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751A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751A
KR20160077751A KR1020140188040A KR20140188040A KR20160077751A KR 20160077751 A KR20160077751 A KR 20160077751A KR 1020140188040 A KR1020140188040 A KR 1020140188040A KR 20140188040 A KR20140188040 A KR 20140188040A KR 20160077751 A KR20160077751 A KR 20160077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driving
conditioning system
driving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국
이정훈
김연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751A/ko
Publication of KR2016007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14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oad cargos on loa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의 일 양태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입력받을 신호가 기할당된 다수개의 영역을 각각 정의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 상기 구동 바아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 바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구동 바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구동 바아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바아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INPPUT APPARTUS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내부 공간의 공조를 위한 공조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 또는 히터 코어를 유동하는 엔진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선행특허(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014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를 참조하면, 공조 장치의 컨트롤러(1)에는 다수개의 스위치(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5)는 예를 들면, 냉방 온/오프나 공조 온도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조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운전자가 스위치(5)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기억이나 경험에 의하여 인지된 위치를 기초로 스위치(5)를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에 스위치(5)의 위치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발생이 우려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7)가 구비된다. 따라서 한정된 영역에 스위치(5)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7)도 위치되므로, 스위치(5) 및 디스플레이(7)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014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공조 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표시를 위한 영역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의 일 양태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입력받을 신호가 기할당된 다수개의 영역을 각각 정의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 상기 구동 바아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 바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구동 바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구동 바아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바아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 바아는, 전후방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기설정된 갯수의 행과 열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상이하게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영역은, 기할당된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영역은, 전면 유리창의 성에의 제거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디프로스트(defrost) 버튼의 형상, 자동 공조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자동 공조 버튼 형상, 및 공조된 공기의 유동 방향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공조 방향 설정 버튼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버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 바아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개의 광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신호 또는 그 신호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구동 바아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바아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물체가 상기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상기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하면, 물체가 가장 인접하게 접근한 상기 구동 바아 중 어느 하나가 구성하는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 바아 전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고,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가 각각 기할당되는 다수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 중 적어도 하나가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면, 상기 영역에 할당된 신호에 따라서 공조 시스템이 동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영역은, 기설정된 갯수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 상기 구동 바아 중 서로 인접하는 다수개에 의하여 각각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영역에는 상기 구동 바아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광원부가 위치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영역이 입력받은 신호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점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에 의하여 다수개의 영역이 정의되고, 운전자가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각 영역을 정의하는 구동 바아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이동함으로써,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각 영역에 기할당된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바아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광원부에 의하여 각 영역에 할당된 신호 또는/및 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영역에서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표시를 위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1)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100), 다수개의 광원부(200), 구동부(300), 위치 검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바아(100)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200)는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400)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광원부(200) 및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400)가 검출한 상기 구동 바아(100)의 위치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바아(10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바아(100)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평면 상에 다수개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바아(100)가 기설정된 갯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서로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다수개의 상기 구동 바아(100)가 다수개의 영역(A1)(A2)을 각각 정의한다. 여기서 '영역'이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기할당된 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기본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2에는 2개의 영역만 표시되었으나, 영역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영역(A1)은 에어컨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2영역(A2)은 자동 공조 여부를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선단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200)도, 상기 구동 바아(100)와 동일하게, 상기 영역(A1)(A2)을 정의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200)는, 기설정된 색상의 엘이디 또는 색상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서로 상이한 색생인 다수개의 엘이디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상기 구동 바아(100)에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300)로는, 솔레노이드나 모터와 같은 주지된 다양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부(400)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바아(1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400)로는, 일반적으로 주지된 위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역(A1)(A2)을 상호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영역(A1)(A2)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영역(A1)의 경우에는 그 중앙부에 비하여 양측 단부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제2영역(A2)의 경우에는 그 양측 단부에 비하여 그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외력에 의하여 기설정된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된 것으로 상기 위치 검출부(400)에 의하여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A1)(A2)이 할당된 신호를 입력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제1영역(A1)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하여 눌려져서 후방으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영역(A1)에 할당된 신호, 즉 에어컨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500)가 실질적으로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역(A1)(A2)이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역(A1)(A2)에 할당된 신호 또는/및 상기 영역(A1)(A2)에서 입력받은 신호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역(A1)(A2)을 정의하는 상기 광원부(200)의 점멸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역(A1)(A2)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이동에 의하여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영역(A1)(A2)에 따라서 각각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지 않고도 상기 영역(A1)(A2)이 입력받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역(A1)(A2)을 정의하는 상기 조명부(200)가 입력받는 신호 및 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영역에서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영역(A1)(A2)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2)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600)는, 구동 바아(100)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각 영역(A1)(A2)이 할당된 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부(5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A1)(A2)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상기 구동 바아(100)가 이동하여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3)는, 센싱부(7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100)가 다수개의 영역(B1)(B2)(B3)(B4)(B5)을 정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영역(B1)(B2)(B3)(B4)(B5)은, 기할당된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버튼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제1영역(B1)은, 전면 유리창의 성에의 제거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유리창 모양의 디프로스트(defrost) 버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B2)은, 자동 공조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AUTO'라는 단어의 자동 공조 버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내지 제5영역(B3)(B4)(B5)은, 공조된 공기의 유동 방향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화살표 모양의 공조 방향 설정 버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700)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영역(B1)(B2)(B3)(B4)(B5)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700)가 사용자의 손이 상기 영역(B1)(B2)(B3)(B4)(B5)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500)가 사용자의 손이 가장 인접하게 접근한 상기 구동 바아(100)가 구성하는 상기 영역(B1)(B2)(B3)(B4)(B5)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 전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B1)(B2)(B3)(B4)(B5)을 표시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영역(B1)(B2)(B3)(B4)(B5)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촉감만으로도 각 영역(B1)(B2)(B3)(B4)(B5)을 확인하고, 이를 구성하는 각 구동 바아(100)를 이동시켜서 필요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영역(B1)(B2)(B3)(B4)(B5)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B1)(B2)(B3)(B4)(B5)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이한 신호의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구동 바아 200: 광원부
300: 구동부 400: 위치 검출부
500: 제어부 600: 음성 출력부
A1, A2, B1, B2, B3, B4, B5: 영역

