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292B1 -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292B1
KR102005292B1 KR1020170095162A KR20170095162A KR102005292B1 KR 102005292 B1 KR102005292 B1 KR 102005292B1 KR 1020170095162 A KR1020170095162 A KR 1020170095162A KR 20170095162 A KR20170095162 A KR 20170095162A KR 102005292 B1 KR102005292 B1 KR 10200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 sheet
skin layer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349A (ko
Inventor
허미
함진수
이광희
김우진
하상훈
최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7009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2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발포층 상에 스킨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 균일성이 우수하며 일정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지는 발포층을 포함하여 열성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Foam sheet containing skin lay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oo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식품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은 발포식, 비발포식으로 나뉜다. 발포 방식 제품은 폴리스타이렌을 발포 가스와 혼합시켜 압출시킨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유지할 수 있어 형태유지, 단열성, 가격 경쟁력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고온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단점이 있다. 비발포 용기의 경우, 열에 안정한 폴리프로필렌을 필름형태로 제작된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고온에서 치수변화율이 적고,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단열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일회용 내열용기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이 컵라면 용기라 할 수 있는데, 이전에는 폴리스타이렌 발포 용기를 사용하였지만, 고온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점이 이슈화 되어 이를 종이 용기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현대사회에서 점차 생활이 편리해 지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배달음식 및 간편요리 제품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식품 포장 용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고 용도에 따른 기능이 부여된 새로운 용기 소재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수려한 외관, 편리함, 안전성, 친환경 성능을 모두 갖춘 포장 용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58347
본 발명은 발포층 상에 스킨층을 형성하여 표면 균일도가 우수한 발포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평균 100 내지 300 ㎛의 셀 크기를 갖는 발포층; 및
상기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수지를 압출 및 발포하여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연속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의 표면 상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발포체의 셀 크기는 평균 100 내지 300 ㎛이며,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 이하인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포함하는 식품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발포층 상에 스킨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 균일성이 우수하며 일정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지는 발포층을 포함하여 열성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발포시트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발포시트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포층 일면 또는 양면에 스킨층이 형성된 발포시트에 대한 것이다.
종래 발포시트는 셀 크기가 큰 발포층을 포함하여 발포시트의 표면이 불균일하고 이에 따라 접착성 또는 점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발포층 일면 또는 양면에 수지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 균일도가 우수하여 식품 용기로 사용하였 때, 리드접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발포층 및 스킨층을 형성하여 두 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층 일면에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포층 양 면에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를 가지는 발포시트는 스킨층을 포함하여 발포시트의 표면 균일도가 우수하며, 열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발포층 및 상기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층 및 스킨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내지 300 ㎛일 수 있으며,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이란, 고분자 내 발포에 의해 팽창된 미세구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평균 100 내지 300 ㎛의 셀 크기를 갖는 발포층; 및
상기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층은 플라스틱 수지 발포체일 수 있으며, 상기 발포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내지 30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층의 셀 크기는 평균 120 내지 225 ㎛, 150 내지 250㎛ 또는 170 내지 22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크기의 셀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강도 및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층은 90% 이상의 셀이 폐쇄 셀(DIN ISO459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발포층의 DIN ISO4590에 따른 측정값이 셀 중 90%(v/v) 이상이 폐쇄 셀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층 중 폐쇄 셀은 90 내지 100% 또는 95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상기 범위 내의 폐쇄 셀을 갖는 발포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단열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발포시트는 포장 용기 가령 예를 들어, 식품용기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층의 셀 수는 mm당 1 내지 30 셀, 3 내지 25 셀, 또는 3 내지 20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셀 크기의 편차는 예를 들어, 5 % 이하, 0.1 내지 5 %, 0.1 내지 4 % 내지 0.1 내지 3 % 범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는 균일한 크의 셀들이 균일하게 발포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킨층은 플라스틱 수지 발포체 또는 수지 코팅층일 수 있으며,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0.1 내지 100 ㎛, 5 내지 80㎛, 10 내지 50㎛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이 수지 코팅층인 경우에는 셀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스킨층을 포함함으로써 발포시트의 표면 균일도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층 및 스킨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르 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발포시트에서 발포층의 두께는 1㎜ 내지 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시트의 두께는 1.5㎜ 내지 4.5㎜, 2.0㎜ 내지 4.0㎜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발포시트의 두께는 1.5㎜ 내지 2.5㎜ 또는 2㎜ 내지 2.