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667A -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667A
KR20160075667A KR1020167013617A KR20167013617A KR20160075667A KR 20160075667 A KR20160075667 A KR 20160075667A KR 1020167013617 A KR1020167013617 A KR 1020167013617A KR 20167013617 A KR20167013617 A KR 20167013617A KR 20160075667 A KR20160075667 A KR 2016007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dicated
command
instruction
dedicated instruction
programmable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631B1 (ko
Inventor
히로후미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004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4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OI operator inte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포함하는 전용 명령 정보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 마다 격납된 기억부(304)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을 행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에 대응하는 전용 명령 정보를 기억부로부터 읽어내고, 기억부(304)로부터 읽어낸 전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일람표시한 화면 표시부(201)를 가진다.

Description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DEVICE FOR ASSISTING CREATION OF SEQUENCE PROGRAM}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 시스템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라고도 한다)와 네트워크 유닛등의 확장 유닛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확장 유닛은 시퀀스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된다.
시퀀스 프로그램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인 엔지니어링 툴에 의해서 작성된다. 시퀀스 프로그램으로부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확장 유닛에 대해서 처리를 실행시키는 경우, 미리 정의된 기기 고유의 명령(이하, 전용 명령이라고 한다)을 시퀀스 프로그램 내에 기술한다.
전용 명령은 명령명(命令名)과 컨트롤 데이터로 구성된다. 컨트롤 데이터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안의 디바이스에 격납되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확장 유닛은 디바이스에 격납된 설정치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특허문헌 1에는, CPU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module)에 접속되어 있는 확장 유닛의 시스템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확장 유닛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장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피제어 기기의 조작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검색 대상으로 하고, 입력한 명령어의 문자열에 대응한 명령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오퍼레이터가 가이던스에 따라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용 프로그래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래더 형식으로 표시된 제어 프로그램의 편집 화면에 있어서, 디바이스 지정을 부가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커멘드나 메모리 주소의 입력 박스 및 디바이스 코멘트의 입력 박스에 입력함으로써, 디바이스 코멘트 첨부의 래더도를 표시하는 제어 프로그램 작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프로젝트 정보로부터 시스템 구성 정보나 스테이터스를 읽어내는 것과 동시에, 접속되는 네트워크를 파악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개 2011-28562호 공보 특개평 5-80814호 공보 특개 2007-299205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8/146380호
종래에는, 전용 명령의 컨트롤 데이터를 설정하는 경우,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오퍼레이터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디바이스에 대해 설정치를 격납하는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작성할 필요가 있다. 숙련되어 있지 않은 오퍼레이터가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 설정치의 착오나 설정 누락 등의 프로그램의 착오에 의해서 작성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한 디바이스는 그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 데이터 격납용인 것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디바이스의 용도를 명시하는 수단으로서, 디바이스 코멘트를 부가하는(디바이스 하나하나에 대해서 문자열을 할당하는) 방법이 있지만, 디바이스에 한개씩 수동으로 코멘트를 부가하는 것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은 유닛에 대응한 사용 가능한 명령을 모두 표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추출되지 않았던 명령어를 입력할 때, 프로그램의 작성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발명은 시퀀스 프로그램에 디바이스와 함께 입력하는 코멘트(디바이스 코멘트)를 자동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하여는 어떤 개시도 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발명은,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커멘드나 메모리 주소를 오퍼레이터 자신이 입력하기 때문에, 설정에 착오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되는 발명은, 확장 유닛의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하는 확장 유닛에 대응한 명령어의 일람을 표시하는 것에 관련하여 어떤 개시도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퀀스 프로그램내에 기술하는 전용 명령 및 그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하는 디바이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시키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로서,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포함한 전용 명령 정보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 마다 격납된 기억부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에 대응하는 전용 명령 정보를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전용 명령 정보 판독수단과 기억부로부터 읽어낸 전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일람표시하는 전용 명령 일람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에 있어서 전용 명령의 기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숙련되어 있지 않는 오퍼레이터라도 정확한 시퀀스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의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 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하고 있는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명령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을 행한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기 일람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명령 일람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설정치 및 격납처 디바이스를 입력이 완료된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전용 명령을 추가한 시퀀스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의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로서의 엔지니어링 툴(100)은 전송로(10)에 의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CPU 유닛, 101)와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에는 복수의 확장 유닛(1021, 1022,..., 102 n)이 접속되어 있으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 및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은, 제어 시스템(500)을 구성하고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에 복수의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이 접속된 구성을 예로 하고 있지만, 확장 유닛은 1이상이면 된다.
