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194A -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194A
KR20160074194A KR1020140183197A KR20140183197A KR20160074194A KR 20160074194 A KR20160074194 A KR 20160074194A KR 1020140183197 A KR1020140183197 A KR 1020140183197A KR 20140183197 A KR20140183197 A KR 20140183197A KR 20160074194 A KR20160074194 A KR 2016007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displayed
applications
applica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373B1 (ko
Inventor
조한주
신동준
강두석
양지은
이은주
주재석
진인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73B1/ko
Priority to PCT/KR2015/013966 priority patent/WO2016099211A1/en
Priority to EP15870378.5A priority patent/EP3234746B1/en
Priority to US14/974,481 priority patent/US10509547B2/en
Priority to CN201580069356.3A priority patent/CN107111421B/zh
Publication of KR2016007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는 동작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SCREEN}
본 개시는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폰, 휴대폰, 노트 PC 및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멀티 윈도우 상황이 자주 발생된다. 또한,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전자 장치를 소지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다수의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욕구 또는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멀티 태스킹을 위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종래 전자 장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애플리케이션을 정지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발생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애플ㄹ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는 동작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한 실시예는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가독성 저장 매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는 제1 명령 셋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제2 명령 셋과,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제3 명령 셋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성 또는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행 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을 추천함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와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기능을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다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기능을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과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이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아이콘에 대응하여 복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2 애플리케이션의 위치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기능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기능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종류의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검색된 결과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화면 표시 제어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화면 표시 제어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화면 표시 제어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생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휴대폰, 노트북, 도어락(door-rock), 에어컨, 세탁기, 노트 PC,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부(110),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통신부(130) 로부터 수신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저장부(140),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통신부(130)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1)가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12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와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화면 분할 모듈(210), 기능 추출 모듈(220), 적용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거나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표시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개수에 맞게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자유롭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천 기능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비교하는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기능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검색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검색 기능이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기능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캡쳐하는 캡쳐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는 스크롤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줌을 조절하는 줌 기능 및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프린팅하는 프린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일반 기능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된 아이콘들 중 임의 아이콘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이러한 기능이 적용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될 수 있도록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터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임의 아이콘이 터치 또는 호버링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어된 제1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되는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데, 이러한 제어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거나,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다운받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2 영역에 이러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에서 검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플리케이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상태에서 임의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에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검색 기능을 갖는 아이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될 수 있는 객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객체(예: 사람이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예: 사진)를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넷 주소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목적에 따른 우선 순위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길찾기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찾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윈도우를 표시하고, 표시된 윈도우를 통해서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위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각각 입력된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이러한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된 결과를 각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검색 결과를 빨리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효과는 검색 결과를 빨리 보여주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2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크게 보여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한 결과가 제1 애플리케이션보다 빠르게되는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 비쥬얼 효과를 해제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디스플레이(120)에 적어도 두 개의 인터넷 쇼핑 사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된 상품에 해당되는 결과를 보다 빨리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다운 속도, 표시 속도, 상품 종류, 상품 개수, 상품 가격, 상품에 대할 리뷰 등 다양한 조건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우선 순위를 통해서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이 동일한 그림을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표시된 동일한 두 개의 그림에서 틀린 부분을 비교 기능을 통해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가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유무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20)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분할 모듈(210)은 애플리케이션의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분할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화면 분할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도록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비교하는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반 기능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캡쳐하는 캡쳐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는 스크롤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줌을 조절하는 줌 기능 및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프린팅하는 프린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하기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캡쳐 기능은 입력이 감지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롤 기능은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스크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줌 기능은 줌-인(Zoom-In) 기능과 줌-아웃(Zoom-Out)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기능은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크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추출 모듈(220)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할 수 있다. 기능 추출 모듈(220)은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기능 추출 모듈(220)은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기능 추출 모듈(220)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기능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용 모듈(220)은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 모듈(220)은 표시된 아이콘이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 모듈(220)은 표시된 아이콘에 터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적용 모듈(220)은 표시된 아이콘이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적용 모듈(220)은 제어된 제1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되는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이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인 경우, 적용 모듈(220)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에서 검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적용 모듈(2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이름인 경우, 적용 모듈(220)은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이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적용 모듈(220)은 상기 인터넷 주소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적용 모듈(220)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는 우선순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화면 분할 모듈(210), 기능 추출 모듈(220), 적용 모듈(230)에서 각각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제어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20)에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면(310),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할 수 있다(320).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기능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기능은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비교하는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기능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이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기능은 하기 [표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수 각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기능(task)
제1 애플리케이션 제1 화면 제1 기능
제2 기능
...
