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382A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382A
KR20150107382A KR1020140030231A KR20140030231A KR20150107382A KR 20150107382 A KR20150107382 A KR 20150107382A KR 1020140030231 A KR1020140030231 A KR 1020140030231A KR 20140030231 A KR20140030231 A KR 20140030231A KR 20150107382 A KR20150107382 A KR 20150107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xt
area
conten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유리
한봉희
제임스 조지 할리버튼
닐스 로져 안데르손 레이머
퍼 마르쿠스 에릭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382A/ko
Priority to US14/473,214 priority patent/US20150261418A1/en
Priority to EP15150763.9A priority patent/EP2919106A1/en
Publication of KR2015010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상기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텍스트가 표시되기 위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의 각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THE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과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에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이 포함되어 있다.
전자장치는 정지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관련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텍스트가 한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영상의 크기가 크거나 또는 상기 텍스트의 길이가 길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텍스트 전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 동작을 통해 표시되고 있지 않은 텍스트의 일 부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롤 동작으로 인해 상기 영상이 현재화면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다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관련된 텍스트를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가 존재할 때,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 1영역과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 2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의 각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은,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표시부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상기 영상 및 상기 텍스트를 각각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부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은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관련된 텍스트를 한 화면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의 영상편집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의 표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이다.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RF부(123), 데이터 처리부(120), 오디오 처리부(125), 키입력부(127), 메모리(130), 제어부(110), 표시부(160), 영상 처리부(150), 카메라부(14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부(123)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부(123)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27)는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전자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관련된 텍스트를 표시할 때,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관련된 텍스트의 모든부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및 상기 텍스트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각각 부여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표시부(160)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에 표시 중인 상기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순서대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상과 상기 검출된 텍스트 및 상기 검출된 텍스트의 각 부분에 상기 검출된 영상 정보 및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각각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식별자는 상기 검출된 영상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정보와 순서정보의 집합일 수 있다. 상기 영상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정보는 상기 검출된 하나의 영상과 관련된 텍스트를 선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순서정보는 상기 검출된 영상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차례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존재하는 영상 또는 텍스트를 검출하고, 영상이 검출되는 경우 "Multimedia N(N은 영상이 검출된 순서)"같은 식별자를 부여하고,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Text N(Multimedia N과 관련성이 있는 텍스트)"같은 식별자가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에서 영상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상에 연관되는 순서정보가 포함된 식별자(예를 들어, Multimedia N-1, Multimedia N-2, ...)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연관되는 순서정보가 포함된 식별자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60)의 제1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연관된 영상을 모두 표시하거나, 상기 연관된 영상 전체를 볼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에서 하나의 영상이 검출된 이후에 텍스트가 검출되면, 상기 텍스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Multimedia N)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에 상기 영상 정보의 식별자(Text N)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텍스트(Text N)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 각 부분에 순서정보 식별자(예를 들어, Text N-1, Text N-2)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자 중 하나의 영상(예를 들어, Multimedia N)과 상기 영상과 관련된 텍스트(예를 들어, Text N-1,Text N-2,...)를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의 상기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와 상기 영상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맞출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의 세로길이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편집된 상기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가로길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에 대응되게 편집한 후 크기가 변경된 상기 제1 영상을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크기가 변경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1 영역에서, 크기가 변경되기 전의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상기 표시부(160)에 고정되어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크기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10)는 영상 및 상기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텍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은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영역만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영상 및 상기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텍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상하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활성화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상기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상기 제2 영역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의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변경되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다른 영상과 상기 다른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텍스트로 변경하여 각각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 중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중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상하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의 다음영상인 제2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면, 상기 제2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동영상은 재생 중 이거나, 정지 또는 일정 정지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사용자 입력 발생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의 다음영상인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의 다음영상인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영역에 제1 영상 및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 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가지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제 1영역에 표시된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키 입력부(127)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텍스트가 표시되기 위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영상 및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표시되기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텍스트가 표시되기 위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 2 - 도 7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된 표시부에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을 상하 스크롤동작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스크롤동작 외에도 터치동작, 탭 동작, 플릭동작 및 드래그 앤 드롭동작등과 표시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하 스크롤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 2a - 도 2b를 참조하면, 201동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수신되면, 2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 예를 들어, html정보 등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동시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2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만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20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텍스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과 상기 텍스트를 구분할 수 있다. 20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차례대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식별자를 각각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각각에 "Multimedia 01",..,"Multimedia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각각에 "Text 01",..,"Text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207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텍스트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은 하기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2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Multimedia 01,.., Multimedia N) 중 제1 식별자(Multimedia 01)가 부여된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Text 01,..,Text N) 중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Text 01)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맞출 수 있다.
