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500A -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500A
KR20160077500A KR1020140187229A KR20140187229A KR20160077500A KR 20160077500 A KR20160077500 A KR 20160077500A KR 1020140187229 A KR1020140187229 A KR 1020140187229A KR 20140187229 A KR20140187229 A KR 20140187229A KR 20160077500 A KR20160077500 A KR 2016007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heat insulating
injection molding
metal foi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500A/ko
Publication of KR2016007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열성 충전제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하는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HEAT INSULATING MATERIAL FOR INJECTION MO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JECTION-MOLDED INCLUDING METAL FOIL}
본 발명은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에 포함되는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 외장 부품 및 전자 제품 등의 각종 부품 및 제품은 플라스틱 성형물을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 플라스틱 성형물의 제작은 사출성형장치에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으로 이루어진 사출금형을 결합하고, 고체 상태인 플라스틱 원재료를 녹인 액상의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금형 내로 주입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 및 이를 취출함에 따라 상기의 플라스틱 성형물 제작이 완료된다.
그러나, 금속에 플라스틱이 결합된 사출성형물의 경우, 외부의 열을 차단시킬 수 있는 단열 효과가 열위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부품의 경량화 및 성형성 개선을 동시에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금속에 비하여 단열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물을 제조하고, 소재의 가공성이 개선된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사출성형용 단열재 총 중량에 대하여, 단열성 충전제 70 내지 90중량%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제공한다.
상기 단열성 충전제는, 중공 유리입자, 에어로겔 및 부정형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사출 금형의 가동측 금형의 전면에 금속 호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측 금형을 고정측 금형으로 이동시켜 합형하는 단계; 상기 가동측 금형 및 고정측 금형 내로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호일의 어느 일면에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 7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은, 금속에 비하여 단열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사출성형물의 일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사출성형용 단열재 총 중량에 대하여, 단열성 충전제 70 내지 90중량%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단열재는,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부품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 공정에 사용 가능한 단열재로, 상기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는 단열성 충전제(filler)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열성 충전제 70 내지 90중량%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열성 충전제가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 총 중량에 대하여 7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사출성형용 단열재에 의한 성형품의 단열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어려우며, 상기 단열성 충전제의 함량이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성형품을 가공하는데 가공성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단열성 충전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열전도율이 낮은 입자를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성 충전제는 중공 유리입자, 에어로겔 및 부정형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열성 충전제로 활용 가능한 소재라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에 단열성 충전제가 포함됨으로써, 점도가 향상되며 그에 따라 성형성이 열위해 질 수 있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에서, 상기 단열성 충전제는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는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는 상기 단열성 충전제와 혼합되어 단열재를 형성시키고, 상기 단열성 충전제 첨가에 따른 점도 향상으로 성형성이 열위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사출 금형의 가동측 금형의 전면에 금속 호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측 금형을 고정측 금형으로 이동시켜 합형하는 단계; 상기 가동측 금형 및 고정측 금형 내로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호일의 어느 일면에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은, 구체적으로 금속 호일의 어느 일면에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시키도록 성형된 것으로, 자동차 소재, 전자 제품 소재 등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원하는 형태로 미리 제조된 사출 금형에서, 가동측 금형의 전면에 금속 호일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 호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 호일일 수 있다.
이후, 상기 가동측 금형을 고정측 금형으로 이동시키며 합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합형하는 단계에 의하여 상기 가동측 금형 및 상기 고정측 금형 사이에 구비된 금속 호일이 금형의 형태에 맞춰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양 금형, 즉 상기 가동측 금형 및 고정측 금형 내로, 플라스틱 수지 및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혼합하여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의 어느 일면에 수지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혼합하여 사출을 위한 혼합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 70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출성형용 단열재는, 상기 금속 호일의 어느 일면에 수지층이 형성될 때, 상기 수지층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사출성형품에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의 함량이,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중량% 미만인 경우, 단열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어려우며,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열위해지며 제조 가격이 상승되어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혼합하여 주입한 후, 상기 금속 호일의 어느 일면에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온도를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사출성형용 단열재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뒤 완전히 성형되면, 이를 냉각시켜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사출성형용 단열재의 제조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열성 충전제로 중공 유리입자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로 폴리스타이렌을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중공 유리입자는 90g, 상기 폴리스타이렌은 10g으로 혼합되었으며, 상기 폴리스타이렌의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켰다. 이후, 0.5mm 길이의 펠렛 형태로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2.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품의 제조
상기 제조된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이용하여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품을 도 1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호일(120)로 알루미늄을 가동측 금형(210)에 고정시키고, 이를 고정측 금형(220) 방향으로 이동시켜 합형시켰다. 이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를 20 : 80 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130)을 수지 주입공(222)를 통해 상기 가동측 금형(210) 및 고정측 금형(221) 내로 주입시켰다.
이후, 상기 혼합물이 알루미늄의 일면에 수치층(110)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300 내지 350℃로 가열하여 성형시키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호일(120) 및 플라스틱 수지층(110)을 포함하는 사출성형품(100)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1. 단열성 평가
제조된 사출성형품의 단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위 온도를 40℃로 유지한 채, 80℃의 열원(지름 20mm)을 이용하여 금속 표면 위에 열을 가한 후, 열원의 중앙 위치의 플라스틱 면의 온도를 15분 후에 열전대(thermocoup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된 사출성형품과 성능 비교를 위하여 방열성 필러가 포함되지 않은 사출성형품(비교예)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사출성형품(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온도가 약 5℃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사출성형품의 단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00: 사출성형품 110: 플라스틱 수지층
120: 금속호일
130: 플라스틱 수지 및 사출성형용 단열재의 혼합물
200: 금형 210: 가동측 금형
220: 고정측 금형 222: 수지 주입공