제N 기능
제2 화면 제1 기능
제2 기능
...
제N 기능
제N 화면 제N 기능
제2 애플리케이션 제1 화면 제1 기능
... ... ...
제N 애플리케이션 제 N 화면 제3 기능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제2 애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은 공통적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추천 기능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을 추천 기능으로 결정할 수 있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각각의 화면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을 추천 기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120) 상에 실행되는 경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task)을 비교하여 동일한 기능을 추천 기능으로 설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반 기능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캡쳐하는 캡쳐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는 스크롤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줌을 조절하는 줌 기능 및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프린팅하는 프린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일반 기능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330).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많이 사용되는 기능의 횟수를 누적하고, 누적횟수가 많은 순서로 추천 기능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과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비쥬얼 효과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기능을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350). 전자 장치(101)는 윈도우에 포함된 임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지정된 또는 대응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아이콘에 지정된 또는 대응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아이콘이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아이콘에 터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아이콘이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어된 제1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에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검색 기능을 갖는 아이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될 수 있는 객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객체(예: 사람이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예: 사진)를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콘이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에서 검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객체가 이름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저장된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이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거나, 다른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통해 다운받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제2 영역에 이러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넷 주소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기능을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420, 430)이 디스플레이(410) 상에 표시되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420, 430)이 디스플레이(410) 상에 표시되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아이콘(441, 442, 443, 444, 445)을 포함하는 윈도우(44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자유롭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아이콘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사용 횟수, 우선 순위 또는 각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에 따라 결정되거나 배열 또는 정렬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호버링에 의해 제1 아이콘(44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420, 430)에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적용하여 표시(450, 460)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다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윈도우(440)는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에 따른 아이콘과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상관 없이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 기능에 따른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501, 50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503, 504, 505, 506)을 포함하는 윈도우(44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510, 520)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510, 520)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에 따른 아이콘(531, 532, 533)과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510, 520)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에 따른 아이콘(534, 535, 536, 537)을 포함하는 윈도우(53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기능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비교하는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기능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검색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검색 기능이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기능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캡쳐하는 캡쳐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는 자동 스크롤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줌을 조절하는 줌 기능 및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프린팅하는 프린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일반 기능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다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540, 550)이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540, 540)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에 따른 아이콘(561, 562)과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540, 550)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에 따른 아이콘(563, 564, 565, 566)을 포함하는 윈도우(53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기능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기능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캡쳐하는 캡쳐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는 자동 스크롤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줌을 조절하는 줌 기능 및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프린팅하는 프린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20)에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면(610),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620).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과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비쥬얼 효과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이 선택된 후,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선택된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경우(630), 전자 장치(101)는 선택되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고, 제어된 결과를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640). 전자 장치(101)는 제어된 제1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에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검색 기능을 갖는 아이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될 수 있는 객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객체(예: 사람이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예: 사진)를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콘이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에서 검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객체가 이름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저장된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이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효과가 제공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거나, 다른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통해 다운받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제2 영역에 이러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넷 주소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기능을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720, 730)이 디스플레이(710) 상에 표시되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720, 730)이 디스플레이(710) 상에 표시되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아이콘(741, 742, 743, 744, 745)을 포함하는 윈도우(74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자유롭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아이콘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사용 횟수, 우선 순위 또는 각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에 따라 결정되거나 배열 또는 정렬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741)이 선택된 후, 제1 애플리케이션(720)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720)에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적용하여 표시(750)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과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이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아이콘에 대응하여 복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한 예시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2 애플리케이션의 위치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820, 830)과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840)를 디스플레이(8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840)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와 같이, 윈도우(840)에 포함된 검색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841)을 제1 애플리케이션(820)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도 8b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820)에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적용을 적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851, 852)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검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851, 852)에 하이라이트와 같은 비쥬얼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850)할 수 있다. 