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시트에서 스킨층의 두께는 5㎛ 내지 100㎛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10㎛ 내지 95㎛, 15㎛ 내지 90㎛ 또는 20㎛ 내지 80㎛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5㎛ 내지 50㎛ 또는 6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두께의 스킨층을 포함함으로써, 발포시트의 표면은 균일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포시트를 식품 용기로 사용하는 경우, 리드 접착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발포시트는 중심선 표면 거칠기(Ra)가 0.1㎛ 내지 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포시트의 중심선 표면 거칠기(Ra)는 0.2㎛ 내지 1.4㎛, 0.5㎛ 내지 1.2㎛ 또는 0.8㎛ 내지 1.1㎛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시트의 중심선 거칠기(Ra)는 0.8㎛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심선 표면 거칠기 값을 통해, 본 발명의 발포시트는 표면에 균일하게 스킨층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의 결정화도는 평균 10 % 내지 20%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시트의 결정화도는 평균 12% 내지 17%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 발포시트는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추후 성형하는 과정에서도 적정한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V1-V0| / V0 x 100 ≤ 10%
상기 수학식 1에서,
V0은 1kw 전자레인지에 5분 동안 노출 전 내열재의 체적(mm3)이고,
V1은 1kw 전자레인지에 5분 동안 노출 후 내열재의 체적(mm3)이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발포시트 샘플을 1kw 전자레인지에 5분 동안 노출시키기 전 후의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이는, 상기 발포시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포장 용기의 열에 실제 사용 환경과 대응하는 측정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체적은, 발포시트의 길이, 너비 및 두께 각각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치수 변화율은 0.01 내지 5%, 0.01 내지 3% 또는 0.01 내지 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수학식 1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높은 온도 환경에서의 사용에도 형태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배리어(Barrier) 성능, 친수화 기능 또는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친수화제, 열안정제, 방수제, 셀 크기 확대제, 적외선 감쇠제, 가소제, 방화 화학 약품, 안료, 탄성폴리머, 압출 보조제, 산화방지제, 기핵제, 공전 방지제 및 UV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발포체는 증점제, 기핵제, 열안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핵제의 예로는, 탈크, 마이카,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칼슘,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리움, 황산바륨, 탄산수소나트륨, 그라스 비드 등의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핵제는 수지 발포체의 기능성 부여, 가격 절감 등을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탈크(Talc)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유기 또는 무기 인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인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인산 및 그 유기 에스테르, 아인산 및 그 유기 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안정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물질로서, 인산, 알킬 포스페이트 또는 아릴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열안정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지 발포체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발포제의 예로는, N2, CO2, 프레온, 부탄, 펜탄, 네오펜탄, 헥산, 이소헥산, 헵탄, 이소헵탄, 메틸클로라이드 등의 물리적 발포제 또는 아조디카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계 화합물,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P,P'-oxy bis (benzene sulfonyl hydrazide)]계 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N,N'-dinitroso pentamethylene tetramine)계 화합물 등의 화학적 발포제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CO2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수지를 압출 및 발포하여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연속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발포체의 셀 크기는 평균 100 내지 300 ㎛이며,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평균 100 ㎛ 이하인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라 함은 발포체를 제조하는 동시에, 혹은 발포체를 제조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추가 단계 없이 연속적으로 스킨층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발포체와 스킨층이 공압출을 통해 동시에 형성되거나, 압출 및 발포를 통해 제조되어 나오는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여 발포체 일면 또는 양면에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발포체는 평균 100 내지 300 ㎛ 크기의 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는 평균 120 내지 225 ㎛, 150 내지 250㎛ 또는 170 내지 220㎛ 크기의 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기의 셀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발포시트는 우수한 강도 및 내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 발포체를 급속 냉각시켜 형성하거나, 플라스틱 수지를 공압출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킨층을 수지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시켜 형성할 경우, 상기 스킨층은 평균 100 ㎛ 이하 크기의 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층은 평균 0.1 내지 100 ㎛, 5 내지 80㎛, 10 내지 50㎛ 또는 50㎛ 이하 크기의 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킨층을 발포시트에 형성함으로써, 발포시트의 표면이 균일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스킨층을 수지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시키는 경우는 -20℃ 내지 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경우는 -20℃ 내지 15℃, -15℃ 내지 10℃ 또는 -10℃ 내지 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시킴으로써 적절한 크기의 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포시트의 표면이 균일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에서 수지 발포체 및 스킨층에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르 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체는 압출 발포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 방법의 종류에는 크게 비드 발포 또는 압출 발포가 있다. 