을 지지하는 보강틀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은, 다수개가 지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가로부재에서 상기 사면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재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세로부재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부설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경사부재는, 일측 끝단이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재를 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경사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세로부재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길이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틀은 다수개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사용되는 보강틀을 분리가능하게 제작하여,
첫째, 경사사면에 대응할 수 있어, 사면보강공사 및 보강토공사 공법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둘째, 보강틀의 적재, 운반, 하역이 편리하여 많은 양의 보강틀을 빠른 시간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는 사면이 붕괴 되지 않도록 사면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철망 또는 섬유망(50)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50)을 지지하는 보강틀(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50)은 종래에 사용되던 제품으로,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틀(100)은 지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110)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되, 다수개가 상기 가로부재(110)에서 상기 사면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재(120)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다수개가 상기 세로부재(120)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부설되는 경사부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부재(110)는 긴 봉 형상으로 메인이 되는 가로부재(110)는 상기 세로부재(120)와 상기 경사부재(130)가 결합 되도록 사면의 하부면 전방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부재(120)와 상기 경사부재(130)가 메인이 되는 가로부재(110)에 결합되면, 상기 세로부재(120)와 상기 경사부재(130)를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가 되는 가로부재(110)를 상기 세로부재(120) 상측과 상기 경사부재(130) 내측으로 접촉시켜, 철사등으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보조가 되는 가로부재(110)와 상기 경사부재(130) 또는 상기 세로부재(120)의 결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로부재(120)는 일측 끝단이 상기 가로부재(110)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의 봉 형상으로, 상기 가로부재(110) 경사면측으로 수직하게 결합 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결합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로부재(120)의 일측 끝단이 갈고리 형상(122)으로 형성되어, 갈고리 형상(122)의 개구된 공간이 상기 가 로부재(110)의 지름보다 적어서 억지 끼움 방법으로 상기 가로부재(110)에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재(130)는 전술한 상기 세로부재(120)와 동일하나, 상기 가로부재(110)에 결합되는 방향이 사면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거나 비슷하도록 결합한다.
이렇게 이루어진 상기 보강틀(100)은 상기 철망 또는 상기 섬유망(5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재(130)를 상기 세로부재(120)와 이격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5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도 있고, 상기 경사부재(130)의 빠른 설치를 위해서도 꼭 상기 세로부재(120)에 접촉하여 결합할 필요는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재(130)가 지면에 대해서 일정각도 경사 형성되므로, 쓰러질 위험이 있다. 그래서, 상기 경사부재(130)를 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경사부재(13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세로부재(120)에 결합 되는 지 지부재(1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하면, 상기 지지부재(140)는 일측이 상기 경사부재(130)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세로부재(120) 상측면에 결합 되며, 경사각도가 똑같이 않으므로 길이조절되는 것이 좋다. 보통, 지름이 다른 다수개의 봉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나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실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요 보강구조의 실시도이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작업계획 단계이다.
설계도서에 준하여 산사면의 현지측량을 실시하며, 되메움토의 수량 및 토질을 확인하며, 야적장확보 및 자재투입을 한다.
(b)는 기초지반 고르기 단계이다.
산 사면을 절개한 후 종 횡단으로 평탄화 작업을 하여 평면(200)이 되게 하며, 배수불량지반에는 배수 처리 작업까지 완료한다.
(c)는 보강재 설치 단계이다.
보강재(300)를 절개된 평면(200)에 설치하되, 설치방향은 반드시 종방향으로 설치하며, 겹침부는 10센티 이상으로 충분히 이음 처리 한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울지 않도록 편평하게 부설한다.
(d)는 본 발명인 고정틀 설치 단계이다.
보강재(300)에 대해서 보강틀(100)은 수평으로 설치되게 한다. 먼저, 메인 이 되는 가로부재(110)를 절개된 평면(200) 전방에 위치시킨 후, 여기에 경사부재(130)와 세로부재(120)를 다수개 결합시킨다. 그리고, 보조가 되는 가로부재(110)를 상기 경사부재(130)와 상기 세로부재(120)에 더 덧 되어 단단하게 지지가 되도록 한다.
그런 후, 철망 또는 섬유망(50)을 장착하면 보강틀(100)은 완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의 적층되는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요 보강구조를 지지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보강틀(100)이 완성되면, 상기 고정틀(100)과 사면 사이의 공간을 양질의 흙으로 메운 다음, 다시 상기 보강틀(100)을 장착하고 양질의 흙을 메운는 작업을 반복 진행하여, 절개된 사면의 높이까지 도 6처럼 적층 하여 올라간다. 이때, 상기 보강틀(100)이 흙의 무게에 의해 전측으로 밀려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면에 사전에 부설된 도 7의 그라운드앵커, 네일, 파일등과 상기 보강틀(100)을 연결하여 상기 보강틀(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 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정틀의 구성요소인 경사부재와 세로부재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의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의 적층되는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를 지지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100: 보강틀 2: 가로격자
3, 50: 섬유망 4: 철봉격자
110: 가로부재 120: 세로부재
122. 132: 갈고리 형상 130: 경사부재
140: 지지부재 180: 앵커
200: 평면 300: 보강재