또는 상기 2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의 세로길이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편집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가로길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에 대응되게 편집한 후 크기가 변경된 상기 제1 영상을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크기가 변경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1 영역에서는 크기가 변경되기 전의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의 영상을 편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의 (a)와 같이, 표시부의 제1 영역(161)의 크기와 영상(310)의 크기 간의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310a)의 가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161)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한 후 상기 영상의(310a)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의 세로길이에 대응되게 축소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크기가 변경된 상기 영상(310a)을 상기 제1 영역(16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161)에 선택을 통해 상기 도 3의 (a)와 같이 크기변경 전의 영상(310)을 볼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2a -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은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211동작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상기 표시부(160)에 스크롤동작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211동작에서 상기 표시부(160)에서 발생된 스크롤동작이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21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213동작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지 않음이 판단되는 경우, 21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영상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역의 제1 텍스트를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13동작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음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다음 영상이면서, 제2 식별자(Multimedia 02)가 부여된 제2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텍스트(Text 02)를 상기 메모리(130)에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비활성화를 해제할 수 있다. 21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에서 발생되는 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2 텍스트가 함께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219동작에서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도달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2 영상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221동작에서 상기 제2 영상이 동영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22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19동작에서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도달되는 시점에 상기 제2 텍스트도 상기 제2 영역의 가장자리에 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가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기 표시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130)에 상측방향으로의 스크롤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22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 제2 영상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측방향으로의 스크롤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역의 제2 텍스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11동작 내지 상기 225동작을 통해 상기 콘텐츠의 마지막 영상과 마지막 텍스트가 각각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상측방향으로의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마지막 영상과 상기 마지막 텍스트가 동시에 상측방향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콘텐콘텐츠가 모두 표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을 통하여, 제2 영역에 상기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영상 및 상기 텍스트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하측방향의 스크롤동작 또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의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을 참조하여 상기 도 2의 207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습니다.
상기 도 4의 (a)와 같이 기사에 관련된 웹 콘텐츠(300)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웹 콘텐츠의 소스정보 등을 이용하여, 제1 영상(401)에 "Multimedia 01"이라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제1 영상(401)의 하단에 표시된 부분의 소스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부분(402)에 제1 텍스트(402) 즉, "Text 01"이라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텍스트(402) 다음에 존재하는 제2 영상(403)에 "Multimedia 02"이라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2 영상(403) 다음에 존재하는 상기 제2 영상과의 관련성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부분(404)에 제2 텍스트 즉, "Text 02"라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텍스트(404) 다음에 존재하는 제3 영상(405)에 "Multimedia 03"이라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3 영상(405) 다음에 존재하는 상기 제3 영상과의 관련성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부분(406)에 제3 텍스트, 즉 "Text 03"이라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160)의 제1 영역(161)에 제1 영상(401)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160)의 제2 영역(162)에 제1 텍스트(402)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의 제1 영역(161)에 제1 영상(401)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160)의 제2 영역(162)에 제1 텍스트(402)를 표시하는 동안, 도 4의 (c)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상측방향의 스크롤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161)에 제1 영상(401)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영역(162)의 제1 텍스트(402)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 텍스트(402)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도 4의 (d)와 같이 상기 제2 영역(162)에 제1 텍스트(402)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측방향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측방향 스크롤동작의 방향 및 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상(403)과 상기 제2 텍스트(403)를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속적인 상측방향으로의 스크롤동작을 통해, 상기 도 4의 (e)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161)에 상기 제2 영상(403)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162)에 상기 제2 텍스트(40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1동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수신되면, 5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 예를 들어, html정보 등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5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50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텍스트의 존재가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과 상기 텍스트를 구분할 수 있다. 50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차례대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상기 식별자를 각각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각각에 "Multimedia 01,..,Multimedia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각각에 "Text 01,..,Text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507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텍스트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은 상기 도 4의 (a)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5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Multimedia 01,.., Multimedia N) 중 제1 식별자(Multimedia 01)가 부여된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Text 01,..,Text N) 중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Text 01)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맞출 수 있다.