상기 비드 발포는, 일반적으로, 수지 비드를 가열하여 1차 발포시키고 이것을 적당한 시간 숙성 시킨 후 판모양, 통모양의 금형에 채우고 다시 가열하여 2차 발포에 의해 융착, 성형하여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반면, 압출 발포는,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 수지 용융물을 연속적으로 압출 및 발포시킴으로써, 공정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비드 발포 시의 비드 사이에서 균열과, 입상 파괴 현상 등을 방지하여 보다 우수한 굴곡강도 및 압축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제조하는 발포 공정은, 다양한 형태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행 가능하다. 발포 공정은, 크게 비드 발포 또는 압출 발포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압출 발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 발포는, 수지 용융물을 연속적으로 압출 및 발포시킴으로써, 공정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비드 발포 시의 비드 사이에서 균열과, 입상 파괴 현상 등을 방지하여 보다 우수한 굴곡강도 및 압축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다양한 형태의 첨가제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유체 연결 라인 중에 투입되거나, 혹은 발포 공정 중에 투입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배리어(Barrier) 성능, 친수화 기능 또는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증점제, 계면활성제, 친수화제, 열안정제, 방수제, 셀 크기 확대제, 적외선 감쇠제, 가소제, 방화 화학 약품, 안료, 탄성폴리머, 압출 보조제, 산화방지제, 기핵제, 공전 방지제 및 UV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포체 제조방법은 증점제, 기핵제, 열안정제 및 발포제 중 1종 이상을 투입할 수 있으며, 앞서 열거된 기능성 첨가제들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증점제, 친수화제, 열안정제, 방수제, 셀 크기 확대제, 적외선 감쇠제, 가소제, 방화 화학 약품, 안료, 탄성폴리머, 압출 보조제, 산화방지제, 기핵제, 공전 방지제 및 UV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유체 연결 라인 중에 투입할 수 있다. 발포체 제조시 필요한 첨가제 중에서, 유체 연결 라인 중에 투입되지 않은 첨가제는, 압출 공정 중에 투입 가능하다.
상기 증점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핵제의 예로는, 탈크, 마이카,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칼슘,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리움, 황산바륨, 탄산수소나트륨, 그라스 비드 등의 무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핵제는 수지 발포체의 기능성 부여, 가격 절감 등을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탈크(Talc)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유기 또는 무기 인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인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인산 및 그 유기 에스테르, 아인산 및 그 유기 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안정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물질로서, 인산, 알킬 포스페이트 또는 아릴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열안정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지 발포체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발포제의 예로는, N2, CO2, 프레온, 부탄, 펜탄, 네오펜탄, 헥산, 이소헥산, 헵탄, 이소헵탄, 메틸클로라이드 등의 물리적 발포제 또는 아조디카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계 화합물,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P,P'-oxy bis (benzene sulfonyl hydrazide)]계 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N,N'-dinitroso pentamethylene tetramine)계 화합물 등의 화학적 발포제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CO2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수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시아노아크릴산 계열,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계열, 아크릴레이트 계열, 폴르클로로프렌 계열, 폴리우레탄 수지와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체 계열, 폴리올과 폴리 우레텐 수지의 혼합체 계열, 아크릴릭 폴리머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체 계열, 폴리이미드 계열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우레탄의 혼합체 계열 등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용기는 발포시트 일면에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에틸렌 비닐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리어층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식품 용기는 가스 배리어 특성을 가지고 수증기 투과도가 우수하며, 구체적으로, 질소 충전 식품 용기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식품 용기는 본 발명의 발포시트를 포함함으로써 발포시트의 스킨층으로 인해 표면 거칠기가 낮아 식품 용기의 리드(lid) 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리드를 통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식품 용기는 용기 내 식품의 보관 및 유지에 용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식품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발포시트의 제1면에는 평균 35℃ 내지 65℃ 범위의 온도에서 가열 및 가압하고, 동시에 상기 발포시트의 제2면에는 평균 60℃ 내지 90℃ 범위의 온도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발포시트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시트를 성형하기 전에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식품 용기의 결정화도는 20% 내지 3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시트를 성형하여 제조된 식품 용기의 결정화도는 25% 내지 35% 또는 2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정화도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식품 용기는 우수한 강도 및 성형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공압출 )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PET 수지를 130도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제 1 압출기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PET 수지와 상기 수분이 제거된 PET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 1중량부, 탈크 1중량부 및 Irganox (IRG 1010)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280℃로 가열하여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제 1압출기에 발포제로서 Butane 을 PET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투입하였다.