엔지니어링 툴(100)은 범용의 컴퓨터에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2는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3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301), RAM(Random Access Memory, 302), ROM(Read Only Memory, 303), 기억부(304), 입력부(305), 표시부(306) 및 통신 I/F(Interface, 309)를 가진다.
CPU(301)는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이다. RAM(302)은, CPU(30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이용하는 워크 에어리어이다. ROM(303)은 컴퓨터(300)의 기동시에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Initial Program Loader(IPL) 등)을 불휘발성으로 기억한다. 기억부(304)는 정보를 불휘발성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을 적용 가능하다. 입력부(305)는 오퍼레이터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 터치 패널 등)나 키보드 등을 적용 가능하다. 표시부(306)는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며,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적용 가능하다. 통신 I/F(309)는 전송로(10)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300)에 인스톨된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는 기억부(304)에 격납된다. 기억부(304)에 격납된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307)를 CPU(301)가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컴퓨터(300)는 엔지니어링 툴(100)로서 기능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은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하고 있는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엔지니어링 툴(100)은 CPU(301)상에 에디터부(203) 및 화면 표시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304)에 격납된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307)에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1~202m)이 포함되어 있다. 명령 정보 테이블(2021~202m)의 각각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나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기종 마다 하나의 테이블이 대응되어 있다. 즉, 명령 정보 테이블(2021~202m)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나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기종 마다 하나의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1~202m)의 전반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로 표기한다.
에디터부(203)는 표시부(306)에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을 표시시키고, 입력부(305)에 대해서 행해진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편집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에디터부(203)의 기능은 일반적인 엔지니어링 툴의 에디터 기능과 같다.
화면 표시부(201)는 기억부(304)내의 명령 정보 테이블(202)을 참조하여, 전용 명령의 입력을 지원하는 각종 윈도우를, 표시부(306)에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 화면 상에 표시시킨다. 덧붙여, 전용 명령의 입력을 지원하는 각종 윈도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화면 표시부(201)는 통신 I/F(309) 및 전송로(10)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와 통신하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나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기종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면 모델번호)를 취득한다.
도 4는 명령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명령 정보 테이블(202)은 명령명(30), 내용(31), 컨트롤 데이터(321, 322,...)의 컬럼을 포함한다. 컨트롤 데이터(321, 322,...)의 각각은 항목 명칭(32a1, 32a2,...) 및 설정 범위(32b1, 32b2,...)의 컬럼을 포함한다. 즉,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각 레코드를 구성하는 전용 명령 정보는 명령명(30), 내용(31), 컨트롤 데이터(321, 322,...)를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명령명(30)은 전용 명령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 전용 명령을 표시할 때는, 명령명(30)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문자열이 표시된다. 내용(31)은 전용 명령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작성자(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웨어(307)의 벤더)에 의해서 설정된다. 컨트롤 데이터(321, 322,...)는 전용 명령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인수)이다. 항목 명칭(32a1, 32a2,...)은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컨트롤 데이터가 무엇을 정의하는 값일까)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작성자에 의해서 설정된다. 설정 범위(32b1, 32b2,...)는 컨트롤 데이터(321, 322,...)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
덧붙여 제어 시스템(500)은 실 사용시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시스템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상에서 시스템을 특정하기 위한 국번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있어서, 항목 명칭(32a1)에 설정되어 있는 대상 국번이라고 하는 문자열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가 네트워크상의 다른 시스템과 통신할 때에 통신 상대를 특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컨트롤 데이터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덧붙여, 대상 국번으로서 자국의 국번이 설정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5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을 했을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화면 표시부(201)는 에디터부(203)가 표시부(306)에 표시시킨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401)상에 있어서,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을 행한 것을 검출한다(단계 S101). 도 6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 표시부(201)는 전용 명령을 입력하고 싶은 렁(rung)(4011) 상에 커서(4012)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입력부(305)에 대해서 행해진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을 검출한다. 덧붙여, 래더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렁이란, 왼쪽 모선에 접속하는 접점에서 오른쪽 모선에 접속하는 출력 또는 명령까지의 회로(모선 간을 접속하는 배 모양의 부분)이지만, 도 5에 나타나는 렁(4011)은, 작성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왼쪽 모선(61)에는 접속되어 있지만 오른쪽 모선(62)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회로는 완성되어 있지 않다.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지면, 화면 표시부(201)는, 통신 I/F(309) 및 전송로(10)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 및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02). 즉, 화면 표시부(201)는 제어 시스템(500)의 구성 정보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로부터 읽어내어 취득한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 및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정보를 취득한 화면 표시부(201)는 기기 일람 윈도우(402)를 표시부(306)에 표시시킨다(단계 S103). 도 7은 기기 일람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기 일람 윈도우(402)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의 모델번호(4021)와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모델번호(40221, 40222,..., 4022n)와, 다음 버튼(4023)과, 캔슬 버튼(4024)이 표시되어 있다.