또는 상기 5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의 세로길이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편집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가로길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에 대응되게 편집한 후 크기가 변경된 상기 제1 영상을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크기가 변경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1 영역에서는 크기가 변경되기 전의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은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영역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제1 텍스트를 각각 표시하는 동안, 511동작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상기 표시부(160)에 스크롤동작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511동작에서 상기 표시부(160)에서 발생된 스크롤동작이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51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513동작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지 않음이 판단되는 경우, 51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영상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역의 제1 텍스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13동작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고 있음이 판단되는 경우, 51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의 다음 영상이며 제2 식별자(Multimedia 02)가 부여된 제2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1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텍스트(Text 02)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51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을 이용하여, 제2 영역에서 텍스트의 이동을 통해 상기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영상과 텍스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하측방향의 스크롤동작 또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601동작에서 사용자 선택한 콘텐츠가 수신되면, 6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 예를 들어, html정보 등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동시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6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만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60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6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텍스트의 존재가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과 상기 텍스트를 구분할 수 있다. 60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차례대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상기 식별자를 각각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각각에 "Multimedia 01,..,Multimedia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각각에 "Text 01,.., Text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607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텍스트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은 상기 도 3의 (a)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6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Multimedia 01,.., Multimedia N) 중 제1 식별자(Multimedia 01)가 부여된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Text 01,..,Text N) 중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Text 01)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6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맞출 수 있다.
또는 상기 6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의 세로길이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편집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가로길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에 대응되게 편집한 후 크기가 변경된 상기 제1 영상을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집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1 영역에서는 크기가 변경되기 전의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제1 텍스트를 각각 표시하는 동안, 611동작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스크롤동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611동작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 발생된 상기 스크롤동작이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61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의 다음 영상이며, 제2 식별자(Multimedia 02)가 부여된 제2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1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텍스트(Text 02)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61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측방향의 스크롤동작을 이용하여, 제21 영역과 제2 영역 각각에서 영상과 텍스트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제2 영역에서 텍스트의 이동을 통해 상기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하측방향의 스크롤동작 또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 7를 참조하면, 701동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수신되면, 7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 예를 들어, html정보 드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동시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7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만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705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703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텍스트의 존재가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과 상기 텍스트를 구분할 수 있다. 70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의 소스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차례대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상기 식별자를 각각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각각에 "Multimedia 01,..,Multimedia N"와같은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각각에 "Text 01,..,Text N"와 같은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707동작에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과 텍스트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은 상기 도 3의 (a)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709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Multimedia 01,.., Multimedia N) 중 제1 식별자(Multimedia 01)가 부여된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영역의 소정영역에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Multimedia 01,.., Multimedia N )각각에 포함된 순서정보들(1,..,N)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 제1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에 현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순서정보들(1,..,N) 중 상기 제1 영상을 나타내는 순서정보("1")가 다른 순서정보와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7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Text 01,..,Text N) 중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Text 01)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7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맞출 수 있다.