표시된 객체 중에서 객체(851)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객체(851)를 검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예: 웹 브라우저, 검색 사이트, 유투브 등등)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선택된 객체(851)의 적어도 하나의 검색 결과(861, 862, 863)를 제2 애플리케이션(830)이 표시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기능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9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제2 애플리케이션(930)과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920, 930)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윈도우(940)를 디스플레이(9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애플리케이션(920)은 그동안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사람들의 이름과, 문자 메시지 내용 및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애플리케이션(930)은 전자 장치(101)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예: 사진, 동영상 등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840)는 이러한 제1 애플리케이션(920)과 제2 애플리케이션(930)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에 따른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940)에 포함된 검색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941)을 제1 애플리케이션(920)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950)에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적용을 적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951, 952, 953, 954, 955, 956)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검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951, 952, 953, 954, 955, 956)에 하이라이트와 같은 비쥬얼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객체 중에서 제1 객체(951)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제1 객체(951)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96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제1 객체가 홍길동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홍길동이 찍힌 사진 또는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파일명이 홍길동인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선택된 객체가 시간에 해당되는 객체(952, 954, 956)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시간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4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기능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1020)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제2 애플리케이션(1030)과 상기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1020, 1030)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윈도우(1040)를 디스플레이(10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애플리케이션(920)은 그동안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사람들의 이름과, 문자 메시지 내용 및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애플리케이션(1030)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또는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1040)는 이러한 제1 애플리케이션(1020)과 제2 애플리케이션(1030)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에 따른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40)에 포함된 검색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1041)을 제1 애플리케이션(1020)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1050)에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적용을 적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검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하이라이트와 같은 비쥬얼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객체 중에서 제1 객체(1051)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제1 객체(1051)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10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제1 객체(1051)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2 애플리케이션(1060)을 이용하여 선택된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고, 접속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파일명이 홍길동인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120)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고,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면(1110),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애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1120).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20)에 동일한 종류의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기능이 선택되면(1130),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1140).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에 적어도 두 개의 인터넷 쇼핑 사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입력된 상품에 해당되는 결과를 보다 빨리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다운 속도, 표시 속도, 상품 종류, 상품 개수, 상품 가격, 상품에 대할 리뷰 등 다양한 조건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우선 순위를 통해서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1120).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길찾기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는 찾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윈도우를 표시하고, 표시된 윈도우를 통해서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찾고자하는 위치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각각 입력된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이러한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된 결과를 각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검색 결과를 빨리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효과는 검색 결과를 빨리 보여주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2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크게 보여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종류의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검색된 결과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위치를 검색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1220)과 제2 애플리케이션(1230)과 상기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1220, 1230)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윈도우(1240)를 디스플레이(1210)에 표시할 수 있다. 윈도우(1240)에 포함된 길찾기 기능에 해당되는 아이콘(1241)을 선택하면, 도 12b와 같은 화면(125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찾고자 하는 위치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1220, 1230)을 통해서 입력된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러한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된 결과를 각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1220, 1230) 중에서 입력된 위치를 빠르게 검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다운 속도, 표시 속도 등 다양한 조건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결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검색 결과를 빨리 보여주는 제1 애플리케이션(1260)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쥬얼 효과는 검색 결과를 빨리 보여주는 제1 애플리케이션(1260)을 제2 애플리케이션(1270)에 비해 크게 보여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1270)을 통해 검색한 결과가 제1 애플리케이션(1260)보다 빠르게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애플리케이션(1260)에 적용된 비쥬얼 효과를 해제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1270)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는 제1 명령 셋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제2 명령 셋과,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제3 명령 셋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어부 120: 디스플레이
130: 통신부 140: 저장부
210: 화면 분할 모듈 220: 기능 추출 모듈
230: 적용 모듈

Claims (32)

  1.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는 동작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동작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동작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터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어된 제1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되는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아이콘이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인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에서 검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이름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이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상기 인터넷 주소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목적에 따른 우선 순위를 통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기능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추천 기능,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비교하는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기능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캡쳐하는 캡쳐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링하는 스크롤 기능,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줌을 조절하는 줌 기능 및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프린팅하는 프린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제어 방법.
  17.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 없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터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1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제2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된 제1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되는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인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에서 검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비쥬얼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되는 객체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속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이름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이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터넷 주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주소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결과를 빨리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비쥬얼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에 따른 우선 순위를 통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2.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가독성 저장 매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출하는 제1 명령 셋과,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제2 명령 셋과,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제3 명령 셋을 포함하는 컴퓨터 가독성 저장 매체.