한편, 제2 압출기에는 표면층으로 되는 스킨층 형성용의 수지층으로서 PET 수지를 100중량부를 상기 제2 압출기에 공급하여 280℃로 가열 용융하였다.
그 다음에 이 용융 상태의 스킨층 수지 조성물을, 분지 유로를 가지는 분배관에서 합류 금형의 관체와 슬릿으로부터 각각 합계가 15kg/시간으로 되는 양으로 토출시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외층측에 적층 합류시킨 후 합류 금형 선단과 접속된 써큘러 다이(구경 110mm, 슬릿 간극 0.95mm)로부터 115 kg/시간으로 되는 수지 토출량으로 원통형으로 공압출시킴으로써 발포층을 통하여 그 외측에 스킨층이 적층된 발포 시트를 형성하였다. 이때 발포층을 2mm 두께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표면 급속 냉각)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PET 수지 100 중량부를 130도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제 1 압출기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PET 수지와 상기 수분이 제거된 PET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 1중량부, 탈크 1중량부 및 Irganox (IRG 1010)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280도로 가열하여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제 1압출기에 발포제로서 Butane을 PET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투입하고 압출발포 하였으며, 발포층을 2mm 두께로 형성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냉각 장치인 원통형의 Mandrel의 온도를 -20도로 유지시켜 발포체의 표면을 급송 냉각시켜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스킨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1 : 발포시트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발포시트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발포시트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심선 표면 거칠기, 굴곡 성형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하기 기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1) 중심선 표면 거칠기 측정
KS B 0161에 의거하여 중심선 표면 거칠기 값을 측정하였다.
2) 굴곡 성형성 측정
금형기의 굴곡부분의 성형성을 외관상으로 확인하여 1 에서 10까지 점수로 평가하였다.
3) 내열성 측정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V1-V0| / V0 x 100
상기 수학식 1에서,
V0은 1kw 전자레인지에서 5분 동안 노출 전 내열재의 체적(mm3)이고,
V1은 1kw 전자레인지에서 5분 동안 노출 후 내열재의 체적(mm3)이다.
4) 리드 접착성 측정
PET foam Sheet와 리드필름 (PE 핫멜트 60μm)을 25 * 60mm로 준비하여 리드 접착용 Hot Press에서 온도 150℃에서 2kgf 압력으로 Sealing 한 후 KS M 3725 규격을 기준으로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200mm/분의 속도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중심선 표면 거칠기(㎛) 0.8 1.05 2.4
굴곡 성형성 (point) 10 10 8
내열성 (%) 1 0.5 15
리드접착성(kgf) 1.2 1.1 0.4
표 1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2의 발포시트의 중심선 표면 거칠기 값은 0.8㎛ 내지 1.05㎛으로 비교예의 중심선 표면 거칠기 값인 2.4㎛와 비교하여 표면 거칠기가 작아 발포시트의 표면이 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발포시트는 비교예의 발포시트와 비교하여 굴곡 성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 1 및 2의 발포시트는 KS M 3725에 따른 박리강도가 1.0 kgf 이상으로, 구체적으로 1.0 내지 1.5 kgf의 값을 나타낸다. 비교예의 발포시트가 0.4 kgf 정도의 박리강도를 가지므로, 비교예와 비교하여 3배 정도로 박리강도가 증가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리드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발포시트를 대상으로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촬영을 수행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실시예 1의 발포시트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로, 발포층 일면에 스킨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발포층은 미세한 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층의 두께는 약 2±0.5 mm이며, 스킨층의 두께는 80±5 ㎛이며, 발포층 상에 스킨층이 형성되어 발포시트의 표면이 매끈하고 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는 표면이 균일하여 리드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0: 발포층
20, 21, 22: 스킨층

Claims (12)

  1. 평균 100 내지 300 ㎛의 셀 크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5㎛ 내지 100㎛이며,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100㎛ 이하이고,
    발포시트의 중심선 표면 거칠기(Ra)는 0.1㎛ 내지 1.5㎛이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
    [수학식 1]
    |V1-V0| / V0 x 100 ≤ 10%
    상기 수학식 1에서,
    V0은 1kw 전자레인지에 5분 동안 노출 전 발포시트의 체적(mm3)이고,
    V1은 1kw 전자레인지에 5분 동안 노출 후 발포시트의 체적(mm3)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시트의 결정화도는 평균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
  6.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 및 발포하여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연속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발포체의 셀 크기는 평균 100 내지 300 ㎛이며,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5㎛ 내지 100㎛이며,
    상기 스킨층의 셀 크기는 100㎛ 이하이고,