Claims (6)

  1. 사출성형용 단열재 총 중량에 대하여, 단열성 충전제 70 내지 90중량%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사출성형용 단열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충전제는, 중공 유리입자, 에어로겔 및 부정형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사출성형용 단열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사출성형용 단열재.
  4. 사출 금형의 가동측 금형의 전면에 금속 호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측 금형을 고정측 금형으로 이동시켜 합형하는 단계;
    상기 가동측 금형 및 고정측 금형 내로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사출성형용 단열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호일의 어느 일면에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플라스틱 수지 10 내지 30중량% 및 상기 사출성형용 단열재 7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87229A 2014-12-23 2014-12-23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160077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29A KR20160077500A (ko) 2014-12-23 2014-12-23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29A KR20160077500A (ko) 2014-12-23 2014-12-23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00A true KR20160077500A (ko) 2016-07-04

Family

ID=5650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29A KR20160077500A (ko) 2014-12-23 2014-12-23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5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5795A (zh) * 2018-01-31 2020-09-11 住友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5795A (zh) * 2018-01-31 2020-09-11 住友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
US11753540B2 (en) 2018-01-31 2023-09-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Resin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5094B (zh) 一種回收pet發泡材料及其製造方法
KR20170017611A (ko) 발포성 마스터배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과 무도장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CN102702560B (zh) 一种聚丙烯发泡材料的复合发泡制造方法
CN110982173B (zh) 一种软触感聚丙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HK1066235A1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article and the foamed article
KR102005292B1 (ko)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WO2009079724A3 (en) Preform and container for contaminable product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CN107964202A (zh) 聚酯作为流动促进剂在提高增强芳族乙烯基共聚物组合物光泽度的用途
CN101575431A (zh) 一种可注塑成型的eva发泡组合物
CN103232625A (zh) 高阻燃化学交联聚乙烯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589580A (zh) 一种含有β晶的聚丙烯发泡珠粒及其制备方法
KR20170130382A (ko) 사출 성형 제품의 제조 방법, 상응하는 사출 성형 제품 및 특수하게 제조된 해바라기 껍질 섬유의 첨가제로서의 용도
KR20160077500A (ko) 사출성형용 단열재 및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사출성형물의 제조방법
JP2007161853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56154A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177182A (zh) 矿物增强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其产品
CN108003548A (zh) 聚酰胺作为流动促进剂在提高增强芳族乙烯基共聚物组合物光泽度的用途
CN105602183A (zh) 一种稳定的复合型注塑材料
KR20140059799A (ko) 수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수지 복합 성형체
CN106519442A (zh) 一种聚丙烯注塑发泡方法
CN111234302A (zh) 一种改善塑料收缩率的方法
CN103434153A (zh) 塑料挤出物理低发泡成型方法
CN110894350A (zh) 一种新型发泡材料及其生产工艺
KR100393737B1 (ko) 김치냉장고용 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303B1 (ko)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