Claims (5)

  1. 사면이 붕괴 되지 않도록, 상기 사면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을 지지하는 보강틀과, 상기 철망 또는 섬유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100)은,
    다수개가 지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110)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다수개가 상기 가로부재(110)에서 상기 사면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재(120)와;
    상기 사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로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다수개가 상기 세로부재(120)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부설되는 경사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120)와 상기 경사부재(130)는,
    일측 끝단이 갈고리 형상(122,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130)를 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경사부재(13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세로부재(1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길이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100)은,
    다수개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1020080106399A 2008-10-29 2008-10-29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20100047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399A KR20100047485A (ko) 2008-10-29 2008-10-29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399A KR20100047485A (ko) 2008-10-29 2008-10-29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485A true KR20100047485A (ko) 2010-05-10

Family

ID=4227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399A KR20100047485A (ko) 2008-10-29 2008-10-29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74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049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한포스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CN108589745A (zh) * 2018-05-09 2018-09-28 蔡宇平 水利工程用护坡防护加固装置
CN108589651A (zh) * 2018-05-09 2018-09-28 蔡宇平 水利工程用护坡排水加固装置
KR20190091643A (ko)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한포스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CN116356879A (zh) * 2023-04-24 2023-06-30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三角形钢筋笼块石挡土墙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049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한포스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KR20190091643A (ko)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한포스 금속망을 페이싱 부재로 하는 보강토 시스템
CN108589745A (zh) * 2018-05-09 2018-09-28 蔡宇平 水利工程用护坡防护加固装置
CN108589651A (zh) * 2018-05-09 2018-09-28 蔡宇平 水利工程用护坡排水加固装置
CN108589651B (zh) * 2018-05-09 2020-09-15 东阳市天杨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水利工程用护坡排水加固装置
CN116356879A (zh) * 2023-04-24 2023-06-30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三角形钢筋笼块石挡土墙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US8246274B1 (en) Earth fil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KR20100047485A (ko)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RU188394U1 (ru) Усил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габионов
RU258281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76567B1 (ko) 사면보강용 식생옹벽
JP5868352B2 (ja) 法面に道路を敷設する方法
KR101018903B1 (ko)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RU188706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габионов
KR20030011206A (ko)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KR19990046526A (ko)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KR100419883B1 (ko) 사면 녹화 보강토 공법
KR102549947B1 (ko) 사면 보강 및 복구를 위한 친환경 식생철망 복합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725274B1 (ko) 사면보강용 격자구조틀
CN110939141A (zh) 边坡的支护结构
JPH04213625A (ja) 急斜面の支え構造
KR102490289B1 (ko)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30245B1 (ko) 사면 녹화 보강토 공법
JP3863894B2 (ja) 現場打ち法枠形成用の検測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