화면 표시부(201)는 기기 일람 윈도우(402) 상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의 모델번호(4021) 및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모델번호(40221, 40222,..., 4022n) 중 어느 것이 선택된 상태로 다음에 버튼(4023)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명령 정보 테이블(2021~202m) 중에서 모델번호가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것을 참조하여, 명령명(30) 및 내용(31)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낸다(단계 S104). 그 후, 화면 표시부(201)는 명령명(30) 및 내용(31)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 일람 윈도우(403)를 표시부(306)에 표시시킨다(단계 S105). 즉, 화면 표시부(201)는 제어 시스템(500)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 또는 확장 유닛(1021, 1022,..., 102n)으로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의 전용 명령 정보를 기억부(304)로부터 읽어내는 전용 명령 정보 판독수단, 및 명령 일람 윈도우(403)에 의해 표시부(306)에 있어서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일람표 나타내는 전용 명령 일람표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8은 명령 일람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명령 일람 윈도우(403)에서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명령명(30)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던 정보가 명령명(4031)의 란에 표시되고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내용(31)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던 정보가 내용(4032)의 란에 표시된다. 또한, 명령 일람 윈도우(403)에는, 다음 버튼(4033), 캔슬 버튼(4034) 및 돌아가기 버튼(4035)이 표시된다.
덧붙여 화면 표시부(201)는 기기 일람 윈도우(402) 상에 있어서, 캔슬 버튼(4024)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다만,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처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순서도에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화면 표시부(201)는 명령 일람 윈도우(403) 상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전용 명령의 어느 것을 선택한 상태로 다음 버튼(4033)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명령 정보 테이블(202)을 참조하여, 선택된 전용 명령의 컨트롤 데이터(321, 322,...)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낸다(단계 S106). 그 후, 화면 표시부(201)는 컨트롤 데이터(321, 322,...)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를 표시부(306)에 표시시킨다(단계 S107). 즉, 화면 표시부(201)는 전용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항목 명칭과, 명령명을 포함한 전용 명령 정보를, 제어 시스템(500)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 또는 확장 유닛(1021, 1022,..., 102n)으로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에 대해 기억부(304)에서 읽어냄으로써, 항목 명칭을 취득하는 항목 명칭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9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는 항목명(4041), 설정치 입력란(4042) 및 격납처 디바이스 입력란(4043)을 가진다. 항목명(4041)의 란에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항목 명칭(32a1, 32b1,...)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설정치(4042) 란에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설정 범위(32a2, 32b2,...)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격납처 디바이스 입력란(4043)은 공란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에는 완료 버튼(4044), 캔슬 버튼(4045) 및 돌아가기 버튼(4046)이 표시된다. 덧붙여,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 웨어(307)는 각 전용 명령이 컨트롤 데이터를 몇 개 필요로 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화면 표시부(201)는 이 정보를 참조하여, 필요로 하는 컨트롤 데이터 개수와 같은 행수를 가지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를 표시시킨다.
