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685A -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685A
KR20160076685A KR1020140187024A KR20140187024A KR20160076685A KR 20160076685 A KR20160076685 A KR 20160076685A KR 1020140187024 A KR1020140187024 A KR 1020140187024A KR 20140187024 A KR20140187024 A KR 20140187024A KR 20160076685 A KR20160076685 A KR 2016007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ssenger
passenger compartment
side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454B1 (ko
Inventor
노학래
이경철
박재현
천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8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관광열차는 바닥부, 중앙 측벽부, 상부 프레임,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 및 제1 및 제2 차창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객차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견고하게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하고, 상기 객차부를 양측의 제1 및 제2 공간들로 분리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중앙 측벽부의 끝단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객차부의 상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은 상기 바닥부의 양 끝 모서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의 양 측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은 상부 끝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 끝단은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객차부의 상부 및 측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TOUR TRAIN HAVING PANORAMA WINDOWS}
본 발명은 관광 열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이 보다 넓은 창으로 넓은 풍경을 즐길 수 있도록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관광지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운행하면서 창밖의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관광열차의 운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나 버스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관광을 즐길 수 있어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광열차는, 기존 운행하던 열차에서 좌석의 위치를 바꾸는 등의 단순한 개조를 통해 제작되고 있을 뿐 초기 설계부터 관광열차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제작되지는 않는 상황이다.
특히, 관광열차를 통한 여행의 즐거움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창을 넓게 형성하여 한 눈에 보다 넓은 광경을 볼 수 있는 파노라마 차창 구조가 필요한데, 현재까지 파노라마 차창을 구비한 관광열차는 거의 운행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물론, 일부 파노라마 차창을 구비한 관광열차가 운행되고는 있으나, 파노라마 창으로 열차의 측부를 대체하는 경우, 열차의 속도에 따른 안전성이 문제되어 차창의 크기가 제한되거나 열차의 속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관광열차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철도 차량에서 창문의 개방 구조를 확대하기 위한 철도 차량의 구조체 구조에 관한 발명으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0-157608호가 있으며, 이는 중앙부에 넓은 차창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철도 차량의 구조체를 변경하여 설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일반 철도 차량에도 적용하기 위한 기술일 뿐, 파노라마 차창을 포함한 관광열차의 특성에 맞는 열차 구조에 대한 발명이 아니므로, 관광 열차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광열차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성 및 관광의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열차는 바닥부, 중앙 측벽부, 상부 프레임,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 및 제1 및 제2 차창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객차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견고하게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하고, 상기 객차부를 양측의 제1 및 제2 공간들로 분리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중앙 측벽부의 끝단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객차부의 상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은 상기 바닥부의 양 끝 모서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의 양 측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은 상부 끝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 끝단은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객차부의 상부 및 측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중앙 측벽부에 고정되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공간들에 배치되며, 착석한 승객의 시야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의자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의자부와 상기 제1 측부 프레임 사이에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의자부와 상기 제2 측부 프레임 사이에 제2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객이 하늘을 관측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 차창부, 및 상기 상부 차창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측부프레임들까지 연장되어 승객이 측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개방된 측부 차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 사이를 고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장 프레임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중앙 측벽부가 객차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것 외에, 바닥부와 고정되어 관광 열차의 운행에 따라 상기 객차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게 개방된 차창부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가 객차부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하므로, 상부 프레임 및 측부 프레임을 최소한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차창부를 형성할 수 있어 개방감이 확대되어, 승객의 즐거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측벽부가 객차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면서, 상기 중앙 측벽부에 의자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된 의자부는 자연스럽게 차창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승객이 창밖의 광경을 보다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자부와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므로, 상기 객차부 내의 공간의 활용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광 열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광 열차의 I-I'을 절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광 열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광 열차의 I-I'을 절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관광 열차(100)는 관광지를 운행하며 승객이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열차로서, 도 1에서는 한 량의 객차부 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관광 열차(100)는 복수의 객차부들을 운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객차부들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한 량의 객차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관광 열차(100)는 바닥부(10), 중앙 측벽부(20), 상부 프레임(30),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40, 50), 제1 및 제2 의자부들(60, 70) 및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0)는 객차부(101)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상기 바닥부(10)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상기 객차부(101)의 내부 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서로 대칭으로 분리된 제1 및 제2 공간들(102, 103)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상기 객차부(101) 내부에서 상기 관광 열차(1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상기 바닥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객차부(10)의 내부에 '⊥' 자형 단면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객차부(10)의 실질적인 내부 지지구조체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상기 바닥부(10)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객차부에서 객차부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이 생략되고 객차부의 외면으로 객차부의 구조체를 형성하던 것과 달리, 객차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중앙 측벽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객차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구조체를 생략하면서도 객차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 자형 내부 단면 구조를 통해, 비록 관광 열차라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운행되므로 빠른 속도의 운행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으나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개방되는 차창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0)은 상기 중앙 측벽부(20)의 상부 끝단에 상기 중앙 측벽부(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10)와 