    발포시트의 중심선 표면 거칠기(Ra)는 0.1㎛ 내지 1.5㎛인 제 1항에 따른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칩을 용융하여 압출 및 발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공압출하거나 수지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체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경우는 -20℃ 내지 15℃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따른 발포시트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용기는 발포시트 일면에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KR1020170095162A 2017-07-27 2017-07-27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KR10200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62A KR102005292B1 (ko) 2017-07-27 2017-07-27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62A KR102005292B1 (ko) 2017-07-27 2017-07-27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49A KR20190012349A (ko) 2019-02-11
KR102005292B1 true KR102005292B1 (ko) 2019-07-31

Family

ID=6536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162A KR102005292B1 (ko) 2017-07-27 2017-07-27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6143B (zh) * 2019-04-25 2023-07-07 株式会社 Huvis 包含无机粒子的发泡片及其制造方法
KR102175970B1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휴비스 인쇄 적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48072B (zh) * 2019-04-30 2024-03-08 株式会社 Huvis 增强印刷适性和隔热性的容器及其制造方法
KR102319818B1 (ko) * 2019-04-30 2021-11-02 주식회사 휴비스 단열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5935B1 (ko) * 2019-11-25 2021-08-05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735A (ja) * 1999-09-29 2001-06-19 Jsp Corp 熱可塑性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並びにそれらの容器
JP2009234627A (ja) * 2008-03-27 2009-10-15 Toyo Seikan Kaisha Ltd 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WO2013118718A1 (ja) * 2012-02-07 2013-08-1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蒸着発泡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865A (ja) * 1995-12-20 1997-06-3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シート
KR20120058347A (ko) 2010-11-29 201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에너지 흡수 보강재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735A (ja) * 1999-09-29 2001-06-19 Jsp Corp 熱可塑性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並びにそれらの容器
JP2009234627A (ja) * 2008-03-27 2009-10-15 Toyo Seikan Kaisha Ltd 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WO2013118718A1 (ja) * 2012-02-07 2013-08-1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蒸着発泡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49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292B1 (ko)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
KR101864316B1 (ko) 다층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025352A (ko) 열성형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45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용기
KR102319817B1 (ko)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식품용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529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970B1 (ko) 인쇄 적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7619B1 (ko) 셀 발현 균일도가 우수한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454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101783837B1 (ko) 밀도 조절이 용이한 코어-쉘 구조의 발포체
KR102063785B1 (ko) 리드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7014788B2 (ja) スキン層を含む発泡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食品容器
KR20170051771A (ko) 복수의 기능성 발포층을 포함하는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657B1 (ko)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101976434B1 (ko) 무기입자 및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9818B1 (ko) 단열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포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7808B1 (ko)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6354B1 (ko) 두께 방향으로 셀 사이즈가 상이한 영역들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455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20220024259A (ko) 엠보 패턴화된 표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9230A (ko) 고용융장력 polypropylene resin을 사용한 무가교 pp 발포 sheet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용기의 제조 방법
KR20220024258A (ko) 선형 패턴화된 표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8139A (ko) 표면 거칠기를 개선한 발포 시트
KR20230078138A (ko) 수축률을 개선한 발포시트
KR20200075674A (ko) 양면 가열형의 발포시트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