덧붙여, 화면 표시부(201)는 명령 일람 윈도우(403) 상에 있어서, 캔슬 버튼(4034)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또한, 화면 표시부(201)는 명령 일람 윈도우(403) 상에 있어서, 돌아가기 버튼(4035)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이 검출되면, 기기 일람 윈도우(402)를 표시한다. 다만,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처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들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순서도 상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화면 표시부(201)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의 설정치 입력란(4042) 및 격납처 디바이스 입력란(4043)에 설정치나 디바이스명이 입력되고, 완료 버튼(4044)이 프레스된 것을 검출하면, 설정치 입력란(4042)에 입력된 값을 접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08). 구체적으로는, 설정치 입력란(4042)에 입력된 값이 설정 범위(32b1, 32b2,...)의 범위 내이면(단계 S108/Yes), 입력된 값을 접수하고, 범위 외이면(단계 S108/No) 입력된 값을 거부한다.
도 10은 설정치 및 격납처 디바이스를 입력 완료한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목명(4041)이 「대상 국번」인 레코드(404a) 및 항목명(4041)이 「데이터 사이즈」인 레코드(404b)의 설정치 입력란(4042)에는, 모두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설정 범위(32b1, 32b2)로 설정되어 있던 범위 내의 값이 입력되고 있기 때문에, 완료 버튼(4044)가 프레스되었을 때에, 화면 표시부(201)는, 설정치(4042)에 입력된 값을 접수한다. 한편, 설정치 입력란(4042)에 입력된 값이,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설정 범위(32a2, 32b2)로 설정되어 있던 범위 외인 경우에는, 화면 표시부(201)는 완료 버튼(4044)이 프레스 되어도 입력된 값을 접수하지 않고, 값의 재입력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단계 (S107)로 돌아와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를 재차 표시부(306)에 표시시킨다.
덧붙여, 화면 표시부(201)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 상에 있어서, 캔슬 버튼(4045)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또한, 화면 표시부(201)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 상에 있고, 돌아가기 버튼(4046)을 프레스하는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명령 일람 윈도우(403)를 표시한다. 다만, 전용 명령을 입력하는 처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들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순서도에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를 표시부(306)에 표시할 때, 설정치(4042)의 란에,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설정 범위(32b1, 32b2,...)에 격납되어 있던 정보를 디폴트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설정 범위 외의 값을 설정해버려, 시퀀스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면 표시부(201)는 설정치 입력란(4042)에 입력된 값을 받아들였을 경우에는,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404)에 입력된 값을 에디터부(203)에 출력하여,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치를 격납하는 프로그램의 블록을 에디터부(203)에 작성시킨다(단계 S109). 또한, 화면 표시부(201)는 단계 S106에 대해 선택한 전용 명령의 컨트롤 데이터(321, 322,...)의 컬럼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어(단계 S110),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치를 격납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중에 디바이스 코멘트로서 에디터부(203)로 설정시킨다(단계 S111). 그 후, 화면 작성부(201)는 에디터부(203)에 지시를 보내,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치를 격납하는 프로그램의 블록 및 전용 명령을 추가한 시퀀스 프로그램을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401) 상에 표시시킨다(단계 S112).
도 11은 전용 명령을 추가한 시퀀스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용 명령을 추가하는 조작을 개시했을 때에 커서(4012)가 배치되어 있던 렁(4011)에 전용 명령(4013)이 추가되어 있다. 전용 명령(4013)은, 오른쪽 모선(62)에 접속되어 있고 왼쪽 모선(61)과 오른쪽 모선(62) 사이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GP. READ D0"의"D0"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가 구비하는 디바이스 가운데, D0에서부터 읽기를 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GP. READ D0"의"D0"는, 전용 명령(4013)(GP. READ)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서, 디바이스 D0, D1,...에 격납되어 있는 값이 컨트롤 데이터로서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나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은, 자신이 실행 가능한 각 전용 명령이 컨트롤 데이터를 몇 개를 필요로 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전용 명령의 실행시에 필요한 수 만큼의 컨트롤 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읽어낸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는 전용 명령(4013)이 컨트롤 데이터 세 개를 필요로 하는 전용 명령이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가 전용 명령(4013)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는 디바이스 D0, D1 및 D2의 세 개로부터 값을 읽어낸다.