마주하도록 상기 객차부(101)의 상부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 프레임(30)은 상기 중앙 측벽부(20)와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0)은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단순히 후술되는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과 상기 중앙 측벽부(20)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에 불과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에 의해 상부 방향의 개방성이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40, 50)은 각각 상기 바닥부(10)의 양 끝 모서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101)의 측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40, 50)도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을 통한 측부 방향의 개방성이 확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의자부들(60, 70)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공간들(102, 103)에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의자부(60)는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중앙 측벽부(20)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공간(102)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의자부(70)는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중앙 측벽부(20)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공간(103)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측벽부(20)가 열차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객차부(101) 내에서 연장되며 배치되므로, 상기 제1 의자부(60)의 등받이 부가 상기 중앙 측벽부(20)에 고정되면 상기 제1 의자부(60)는 승객이 착석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승객이 상기 제1 차창부(8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의자부(70)도 등받이 부가 상기 중앙 측벽부(20)에 고정되면 상기 제2 의자부(70)는 승객이 착석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승객이 상기 제2 차창부(9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객차부(101)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상기 제1 및 제2 의자부들(60, 7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의자부들(60, 70)의 고정방향도 관광 열차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앙 측벽부(20)는 상기 객차부(101) 내부에서의 승객의 편의성이나 비상 상황에의 탈출 등을 목적으로, 상기 의자부들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일부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앙 측벽부(20)를 통해 상기 제1 공간(102)과 상기 제2 공간(103) 사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은 각각, 상기 제1 측부 프레임(40)과 상기 상부 프레임(30), 상기 제2 측부 프레임(50)과 상기 상부 프레임(30)을 연결하며, 상기 객차부(101)의 창문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객차부(101)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차창부(80)는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차창부, 및 상기 상부 차창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부 프레임(40)에 고정되는 측부 차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차창부 및 상기 측부 차창부는 외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곡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승객은 상기 상부 차창부를 통해 하늘을 관측할 수 있으며, 상기 측부 차창부를 통해 측부를 관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차창부(80)도 상기 상부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차창부, 및 상기 상부 차창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부 프레임(50)에 고정되는 측부 차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차창부 및 상기 측부 차창부를 통해 승객은 각각 하늘과 측부를 관측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은 다양한 형태로 상기 상부 프레임(30)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40, 50)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승객은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개방감이 확대된 제1 및 제2 차창부들을 통해 외부 경관을 관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의 즐거움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외력에 약한 유리 소재의 제1 및 제2 차창부들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객차부(101)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이 감소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닥부(10) 및 중앙 측벽부(20)의 구조적 특징으로 보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의자부(60) 및 상기 제1 측부 프레임(40), 상기 제2 의자부(70) 및 상기 제2 측부 프레임(50) 사이에는 승객이 지나다닐 수 있는 제1 및 제2 통로부들(42, 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부 프레임(40)에는 회전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1 탁자부(43)가 고정되어, 상기 제1 의자부(60)에 착석한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부 프레임(50)에도 회전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2 탁자부(53)가 고정되어, 상기 제2 의자부(70)에 착석한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한 량의 객차부(101)의 측부 및 상부에 하나의 유리창이 형성되는 파노라마 창의 경우, 개방성을 매우 우수하나, 외력 등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제1 측부 프레임(40)과 상기 상부 프레임(30) 사이, 상기 제2 측부 프레임(50)과 상기 상부 프레임(3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장 프레임들(41, 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연장 프레임들(41, 42)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80, 90)은 한 량의 객차부(101)에서 복수 개로 분리되며, 이에 따라 개방성은 다소 감소되더라도, 외부 충격 흡수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중앙 측벽부가 객차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것 외에, 바닥부와 고정되어 관광 열차의 운행에 따라 상기 객차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게 개방된 차창부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가 객차부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하므로, 상부 프레임 및 측부 프레임을 최소한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차창부를 형성할 수 있어 개방감이 확대되어, 승객의 즐거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측벽부가 객차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면서, 상기 중앙 측벽부에 의자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된 의자부는 자연스럽게 차창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승객이 창밖의 광경을 보다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자부와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므로, 상기 객차부 내의 공간의 활용성도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열차는 관광을 목적으로 운행되는 열차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 관광열차 10 : 바닥부
20 : 중앙 측벽부 30 : 상부 프레임
40 ; 제1 측부 프레임 50 : 제2 측부 프레임
60 : 제1 의자부 70 : 제2 의자부
80 : 제1 차창부 90 : 제2 차창부
41 : 제1 연장 프레임 42 : 제1 통로
51 : 제2 연장 프레임 52 : 제2 통로
101 : 객차부

Claims (5)

  1. 객차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견고하게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하고, 상기 객차부를 양측의 제1 및 제2 공간들로 분리하는 중앙 측벽부;
    상기 중앙 측벽부의 끝단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객차부의 상부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바닥부의 양 끝 모서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객차부의 양 측부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 및
    상부 끝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 끝단은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객차부의 상부 및 측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창부들을 포함하는 관광열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중앙 측벽부에 고정되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공간들에 배치되며, 착석한 승객의 시야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의자부들을 더 포함하는 관광열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자부와 상기 제1 측부 프레임 사이에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의자부와 상기 제2 측부 프레임 사이에 제2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열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객이 하늘을 관측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 차창부, 및 상기 상부 차창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측부프레임들까지 연장되어 승객이 측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개방된 측부 차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열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차창부들 사이를 고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들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장 프레임들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열차.