또는 상기 7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역의 세로길이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편집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의 크기와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간의 비율이 맞지 않고, 상기 비율의 차이가 임계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가로길이를 제1 영역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가로길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1 영상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1 영상의 세로길이에 대응되게 편집한 후 크기가 변경된 상기 제1 영상을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크기가 변경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1 영역에서는 크기가 변경되기 전의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과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제1 텍스트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711동작에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순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순서정보가 선택되면, 71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순서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가 부여된 영상과 텍스트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의 세로방향모드에서, 표시부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영역 각각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의 세로방향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의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부에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다음 또는 이전의 영상 또는 텍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에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이전 또는 다음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의 가로방향모드에서, 표시부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좌측영역과 상기 우측영역 각각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의 가로방향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의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부에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이전 또는 다음 영상 또는 텍스트가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 스크롤동작이 발생되면, 다음 또는 이전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의 세로방향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의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안, 전자장치가 가로방향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의 가로방향모드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세로방향모드에서 표시되었던 동일한 영상 및 텍스트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가 존재할 때,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 1영역과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 2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의 각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에서 제 1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부분을 검출하여, 제 1 텍스트로 간주하며,
    상기 제 1 텍스트에 포함된 각 부분에 제 1 영상에 대한 정보와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전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때, 상기 제 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면서, 상기 제 2 영역에 현재 표시되지 않은 텍스트의 일부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표시되지 않았던 상기 텍스트의 일부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 1 영상 외의 다른 영상들을 검출하고, 각 영상들에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며,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 1 텍스트 외의 다른 텍스트를 검출하여, 각 텍스트에 각 연관된 영상의 정보와 상기 영상의 순서정보, 그리고 텍스트에 포함된 각 부분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전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다른 텍스트를 전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제1 텍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의 다음 순서의 영상인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제2 텍스트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은, 정지영상인 이미지와 동영상인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이 비디오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제2 영상을 재생하는 전자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가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상 및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순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제1 텍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영역에서 소정의 순서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선택된 순서정보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텍스트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11.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표시부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상기 영상 및 상기 텍스트를 각각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부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에서 제 1 영상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영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부분을 검출하여 제 1 텍스트로 간주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텍스트에 포함된 각 부분에 제 1 영상에 대한 정보와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때, 상기 제 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면서, 상기 제 2 영역에 현재 표시되지 않은 텍스트의 일부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상기 텍스트의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 1 영상 외의 다른 영상들을 검출하고, 각 영상들에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과,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 1 텍스트 외의 다른 텍스트를 검출하여, 각 텍스트에 각 연관된 영상의 정보와 상기 영상의 순서정보, 그리고 텍스트에 포함된 각 부분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다른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제1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여 상기 제1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의 다음순서의 영상인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제2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은, 정지영상인 이미지와 동영상인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이 비디오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제2 영상을 재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가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텍스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텍스트의 표시되지 않았던 부분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상 및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순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제1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소정의 순서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선택된 순서정보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영상 정보의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의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방법.
KR1020140030231A 2014-03-14 2014-03-14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KR20150107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231A KR20150107382A (ko) 2014-03-14 2014-03-14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US14/473,214 US20150261418A1 (en) 2014-03-14 2014-08-2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EP15150763.9A EP2919106A1 (en) 2014-03-14 2015-01-1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231A KR20150107382A (ko) 2014-03-14 2014-03-14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382A true KR20150107382A (ko) 2015-09-23

Family

ID=5246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231A KR20150107382A (ko) 2014-03-14 2014-03-14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61418A1 (ko)
EP (1) EP2919106A1 (ko)
KR (1) KR201501073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6522B2 (en) 2010-03-19 2014-06-1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D768659S1 (en) * 2013-01-04 2016-10-11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19456B1 (ko) * 2014-12-15 2021-10-28 조은형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US10031730B2 (en) * 2015-04-22 2018-07-24 Salesforce.Com, Inc.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extensible browser executable components
KR101810188B1 (ko) * 2016-02-24 2018-01-18 네이버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영상 생성 장치, 영상 제공 서버, 영상 표시 방법, 영상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168823A1 (ja) * 2017-03-14 2018-09-20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2061299A (ja) * 2020-10-06 2022-04-18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0099B2 (en) * 2000-06-12 2007-04-24 Softview Llc Resolution independent vector display of internet content
JPWO2004079709A1 (ja) * 2003-03-07 2006-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クロール表示制御
US20070118794A1 (en) * 2004-09-08 2007-05-24 Josef Hollander Shared annot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334300A1 (en) * 2011-01-03 2013-12-19 Curt Evans Text-synchronized media utilization and manipulation based on an embedded barcode
KR101871718B1 (ko) * 2012-06-25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96881B2 (en) * 2013-01-15 2017-07-04 Viki,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ion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1418A1 (en) 2015-09-17
EP2919106A1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35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ui 표시 방법
US8766912B2 (en) Environment-dependent dynamic range control for gesture recognition
US9612719B2 (en) Independently operated, exter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07382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US201500958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KR102124191B1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62452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9570038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244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on electronic devices
US983626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50080756A (ko) 멀티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88631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10752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전자 장치
US20150121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ulti-window
CN106796810B (zh) 在用户界面上从视频选择帧
US201500425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object using touch input
US2017012355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based on force touch
KR102335373B1 (ko)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92159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039552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조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4306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35865A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85173A (ko)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503315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
US10055395B2 (en) Method for editing object with motion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