에디터부(203)가 추가하는 시퀀스 프로그램에는 전용 명령(4013)보다 이전에(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401)에서는 위쪽에), 디바이스 D0, D1,...에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하는 명령(40141, 40142,...)이 포함되어 있다. 덧붙여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하는 명령(40141)인 "MOV"는 전송 명령을 의미하고, "K2"는 10 진수로의 수치 2를 의미하고, "D0"는 격납처의 디바이스가 D0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하는 명령(40142)인 "MOV"는 전송 명령을 의미하고, "K960"는 10 진수로의 수치 960을 의미하고, "D1"는 격납처의 디바이스가 D1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명령(40141, 40142,...)을 전용 명령의 입력 작업과 별도 작업으로 오퍼레이터가 추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하는 명령(40141, 40142,...)에는, 상기 단계 S112에서의 처리에 의해서, 디바이스 코멘트(40151, 40152,...)가 자동적으로 부가되어 있다. 즉, 화면 작성부(201)는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치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에디터부(203)에 지시를 보내, 디바이스 D0, D1,...에 디바이스 코멘트(40151, 40152,...)를 부가한다. 디바이스 코멘트(40151, 40152,...)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 중에 항목 명칭(32a1, 32a2,...)으로서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이다. 항목 명칭(32a1, 32a2,...)은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열로서 명령 정보 테이블(202)의 작성자에 의해 설정되기 때문에, 디바이스 코멘트(40151, 40152,...)를 부가함으로써, 디바이스 D0, D1,...가 컨트롤 데이터의 격납용인 것을 오퍼레이터가 이해하기 쉬워져, 편리성이 향상한다.
일반적인 엔지니어링 툴에서는 컨트롤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격납하는 명령을 전용 명령보다 이전단에 기술하는 작업은, 오퍼레이터 자신이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00)은, 제어 시스템(500)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기기마다,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항목 명칭(32a1, 32a2,...)의 컬럼에 포함한 명령 정보 테이블(202)을 미리 준비하면, 전용 명령을 입력할 때, 컨트롤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격납하는 명령이나 그 명령과 함께 표시하는 디바이스 코멘트는, 명령 정보 테이블(202)에 기초하여 엔지니어링 툴(100)이 시퀀스 프로그램에 추가하기 때문에, 전용 명령을 시퀀스 프로그램 중에 기술할 때로 설정치의 착오나 설정 누락 등의 프로그램의 착오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전용 명령 정보에 컨트롤 데이터(321, 322,...)를 포함하지 않게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디바이스 코멘트를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 없지만,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을 화면 표시부(201)가 검출했을 때, 명령 일람 윈도우를 표시하여 실행 가능한 모든 전용 명령을 일람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용 명령을 입력할 때 확실히 오퍼레이터를 지원할 수 있어 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00)은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의 전용 명령을 입력할 때에 디바이스 코멘트를 자동적으로 부가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CPU 유닛, 101)의 전용 명령을 입력할 때에 디바이스 코멘트를 자동적으로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00)은 제어 시스템(500)에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1) 및 확장 유닛(1021, 1022,..., 102n)이 실행 가능한 모든 전용 명령을 일람표시하여, 일람표시된 것들 중에서 선택된 전용 명령을 시퀀스 프로그램에 추가하기 때문에, 전용 명령을 입력할 때 확실히 오퍼레이터를 지원할 수 있어 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00)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01)내의 디바이스가 컨트롤 데이터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자동적으로 명시하기 때문에, 컨트롤용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잘못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00)은 컨트롤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격납하는 프로그램의 블록을 작성하는 것과 동시에 디바이스 코멘트를 부가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코멘트의 설정 누락의 우려가 없고, 오퍼레이터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는 전용 명령을 입력할 때에,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디바이스에 대해서 설정치를 격납하는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작성하거나 디바이스 코멘트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오퍼레이터의 노력을 경감할 수 있는 점으로 유용하다.