KR1020140187024A 2014-12-23 2014-12-23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KR10165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24A KR101650454B1 (ko) 2014-12-23 2014-12-23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24A KR101650454B1 (ko) 2014-12-23 2014-12-23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85A true KR20160076685A (ko) 2016-07-01
KR101650454B1 KR101650454B1 (ko) 2016-08-23

Family

ID=5650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24A KR101650454B1 (ko) 2014-12-23 2014-12-23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4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937A (zh) * 2016-10-21 2017-01-04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347391A (zh) * 2016-10-21 2017-01-25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364507A (zh) * 2016-10-21 2017-02-01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光性好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394572A (zh) * 2016-10-21 2017-02-15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494438A (zh) * 2016-10-21 2017-03-15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观赏性好的全景观列车车厢
CN107792106A (zh) * 2016-08-28 2018-03-1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窗结构及轨道车辆
CN107792107A (zh) * 2016-08-28 2018-03-1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商务车厢的车窗结构及轨道车辆
CN111086534A (zh) * 2020-01-02 2020-05-0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体及轨道交通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78B1 (ko) 2020-11-10 2021-09-27 (주)성신알에스티 배터리로 구동되는 철도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24A (ja) * 2000-08-23 2002-02-26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鉄道車両の個室における展望確保方法
KR20090034228A (ko) * 2007-10-02 2009-04-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동차의 객실 의자
CN201998992U (zh) * 2010-12-28 2011-10-05 中山大学 一种观光列车及其轨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24A (ja) * 2000-08-23 2002-02-26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鉄道車両の個室における展望確保方法
KR20090034228A (ko) * 2007-10-02 2009-04-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동차의 객실 의자
CN201998992U (zh) * 2010-12-28 2011-10-05 中山大学 一种观光列车及其轨道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106A (zh) * 2016-08-28 2018-03-1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窗结构及轨道车辆
CN107792107A (zh) * 2016-08-28 2018-03-1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商务车厢的车窗结构及轨道车辆
CN106274937A (zh) * 2016-10-21 2017-01-04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347391A (zh) * 2016-10-21 2017-01-25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364507A (zh) * 2016-10-21 2017-02-01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光性好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394572A (zh) * 2016-10-21 2017-02-15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的全景观列车车厢
CN106494438A (zh) * 2016-10-21 2017-03-15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观赏性好的全景观列车车厢
CN111086534A (zh) * 2020-01-02 2020-05-0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体及轨道交通车
CN111086534B (zh) * 2020-01-02 2021-06-04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体及轨道交通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454B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454B1 (ko)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CN105338861B (zh) 紧凑式飞行器机舱乘务员座椅
JP3195256U (ja) カブリオ・バス
US20120049582A1 (en)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structure
CN103043024A (zh) 前排乘客安全气囊
JP5696169B2 (ja) 座席ベンチを備えた車両
JP6952128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ート式車両
CN108215737A (zh) 车辆侧部构造
CN106476899B (zh) 前围结构
US9403472B2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driving and living compartments
CN113335194A (zh) 一种具有折叠屏的智能座舱及一种车辆
CN103204184A (zh) 车身构造
JP2007153216A (ja) 車両のシート配設構造
JP3194846U (ja) ハイデッカバスのルーフ構造
EP2837528A1 (en) Vehicle seat with flip-up seat cushion
CN108136882A (zh) 车辆的后部结构
CN105324277B (zh) 安全气囊装置
KR102336408B1 (ko) 인테리어 가변형 차량
CN108136883A (zh) 车辆的后部结构
CN205553875U (zh) 一种遮阳板
JP6284715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7237891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CN105857410A (zh) 车身的支撑结构
CN110466617A (zh) 一种汽车顶棚与车体之间的连接柱
CN105501238B (zh) 一种可自动缓慢收合的踏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