Claims (11)

  1.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입력받을 신호가 기할당된 다수개의 영역을 각각 정의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100);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 바아(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검출부(400); 및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400)가 검출한 상기 구동 바아(100)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100)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A1)(A2)(B1)(B2)(B3)(B4)(B5)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바아(100)는, 전후방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기설정된 갯수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역(A1)(A2)(B1)(B2)(B3)(B4)(B5)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B1)(B2)(B3)(B4)(B5)은, 기할당된 신호에 대응하는 버튼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전면 유리창의 성에의 제거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디프로스트(defrost) 버튼의 형상, 자동 공조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자동 공조 버튼 형상, 및 공조된 공기의 유동 방향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공조 방향 설정 버튼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버튼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바아(100)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개의 광원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역(A1)(A2)에 할당된 신호 또는 그 신호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광원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위치 검출부(400)가 검출한 상기 구동 바아(100)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100)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바아(100)가 정의하는 상기 영역(A1)(A2)(B1)(B2)(B3)(B4)(B5)에 할당된 신호가 입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물체가 상기 영역(B1)(B2)(B3)(B4)(B5)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싱부(700)에 의하여 상기 영역(B1)(B2)(B3)(B4)(B5)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하면, 물체가 가장 인접하게 접근한 상기 구동 바아(100) 중 어느 하나가 구성하는 상기 영역(B1)(B2)(B3)(B4)(B5)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 전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B1)(B2)(B3)(B4)(B5)을 표시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9.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동 바아(100)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고,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가 각각 기할당되는 다수개의 영역(A1)(A2)(B1)(B2)(B3)(B4)(B5)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A1)(A2)(B1)(B2)(B3)(B4)(B5)을 정의하는 상기 구동 바아(100) 중 적어도 하나가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면, 상기 영역(A1)(A2)(B1)(B2)(B3)(B4)(B5)에 할당된 신호에 따라서 공조 시스템이 동작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A1)(A2)은, 기설정된 갯수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 상기 구동 바아(100) 중 서로 인접하는 다수개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A1)(A2)에는 상기 구동 바아(100)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광원부(200)가 위치되고,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영역(A1)(A2)에 할당된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영역(A1)(A2)이 입력받은 신호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점멸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KR1020140188040A 2014-12-24 2014-12-24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KR20160077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040A KR20160077751A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040A KR20160077751A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51A true KR20160077751A (ko) 2016-07-04

Family

ID=5650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040A KR20160077751A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7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014A (ko) 2011-08-23 2013-03-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014A (ko) 2011-08-23 2013-03-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609B2 (en) Air outlet for heating and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systems of motor vehicles
CN105511662B (zh) 用于车辆的二元操作触屏装置
US97195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KR20160037983A (ko) 차량을 자율 운전하기 위한 운전자 보조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및 차량
JP2012140106A (ja) 後方視界支援システム
WO2017072939A1 (ja) 車両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自動運転情報の表示方法
CN103079935A (zh) 用于辅助汽车泊车的方法和装置
KR102273570B1 (ko) 출차 지원 시스템
JP5003050B2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
JP2016196212A5 (ko)
JP201700743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114916A (ko) 후진 주차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13570A (ko) 자동 주행을 위해 차량의 주행 조작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JP2008107238A (ja) 車両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81053A (ja) 車室内照明装置
US8626387B1 (en) Displaying information of interest based on occupant movement
KR20070062163A (ko) 차량의 자동주차 시스템
KR20160077751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JP5441642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9010946B1 (en) Automobile mirror control system
JP4899488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10235026B2 (en) Vehicle operation display device
CN110356318B (zh) 车辆显示控制装置
KR201601055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044495A (ja) 車両電装品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