10 전송로, 30 명령명, 31, 4032 내용,
321, 322 컨트롤 데이터, 32a1, 32a2 항목 명칭, 32b1, 32b2 설정 범위,
61 왼쪽 모선, 62 오른쪽 모선, 100 엔지니어링 툴,
101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1021, 1022,. . ., 102n 확장 유닛,
201 화면 표시부, 202, 2021, 2022, 202m 명령 정보 테이블,
203 에디터부, 300 컴퓨터, 301 CPU,
302 RAM, 303 ROM, 304 기억부,
305 입력부, 306 표시부,
307 엔지니어링 툴 소프트 웨어,
309 통신 I/F, 401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
402 기기 일람 윈도우, 403 명령 일람 윈도우,
404 컨트롤 데이터 입력 윈도우,
404a, 404b 레코드, 500 제어 시스템, 4011 렁,
4012 커서, 4013 전용 명령,
40141, 40142 컨트롤 데이터를 격납하는 명령,
40151, 40152 디바이스 코멘트,
4021, 40221, 40222,. . ., 4022n 모델번호,
4023, 4033 다음 버튼,
4024, 4034, 4045 캔슬 버튼, 4031 명령명,
4035, 4046 돌아가기 버튼, 4041 항목명,
4042 설정치 입력란, 4043 격납처 디바이스 입력란,
4044 완료 버튼.

Claims (6)

  1.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시키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로서,
    상기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의 명령명(命令名)을 포함하는 전용 명령 정보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마다 격납된 기억부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상기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에 대응하는 상기 전용 명령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전용 명령 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낸 상기 전용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일람표시하는 전용 명령 일람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함께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확장 유닛이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포함한 전용 명령 정보를, 상기 확장 유닛의 기종마다 격납하고,
    상기 전용 명령 정보 판독수단은,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상기 확장 유닛 중, 오퍼레이터 조작에 의해 선택된 편에 대응하는 상기 전용 명령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용 명령 정보는, 상기 전용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항목 명칭을 포함하고,
    상기 전용 명령 일람 표시수단이 일람표시한 전용 명령의 명령명 중에서 전용 명령의 명령명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명령명이 선택된 전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 명칭을, 상기 전용 명령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것에 의해서 취득하는 항목 명칭 취득 수단과,
    상기 명령명이 선택된 전용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컨트롤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격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블록을 작성하는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의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항목 명칭 취득 수단이 취득한 항목 명칭을 디바이스 코멘트로서 부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4.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시키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로서,
    전용 명령의 명령명과 그 전용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항목 명칭을 관련지은 전용 명령 정보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기종마다 격납된 기억부와,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상기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전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 명칭을, 상기 전용 명령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것에 의해서 취득하는 항목 명칭 취득 수단과,
    상기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전용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컨트롤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격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블록을 작성하는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의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서, 상기 항목 명칭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항목 명칭을 디바이스 코멘트로서 부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함께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확장 유닛이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의 명령명과, 그 전용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컨트롤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항목 명칭을 관련지은 전용 명령 정보를 상기 확장 유닛의 기종마다 격납하고,
    상기 항목 명칭 취득 수단은, 상기 확장 유닛이 실행 가능한 전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행해졌을 경우에는, 상기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전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 명칭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용 명령 정보는 상기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범위 외의 값이 상기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치로서 입력되었을 경우에, 그 입력된 값을 상기 컨트롤 데이터의 설정치로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KR1020167013617A 2013-11-20 2013-11-20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KR101889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1304 WO2015075790A1 (ja) 2013-11-20 2013-11-20 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667A true KR20160075667A (ko) 2016-06-29
KR101889631B1 KR101889631B1 (ko) 2018-08-17

Family

ID=5317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617A KR101889631B1 (ko) 2013-11-20 2013-11-20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03681B2 (ko)
JP (1) JP5619328B1 (ko)
KR (1) KR101889631B1 (ko)
CN (1) CN105765471B (ko)
DE (1) DE112013007618T5 (ko)
TW (1) TWI541622B (ko)
WO (1) WO2015075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5500B2 (ja) * 2015-09-17 2018-05-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Cncの動作状況をコメント中に追加表示可能なラダー図モニタ装置
US10990073B2 (en) * 2016-08-30 2021-04-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gram editing device, program edi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430037B2 (ja) * 2016-10-17 2018-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バッグ支援装置およびデバッグ支援方法