KR1020140183197A 2014-12-18 2014-12-18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3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97A KR102335373B1 (ko) 2014-12-18 2014-12-18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15/013966 WO2016099211A1 (en) 2014-12-18 2015-12-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EP15870378.5A EP3234746B1 (en) 2014-12-18 2015-12-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US14/974,481 US10509547B2 (en) 2014-12-18 2015-12-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CN201580069356.3A CN107111421B (zh) 2014-12-18 2015-12-18 用于控制显示器的电子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97A KR102335373B1 (ko) 2014-12-18 2014-12-18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94A true KR20160074194A (ko) 2016-06-28
KR102335373B1 KR102335373B1 (ko) 2021-12-06

Family

ID=5612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197A KR102335373B1 (ko) 2014-12-18 2014-12-18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09547B2 (ko)
EP (1) EP3234746B1 (ko)
KR (1) KR102335373B1 (ko)
CN (1) CN107111421B (ko)
WO (1) WO2016099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19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71A (ko) * 2016-07-05 2018-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874485A (zh) * 2018-06-08 2018-1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9062475B (zh) * 2018-08-22 2020-08-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461111B (zh) * 2019-10-31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启动功能的方法及电子设备
CN113934330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截屏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64089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73396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3372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5212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6542A (ko) * 2013-04-23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1310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7588A1 (de) * 1993-08-30 1995-03-02 Hewlett Packard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und Weiterleiten von Fensterereignissen zu einer Mehrzahl von bestehenden Anwendungen zur gleichzeitigen Ausführung
US6384849B1 (en) * 1997-07-14 2002-05-0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controls in a system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072486A (en) * 1998-01-13 2000-06-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customizing a deskbar
US7624351B2 (en) * 2001-10-02 2009-11-24 Verizon Corporate Services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7665031B2 (en) * 2004-12-08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taskbar button interfaces
KR100827228B1 (ko) * 2006-05-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갖는 영역 분할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1405924B1 (ko) 2007-03-19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US9753605B2 (en) * 2010-05-27 2017-09-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ction tool bar for mobile applications
US20120117470A1 (en) * 2010-11-10 2012-05-10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 Tool for a Ribbon-Shaped User Interface
KR101740436B1 (ko) * 2010-12-0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42546B2 (en) * 2011-01-07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multiple frames on a touch screen
KR20130143333A (ko)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동적 메뉴 생성 방법
US20140075394A1 (en) * 2012-09-07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of applications in a device
KR101957173B1 (ko)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43644A (ko) 2012-10-02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2945115B (zh) 2012-10-18 2016-06-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操控方法
US9588674B2 (en) * 2012-11-30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utomated split-screen user interface on a device
KR20140083229A (ko) 2012-12-26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뉴 제공 방법
KR102127925B1 (ko) 2013-04-29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64089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73396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3372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5212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6542A (ko) * 2013-04-23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1310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19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4746A4 (en) 2018-01-03
EP3234746A1 (en) 2017-10-25
KR102335373B1 (ko) 2021-12-06
EP3234746B1 (en) 2020-09-09
US20160179341A1 (en) 2016-06-23
CN107111421B (zh) 2021-06-18
US10509547B2 (en) 2019-12-17
CN107111421A (zh) 2017-08-29
WO2016099211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5196B (zh) 电子装置及用于显示其用户界面的方法
US11249592B2 (en) Method of splitting display area of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the same
KR102335373B1 (ko)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70953B1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600263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hereof
AU2011101581A4 (en) Method and apparatus of scrolling a document displayed in a browser window
KR20160062452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24311A (ko)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500587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thereof
CN105446619B (zh) 用于识别物体的装置和方法
KR20160032938A (ko)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방법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KR20160001180A (ko) 가상 키보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07382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US201501067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US10191953B2 (en) Method of storing and expressing web page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85173A (ko)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16045500A1 (zh) 一种目标库中目标对象选定方法、装置及系统
US201502345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EP3043251A1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CN113821288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04961A (ko) 페이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55395B2 (en) Method for editing object with motion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9552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색상 추출 방법
KR20150140012A (ko)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