JP6946953B2 (ja) * 2017-11-10 2021-10-13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プログラム
JP6599067B1 (ja) * 2019-01-28 2019-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装置状態再現装置、装置状態再現方法および装置状態再現プログラム
CN113841093B (zh) * 2019-05-23 2022-11-22 三菱电机株式会社 可编程逻辑控制器、计算机、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CN114489383B (zh) * 2022-01-28 2022-11-18 广州文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墨水屏设备及电子墨水屏的显示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814A (ja) 1991-06-18 1993-04-02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2005327263A (ja) * 2004-04-13 2005-11-24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
JP2007299205A (ja) 2006-04-28 2007-11-15 Keyence Corp 制御プログラム作成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KR20080096841A (ko) * 2006-03-07 2008-11-0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프로그래밍 장치와 데이터 구조 자동 식별 방법
WO2008146380A1 (ja) 2007-05-31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制御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JP2011028562A (ja) 2009-07-27 2011-02-10 Keyence Corp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803A (ja) * 1988-08-08 1990-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の自動作成方法
JP2625565B2 (ja) 1990-05-23 1997-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用のプログラマ
JPH06187015A (ja) * 1992-12-15 1994-07-08 Kawasaki Steel Corp シーケンサのプログラム変換装置
JP2002099312A (ja) * 2000-09-22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4516224B2 (ja) * 2001-02-02 2010-08-04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ラダー図作成プログラム
US6819960B1 (en) * 2001-08-13 2004-11-16 Rockwell Software Inc. Industrial controller automation interface
JP2004259084A (ja) * 2003-02-27 2004-09-16 Yokogawa Electric Corp プログラムの入力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US7272458B2 (en) 2004-04-13 2007-09-18 Omron Corporation Control system setting device
US7272453B2 (en) * 2004-11-30 2007-09-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sequence interpreter approach to control logic of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JP2007310571A (ja) 2006-05-17 2007-11-29 Keyence Corp 制御プログラム作成装置、編集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作成方法
US7949422B1 (en) * 2007-06-22 2011-05-24 Vermont Machine Tool Corporation Machine tool control system
JP5008520B2 (ja) 2007-10-17 2012-08-22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表示画面内へのデータ入力状況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814A (ja) 1991-06-18 1993-04-02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2005327263A (ja) * 2004-04-13 2005-11-24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
KR20080096841A (ko) * 2006-03-07 2008-11-0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프로그래밍 장치와 데이터 구조 자동 식별 방법
JP2007299205A (ja) 2006-04-28 2007-11-15 Keyence Corp 制御プログラム作成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WO2008146380A1 (ja) 2007-05-31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制御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JP2011028562A (ja) 2009-07-27 2011-02-10 Keyence Corp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0709A (zh) 2015-06-01
JPWO2015075790A1 (ja) 2017-03-16
DE112013007618T5 (de) 2016-08-04
US10203681B2 (en) 2019-02-12
JP5619328B1 (ja) 2014-11-05
WO2015075790A1 (ja) 2015-05-28
CN105765471B (zh) 2019-03-01
US20160246279A1 (en) 2016-08-25
TWI541622B (zh) 2016-07-11
KR101889631B1 (ko) 2018-08-17
CN105765471A (zh)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631B1 (ko)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JP5850033B2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機器情報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627488B1 (ko)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편집 장치 및 프로그램 편집 시스템
US20090007000A1 (en) Sequence program editing apparatus
US201601250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60196113A1 (en) Programming device
JP5934428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6150953B2 (ja) デバッグ装置、デバッグ方法及びデバッグプログラム
US10466674B2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and engineering tool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0287034A (ja) 外部機器とPLCとのModbusプロトコル通信アドレス表示方式
KR102357029B1 (ko)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JP63378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0108B2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機器情報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183560B2 (ja) 転送装置および転送プログラム
JP6230368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支援装置
JP4588364B2 (ja) 操作器画面生成装置
JP6247542B2 (ja) 監視ポイント定義変更方法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US20230004146A1 (en) Machining system, machine too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tting data inheritance method, and setting data inheritance program
JP6407481B1 (ja) 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2015011600A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関連制御デバイス特定方法
US20190362660A1 (en) Engineering tool
US20190369586A1 (en) Ladder display system
JP2021174033A (ja) ラダープログラムの初期化パラメータ設定支援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